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126U - Auxiliary traffic ligh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uxiliary traffic light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1126U KR20180001126U KR2020160005891U KR20160005891U KR20180001126U KR 20180001126 U KR20180001126 U KR 20180001126U KR 2020160005891 U KR2020160005891 U KR 2020160005891U KR 20160005891 U KR20160005891 U KR 20160005891U KR 20180001126 U KR20180001126 U KR 2018000112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lane
- driver
- display panel
- signal la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후방에 직진 표시를 할 수 있게 보조 신호등을 갖추고 이미 장착한 방향 표시등을 통해 차선 변경을, 동시에 이 보조 신호등을 통해 직진할 것을 표시하여 후방 진행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선 양보를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 신호등을 직진과 함께 좌우 회전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초행길이나 길을 잘못 들어선 때와 같이, 차선 변경과 더불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야 할 때도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에서 안전하게 차선 양보를 받아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보조 신호등을 운전석에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스위치 형태로 동작하게 하거나 무선 리모컨 등으로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운전자가 주행 중에도 쉽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This design has an auxiliary signal lamp to be able to display straight ahead in the rear of the car. It indicates that the lane change is going through the already installed direction indicator and it is going to go straight through this auxiliary traffic light so that the backward driving driver can safely drive the lane concession d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auxiliary signal lamp can display the left and right rotation together with the straight ahead. Therefore,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the change of the lane, I can make a safe operation with a concess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auxiliary signal lamp can be operated in the form of a switch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operated from the driver's seat or can be operated by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driver can operate the device conveniently, conveniently and safely while driving.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좌측 차선이나 우측 차선에서 직진 차선 등으로 변경할 때, 방향 지시등과 함께 주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게 하여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안전하게 차선 양보를 받아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ignal lamp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display a driving direction together with a turn signal lamp when a driver changes from a left lane or a right lane to a straight lane, And it is possible to make safe operation by receiving a second concess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충돌사고를 미리 방지할 목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이송수단을 운전자가 이동하려는 방향을 알려주는 필수 구성 장치로 방향지시등을 장착한다. 이러한 방향지시등은 보통 이송수단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려고 할 때 운전자가 돌려고 하는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을 켜서 사용한다.Generally, the automobile is equipped with a turn signal light as an essential component to inform the direction of the driver to move the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in advance. These direction indicators are normally used by turning o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ndicator in the direction the driver turns when the vehicle is turning left or right.
한편, 이러한 방향 지시등은 이송수단의 방향 전환 때 이외, 예를 들어서, 차선을 변경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차선을 변경할 때는 방향 전환과 마찬가지로 변경하고자 하는 측의 방향지시등을 점멸하면서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이 없을 때 차선을 변경한다.On the other hand, such a turn signal lamp may be used for changing the lane, for example, other than when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means is switched. When changing the lane, turn the turn signal light on the side to change as well as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ane.
그러나, 좌측 차선이나 우측 차선에서 차선을 변경하여 직진하고자 할 때는 이러한 방향지시등만으로 직진 의사를 표시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운전이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나 초행길에서 주행할 때, 그리고 길을 잘못 들어섰을 때 이처럼 차선을 변경하여 직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보조 신호등을 이용하기도 한다.However, when changing the lane in the left lane or the right lane and going straight ahead, there is a limitation in displaying the intention to straighten with only the turn signal lamp. Especially, when the driver is not accustomed to driving, or when driving on the first lane, or when he / she goes the wrong way,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lane and go straight ahead. Thus, an auxiliary signal lamp may be used as in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707913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0707913
다기능 자동차 보조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그 윗면에 1쌍의 힌지축을 구비하고 그 전면에 표시소자가 배열되는 전면 표시판과; 그 윗면에 1쌍의 힌지를 구비하여 상기 전면 표시판의 힌지 축과 결합하여 소정 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고 그 후면에 표시소자가 배열되는 후면 표시판과; 상기 후면 표시판에 내장되고 브레이크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브레이크의 동작을 상기 전면 표시판과 후면 표시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면 표시판과 후면 표시판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구 또는 신호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에 리모콘으로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리모콘 신호 입력부와; 상기 리모콘 신호 입력부에 신호를 입력하는 리모콘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센서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승용차의 실내 뒷좌석 선반에 놓여서 브레이크 보조등으로 사용되고, 긴급상황이나 다른 운전정보를 다른 차량에게 알릴 필요가 있을 때 모듈 키입력부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메세지를 입력하고 표시판에 표시하여 다른 차량에게 긴급상황이나 다른 운전정보를 알릴 수 있다.A front display panel having a pair of hinge shafts on its upper surface and display elements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 rear display panel having a pair of hinge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rear display panel being coupled to a hinge axis of the front display panel to be unfolded or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display elements arrang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 control module built in the rear display panel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brake sens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rake to be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panel and the rear display panel and to display a phrase or signal inputted by the user on the front display panel and the rear panel, ; 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in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a remote controller; A remote controller for inputting a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input unit; Brake pedal that detec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brake pedal. It is normally used as a brake assist in the rear seat rack of a passenger car. When it is necessary to notify other vehicles of an emergency situation or other driving information, a module key input unit or a remote control is used A message can be input and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to notify another vehicle of an emergency situation or other driving information.
하지만, 기존 보조 신호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 existing auxiliary light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평시에는 브레이크 등을 보조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므로, 주행 중 차선 변경 후 직진할 때와 같은 때는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1) Since it is used as a function to assist the brakes during normal times,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can not be properly performed when the vehicle runs straight after changing lanes while driving.
(2) 또한, 기존 보조 신호등은 메시지를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방향 전환과 같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해서는 바로 대응할 수 없다.(2) Since the existing auxiliary signal is a method of inputting a message, it can not immediately respond to an operation performed in a short time such as an instantaneous change of direction.
(3) 특히, 짧은 시간에 여러 번에 걸쳐 방향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때는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메시지 입력이 불가능하다.(3) Especially,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ver several times in a short time, it is impossible to input an appropriate message at an appropriate time.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자동차 후방에 직진 표시를 할 수 있게 보조 신호등을 갖춤으로써, 자동차에 장착한 방향 표시등을 통해 차선 변경을 표시하고 동시에 이 보조 신호등을 통해 직진할 것을 다른 운전자에게 알 수 있게 하여 후방 진행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차선 양보가 이루어지게 한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xiliary signal lamp for displaying a straight line on the rear of the vehicle, so that the lane change indicator is displayed through the direction indicator attached to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signal lamp for an automobi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safely make concessions from a rearward traveling vehicle.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보조 신호등에 직진과 더불어 좌회전과 우회전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초행길이나 길을 잘못 들어선 때와 같이, 차선 변경과 더불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야 할 때도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에서 안전하게 차선 양보를 받아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left turn and the right turn together with the auxiliary signal lamp,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ane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n auxiliary traffic light for automobiles that can safely make concessions to make safe driving.
그리고, 본 고안은 보조 신호등을 운전석에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스위치 형태로 동작하게 하거나 무선 리모컨 등으로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운전자가 주행 중에도 쉽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auxiliary signal lamp in a switchable position in the driver's seat or to be operated by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operate the vehicle easily while driving,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traffic lights.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자동차 후방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직진 표시를 점멸하는 방향 표시판(100); 및 운전석에 장착하여 방향 상기 방향 표시판(100)을 점멸하게 하는 스위칭 수단(20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수단(200)은, 자동차에 장착한 배터리나 발전기, 또는 스위치 수단(200)에 탑재한 배터리에서 상기 방향 표시판(100)에 전원을 공급과 차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특히,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뒷유리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또한,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직진 표시와 함께, 좌회전 그리고 우회전을 구분하여 표시하게 하고 그 중 어느 하나를 점멸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마지막으로, 상기 스위칭 수단(200)은, 전원을 온과 오프하는 스위치, 또는 무선 리모컨으로 온/오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switching means 200 is turned on / off by a switch for turning the power on and off or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uxiliary signal lam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1)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과 더불어 보조 신호등을 점멸하여 차선 변경과 더불어 직진할 것임을 후방 진입 차량에서 알 수 있게 구성하므로, 후방 차량 운전자도 앞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안전 주행을 할 수 있다.(1) Since the rear-entry vehicle recognizes that the auxiliary signal lamp will blink along with the left or right turn signal lamp and go straight along with the lane change,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can know the direction of running of the front vehicle precisely, .
(2) 이에, 초행길, 주행로를 잘못 들어선 때나 갑자기 차선을 바꿔서 직진해야 할 때 쉽게 후방 차량에 직진 해야 할 상황을 알려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2)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go straight on the starting route or the traveling route, or suddenly change the lane, it is possible to travel safely by informing the driver that the vehicle must go straight ahead.
(3) 또한, 방향 표시판에 직진 표시와 더불어서 좌회전과 우회전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주행 중인 차선에서 반대쪽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해야 할 상황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차선 변경을 할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3) 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display panel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left turn and the right turn in addition to the straight displa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ane in a safe and convenient manner even when the lane change from the driving lane to the opposite lane is required. .
(4) 게다가, 방향 표시판을 뒷유리에 장착하므로,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쉽게 앞차의 차선 변경 내용을 쉽게 파악하여 안전하게 차선 변경을 할 수 있게 한다.(4) Moreover, since the direction sign is mounted on the rear glass, the driver of the vehicle traveling from the rear can easily grasp the lane change contents of the front lane easily and can safely change the lane.
(5) 한편, 방향 표시판은 운전자가 주행 중 손에 닿는 위치에 스위치를 설치하거나 무선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작동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에 도움을 준다.(5)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display panel is configured so that a switch can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driver touches his / her hand while driving or opera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It helps prevent safety accident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을 장착한 자동차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스위치 방식으로 동작하는 구성을, (b)는 리모컨 방식으로 동작하는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방향 표시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n auxiliary signal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signal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hows a configuration operating in a switch mode, and (b)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rection indicator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all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own desig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방향 표시판(100), 그리고 스위칭 수단(200)을 포함한다.The auxiliary signal lamp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특히,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자동차가 직진할 것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뒤 차량 운전자에게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에서 직진 차로로 방향 전환과 더불어 직진할 것임을 알 수 있게 하여 뒤 차량으로부터 차선 양보받아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또한,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자동차의 후방, 바람직하게는 뒷유리에 장착하여 구성하므로, 뒤에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쉽게 방향 표시판(100)을 보고 방향 전환 후에 직진할 것임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앞뒤 차량 모두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그리고, 상기 스위칭 수단(200)은 운전석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한 온/오프 스위치나, 무선 리모컨을 이용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방향 표시판(100)을 제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switching means 200 can be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used by controlling the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방향 표시판(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자동차가 직진할 것을 알려주기 위한 표시판이다. 즉, 방향 표시판(100)은 좌측 또는 우측 차로에서 방향 지시등을 켜고 이와 함께 전원을 공급하여 차선 변경과 더불어 직진하려고 함을 뒤 차량 운전자에게 알 수 있게 하려고 자동차에 기본적으로 장착한 방향 지시등을 통해 차선 변경을, 상기 방향 표시판(100)을 통해 차선 변경 후에 직진할 것을 알려준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도 1]과 같이, 자동차 후방, 바람직하게는 뒷유리에 장착하여 뒤 차량 운전자가 눈으로 쉽게 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잘 볼 수 있도록 점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구성하고, 이때의 전원은 [도 2]와 같이 자동차에서 사용하려고 이미 장착한 배터리(10)를 이용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건전지와 같이 별도의 전원을 방향 표시판(100) 등에 탑재하여 전용으로 사용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Also,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이러한 방향 표시판(100)은, 주간과 야간에 모두 잘 볼 수 있도록 LED를 이용하여 점멸하게 하거나, 통상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램프 등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잘 보일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노란색이나 녹색 또는 빨간색과 같이 후방 차량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색상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스위칭 수단(200)은, [도 2]와 같이, 상술한 방향 표시판(100)의 점멸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을 말한다. 이러한 스위칭 수단(200)으로는, [도 2(a)]와 같이 온/오프 작동이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온/오프 스위치는 운전자가 주행할 때 손이 닿는 위치, 예를 들어서, 콘솔 박스나 계기판과 같이 주행 중 손으로 쉽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한다.The switching means 200 refers to means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power required for blinking of the
또한, 상기 스위칭 수단(200)은, [도 2(b)]와 같이,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전원 스위치(201)를 온/오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200')은 무선 방식으로 전원 스위치(201)를 제어하게 하는 것으로, 상술한 고정식인 스위치 방식보다 더 편리하게 방향 표시판(100)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switching means 200 can control th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존 자동차에 장착한 방향 표시등으로 차선 변경을 안내하면서 방향 표시판으로 직진 표시를 나타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초행길과 같이 차로를 잘못 들어선 경우와 같이 차선 변경과 직진해야 할 경우 뒤 차량 운전자에게 차선 변경과 더불어 직진해야 하는 상황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양보받을 수 있어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splay a straight display on a directional signboard while guiding a lane change by a direction indicator mounted on an existing automobile. Therefore, when the lane change and the straight ahead are required This allows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easily know the situation of going straight ahead along with the change of lane, so that the driver can be safely conceded, thereby enabling safe driving.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방향 표시판(10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인 방향 표시판(100')에 관해서만 설명한다.As shown in Fig. 3, the auxiliary signal lamp for automobil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but the structure of the directional display panel 100 '.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Embodiment 1]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direction indicator panel 100 'which is a differenc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실시예 2]는, [도 3]과 같이, 방향 표시판(100')을 전진과 좌회전 그리고 우회전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는, 초행길인 경우와 같이, 운전하다 보면, 가끔 좌회전 차로에서 차선을 변경한 다음 우회전해야 하거나, 반대로 우회전 차로에서 차선을 변경한 다음 좌회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Embodiment 2] As shown in Fig. 3, the direction display panel 1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lect forward, leftward, and rightward rotation. This is because, as in the case of a start road, when driving,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change the lane on the left turn lane and make a right turn, or conversely, change the lane on the right turn lane and then turn left.
이 같은 상황에서 본 고안은 방향 표시판(100')을 좌회전 표시나 우회전 표시를 선택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In this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afe driving by selecting the left turn indicator or the right turn indicator on the direction indicator 100 '.
100, 100' : 방향 표시판
200 : 스위치 수단100, 100 ': direction indicator
200: Switch means
Claims (4)
상기 스위칭 수단(200)은,
자동차에 장착한 배터리나 발전기, 또는 스위치 수단(200)에 탑재한 배터리에서 상기 방향 표시판(100)에 전원을 공급과 차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
A direction display panel 100 mounted on the rear of the automobile and supplied with power and blinking the straight ahead display; And switching means (200) mounted on the driver's seat for causing the directional indicating plate (100) to blink in the direction,
The switching means (200)
Wherein a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and blocked from the direction indicating plate (100) from a battery, a generator, or a battery mounted on the switch means (200) mounted on the vehicle.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뒷유리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
The method of claim 1,
The directional display panel 100 includes:
Auxiliary traffic lights for automobiles that feature mounted on the rear glass.
상기 방향 표시판(100)은,
직진 표시와 함께, 좌회전 그리고 우회전을 구분하여 표시하게 하고 그 중 어느 하나를 점멸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
The method of claim 1,
The directional display panel 100 includes:
And the left turn and the right turn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one of them is blinked.
상기 스위칭 수단(200)은,
전원을 온과 오프하는 스위치, 또는 무선 리모컨으로 온/오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신호등.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witching means (200)
A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r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891U KR20180001126U (en) | 2016-10-13 | 2016-10-13 | Auxiliary traffic light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891U KR20180001126U (en) | 2016-10-13 | 2016-10-13 | Auxiliary traffic light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126U true KR20180001126U (en) | 2018-04-24 |
Family
ID=6207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5891U Ceased KR20180001126U (en) | 2016-10-13 | 2016-10-13 | Auxiliary traffic light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1126U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7913B1 (en) | 2006-05-11 | 2007-04-13 | 주식회사 우전그린 | Multifunction Car Auxiliary Traffic Light |
-
2016
- 2016-10-13 KR KR2020160005891U patent/KR20180001126U/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7913B1 (en) | 2006-05-11 | 2007-04-13 | 주식회사 우전그린 | Multifunction Car Auxiliary Traffic Ligh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517873B (en) | Operate the method and motor vehicles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of autonomous driving motor vehicles | |
US20140266665A1 (en) | Vehicle directional indicator | |
EP3283327B1 (en) | Hazard turn lights | |
JP7465643B2 (en) | Self-driving vehicles | |
KR20180001126U (en) | Auxiliary traffic light for vehicle | |
JP7304253B2 (en) | self-driving vehicle | |
JP7304254B2 (en) | self-driving vehicle | |
KR101105133B1 (en) | Rear Auxiliary Lamp Device for Automobile | |
KR100831345B1 (en) | Vehicle direction indicator | |
JP2004074930A (en) | Vehicle with driving assistance device | |
KR20020008546A (en) | U-turn indicative function for automobile use of turn signal lamp and bark-up lamp | |
KR200273371Y1 (en) |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direction of car | |
KR102584422B1 (en) | Control system for turn signal in case of emergency light operation | |
KR20200068237A (en) | System for controlling turn signals | |
KR200178756Y1 (en) | U-turn signal lamp | |
KR20230076990A (en) | Appratus of indicating right-left turn and u-turn signal for a car | |
KR200387230Y1 (en) | Rear view mirror of automobile | |
KR20230164357A (en) | Turn signal lamp for car | |
JP2025088191A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KR200170783Y1 (en) | U-turn indicator of an automobile | |
KR200222232Y1 (en) | U-turn sign device for vehicle | |
KR20140021872A (en) | The lighting control device of the emergency light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al signal of vehicle | |
KR200215223Y1 (en) | direction turn display apparatus of car | |
CN116572827A (en) | Display device for vehicle | |
KR100454392B1 (en) | Device for indicating concession through written message when changing direction of an automob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01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8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