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35753A - 여행용 가방 - Google Patents

여행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753A
KR20170135753A KR1020170067026A KR20170067026A KR20170135753A KR 20170135753 A KR20170135753 A KR 20170135753A KR 1020170067026 A KR1020170067026 A KR 1020170067026A KR 20170067026 A KR20170067026 A KR 20170067026A KR 20170135753 A KR20170135753 A KR 20170135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astening
main body
groove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일앤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일앤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일앤윌
Publication of KR2017013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75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3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은, 내측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 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 전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바퀴 체결부; 및 전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체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행용 가방{TRAVELING BAG}
본 발명은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bag)이란 물건을 넣어 들고 다니기에 편하도록 만들어진 기구를 총칭한다. 이러한 가방은 형태나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가장 보편적 분류기준인 용도에 따르면 핸드백(hand bag), 숄더백(shoulder bag), 보스턴백(Boston bag), 슈트케이스(suitcase), 브리프케이스(briefcase), 트렁크(trunk), 룩색(rucksack), 아타셰케이스(attache case), 가제트백(gazette bag), 화장케이스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재질에 따라서는 천, 가죽, 합성피혁, 합성수지 등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최근들어 가방의 사용빈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용도로 사용 가능한, 이른바 다목적 가방이 소개되기도 하였고, 외형적 디자인이 제품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위의 기준으로는 명확하게 분류되기 어려운 가방 또한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또한, 트렁크란 외부의 충격에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골격구조의 프레임(frame)에 외피를 입혀 여행에 주로 사용되는 가방을 지칭하지만, 최근 들어 중·장기 여행이 많아지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고, 모양 및 재질에 있어서 점차 현대화 및 다양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46230호(발명의 명칭: 여행용 가방)에서는, 전후면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 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여행용 가방으로서, 네 개의 측면 각각을 위한 평면을 제공하고, 각각의 양 가장자리가 이웃한 두 개의 일 가장자리에 근접 배치된 네 개의 측면프레임; 네 개의 측면프레임 중 이웃한 두 측면프레임의 근접 배치된 두 가장자리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네 개의 연결수단; 네 개의 측면프레임 외면을 덮어 전후면 및 네 개의 측면을 이루는 외피를 포함하되, 이웃한 두측면프레임의 근접 배치된 두 가장자리에는 각각 끼움단이 구비되고, 연결수단은, 이웃한 두 측면프레임의 두 가장자리 끼움단에 각각 끼워지는 끼움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단을 포함하며, 끼움구 또는 끼움단 중 하나는 전후면 방향을 향하는 홀이고, 나머지 하나는 전후면 방향을 향하는 돌기인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여행용 가방은, 가족 또는 많은 인원이 함께 여행을 갈 경우, 여러 개의 여행용 가방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카트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탈형 바퀴부를 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여,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여행용 가방을 운반할 경우, 복수의 여행용 가방을 적층하고, 최하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의 전면 또는 후면에 착탈형 바퀴부를 부착하여, 별도의 카트없이 운반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은, 내측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 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 전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바퀴 체결부; 및 전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체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체부의 하면에 결합된 착탈형 바퀴부를 분리하여, 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여,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여행용 가방을 운반할 경우, 복수의 여행용 가방을 적층하고, 최하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의 전면 또는 후면에 착탈형 바퀴부를 부착하여, 별도의 카트없이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 바퀴를 탈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 바퀴가 부착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여행용 가방(1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에 바퀴부(400)를 탈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에 바퀴부(400)가 부착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2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21)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체결부(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에 대해 설명한다.
여행용 가방(10)은 본체부(100), 손잡이부(200), 본체부(100)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체결부(300), 및 복수의 바퀴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내측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110), 후면(120), 상면(130), 하면(140), 좌측면(150), 및 우측면(160)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직육면체’라 함은 6개의 면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기둥형상의 육면체를 말한다.
상세하게는,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세워진 상태를 전제로, 전면(110), 후면(120), 및 네개의 측면을 가지며, 측면은 상면(130), 하면(140), 좌측면(150), 우측면(160)을 가진다. 또한, 본체부(100)의 상면(1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200)가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잡아 여행용 가방(10)을 운반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부(200)는 그립 손잡이(220) 및 본체부(100)의 상면(130)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한 카트형 손잡이(2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전면(110)이란 도 1의 8시 방향 및 도 2의 6시 방향에 위치한 면이고, 후면(120)이란 도 1의 2시 방향 및 도 2의 12시 방향에 위치한 면이며, 상면(130)은 도 1의 12시 방향 및 도 2의 2시 방향에 위치한 면이고, 하면(140)은 도 1의 6시 방향 및 도 2의 8시방향에 위치한 면이며, 좌측면(150)은 도 1의 10시 방향 및 도 2의 10시 방향에 위치한 면이고, 우측면(160)은 도 1의 4시 방향 및 도 2의 4시 방향에 위치한 면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여행용 가방(10)은 본체부(100)의 하면(140) 및 전면(110) 각각에 바퀴부(400)가 장착되는 복수의 바퀴 체결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바퀴 체결부(300)는 바퀴부(400)가 지면과 수직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바퀴 체결부(300)는 본체부(100)의 하면(140) 꼭짓점과 인접한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하면 바퀴 체결부(301) 및 본체부(100)의 전면(110) 꼭짓점과 인접한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전면 바퀴 체결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평상시 여행용 가방(10)을 사용할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하면(140)에 위치하는 하면 바퀴 체결부(301)에 바퀴부(400)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복수의 여행용 가방(10)을 적층할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전면(110)에 위치하는 전면 바퀴 체결부(302)에 바퀴부(4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부(400) 및 바퀴 체결부(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바퀴부(400)는 바퀴(410) 및 바퀴(410)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체결 고정홈(421)이 형성된 바퀴 지지부(420)를 포함하고, 바퀴 체결부(300)는 체결 고정홈(4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퀴부(400)는 체결 고정홈(421)에 바퀴 체결부(300)가 삽입됨에 따라 바퀴 체결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퀴 지지부(420)는 체결홈(422)의 둘레부에 위치하고, 천공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422)을 더 포함하고, 바퀴 체결부(300)는 체결홈(422)에 삽입되고, 탄성지지되도록 형성된 고정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부(310)는 바퀴 지지부(420)가 바퀴 체결부(300)에 삽입될 경우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퀴 체결부(300)가 삽입됨에 따라 고정부(310)가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바퀴부(400)를 바퀴 체결부(300)에 원활히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바퀴부(400)를 분리할 경우, 고정부(310)를 바퀴 체결부(300)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한 후, 고정부(310)를 바퀴 체결부(3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바퀴부(40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퀴 체결부(300)는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행용 가방(10)을 적층할 경우, 바퀴 체결부(300)는 하부에 위치하는 여행용 가방(10)의 후면(120)에 접촉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여행용 가방(10)을 적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하면, 바퀴부(400)가 바퀴 체결부(300)에 체결된 경우, 고정부(3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이나 오작동에 의해 바퀴부(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를 참조하면, 바퀴 체결부(300)는, 바퀴를 분리할 경우, 본체부(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고정부(310)를 가압하여, 바퀴를 바퀴 체결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퀴 체결부(300)가 본체부(1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지지되어, 사용자가 바퀴를 외부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바퀴 체결부(300)가 본체부(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바퀴 체결부(300)는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을 누를 경우 바퀴 체결부(300)가 본체부(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바퀴부(400)를 바퀴 체결부(300)에 원활히 삽입할 수 있도록, 바퀴 체결부(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320)이 형성되고, 바퀴 지지부(42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홈(3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가이드 홈(320)에 삽입되는 가이드 삽입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퀴부(400)를 바퀴 체결부(300)에 삽입할 경우, 바퀴부(400)의 가이드 삽입부(423)를 바퀴 체결부(300)의 가이드 홈(320)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바퀴부(400)를 바퀴 체결부(30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부(400)를 바퀴 체결부(300)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체부(100)의 전면(110) 및 후면(120)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121) 및 함몰부(11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돌출부(121)는 본체부(100)의 후면(120)에 위치하고, 본체부(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함몰부(111)는 본체부(100)의 전면(110)에 돌출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체부(10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행용 가방(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적층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최하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10)은 전면 바퀴 체결부(302)에 바퀴부(400)가 삽입되어, 바퀴부(400)가 체결된 전면(110)이 지면을 향하도록 눕힌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최하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1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용 가방(10)이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최하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10)은 후면(120)에 형성된 돌출부(121)가 최하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10)의 상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10)의 전면(110)에 형성된 함몰부(111)에 삽입되어, 최하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10)의 상부에 위치한 여행용 가방(10)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여행용 가방(10)을 별도의 카트를 이용하지 않고,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21) 및 함몰부(11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돌출부(121)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121)는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작되어, 함몰부(111)에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돌출부(121)는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걸림부(112)는 돌출부(121)의 둘레부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12)는, 돌출부(121)가 함몰부(111)에 삽입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바깥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함몰부(111)는 걸림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를 참조하면, 원기둥, 다각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함몰부(111)는 돌출부(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면(130)으로부터 상방으로부터 상부으로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한 카트형 손잡이(210) 및 본체부(100)의 상면(1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된 그립 손잡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카트형 손잡이(210)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카트형 손잡이(210)의 양단부에 후술되는 와이어 체결부(50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여행용 가방(10)을 이동할 경우, 본체부(100)의 하면(140)에 위치한 하면 바퀴 체결부(301)에 바퀴부(400)를 결합하고, 카트형 손잡이(210)를 상부로 인출하여, 카트형 손잡이(210)를 잡고 여행용 가방(10)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여행용 가방(10)을 이동할 경우, 최하측에 위치하는 여행용 가방(10)의 와이어 체결부(5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여행용 가방(10)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여행용 가방(10)은 본체부(100)의 상면(13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와이어 체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며, 와이어 체결부(5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귄취되고,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510) 및 와이어(510)의 단부에 위치하고, 그립 손잡이(220)의 단부에 착탈되는 와이어 체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립 손잡이(220)는 양단부에 와이어 체결부(500)가 삽입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홈(2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여행용 가방(10)을 적층하고, 그립 손잡이(220)를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한 후, 와이어(510)를 본체부(100)로부터 인출하여, 그립 손잡이(220)의 양단부에 위치한 와이어 고정홈(221)에 와이어 고정부(520)를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여행용 가방(10)은 와이어 고정부(520)를 서로 연결하고, 와이어 고정부(520)가 연결된 부분에 그립 손잡이(22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층된 복수의 여행용 가방(10)을 그립 손잡이(220) 및 와이어 체결부(500)를 통해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여행용 가방
100 : 본체부
110 : 전면 111 : 함몰부
112 : 걸림부
120 : 후면 121 : 돌출부
122 : 걸림홈
130 : 상면
140 : 하면 150 : 좌측면
160 : 우측면
200 : 손잡이부
210 : 카트형 손잡이
220 : 그립 손잡이 221 : 와이어 고정홈
300 : 바퀴 체결부
301 : 하면 바퀴 체결부 302 : 전면 바퀴 체결부
310 : 고정부 320 : 가이드 홈
400 : 바퀴부
410 : 바퀴 420 : 바퀴 지지부
421 : 체결 고정홈 422 : 체결홈
423 : 가이드 삽입부
500 : 와이어 체결부
510 : 와이어 520 : 와이어 고정부

Claims (10)

  1. 여행용 가방에 있어서,
    내측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
    상기 전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바퀴 체결부; 및
    상기 전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체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인 여행용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바퀴 및 상기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체결 고정홈이 형성된 바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 체결부는 상기 체결 고정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여행용 가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지지부는
    상기 체결 고정홈의 둘레부에 위치하고, 천공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퀴 체결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탄성지지되도록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여행용 가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체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인 여행용 가방.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지지된 것인 여행용 가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인 여행용 가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인 여행용 가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둘레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둘레부에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인 여행용 가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한 카트형 손잡이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된 그립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인 여행용 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와이어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권취되고,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그립 손잡이의 단부에 착탈되는 와이어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여행용 가방.
KR1020170067026A 2016-05-30 2017-05-30 여행용 가방 Ceased KR201701357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6562 2016-05-30
KR1020160066562 2016-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753A true KR20170135753A (ko) 2017-12-08

Family

ID=6092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026A Ceased KR20170135753A (ko) 2016-05-30 2017-05-30 여행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7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717B1 (ko) 2019-12-26 2020-07-30 허명구 조립식 여행용 가방
US20230354976A1 (en) * 2020-08-17 2023-11-09 Harald Simon Michaelis Luggage system and apparatus
US20240016270A1 (en) * 2022-07-13 2024-01-18 Stephen Davis Luggage with replaceable whee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717B1 (ko) 2019-12-26 2020-07-30 허명구 조립식 여행용 가방
US20230354976A1 (en) * 2020-08-17 2023-11-09 Harald Simon Michaelis Luggage system and apparatus
US20240016270A1 (en) * 2022-07-13 2024-01-18 Stephen Davis Luggage with replaceable whe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12545U (zh) 行李物品
US20050034947A1 (en) Collapsible duffle bag
US9486046B2 (en) Integrated polycarbonate case
JP5513533B2 (ja) 旅行かばん拡張システム
US5407038A (en) Luggage case
US3410376A (en) Carrying bag
US20200352299A1 (en) Base Reinforcement and Handle for Luggage
KR20170135753A (ko) 여행용 가방
KR20200130411A (ko) 확장 가능한 수화물 어셈블리
KR20130069276A (ko) 여행 가방
CN210076794U (zh) 模块化行李箱物品
US20100051048A1 (en) Cosmetic box assembly with individual box
US10376029B2 (en) Luggage
US20180192755A1 (en) Luggage Containing Handle Assembly in a Cover
KR101606146B1 (ko) 적층 및 분리가능한 박스구조를 가진 수하물 캐리어
KR200469872Y1 (ko) 접이식 칸막이가 마련된 여행용 가방
US20220087383A1 (en) Expandable trolley suitcase
KR102048731B1 (ko) 모듈형 여행 가방
KR101177115B1 (ko) 분리형 골프백
JP2017012296A (ja)
JP3173906U (ja) スーツケース
TWM562839U (zh) 整理箱之結構改良(一)
EP3488727B1 (en) Suitcase with a detachable portion
KR20090007297U (ko) 휴대용 가방
KR101506710B1 (ko) 커버가 교체 가능한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