[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1395A - 습식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습식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95A
KR20180001395A KR1020160087197A KR20160087197A KR20180001395A KR 20180001395 A KR20180001395 A KR 20180001395A KR 1020160087197 A KR1020160087197 A KR 1020160087197A KR 20160087197 A KR20160087197 A KR 20160087197A KR 20180001395 A KR20180001395 A KR 2018000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cover
outer cover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026B1 (ko
Inventor
오문섭
Original Assignee
오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문섭 filed Critical 오문섭
Priority to PCT/KR2017/0062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222241A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24F3/16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F24F2003/161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오염된 공기를 수용하여 미세입자로 분사되는 물입자와 공기가 접촉시킴으로 미세먼지 등의 오염원이 물입자 내로 흡착하여 수조에 유입 또는 침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환경의 가습기능을 가지도록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체면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며, 양측면과 후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이 형성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 내주단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개방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하면 전체면은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하부망체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기유입체와, 상기 공기유입체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망체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공기유입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망체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어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램프와, 상기 외부커버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는 물이동관 및 상기 물이동관 상단에 연결되어 물이동관 내부로 연통되는 노즐부로 구성되는 물분사체 및, 상기 외부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단이 공기유입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면서 하단이 수조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유입체 하부와 물분사체를 내부로 수용하는 원통형의 제1필터부로 이루어지는 습식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습식형 공기청정기{WET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습식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오염된 공기를 수용하여 미세입자로 분사되는 물입자와 공기가 접촉시킴으로 미세먼지 등의 오염원이 물입자 내로 흡착하여 수조에 유입 또는 침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환경의 가습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미세 분진, 각종 유해가스, 잡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 매개체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구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능과 함께 생활냄새 제거, 진드기,꽃가루, 애완동물 털 등 작은 입자 제거, 공기 감염으로 인한 질병예방 등 다양한 기능이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청정기는 크게 건식과 습식 두 종류로 나누어지게 되며, 상기 건식은 전기집진식과 필터여과식 두 가지로 나누어지게 된다.
상기 전기집진식은 필터가 없기 때문에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집진판에 먼지가 쌓이면 정화능력이 떨어지고 먼지제거 능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여과식은 필터 사이로 공기가 흐르면서 각종 미립자를 필터에서 걸러주기 때문에 정화능력이 뛰어나 황사대비용으로 적절하지만,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위한 필터 교체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건식에 비하여 습식의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를 물에 접촉시켜 부유물질을 물에 침전시키는 방식으로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소음이 적으며 가습기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습식 공기청정기는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함에 있어서 물과 직접 접촉하여 작동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물때로 인한 작동불량의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물을 양수함에 있어서, 양수팬의 회전과 함께 케이스부에 저장된 물도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 일정한 양수 량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분사된 물과 흡입된 공기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공기청정 효율이 저하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876호(발명의 명칭 :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119호(발명의 명칭 : 습식 공기청정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팬을 통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로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하면서 동시에 수조에 정화된 깨끗한 물이 공기청정기 내부로 분사시켜 유입된 공기와 물입자가 접촉하여 물입자 내로 공기 중의 미세 먼지 등이 흡착하여 회전팬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여 청정공기를 발생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환경에 습도조절을 하도록 가습기능을 가지는 목적과,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 내부에 살균과 건조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을 살균함과 공기청정기 내부의 환경을 청정함을 유지하도록 하는 또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체면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며, 양측면과 후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이 형성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 내주단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개방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하면 전체면은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하부망체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기유입체와,
상기 공기유입체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망체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공기유입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망체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어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램프와,
상기 외부커버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는 물이동관 및 상기 물이동관 상단에 연결되어 물이동관 내부로 연통되는 노즐부로 구성되는 물분사체 및,
상기 외부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단이 공기유입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면서 하단이 수조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유입체 하부와 물분사체를 내부로 수용하는 원통형의 제1필터부로 이루어지는 습식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체면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이 형성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 하단에 내측으로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면서 외주면에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물유입공이 형성되는 수벽부로 이루어진 제2커버로 구성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 내주단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개방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하면 전체면은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하부망체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기유입체와,
상기 공기유입체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망체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공기유입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망체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어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램프와,
상기 외부커버 제2커버를 수용하면서 제2커버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수조 및,
상기 제2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는 물이동관 및 상기 물이동관 상단에 연결되어 물이동관 내부로 연통되는 노즐부로 구성되는 물분사체로 이루어지는 습식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체의 하부망체 하면을 커버하면서 공기유입체 외주면을 감싸는 제2필터부가 더 포함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하부에 설치되어 상면의 일면에 내부로 관통된 연결홀에 외부커버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결홀이 형성된 상면의 타면에 다수 개의 제2공기흡입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외부커버 상부망체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면서 상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이동관으로 구성되는 물분사체와,
상기 회전구동체의 회전팬 하부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에 상부가 고정되면서 물분사체의 물이동관 상부에 하부가 내속되는 파이프 형태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물분사구가 내통된 수직형의 물확산관으로 구성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물확산관을 대체하여 물이동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단에 물분사구가 형성된 파이프형태의 물분사관이 설치되고,
상기 물분사관의 물분사구에 마주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팬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개방된 면이 하부로 위치하면서 하부 외주단에 절개된 확산홀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대략 반구형의 확산캡이 설치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외부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물확산관 또는 물분사관을 수용하여 회전팬 하부 또는 확산캡 하부에 상부가 이격되게 마주하면서 상부가 밀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수조 내부에 마련되면서 외주면에 다수 개의 제2물유입공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포함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이 형성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하부에 설치되면서 외부커버 하단이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외부커버 상부망체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 및,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하부가 수조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부가 수조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위치하는 제1물흡수부로 이루어지는 습식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식형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팬을 통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로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하면서 동시에 수조에 정화된 깨끗한 물이 공기청정기 내부로 분사시켜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물입자 내로 흡착시켜 수조로 낙하시켜 정화된 공기가 회전하는 회전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여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의 조립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의 내부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유입체에 제2필터부가 결합되는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램프가 설치되는 내부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유입체에 제2필터부가 설치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내에 가이드관이 설치되는 조립 분해도.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내에 가이드관이 설치된 내부 단면 구조도.
도 11은 도 9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내에 가이드관이 설치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의 조립 분해도.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의 외부커버 사시도(a)와 정면도(b).
도 14는 도 12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 내부 단면 구조도.
도 15는 도 12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도 12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유입체에 제2필터부가 설치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내에 가이드관이 설치되는 조립 분해도.
도 18은 도 17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내에 가이드관이 설치된 내부 단면 구조도.
도 19는 도 17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내에 가이드관이 설치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내에 물확산관이 설치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내에 물분사관, 확산캡 및 가이드관이 설치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외주면에 제1물흡수부가 설치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형 공기청정기에서 외부커버 외주면의 제1물흡수부 및 외부커버 내부에 제2물흡수부가 부착된 가이드관이 설치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설명을 나타낸 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101)가 형성되어 배출구(101)를 커버하면서 전체면에 공기배출공(104)이 형성된 상부망체(103)가 설치되며, 양측면과 후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102)이 형성되는 외부커버(100)와, 상기 외부커버(100)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01) 내주단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개방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하면 전체면은 공기유입공(122)이 형성된 하부망체(121)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기유입체(120)와, 상기 공기유입체(120)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망체(121)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131)와 상기 회전모터(131)에 연계되어 회전모터(131)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132)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130)와, 상기 공기유입체(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망체(121)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어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램프(170)와, 상기 외부커버(1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140)와, 상기 수조(140)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151)와 상기 수중펌프(151)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는 물이동관(152) 및 상기 물이동관(152) 상단에 연결되어 물이동관(152) 내부로 연통되는 노즐부(153)로 구성되는 물분사체(150) 및, 상기 외부커버(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단이 공기유입체(120)의 외주면에 고정되면서 하단이 수조(140)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유입체(120) 하부와 물분사체(150)를 내부로 수용하는 원통형의 제1필터부(160a)로 이루어지는 습식형 공기청정기(10, 이하, ‘공기청정기’라 칭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청정기(100)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망체(103)가 설치된 외부커버(110)와 상기 외부커버(1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된 공기유입체(120)와 상기 공기유입체(12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구동체(130)와 상기 공기유입체(120) 하부에 설치되는 램프(170)와 상기 외부커버(110) 내부 하부에 설치되는 수조(140)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물분사체(150) 그리고 외부커버(110) 내부에 설치되는 제1필터부(160a)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110)는 사면체 형태를 가지면서 상면은 내부로 연통된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하면은 개방 또는 밀폐되면서 외측면은 밀폐되며, 상기 외측면의 양측면 및 후면은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102)이 형성되고, 전면(前面)은 도어부(105)로 전면(前面) 일측단과 면접하는 외측면 중 일측면 단부 사이의 상부와 하부에 힌지(106)로 연결되어 전면(前面)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공기유입공(102)은 외부커버(1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 수조의 상단과 공기유입체(120)의 하단 사이에 위차한 외부커버(110)의 양측면 및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외부커버(110)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101)를 커버하면서 고정되는 상부망체(103)는 전면(全面)이 부채살 형태로 공기배출공(10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케이스 역할을 하는 상기 외부커버(110)는 사면체 형태를 가지지만, 이 형태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커버(11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체(120)는 외부커버(1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통형의 형태로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면은 전면(全面)이 부채살 형태의 공기유입공(122)이 형성된 하부망체(121)가 형성되며, 외부면은 밀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공기유입체(120)의 상단이 외부커버(110) 배출구(101) 내주단 또는 배출구(101) 외측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상부망체(103)가 공기유입체(120)의 상부에 탈부착 구조로 설치되어 일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체(130)는 공기유입체(120)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모터(131)와 회전팬(132)으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전모터(131)는 공기유입체(120)의 하부망체(121)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하부망체(121)의 중앙 일면은 밀폐형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망체(121)의 중앙에 형성된 판재를 통해 회전모터(131)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전모터(131)의 회전축에 연계되어 회전모터(131)의 구동으로 회전축 상단에 설치되는 회전팬(132)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외부커버(110)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때 외부커버(110) 내부의 흡입력 즉 공압인 외부커버(110) 내부와 외부의 공압차로 인해 외부커버(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공기흡입공(102)을 통해 외부공기가 외부커버(110) 내부로 유입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램프(170)는 공기유입체(120)의 하부망체(121) 하면 중앙에 설치되며, 이때 하부망체(121)의 중앙에 형성된 판재를 통해 램프(170)가 고정된다. 이때, 램프(170)를 구성하는 소켓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램프의 구성은 종래의 시판되는 공지된 구성요소로 생략한다.
상기 램프(170)는 도 5와 같이 공기유입체(120)의 하부망체(121) 하면에 탈부착 구조를 가지며, 설치되는 환경 또는 용도에 따라 램프(170)를 설치하거나 미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140)는 외부커버(110)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외부커버(110) 내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사면체의 형태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체(150)는 수조(140)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펌프(151)와 물이동관(152) 및 노즐부(153)의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조(140) 내에 수용된 물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수중펌프(151)에 의해 이동된 물은 수중펌프(151)의 상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물이동관(152)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물이동관(152)의 상단에 물이동관(152) 내부와 연통된 노즐부(153)에 의해 물이 외부로 확산 분출하면서 물입자로 분사되게 된다.
상기 노즐부(153)는 통상 사용되는 것으로 노즐부(153)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어 물이동관(152) 내부로 유입된 물이 수중펌프(151)의 수압에 의해 상기 노즐부(153)의 통공을 통해 물입자로 바뀌어 노즐부(153) 외부로 뿜어져 분사되게 된다.
상기 노즐부(153)는 외주면에 내통된 다수 개의 통공 즉, 노즐이 형성될 수 있으며, 노즐부(153)인 통상의 스프링 쿨러 장치가 장착되어 물을 확산 분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물이동관(152)의 길이는 수조(140)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면서 외부커버(110)의 내부 중앙 보다 낮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부(160a)는 외부커버(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면서 외주면은 밀폐된 원통형의 형태로 상단은 공기유입체(120)의 외주면에 고정되면서 하단은 수조(14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필터부(160a) 내부로 공기유입체(120)의 하부망체(121) 및 그 외주면 일부와 램프(170) 그리고 물분사체(150)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제1필터부(160a)는 중공사막의 막재 형태로 공기의 유입이 자유로우면서 물입자는 흡착되지만 유출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제1필터부(160a)를 통과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하여 제1필터부(160a)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필터부(160a)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면서 외주면은 밀폐되는 원통형의 가이드관(18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관(18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가이드관(180) 상부의 상단 위치는 물분사체(150)의 노즐부(153)의 위치 또는 물이동관(152)의 상단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180)의 하부는 수조(140) 내에 형성되는 원통형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관(180)의 형태는 원통형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면체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180)의 외주면은 제1필터부(160a)의 내주면과 이격된 협소한 공간을 가지며,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상기 외부커버(110)의 제1공기흡입공(102)을 통해 제1필터부(160a)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가이드관(180)의 외주면과 마찰하여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물분사체(150)의 노즐부(153)를 통해 확산 분사되는 물이 상기 제1필터부(160a)와 가이드관(180)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 하향되면서 상향되는 외부공기와 마찰할 뿐만 아니라 제1필터부(160a)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가이드관(180) 외주면과 마찰하면서 동시에 물과 마찰함으로 물과 외부공기의 마찰 및 접촉으로 외부공기 내에 함유된 미세먼지 등을 물입자 내로 흡착하여 수조(140) 내로 유입되게 된다.
다음은 도 5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수조(140) 내에 물을 채운 뒤, 회전구동체(130)의 회전모터(131)와 물분사체(150)의 수중모터(151)를 구동시키며, 이때 회전구동체(130)의 회전모터(131) 구동으로 회전팬(132)이 회전하면서 외부커버(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1필터부(160a)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면서 동시에 제1필터부(160a) 내부의 공압차로 인해 외부커버(110)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공(102)을 통해 외부커버(110) 내부로 유입되면서 제1필터부(160a)를 통해 제1필터부(160a) 내부로 유입하며, 이때 상기 물분사체(150)의 수중모터(151)의 구동으로 수조(140) 내의 물이 물이동관(152)으로 이동되어 노즐부(153)를 통해 물입자로 분산되면서 제1필터부(160a) 내부로 분사되며, 이때 제1필터부(160a)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노즐부(153)를 통해 분사되는 물입자와 충돌 및 접촉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이 물입자 내로 흡착하여 수조(140)로 하강하게 되면서 동시에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공기는 회전구동체(130)의 회전팬(132) 회전으로 청정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유입체(120)의 하부망체(121)를 통해 공기유입체(120) 내부로 유입되면서 외부커버(110)의 상부망체(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101)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01)를 커버하면서 전체면에 공기배출공(104)이 형성된 상부망체(103)가 설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102)이 형성되는 제1커버(111a)와 상기 제1커버(111a) 하단에 내측으로 단차진 단차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112)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113)에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면서 외주면에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제1물유입공(115)이 형성되는 수벽부(114)로 이루어진 제2커버(111b)로 구성되는 외부커버(110)와,
상기 외부커버(110)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01) 내주단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개방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하면 전체면은 공기유입공(122)이 형성된 하부망체(121)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기유입체(120)와, 상기 공기유입체(120)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망체(121)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131)와 상기 회전모터(131)에 연계되어 회전모터(131)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132)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130)와, 상기 공기유입체(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망체(121)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어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램프(170)와, 상기 외부커버(110) 제2커버(111b)를 수용하면서 제2커버(111b)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수조(140) 및, 상기 제2커버(111b)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151)와 상기 수중펌프(151)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는 물이동관(152) 및 상기 물이동관(152) 상단에 연결되어 물이동관(152) 내부로 연통되는 노즐부(153)로 구성되는 물분사체(150)로 이루어지는 공기청정기(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공기청정기(100)는 도 12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망체(103)가 설치된 제1커버(111a) 및 상기 제1커버(111a) 하부에 연장되는 제2커버(111b)로 구성되는 외부커버(110)와 상기 외부커버(1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된 공기유입체(120)와 상기 공기유입체(12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구동체(130)와 상기 공기유입체(120) 하부에 설치되는 램프(170)와 상기 외부커버(110)의 제2커버(111b)를 수용하는 수조(140) 그리고 상기 수조(140) 내부에 설치되는 물분사체(1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외부커버(110)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유입체(120), 회전구동체(130), 램프(170) 및 물분사체(150)의 구성 및 원리는 상술한 일실시예에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170)는 공기청정기(100) 내에 탈부착 구조를 가져 설치되는 환경 또는 용도에 따라 설치 또는 미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110)는 상부의 제1커버(111a)와 하부의 제2커버(111b)의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일실시예와 같은 전면의 도어부(105) 없이 일체형의 사면체 또는 원통형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커버(111a)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101)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01)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104)이 형성된 상부망체(103)가 설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111b)는 제1커버(111a)의 하단에 내측으로 단차진 단차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112)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113)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부(113)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벽부(114)를 형성한다. 상기 제2커버(111b)는 하부가 밀폐되거나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제2커버(111b) 하부가 밀폐된 형태로 도시화하였다.
상기 단차부(112)는 제1커버(111a)의 하단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되, 노즐부(153)를 통해 분사된 물이 제1커버(111a) 내주면을 따라 자유롭게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물의 정지되지 않고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단차부(112) 형상을 가진다.
상기 경사부(113)는 상기 단차부(112)에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경사부(113)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물이 경사부(113)를 따라 하향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수벽부(114)는 경사부(113)의 하단에 수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에 내통된 제1물입유입공(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40)는 상기 외부커버(110)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외부커버(110) 제2커버(111b)를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제2커버(111b)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수조(140) 내주면과 제2커버(111b) 외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에 물이 수용하게 된다.
상기 수조(140)의 공간에 수용된 물은 제2커버(111b)의 제1물유입공(115)을 통해 제2커버(111b)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 수조(140)와 제2커버(111b)에 수용된 물의 높이가 동일선상에 있어 물부족시 상기 수조(140)의 내주면과 제2커버(111b)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물을 유입하여 보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버(111b)의 내부에 물분사체(150)를 설치하여 제2커버(111b) 내에 수용된 물을 수중펌프(151)를 통해 강제로 흡입하여 물이동관(152)을 거쳐 노즐부(153)를 통해 물입자로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일실시예의 공기청정기의 작동에 있어, 상기 회전구동체(130)와 물분사체(150)의 구동을 통해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청정공기를 생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물분사체(150)의 구동으로 분사되는 미세한 물입자가 청정공기와 함께 배출되어 가습기능을 하며, 또한 회전구동체(130)만의 작동으로 제1필터부(160a) 또는 제2필터부(160b)를 통해 건식방법으로 공기를 정화하게 되며, 또한 물분사체(150)만의 작동으로 미세한 물입자가 공기의 유동으로 외부로 발산되어 가습기능만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습식으로 공기청정기(100)를 작동 후 물분사체(150)의 구동을 정지하여 회전구동체(130)의 작동만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외부커버(110) 내부 환경 또는 제1필터부(160a) 내부 환경을 건식화하여 곰팡이 등이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살균, 건조 또는 살균과 건조기능 모두를 가지는 램프(170)를 선택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램프(170)의 작동으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생성된 청정공기를 살균 및 건조하여 외부로 청정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커버(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는 제1커버(111a)에 하부는 제2커버(111b) 내에 위치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상기 제2커버(111b)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물유입공(115)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관통된 다수 개의 제2물유입공(181)이 형성되는 가이드관(18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관(18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가이드관(180) 상부의 상단 위치는 물분사체(150)의 노즐부(153)의 위치 또는 물이동관(152)의 상단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180)의 하부는 제2커버(111b) 내에 형성되는 사면체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관(180)의 형태는 사면체 형태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커버(110)의 형태 또는 공기정화 효율에 따라 원통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180)의 외주면은 외부커버(110)의 내주면과 이격된 협소한 공간을 가지며,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상기 외부커버(110)의 제1커버 제1공기흡입공(102)을 통해 제1커버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가이드관(180)의 외주면과 마찰하여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물분사체(150)의 노즐부(153)를 통해 확산 분사되는 물이 상기 제1커버(111a)와 가이드관(180)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 하향되면서 상향되는 외부공기와 마찰할 뿐만 아니라 제1커버(111a)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가이드관(180) 외주면과 마찰하면서 동시에 물과 마찰함으로 물과 외부공기의 마찰 및 접촉으로 외부공기 내에 함유된 미세먼지 등을 물입자 내로 흡착하여 제2커버(111b) 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버(111b)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물유입공(115)에 대응되는 가이드관(180) 외주면에 관통된 다수 개의 제2물유입공(181)이 형성되어 수조(140) 내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2커버(111b) 제1물유입공(115)을 통해 가이드관(180)의 제2물유입공(181)을 통해 가이드관(180) 내부 하부에 수용되게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 및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체(120)의 하부망체(121) 하면을 커버하면서 공기유입체(120) 외주면을 감싸는 제2필터부(160b)가 더 포함되는 공기청정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으로 제1필터부(160a) 또는 외부커버(110) 내부에 물입자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미세먼지가 흡착된 청정공기가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제1필터부(160a) 내 상부 또는 외부커버(110) 내 상부로 이동되면서 공기유입체(120)의 하부망체(121)에 설치된 제2필터부(160b)에 의해 다시 한번 청정공기 내에 미처리(흡착)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하부망체(121)를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부망체(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2필터부(160b)는 공기정화용 막재를 사용하게 되며, 제1필터부(160a)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101)가 형성되어 배출구(101)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104)이 형성된 상부망체(103)가 설치되는 외부커버(110);와, 상기 외부커버(110) 하부에 설치되어 상면의 일면에 내부로 관통된 연결홀(141)에 외부커버(110)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결홀(141)이 형성된 상면의 타면에 다수 개의 제2공기흡입공(142)이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140)와, 상기 외부커버(110) 상부망체(103)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131)와 상기 회전모터(131)에 연계되어 회전모터(131)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132)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130);와, 상기 수조(140)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151)와 상기 수중펌프(151)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면서 상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이동관(152)으로 구성되는 물분사체(150) 및, 상기 회전구동체(130)의 회전팬(132) 하부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133)에 상부가 고정되면서 물분사체(150)의 물이동관(152) 상부에 하부가 내속되는 파이프 형태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물분사구(191)가 내통된 수직형의 물확산관(190a)으로 구성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커버(110)는 원통형 또는 사면체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의 중앙에 배출구(101)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01)에 상부망체(103)가 구비되면서 상기 상부망체(103)는 전체면이 공기배출공(104)이 형성된 망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부커버(110)의 배출구(101)와 상부망체(103)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예에 공기청정기(100)의 외부커버(110)의 배출구(101)와 상부망체(103)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수조(140)는 외부커버(110) 하부에 설치되며, 수조(140)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조(140)의 상면 중앙에는 외부커버(110)의 하단부가 결속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외부커버(110)의 내부가 수조(140)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외부커버(110)의 내부와 대응되는 수조(140)의 상면에 연결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140)의 연결홀(141) 상면 주변에는 수조(140)의 내부로 관통된 제2공기흡입공(142)이 다수 개 형성된다. 즉, 수조(140)의 상면 형태는 중앙에 연결홀(141)과 상기 연결홀(141)을 제외한 상면의 전면(全面)에는 다수 개의 이격된 제2공기흡입공(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체(130)는 회전모터(131)와 회전팬(132)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모터(131)는 상부망체(103)의 하부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모터(131)의 하부에 회전팬(132)이 연결되어 회전모터(131)의 구동으로 회전팬(132)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체(150)는 수중펌프(151)와 물이동관(1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중펌프(151)는 수조(14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중모터(151)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조(140) 내부에 저장된 물을 수중펌프(151)의 가동으로 물이동관(152)의 내부로 물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물이동관(152)의 상단 위치는 수조(140)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외부커버(110)의 내부로 소정의 길이로 상향 연장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확산관(190a)은 수직의 파이프형태로서, 물이동관(152)으로 이동되어 상부로 분사되는 물을 수용하면서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주면에 형성된 물분사구(191)를 통해 분사되면서 확산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물확산관(190a)의 상부는 회전팬(132)의 하부 중앙에 돌출된 회전축(133)에 결속 고정되며, 물확산관(190a)의 하부는 물이동관(152)의 상부를 내속시킨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물이동관(152)의 상부를 내속시 물확산관(190a)의 회전으로 물확산관(190a)의 하부 내주면과 물이동관(152)의 외주면 사이에 구속없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베어링 등과 같은 서포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구조를 가진 습식형 공기청정기의 작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모터(131)와 수중모터(151)의 작동으로 회전모터(131)와 연계된 회전팬(132)이 정회전하게 되며, 이때 수조(140)의 상면에 형성된 제2공기흡입공(142)을 통해 외부 공기가 수조(140) 내부를 거쳐 외부커버(110) 내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고 수중모터(151)의 작동으로 수조(140) 내부에 저장된 물이 물이동관(152)을 통해 물확산관(190a) 내부로 분사되게 되면서 이때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동시에 물확산관(190a)이 회전하면서 물확산관(170a) 내부로 분사된 물이 회전하는 물확산관(170a)의 외주면에 부딪치면서 물확산관(190a) 외주면의 물분사구(191)를 통해 물이 외부커버(110) 내부로 확산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1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물확산관(190a)의 물분사구(191)로 확산 분사되는 물입자와 충돌하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이 물입자내로 흡수되면서 공기중에 미세번지 등이 제거된 청정공기는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상부망체(103)의 공기배출공(104)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팬(132)의 회전이 역회전이라면 상부망체(103)를 통해 외부공기가 외부커버 내부로 유입되면서 물확산관(190a)의 물분사구(191)로 확산 분사되는 물입자와 충돌하면서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공기가 상기 수조(140) 상면의 제1공기흡입공(142)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확산관(190a)을 대체하여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이동관(152)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단에 물분사구(191)가 형성된 파이프형태의 물분사관(190b)이 설치되고, 상기 물분사관(190b)의 물분사구(191)에 마주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팬(132)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133)에 연결되어 개방된 면이 하부로 위치하면서 하부 외주단에 절개된 확산홀(196)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대략 반구형의 확산캡(195)이 설치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물분사관(190b)은 물이동관(152)의 상부에 연결되어 물이동관(152)으로 이동된 물이 물분사관(190b) 내부를 통해 상향으로 이동되어 물분사관(190b) 상부에 형성된 물분사구(191)를 통해 물이 상향으로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캡(195)은 회전팬(132)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133)에 상부가 연결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확산캡(195)은 대략 반구형의 형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확산캡(195)의 하부 외주단에 절개된 확산홀(196)이 다수 개로 하부 둘레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물분사관(190b)의 물분사구(191)는 확산캡(195)의 내부 또는 인접하게 위치하여 물분사구(191)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확산캡(195)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동시에 확산캡(195)이 회전하면서 확산캡(195) 내부의 내주면에 물이 부딪치면서 확산캡(195)의 회전으로 물이 확산홀(196)을 통해 물이 외부커버(110) 내부로 확산하게 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커버(110) 내부에 설치되어 물확산관(190a) 또는 물분사관(190b)을 수용하여 회전팬(132) 하부 또는 확산캡(195) 하부에 상부가 이격되게 마주하면서 상부가 밀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수조(140) 내부에 마련되면서 외주면에 다수 개의 제2물유입공(181)이 형성되는 가이드관(180)이 더 포함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관(180)은 외부커버(110) 내부에 유입된 공기와 분사되는 물입자의 충돌을 유도하면서 공기 또는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으로, 상부는 밀폐되면서 곡면 형태 즉, 반구형의 형태를 가지며, 내부는 공간이 형성되어 물확산관(190a) 또는 물분사관(190b)이 위치하여 곡면의 상부로 돌출되며, 이때 가이드관(180) 상부 중앙에 물확산관(190a) 또는 물분사관(190b)이 관통되도록 통공된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180)의 하부는 수조(140) 내부에 위치하여 수조(140) 내부에 들뜬상태로 형성되거나 수조(140) 내부 바닥면에 면접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관(180)이 들뜬상태로 수조(140) 내부에 마련될 때 상기 가이드관(180)의 상부는 물분사관(190b) 외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180) 하부 외주면에 다수 개의 제2물유입공(181)이 형성되어 수조(140) 내부의 물이 원활히 순환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101)가 형성되어 배출구(101)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104)이 형성된 상부망체(103)가 설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102)이 형성되는 외부커버(110);와, 상기 외부커버(110) 하부에 설치되면서 외부커버(110) 하단이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140)와, 상기 외부커버(110) 상부망체(103)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131)와 상기 회전모터(131)에 연계되어 회전모터(131)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132)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130) 및, 상기 외부커버(110)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하부가 수조(140)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부가 수조(140)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위치하는 제1물흡수부(200a)로 이루어지는 습식형 공기청정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구동체(130)의 회전모터(131) 구동으로 회전팬(132)이 회전하면서 외부커버(110)의 하부의 제1공기흡입공(10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며, 이때 상기 외부커버(110)의 하부의 외주면 둘레에 감싸 밀착된 제1물흡수부(200a)가 수조(140) 내부의 물을 흡수한 상태로 있어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외부커버(110) 내의 공압 증가로 외부의 공기가 제1물흡수부(200a)를 통과하여 제1공기흡입공(102)을 통해 외부커버(110)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이때 상기 외부공기의 미세먼지 등이 물이 흡수된 제1물흡수부(200a)에 흡착되면서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공기가 외부커버(110)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팬(132)을 통해 상부망체(103)의 공기배출공(1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1물흡수부(200a)는 스폰지, 부직포 또는 면포 등과 같은 물을 흡습하는 흡습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게 되며, 외부커버(110) 외주면을 원주형으로 감싸 와부커버(1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공기흡입공(102) 전체를 커버하면서 상부가 수조(140)의 높이보다 더 높은 외부커버(110) 외주면에 위치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물흡수부(200a)가 마주하여 대응되는 외부커버(110) 외주면 전체에 내통된 제1공기흡입공(102)이 형성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커버(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회전팬(132)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하며, 하부는 개방되면서 수조(140) 내부에 마련되며, 외주면은 외부커버(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외부커버(110) 내주면과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관(180)과, 상기 가이드관(180)의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는 제2물흡수부(200b)가 더 포함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제1물흡수부(200a)를 통해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이 1차적으로 걸러져 외부커버(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이때 상기 외부커버(110) 내주면과 가이드관(180) 외주면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가이드관(180)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2물흡수부(200b)에 공기가 충돌하면서 공기 중에 미처리된 미세먼지 등이 2차적으로 제2물흡수부(200b)에 흡착되어 제거되어 회전하는 회전팬(132)으로 인해 청정공기가 상부망체(103)의 공기배출공(1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1, 2물흡수부(200a, 200b)는 수조(140) 내의 물을 흡습하여 물이 흡습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상기 회전팬(132)의 회전으로 외부공기가 외부커버(110) 내부로 유입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흡착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관(180)의 하부는 수조(140)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외부커버(110)의 내주면에 마주하는 가이드관(180)의 외주면은 외부커버(110)의 외주면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인, 즉 외부커버(110)의 내주면이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면 가이드관(180)의 외주면도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수조(140) 내부의 물이 순환 출입가능하도록 가이드관(180) 하부 외주면에 다수 개의 제2물유입공(181) 또는 절개된 다양한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공기청정기 100 배출구 101 제1공기흡입공 102
상부망체 103 공기배출공 104 외부커버 110
제1커버 111a 제2커버 111b 단차부 112
경사부 113 수벽부 115 제1물유입공 115
공기유입체 120 하부망체 121 공기유입공 122
회전구동체 130 회전모터 131 회전팬 132
수조 140 연결홀 141 제2공기흡입공 142
물분사체 150 수중펌프 151 물이동관 152
노즐부 153 제1필터부 160a 제2필터부 160b
램프 170 가이드관 180 제2물유입공 181
물확산관 190a 물분사관 190b 물분사구 191
확산캡 195 확산홀 196 제1물흡수부 200a
제2물흡수부 200b

Claims (11)

  1.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며, 양측면과 후면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이 형성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 내주단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개방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하면 전체면은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하부망체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기유입체;와,
    상기 공기유입체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망체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외부커버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는 물이동관 및 상기 물이동관 상단에 연결되어 물이동관 내부로 연통되는 노즐부로 구성되는 물분사체; 및,
    상기 외부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단이 공기유입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면서 하단이 수조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유입체 하부와 물분사체를 내부로 수용하는 원통형의 제1필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면서 외주면은 밀폐되는 원통형의 가이드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3.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이 형성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 하단에 내측으로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면서 외주면에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물유입공이 형성되는 수벽부로 이루어진 제2커버로 구성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 내주단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상면은 개방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하면 전체면은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하부망체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기유입체;와,
    상기 공기유입체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망체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외부커버 제2커버를 수용하면서 제2커버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수조; 및,
    상기 제2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는 물이동관 및 상기 물이동관 상단에 연결되어 물이동관 내부로 연통되는 노즐부로 구성되는 물분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는 제1커버에 하부는 제2커버 내에 위치하며 외주면은 밀폐되면서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물유입공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관통된 다수 개의 제2물유입공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체의 하부망체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어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램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체의 하부망체 하면을 커버하면서 공기유입체 외주면을 감싸는 제2필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7.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하부에 설치되어 상면의 일면에 내부로 관통된 연결홀에 외부커버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결홀이 형성된 상면의 타면에 다수 개의 제2공기흡입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외부커버 상부망체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에 연계되어 수직의 소정의 길이로 축설되면서 상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이동관으로 구성되는 물분사체와,
    상기 회전구동체의 회전팬 하부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에 상부가 고정되면서 물분사체의 물이동관 상부에 하부가 내속되는 파이프 형태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물분사구가 내통된 수직형의 물확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확산관을 대체하여 물이동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단에 물분사구가 형성된 파이프형태의 물분사관이 설치되고,
    상기 물분사관의 물분사구에 마주하여 설치되며, 상기 회전팬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개방된 면이 하부로 위치하면서 하부 외주단에 절개된 확산홀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대략 반구형의 확산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물확산관 또는 물분사관을 수용하여 회전팬 하부 또는 확산캡 하부에 상부가 이격되게 마주하면서 상부가 밀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수조 내부에 마련되면서 외주면에 다수 개의 제2물유입공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10. 상면에 원형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전면(全面)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상부망체가 설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다수 개의 제1공기흡입공이 형성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 하부에 설치되면서 외부커버 하단이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외부커버 상부망체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계되어 회전모터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팬으로 구성되는 회전구동체 및,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하부가 수조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부가 수조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위치하는 제1물흡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회전팬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하며, 하부는 개방되면서 수조 내부에 마련되며, 외주면은 외부커버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외부커버 내주면과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는 제2물흡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20160087197A 2016-06-25 2016-07-09 습식형 공기청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208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6279 WO2017222241A1 (ko) 2016-06-25 2017-06-15 습식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732 2016-06-25
KR20160079732 2016-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95A true KR20180001395A (ko) 2018-01-04
KR102082026B1 KR102082026B1 (ko) 2020-02-26

Family

ID=6099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19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2026B1 (ko) 2016-06-25 2016-07-09 습식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026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02A (ko) * 2018-06-24 2020-01-02 주식회사 디앤티 가습량을 증대하도록 개선된 기화식 가습장치
WO2020067770A1 (ko) * 2018-09-27 2020-04-02 오문섭 공기 정화에 이용되는 물 분산장치
KR20200035833A (ko) * 2018-09-27 2020-04-06 오문섭 공기 정화에 이용되는 물 분산장치
KR102107164B1 (ko) * 2018-12-20 2020-05-06 (주)딕쏘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200045940A (ko) 2018-10-23 2020-05-06 성창호 공기청정기
KR20200093241A (ko) * 2019-01-28 2020-08-0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쿨링스템시스템
KR20200115895A (ko) * 2019-03-28 2020-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출가스 필터링 장치
CN112076547A (zh) * 2020-08-28 2020-12-15 朱鹏飞 一种便携式空气净化装置
KR102224620B1 (ko) * 2019-10-22 2021-03-10 김용수 습식 공기 정화기
KR20210062329A (ko) * 2019-11-21 2021-05-31 서용호 가습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KR20210107952A (ko) *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조은바람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KR20210151505A (ko)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삼마테크 공기청정 기능 및 바이러스 사멸 기능을 포함하는 워터 분사방식의 공기정화장치
CN113864892A (zh) * 2020-06-30 2021-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应用于挂式空调的水洗模块、挂式空调
KR102386126B1 (ko) * 2021-06-09 2022-04-15 (주)빅케어리저브 공기 세정기
CN114463952A (zh) * 2022-01-07 2022-05-10 深圳市研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边界控制平台预警装置
KR20220132688A (ko) * 2021-03-23 2022-10-04 소덕희 내외기흐름 가변식 공기청정기
WO2024101546A1 (ko) * 2022-11-10 2024-05-16 주식회사 미로 공기청정기
WO2025014014A1 (ko) * 2023-07-10 2025-01-16 주식회사 공공 컴팩트형 흡기 하방 가이드 구조를 구비한 물 이용 공기 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551B1 (ko) * 2020-02-28 2021-11-22 주식회사 바토너스 습식 공기 청정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142A (ko) * 2005-12-21 2007-06-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청정기
KR100818365B1 (ko) * 2007-08-03 2008-04-02 이영훈 습식 공기청정기
KR20090122082A (ko) * 2008-05-23 2009-11-26 이승훈 습식공기청정기
KR101489119B1 (ko) 2014-02-05 2015-02-04 류지연 습식 공기청정기
KR101542876B1 (ko) 2015-02-05 2015-08-07 오문섭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KR101551328B1 (ko) * 2015-05-11 2015-09-18 오문섭 습식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142A (ko) * 2005-12-21 2007-06-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청정기
KR100818365B1 (ko) * 2007-08-03 2008-04-02 이영훈 습식 공기청정기
KR20090122082A (ko) * 2008-05-23 2009-11-26 이승훈 습식공기청정기
KR101489119B1 (ko) 2014-02-05 2015-02-04 류지연 습식 공기청정기
KR101542876B1 (ko) 2015-02-05 2015-08-07 오문섭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KR101551328B1 (ko) * 2015-05-11 2015-09-18 오문섭 습식형 공기청정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02A (ko) * 2018-06-24 2020-01-02 주식회사 디앤티 가습량을 증대하도록 개선된 기화식 가습장치
WO2020067770A1 (ko) * 2018-09-27 2020-04-02 오문섭 공기 정화에 이용되는 물 분산장치
KR20200035833A (ko) * 2018-09-27 2020-04-06 오문섭 공기 정화에 이용되는 물 분산장치
KR20200045940A (ko) 2018-10-23 2020-05-06 성창호 공기청정기
KR102107164B1 (ko) * 2018-12-20 2020-05-06 (주)딕쏘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200093241A (ko) * 2019-01-28 2020-08-0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쿨링스템시스템
KR20200115895A (ko) * 2019-03-28 2020-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출가스 필터링 장치
KR102224620B1 (ko) * 2019-10-22 2021-03-10 김용수 습식 공기 정화기
KR20210062329A (ko) * 2019-11-21 2021-05-31 서용호 가습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KR20210107952A (ko) *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조은바람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KR20210151505A (ko)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삼마테크 공기청정 기능 및 바이러스 사멸 기능을 포함하는 워터 분사방식의 공기정화장치
CN113864892A (zh) * 2020-06-30 2021-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应用于挂式空调的水洗模块、挂式空调
CN112076547A (zh) * 2020-08-28 2020-12-15 朱鹏飞 一种便携式空气净化装置
KR20220132688A (ko) * 2021-03-23 2022-10-04 소덕희 내외기흐름 가변식 공기청정기
KR102386126B1 (ko) * 2021-06-09 2022-04-15 (주)빅케어리저브 공기 세정기
CN114463952A (zh) * 2022-01-07 2022-05-10 深圳市研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边界控制平台预警装置
WO2024101546A1 (ko) * 2022-11-10 2024-05-16 주식회사 미로 공기청정기
WO2025014014A1 (ko) * 2023-07-10 2025-01-16 주식회사 공공 컴팩트형 흡기 하방 가이드 구조를 구비한 물 이용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026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395A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1551328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160139799A (ko)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KR102107164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100888043B1 (ko) 필터의 연속재생이 가능한 집진시스템
JP2008520333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0589788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101881958B1 (ko)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100605735B1 (ko)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습식 공기 청정기
KR100671844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KR20200107067A (ko) 습식 방식의 다기능 공기 여과기
KR101321602B1 (ko) 공기 정화, 방향, 살균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습식 방식의 공기 여과기
JP2008518777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JP2008518775A (ja) 湿式空気清浄機
JP2008520422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0640733B1 (ko) 흡입형 습식 공기청정기
JP2008520423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064072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KR101542876B1 (ko)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KR101607805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064074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JPH08257336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8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1128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8101003693

Request date: 2018090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69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04

Effective date: 201911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11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80904

Decision date: 20191127

Appeal identifier: 2018101003693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