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1113U -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113U
KR20180001113U KR2020160005899U KR20160005899U KR20180001113U KR 20180001113 U KR20180001113 U KR 20180001113U KR 2020160005899 U KR2020160005899 U KR 2020160005899U KR 20160005899 U KR20160005899 U KR 20160005899U KR 20180001113 U KR20180001113 U KR 201800011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einforcing bar
aluminum foam
cylindrical body
concrete sla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근
강지연
조민주
Original Assignee
서울주택도시공사
(주)아이스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주택도시공사, (주)아이스트테크 filed Critical 서울주택도시공사
Priority to KR2020160005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113U/ko
Publication of KR20180001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13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철근의 배근이 쉽고 알루미늄 폼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철근 고정구를 가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은, 알루미늄 폼의 상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철근 고정구와; 상기 철근 고정구를 알루미늄 폼의 상면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폼에 조립되어 탈형 후 해체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 고정구는 원통형 몸체,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철근 상부걸림판, 철근 상부걸림판의 하방에 철근위치용 유간을 두고 마주하고 말단에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철근인입용 상향경사턱을 갖고 상기 원통형 몸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철근 하부받침판 및 철근 하부받침판을 지지하는 수직보강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Upper rebar fixing unit with arragement of concrete slab}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 철근의 배근이 쉽고 알루미늄 폼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철근 고정구를 가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상부철근이 배근된다. 상부철근은 횡과 종방향으로 배치되면 상호 교차부에서 철선으로 결속되어진다. 이때 일정 높이를 갖기 위해 철근 고임대(또는 스페이서)가 거푸집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철근 고임대는 상부철근의 높이 위치를 잡기 위한 것으로 현장타설콘크리트의 타설시 위치가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철근 고임대를 거푸집에 고정하여야 하고, 철근 고임대의 고정 후에는 거푸집의 탈형시 철근 고임대가 거푸집과 분리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32396호로서, '콘크리트 슬래브용 상부철근 받침대'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와 회동자재하게 결합하는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에 이동 자재하게 결합되는 한조의 지지각을 구비하여, 상부철근을 지지함에 있어 원하는 위치의 하부에 장애물이 설치되어 철근받침대 설치 공간이 확보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지지각의 수평이동이나 하부지지체의 회동에 의해 원하는 지점을 확보하여 철근 받침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상부철근 받침대를 슬래브 거푸집에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상부 철근의 배근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32396호
본 고안은 상부 철근의 배근이 쉽고 알루미늄 폼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철근 고정구를 가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은, 알루미늄 폼의 상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철근 고정구와; 상기 철근 고정구를 알루미늄 폼의 상면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폼에 조립되어 탈형 후 해체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 고정구는 원통형 몸체,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철근 상부걸림판, 철근 상부걸림판의 하방에 철근위치용 유간을 두고 마주하고 말단에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철근인입용 상향경사턱을 갖고 상기 원통형 몸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철근 하부받침판 및 철근 하부받침판을 지지하는 수직보강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근 상부걸림판 및 철근 하부받침판은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마다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철근 고정구의 하면에 일정 깊이의 고정핀 삽입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고정핀 삽입홈의 내면에 선형의 결합돌기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 알루미늄 폼을 원형 절삭시키는 절삭부, 원형 절삭된 부분에 나사구멍을 형성시키는 나사절삭부,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원형 스톱퍼 및 상기 고정핀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돌기에 강제 끼움되는 철근고정구 결합용 다각부를 갖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철근 고정구의 하면에 일정 깊이의 나사홈이 형성된 경우, 중앙에 나사구멍을 갖고 고정볼트로 상기 알루미늄 폼의 밑면에 고정된 받침너트와; 상기 받침너트의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철근 고정구의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회전 조작을 위한 다각부를 갖는 다각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에 따르면, 철근 상부걸림판과 철근인입용 상향경사턱을 갖는 철근 하부받침판이 구비된 철근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부 철근의 배근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장타설콘크리트의 타설 후 철근 고정구에 결합된 고정핀 또는 다각볼트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어 알루미늄 폼의 탈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형태에 적용되는 철근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에 따른 상부 철근의 지지상태도.
도 3a는 도 1의 철근고정구가 알루미늄 폼에 고정핀에 의해 가고정된 상태도.
도 3b는 도 3a에서 알루미늄 폼을 탈형시킨 상태도.
도 3c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근 고정구의 가고정상태도.
도 4b는 도 4a에서 알루미늄 폼을 탈형시킨 상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정구의 변형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은 도 1 내지 도 3a와 같이 알루미늄 폼(12)의 상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상부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14)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철근 고정구(20)와, 철근 고정구(20)를 알루미늄 폼(12)의 상면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폼(12)에 조립되어 탈형 후 해체 가능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일 형태에 따른 철근 고정구(20)는 도 1 및 도 3a와 같이 원통형 몸체(21), 원통형 몸체(21)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철근 상부걸림판(22), 철근 상부걸림판(22)의 하방에 철근위치용 유간(G)을 두고 마주하고 말단에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철근인입용 상향경사턱(23a)을 갖고 상기 원통형 몸체(21)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철근 하부받침판(23) 및 철근 하부받침판(23)을 지지하는 수직보강리브(24)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 몸체(21)의 높이는 철근 고정구(20)가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슬래브(10)의 높이보다 작게 구성된다. 철근 상부걸림판(22)의 돌출 길이는 상부 철근(14)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철근(14)은 철근 상부걸림판(22)과 철근 하부받침판(23)의 사이의 유간(G)에 배치되면 상향 이동할 수 없도록 수직 이동이 제한된다. 철근 하부받침판(23)은 철근 상부걸림판(22)보다 더 길게 원통형 몸체(21)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철근(14)은 철근 상부걸림판(22)의 상면에 용이하게 지지되어 수평 높이의 위치가 결정된다. 철근인입용 상향경사턱(23a)은 그 절곡 시점이 철근 상부걸림판(22)의 단부보다 적어도 멀리 있는 위치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철근(14)은 철근인입용 상향경사턱(23a)에 의해 유간(G)으로의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 유간(G)에 인입되어지면 상향경사턱(23a)에 수평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수직보강리브(24)는 상부 철근(14)으로부터 철근 하부받침판(23)에 가해지는 하중에 저항하여 철근 하부받침판(23)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의 역할을 한다.
철근 고정구(20)의 변형예로서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철근 상부걸림판(22) 및 철근 하부받침판(23)을 원통형 몸체(21)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마다 배열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철근 고정구(20)에는 도 5b와 같이 원통형 몸체(2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여 한 쌍의 상부 철근(14)(14)을 배근할 수 있다.
한편, 고정수단은 2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제1고정수단은 철근 고정구(20)의 하면에 도 3a 및 도 3c와 같이 일정 깊이의 고정핀 삽입홈(21a)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고정핀 삽입홈(21a)의 내면에 선형의 결합돌기(21b)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로서 고정핀(30)이 된다. 고정핀(30)은 알루미늄 폼(12)을 절삭시켜 원형 구멍을 형성시키는 절삭부(31), 원형 구멍에 나사구멍(121)을 형성시키는 나사절삭부(32),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원형 스톱퍼(33) 및 상기 고정핀 삽입홈(21a)에 삽입되어 결합돌기(21b)에 강제 끼움되는 철근고정구 결합용 다각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핀(30)을 전동공구(미도시)를 이용해 도 3a와 같이 알루미늄 폼(12)에 나사 절삭하여 체결 조립한 후 고정핀 삽입홈(21a)을 이용해 철근 고정구(20)를 강제로 고정핀(30)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21b)가 철근고정구 결합용 다각부(34)에 강제적으로 밀착되게 결합되어 고정핀(30)과 철근 고정구(20)간의 가고정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시공시 현장타설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도 3b와 같이 알루미늄 폼(12)을 떼어내게 되면, 고정핀(30)이 철근 고정구(20)에서 이탈되면서 알루미늄 폼(12)과 일체로 해체된다. 이후 고정핀(30)은 알루미늄 폼(12)에서 나사 풀림이 이루어져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제 2고정수단은 도 4a와 같이 철근 고정구(20)의 하면에 일정 깊이의 나사홈(21c)이 형성된 경우로서, 받침너트(130)와 다각볼트(131)가 될 수 있다.
받침너트(130)는 중앙에 나사구멍(130a)을 갖고 고정볼트(B)로 알루미늄 폼(12)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다. 다각볼트(131)는 받침너트(130)의 나사구멍(130a)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알루미늄 폼(12)의 홀(12a)을 삽통하여 철근 고정구(20)의 나사홈(21c)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131a)와, 회전 조작을 위한 다각부(131b)를 갖는다. 따라서 다각볼트(131)를 받침너트(130)에 나사 체결한 후 철근 고정구(20)의 나사홈(21c)에 나사 체결하여 철근 고정구(20)를 알루미늄 폼(12)에 가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시공시 현장타설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도 4b와 같이 다각볼트(131)를 철근 고정구(20)에서 풀림 이탈시키면 알루미늄 폼(12)의 탈형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철근 고정구(20)를 이용하여 상부 철근(14)의 배근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현장타설콘크리트의 타설 후 철근 고정구(20)를 임시적으로 고정하고 있는 고정핀(30) 또는 다각볼트(131)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져 알루미늄 폼(12)의 탈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 철근 고정구
21: 원통형 몸체
22: 철근 상부걸림판
23: 철근 하부받침판
24: 수직보강리브
30: 고정핀
31: 원형 절삭부
32: 나사절삭부
33: 원형 스톱퍼
34: 철근 고정구 결합용 다각부
130: 받침너트
131: 다각볼트

Claims (4)

  1. 알루미늄 폼(12)의 상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상부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14)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철근 고정구(20)와;
    상기 철근 고정구(20)를 알루미늄 폼(12)의 상면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폼(12)에 조립되어 탈형 후 해체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 고정구(20)는 원통형 몸체(21), 원통형 몸체(21)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철근 상부걸림판(22), 철근 상부걸림판(22)의 하방에 철근위치용 유간(G)을 두고 마주하고 말단에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철근인입용 상향경사턱(23a)을 갖고 상기 원통형 몸체(21)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철근 하부받침판(23) 및 철근 하부받침판(23)을 지지하는 수직보강리브(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상부걸림판(22) 및 철근 하부받침판(23)은 원통형 몸체(21)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마다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철근 고정구(20)의 하면에 일정 깊이의 고정핀 삽입홈(21a)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고정핀 삽입홈(21a)의 내면에 선형의 결합돌기(21b)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 알루미늄 폼(12)을 원형 절삭시키는 절삭부(31), 원형 절삭된 부분에 나사구멍(121)을 형성시키는 나사절삭부(32),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원형 스톱퍼(33) 및 상기 고정핀 삽입홈(21a)에 삽입되어 결합돌기(21b)에 강제 끼움되는 철근고정구 결합용 다각부(34)를 갖는 고정핀(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철근 고정구(20)의 하면에 일정 깊이의 나사홈(21c)이 형성된 경우, 중앙에 나사구멍(130a)을 갖고 고정볼트(B)로 상기 알루미늄 폼(12)의 밑면에 고정된 받침너트(130)와; 상기 받침너트(130)의 나사구멍(130a)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철근 고정구(20)의 나사홈(21c)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131a)와, 회전 조작을 위한 다각부(131b)를 갖는 다각볼트(1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KR2020160005899U 2016-10-13 2016-10-13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Ceased KR201800011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99U KR20180001113U (ko) 2016-10-13 2016-10-13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99U KR20180001113U (ko) 2016-10-13 2016-10-13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13U true KR20180001113U (ko) 2018-04-23

Family

ID=6207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899U Ceased KR20180001113U (ko) 2016-10-13 2016-10-13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11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50U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탐진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CN116180986A (zh) * 2023-02-24 2023-05-30 陕西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装的钢筋支撑装置
KR20240009052A (ko) * 2022-07-13 2024-01-22 김영식 철근 지지대
KR20240009053A (ko) * 2022-07-13 2024-01-22 김영식 2단 철근 지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835A (ja) * 1993-08-05 1995-04-11 Shimizu Corp 配筋用スペーサーブロック及び配筋方法
KR200232396Y1 (ko) 2001-01-29 2001-11-1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슬래브용 상부철근 받침대
JP3966772B2 (ja) * 2002-06-24 2007-08-29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耐火構造物用貫通孔形成具
KR20140048487A (ko) * 2012-10-15 2014-04-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835A (ja) * 1993-08-05 1995-04-11 Shimizu Corp 配筋用スペーサーブロック及び配筋方法
KR200232396Y1 (ko) 2001-01-29 2001-11-1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슬래브용 상부철근 받침대
JP3966772B2 (ja) * 2002-06-24 2007-08-29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耐火構造物用貫通孔形成具
KR20140048487A (ko) * 2012-10-15 2014-04-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50U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탐진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KR20240009052A (ko) * 2022-07-13 2024-01-22 김영식 철근 지지대
KR20240009053A (ko) * 2022-07-13 2024-01-22 김영식 2단 철근 지지대
CN116180986A (zh) * 2023-02-24 2023-05-30 陕西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装的钢筋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113U (ko)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090088107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123733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262852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JP2015535315A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JP2008274713A (ja) アンカーボルトの保持具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JP6632290B2 (ja) 鋼製柱の脚部構造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KR20120128455A (ko) 알루미늄폼용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10009362U (ko)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셔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JP3941831B1 (ja) 断熱基礎
KR20160069296A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JP4058702B1 (ja) 断熱基礎
KR101381660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170036438A (ko) 콘크리트 매립형 인서트
KR101791041B1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0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605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