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31094A -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094A
KR20170131094A KR1020160062301A KR20160062301A KR20170131094A KR 20170131094 A KR20170131094 A KR 20170131094A KR 1020160062301 A KR1020160062301 A KR 1020160062301A KR 20160062301 A KR20160062301 A KR 20160062301A KR 20170131094 A KR20170131094 A KR 2017013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snowfall
weather
rainfall
trave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기순
김재헌
Original Assignee
길기순
김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기순, 김재헌 filed Critical 길기순
Priority to KR102016006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1094A/ko
Publication of KR2017013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094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는, 기설정된 이동통신망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GPS 신호를 이용해 현 위치를 감지하는 GPS 모듈; 가속도, 온도, 습도, 레이저 수신량,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상태를 감지하는 멀티 센서 모듈; 및 상기 온도, 습도,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가시거리 및 상기 가속도를 고려하여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주행 기상정보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Apparatus for Multi-Sensing Drive Weather and System for providing Drive Weather Information}
본 발명은 기상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이동형 기상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해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상정보 시스템은 전국 주요 지점에 설치된 기상 수집 장치에서 각기 수집된 기상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 같이, 종래의 기상정보는 정적 기상정보를 이용하므로, 급변하는 도로 상황을 고려한 실시간 기상정보를 제공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와 기상 이변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여 그에 대해 대비가 필요하다..
일 예로서, 2010년에서 2011년에는 서울 광화문과 강남 지역에 집중 호우가 내려 그 지역이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한 바 있으며, 2015년에는 강남구에 집중호우가 내릴 때 강북지역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국지성 기상 이변이 발생한 바 있다.
타 예로서, 2016년 1월에는 서해안 고속도로의 광천 IC 인근에서 예고 없이 발생한 짙은 안개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10 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교통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타 예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고자, 종래에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안개 밀도 데이터를 분석하는 안개 감지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CCTV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의 안개 탐지만이 가능했을 뿐더러, 그에 의해 탐지된 안개 밀도의 정확도도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 같이, 종래의 기상정보 시스템은 국지성 기상 이변에 대비할 정도로 섬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02171호(등록일자 2016년 3월 4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된 멀티 센서에 의해 수집된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는, 기설정된 이동통신망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GPS 신호를 이용해 현 위치를 감지하는 GPS 모듈; 가속도, 온도, 습도, 레이저 수신량,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상태를 감지하는 멀티 센서 모듈; 및 상기 온도, 습도,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가시거리 및 상기 가속도를 고려하여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주행 기상정보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은, 차량에 각기 장착되어, 가속도,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상태를 각기 감지하고, 상기 온도, 습도,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가시거리 및 상기 가속도를 고려하여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기설정된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로부터 각기 수신된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지역별로 종합하여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기상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주행 기상정보 서버는, 차량에 각기 설치된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로부터 각 멀티 센싱 장치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각각을 상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지역별로 종합하여 각 센싱값의 지역별 종합치를 산출하는 종합부; 및 상기 각 센싱값의 지역별 종합치를 이용하여 안개, 폭설 또는 폭우, 결빙 중 적어도 하나를 경보하는 기상 공지사항을 포함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주행 기상 멀티 센싱 방법은, 가속도, 온도, 습도, 레이저 수신량,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온도, 습도,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가시거리 및 상기 가속도를 고려하여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도로 기상정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별 편차를 고려하여 주행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 안내 장치의 주행 기상 안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 센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의 설치 예.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의 외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정보 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 안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안내 장치의 주행 기상 안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시스템(10)은 복수의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_1~N), 제1 기지국(100),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 제2 기지국(200) 및 적어도 하나의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를 포함한다.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도로로 주행하는 복수의 차량에 부착되어, 그에 포함된 멀티 센서에 의해 차량 속도를 고려한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포함하는 센싱값을 감지한다.
여기서, 차량은 버스(광역 버스, 고속버스, 시외버스), 한국도로공사 관제 차량 및 순찰차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차량을 운행할 필요 없이, 대중교통이나, 정부기관의 차량을 이용하여 주행 기상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주기적으로 감지된 센싱값을 포함하는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1 기지국(100)을 통해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에 송신한다.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의 구체 구성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기지국(100)은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와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때, 제1 기지국(100)은 3G, LTE, WiFi 등의 제1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는 복수의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_1~N)로부터 각기 주행 기상상태정보(온도, 습도, 강우/강설량 및 가시거리)를 수신하고, 유사 또는 동일한 위치별로 종합(예컨대, 평균)하여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는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종합하고, 지역별 종합치로부터 각 종합치가 차량 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기준치 이상인 지역을 선별한다. 그리고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는 선별된 지역의 위치정보와 기상 공지사항을 포함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상 공지사항은 안개(가시거리) 주의, 폭우 또는 폭설 주의, 결빙 주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의 구체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 기지국(200)은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와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때, 제2 기지국(200)은 제1 기지국(100)과 다른 제2 이동통신망 예컨대, DMB 망을 이용해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의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로의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 또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 중에서 차량의 현 위치에 대응하는 주행 기상정보에 대한 기상 공지사항을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후자의 경우,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는 제2 기지국(200)의 위치별로 구분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는 전용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용 애플리케이션(예컨대, 티맵(T map), 올레 네비 및 한국도로공사)이 설치된 모바일 내비게이션 또는 주행 기상정보를 안내하는 다른 단말일 수 있다.
이에,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는 도 2a 내지 2c와 같이,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를 안내할 때 소정거리 전방의 안개, 폭우 또는 폭설 및 결빙 주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의 구체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가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와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에 대해 각기 다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통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는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와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와 동일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기지국(200)은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의 위치에 따라 제1 기지국(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기존 시스템 설비에 설치될 수도 있다(이하, '고정형 센싱 장치'라고 함). 이때, 기존 시스템설비는 1km ~ 2km 설치되는 CCTV(지주: Poll)와 같은 시스템설비나 100m 간격으로 설치되는 도로가로등 시설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는 차량에 설치된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가시거리,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의 오차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는 강우/강설량 감지 기능을 구비하고, 그에 의해 감지된 강우/강설량과 차량의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에 의해 감지된 강우/강설량을 비교하여 차량 속도에 대응하는 보정된 강우/강설량을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는 차량에 설치된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와 협업하여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검증 또는 가공하여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고정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각 센싱값의 평균치에서 지나치게 차이가 있는 오차 가능성이 큰 센싱값을 제외시킨 후 그외 센싱값의 평균치를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행 기상상태정보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는 차량에 설치된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에 의해 정보 수집이 어려운 시간에 대해서는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에 의해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RWIS/WIS(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 / Weather Information System) 등과 같은 기상청 기관업무특성(광역 및 지역적 기상정보의 수집과 예측)에 적합한 기상정보체계와 다르게 도로주행에 실질적인 정보 즉, 안개농도/강우/강설/노면습도 등을 운전자 안전 측면에서 훨씬 빠른 주기로 1km 단위 수준의 도로 구역에 대한 기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 유지관리 차량이나 대중교통 등에 도로의 실시간 주행 기상상태를 수집하고, 이를 가공한 주행 기상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 구간의 기상 상태를 예측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 센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의 설치 예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멀티 센서 모듈(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통신 모듈(350), GPS 모듈(340)을 포함한다.
멀티 센서 모듈(310)은 가속도 센서(311), 온습도 센서(312), 안개 센서(313) 및 강우/강설 센서(314)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311)는 제어부(320)의 지시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도 3d의 빨간색 화살표)으로 가속도나 속도를 감지하여 가속도 데이터 또는 가속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온습도 센서(312)는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온습도 데이터 또는 온습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온습도 센서(312)는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의 하우징 측면 일 역에 구비된 외기 주입구(도 2d의 312_1)를 통해서 인입된 공기의 온/습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개 센서(313)는 각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레이저 송신부(313_1)와 레이저 수신부(313_2)에 의해 레이저를 송수신하여 수신된 레이저 산란 정도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안개 센서(313)에 의해 가시거리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강우/강설 센서(314)는 디지털 방식의 센서로서, 그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로 들어오는 비나 눈을 수집하고, 케이스 본체 아래에 위치한 스푼에 눈이나 빗물이 고이면 무게 중심추가 이동하면서 강우/강설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강우/강설 센서(314)는 측정된 강우/강설량에 대응하는 강우/강설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강우/강설 센서(314)는 일정량 이상의 빗물이나 눈이 고이면, 빗물이나 눈을 자동으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이전의 측정치를 고려하여 강우/강설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정량 이상의 빗물이나 눈이 고이면, 빗물이나 눈을 자동으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이전의 측정치를 고려하여 강우/강설량을 측정하는 디지털 방식의 강우/강설 센서(314)를 사용하여 무인 운영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d와 같이, 강우/강설 센서(314)는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의 하우징 상단에 구비된 강우/강설을 인입하는 제1홀 또는 홈과 연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가속도 센서(311), 온습도 센서(312), 안개 센서(313) 및 강우/강설 센서(314)의 동작을 지시하여 가속도, 온습도, 수신광 및 강우/강설 데이터를 각기 전달받는다. 이때, 가속도 센서(311), 온습도 센서(312), 안개 센서(313) 및 강우/강설 센서(314)는 제어부(320)의 지시가 없어도 전원 인가시에 주기적으로 가속도, 온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강설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각기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320)는 가속도, 온습도, 수신광 및 강우/강설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기반으로 현 위치의 차량 속도, 진동 발생 여부, 온습도, 가시거리 및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강우/강설량을 각기 산출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320)에 의한 차량 속도, 진동 발생 여부, 가시거리 및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강우/강설량 산출 과정에 대하여 각기 설명한다.
차량 속도 및 진동 발생 확인
제어부(320)는 차량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가속도를 기반으로 차량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속도는 강우/강설량의 보정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가속도 센서(311)로부터 가속도 센서(311)의 x, y, z 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설정된 임계 크기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320)는 차량에 임계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함을 감지하면, 강우/강설 센서(314)를 리셋시킨다.
여기서, 임계 크기는 강우/강설 센서(314)의 강우/강설량의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크기의 진동으로서, 실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가시거리 산출
도 3b를 참조하면, 안개 센서(313)는 기설정된 거리(d, 예컨대, 50cm)만큼 상호 이격된 레이저 송신부(313_1)와 레이저 수신부(313_2)를 포함한다.
레이저 송신부(313_1)는 제어부(320)의 지시에 따라 기설정된 일정량의 레이저를 송신하고, 레이저 수신부(313_2)는 레이저 송신부(313_1)로부터 송신되어 공기를 거쳐 수신된 광량에 대응하는 수신광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그런데 레이저 송신부(313_1)는 항상 일정량의 레이저를 송신하므로 안개 및 먼지가 많지 않을 경우에는 레이저 수신부(313_2)는 항상 일정량의 광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는 안개나 먼지 등의 성분에 의해 산란 되는 특징이 있어, 레이저 송신부(313_1)와 레이저 수신부(313_2) 사이의 공간의 공기 중에 안개나 먼지가 있으면, 그 정도에 따라 레이저 수신부(313_2)에 수신되는 광량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수신부(313_2)는 공기 중의 안개나 먼지 양이 많을수록 더 적은 광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안개나 먼지와 같은 성분에 의해서 산란이 발생하는 레이저의 단점을 이용하여 가시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송신부(313_1)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일 수 있으며, 레이저 수신부(313_2)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0)는 수신광 데이터 또는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또는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산출된 차를 이용하여 안개 및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안개 및 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가시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치는 안개와 미세 먼지가 각기 기설정된 기준 이하이어서 가시거리가 안정적으로 확보되는 상태에서의 레이저 수신량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방법으로 가시거리를 측정하여 고급형 시정계와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확인한 경과, 그 오차는 10% 이내로 가격대비 성능이 매우 우수하였다.
강우/강설량 산출 과정
제어부(320)는 강우/강설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가속도 센서(311)에 의해 확인된 주행속도에 반영하여 강우/강설량을 보정(Calibration)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확한 강우/강설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일정시간 동안의 차량의 이동거리는 길어져 측정된 강우/강설량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20)는 주행속도 0km/h일 때는 측정된 강우/강설량을 보정하지 않고,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측정된 강우/강설량을 감소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주행속도에 대비한 강우/강설량의 보정 정도는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제어부(320)가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와 협업하는 경우, 제어부(320) 또는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는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강우/강설량과 차량의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에 의해 감지된 강우/강설량을 비교하여 차량 속도에 대응하는 보정된 강우/강설량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20)는 온습도 센서(312)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강우/강설 데이터가 강우량인지 아니면, 강수량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현재 온도가 0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신된 강우/강설량 데이터가 강우량에 관한 것으로 확인하고, 0도 이하일 경우, 수신된 강우/강설량 데이터가 강설량에 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기설정된 임계 크기 이상의 진동을 확인하면, 강우/강설 센서(314)의 강우/강설량 측정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강우/강설 센서(314)를 리셋시킨다. 그러면, 강우/강설 센서(314)는 수집된 강우 또는 강설을 배출한 후 다시 수집하여 강우/강설량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320)는 차량 진동으로 인한 영향을 고려하여 강우/강설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강우/강설 센서(314)에 의해 산출된 강우/강설량의 오차는 강우 또는 강설량이 30mm/hr이하일 때 ±1%에서 ±5%로 가격 대비 매우 정확도가 높았다.
한편, 제어부(320)는 각기 확인된 온도, 습도, 가시거리,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과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통신 모듈(350)을 통해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온도, 습도, 가시거리는 항상 포함하고, 강우량 또는 강설량은 강우 또는 강설량이 변화할 경우에만 포함하는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GPS 모듈(340)은 GPS 좌표로부터 차량의 현위치를 확인한다. 도 2d와 같이, GPS 모듈(340)은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의 내부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통신 모듈(350)은 기설정된 제1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와 통신한다. 통신 모듈(350)은 제어부(320)로부터의 현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도 3c와 같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버스 등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멀티 센서 모듈(310)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요소만이 차량 상단에 장착되고, 차량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로 연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통신 모듈(350), GPS 모듈(34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연계하여 멀티 센서 모듈(310)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와 멀티 센서 모듈(310)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기설정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경우, 멀티 센서 모듈(310) 및 내비게이션 장치에는 무선 인터페이스용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가 고정형 센싱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는 원격 청소 및 검침 기능을 내포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는 강우 자동 플러슁, 가열로 인한 강설 자동 건조 처리, 공기 오염요인에 대한 청소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형 센싱 장치(미도시)는 각 센서의 기능이 불필요한 시간(예컨대, 강우 또는 강설이 내리지 않은 시간)에 자동으로 강우를 비우거나, 강설을 건조시키거나, 레이저 송수신부의 먼지를 털어내는 진동 기능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청소 기능은 원격 지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복합적인 기상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멀티 센서를 장착하여 도로의 실시간 기상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 주변에 설치된 고정형 센싱 장치를 통해 더욱 신뢰도 높은 주행 기상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정보 서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정보 서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는 통신부(410), 종합부(420), 주의지역 선별부(430), 정보 생성부(440) 및 데이터베이스(45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복수의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_1~N)로부터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종합부(420)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410)는 정보 생성부(440)에 의해 생성된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로 전달한다.
종합부(420)는 복수의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300_1~N)로부터 수신된 주행 기상상태정보(온도, 습도, 강우/강설량 및 가시거리 데이터)를 동일한 위치별로 종합(예컨대, 평균)한다. 구체적으로, 종합부(420)는 각 주행 기상정보로부터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동일한 위치정보의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분류한다. 그리고 종합부(420)는 동일한 위치정보의 각 센싱값(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하나)을 각기 종합하여 지역별 각 센싱값의 종합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지역별 각 센싱값의 종합치는 데이터베이스(45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주의지역 선별부(430)는 지역별 각 센싱값의 종합치가 차량 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기준치 이상인 주의지역을 선별한다.
여기서, 주의지역은 가시거리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지역, 강우 또는 강설량이 기설정된 제1 임계량 이상인 지역, 기확인된 상시 침수지역이면서 강우량이 제2 임계량 이상 발생한 지역, 기확인된 그늘진 도로 지역이면서 기설정된 과거기간 내에 상기 강설량이 제3 임계량 이상 발생한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별된 주의지역 정보는 데이터베이스(45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 생성부(440)는 선별된 각 주의지역의 위치정보, 주의지역별 기상 공지사항(기준치 이상인 센싱값에 대한 경보)을 포함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상 공지사항은 안개(가시거리) 주의, 폭우 또는 폭설 주의, 결빙 주의 및 폭설 주의 중 적어도 하나를 경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는 데이터베이스(45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정보 생성부(440)는 가시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거리 이하인 지역의 위치정보 및 안개 주의를 안내하는 기상 공지사항(예컨대, 가시거리 및 안개 주의 경고문)을 포함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안개 주의 경고문은 가시거리를 기반으로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가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타 예로서, 정보 생성부(440)는 강우 또는 강설량이 기설정된 임계량 이상인 지역의 위치정보 및 강우 또는 강설 주의를 안내하는 기상 공지사항(예컨대, 폭우 또는 폭설 주의 경고문)을 포함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정보 생성부(440)는 기확인된 상시 침수지역에 기설정된 임계량 이상의 강우 발생시에 해당 지역의 위치정보 및 침수를 경고하는 기상 공지사항(예컨대, 침수주의 경고문)을 포함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정보 생성부(440)는 기확인된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그늘진 도로에 기설정된 임계량 이상의 강우 또는 강설량 발생시에 기설정된 일정기간 동안 해당 지역에 대해 위치정보 및 결빙 주의를 안내하는 기상 공지사항을 포함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그늘진 도로의 위치정보 및 일정기간은 조사관 등의 조사를 거쳐 기설정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종합부(420), 주의지역 선별부(430) 및 정보 생성부(440)는 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의 일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된 멀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을 위치별로 종합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어야 할 주의지역을 선별하고, 주의지역에 대한 기상 공지사항을 포함하는 주행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안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안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기상 안내 장치(500)는 GPS 수신부(510), 통신부(520), 정보 선별부(530), 정보 안내부(540) 및 저장부(550)를 포함한다.
GPS 수신부(510)는 GPS 좌표를 이용하여 현 위치를 산출한다.
통신부(520)는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로부터의 직접 또는 기지국을 거쳐 간접 수신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수신한다.
정보 선별부(530)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로부터 GPS 수신부(510)에 의해 확인된 현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임계거리에 대응하는 주행 기상정보를 선별한다. 이때, 정보 선별부(530)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저장부(550)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정보 안내부(540)는 차량 주행에 따라 선별된 주행 기상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나치기 전까지 선별된 주행 기상정보에 대응하는 기상 공지사항을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예컨대, 정보 안내부(540)는 기상 공지사항 중 적어도 일부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도 2a 내지 2c), 음성 안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 안내부(540)는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저장부(550)는 경로 안내를 위한 지도 및 주기적으로 수신된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저장한다.
만약, 주행 기상정보 서버(400)가 현 위치에 대응하는 주행 기상정보를 제공한다면, 정보 선별부(530)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정보 선별부(530) 및 정보 안내부(5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의 일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내비게이션의 속도 단속 지역 안내 등과 같이 기상 주의지역에 앞서 운전자에게 가상 기상 공지사항을 안내할 수 있어, 운전자가 미리 기상 악화 상황에 대비하도록 지원할 수 있어,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기설정된 이동통신망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GPS 신호를 이용해 현 위치를 감지하는 GPS 모듈;
    가속도, 온도, 습도, 레이저 수신량,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상태를 감지하는 멀티 센서 모듈; 및
    상기 온도, 습도,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가시거리 및 상기 가속도를 고려하여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주행 기상정보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멀티 센서 모듈은,
    일정량의 레이저를 송신하는 레이저 송신부 및 상기 레이저 송신부와 기설정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레이저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공기 중에 산란된 레이저를 수신하여 상기 레이저 수신량을 출력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레이저의 산란 정도를 확인하고, 상기 레이저의 산란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가시거리를 감지하는 것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멀티 센서 모듈은, 디지털 방식의 강우/강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로부터 차량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속도가 0km/h일 때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강우량 또는 상기 강설량을 감소시키는 보정을 수행하는 것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멀티 센서 모듈은, 디지털 방식의 강우/강설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x, y, z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 상기 가속도가 기설정된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강우/강설 센서를 리셋(Reset)시키며, 리셋된 이후 상기 강우/강설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산출하는 것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강우/강설 센서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강우량에 관한 것인지 아니면, 상기 강설량에 관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구분하여 상기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멀티 센서 모듈은,
    대중교통용 차량 및 정부기관의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8. 차량에 각기 장착되어, 가속도,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상태를 각기 감지하고, 상기 온도, 습도,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가시거리 및 상기 가속도를 고려하여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기설정된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로부터 각기 수신된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지역별로 종합하여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기상정보 서버
    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주행 기상정보 서버는,
    상기 복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에 따른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각각을 지역별로 종합하는 종합부;
    각 센싱값의 종합치가 차량 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기준치 이상인 주의지역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선별된 주의지역의 위치정보와 안개, 폭설 또는 폭우, 결빙 중 적어도 하나를 경보하는 기상 공지사항을 포함하는 상기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0. 제8항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또는 다른 무선통신망으로 상기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 또는 상기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 중에서 자신의 현 위치에 대응하는 주행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전방의 안개, 폭우, 폭설, 결빙 및 가시거리 주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 공지사항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주행 기상 안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주행 기상 안내 장치는,
    GPS 좌표를 이용하여 현 위치를 산출하는 GPS 수신부;
    상기 이동통신망 또는 다른 무선통신망으로 상기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 또는 상기 현 위치에 대응하는 주행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현 위치에 대응하는 주행 기상정보 또는 상기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로부터의 현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공지사항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정보 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2. 제8항에서, 상기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 각각은,
    일정량의 레이저를 송신하는 레이저 송신부;
    상기 레이저 송신부와 기설정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레이저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공기중에 산란된 레이저를 수신하여 수신된 레이저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광 수신부; 및
    상기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레이저의 산란 정도를 확인하고, 상기 레이저의 산란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가시거리를 감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3. 제8항에서, 상기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 각각은,
    디지털 방식의 강우/강설 센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가속도로부터 확인된 차량 속도가 0kmh일 때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강우량 또는 상기 강설량을 감소시켜 보정된 상기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4. 제1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x, y, z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 상기 가속도가 기설정된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강우/강설 센서를 리셋(Reset)시키며, 리셋된 이후 상기 강우/강설 센서로부터의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산출하는 것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5. 제8항에서, 상기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 각각은,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도로 변의 가로등 및 CCTV에 설치된 고정형 센싱 장치와 협업하여 상기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6. 제15항에서, 상기 고정형 센싱 장치는,
    상기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 또는 강설량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에서 그 주변에 위치한 멀티 센싱 장치로부터의 센싱값을 가공 또는 오차 보정하는 것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7. 제16항에서, 상기 고정형 센싱 장치는,
    상기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 또는 강설량을 감지하는 멀티 센서를 자동 청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인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18. 차량에 각기 설치된 복수의 멀티 센싱 장치로부터 각 멀티 센싱 장치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온도, 습도, 가시거리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각각을 상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지역별로 종합하여 각 센싱값의 지역별 종합치를 산출하는 종합부; 및
    상기 각 센싱값의 지역별 종합치를 이용하여 안개, 폭설 또는 폭우, 결빙 중 적어도 하나를 경보하는 기상 공지사항을 포함하는 지역별 주행 기상정보를 생성부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정보 서버.
  19. 제18항에서,
    상기 각 센싱값의 지역별 종합치가 차량 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주의지역을 선별하는 선별부
    를 더 포함하는 주행 기상정보 서버.
  20. 제19항에서, 상기 주의지역은,
    상기 가시거리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지역, 상기 강우 또는 강설량이 기설정된 제1 임계량 이상인 지역, 기확인된 상시 침수지역이면서 상기 강우량이 제2 임계량 이상 발생한 지역, 기확인된 그늘진 도로 지역이면서 기설정된 과거기간 내에 상기 강설량이 제3 임계량 이상 발생한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 기상정보 서버.
  21. 제18항에서,
    상기 기상 공지사항은 지역별로 구분하여 송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주행 기상정보 서버.
  2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주행 기상 멀티 센싱 방법으로서,
    가속도, 온도, 습도, 레이저 수신량, 및 강우량 또는 강설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온도, 습도,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가시거리 및 상기 가속도를 고려하여 보정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주행 기상정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행 기상 멀티 센싱 방법.
  23. 제22항에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일정량의 레이저를 송신하는 레이저 송신부; 상기 레이저 송신부와 기설정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레이저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공기중에 산란된 레이저를 수신하여 상기 레이저 수신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광 수신부에 의해 상기 레이저 수신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레이저의 산란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의 산란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가시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방법.
  24. 제22항에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차량 속도가 0km/h일 때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강우량 또는 상기 강설량을 감소시켜 보정된 상기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이용하여 상기 현 위치의 주행 기상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주행 기상 멀티 센싱 방법.
KR1020160062301A 2016-05-20 2016-05-20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Abandoned KR20170131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301A KR20170131094A (ko) 2016-05-20 2016-05-20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301A KR20170131094A (ko) 2016-05-20 2016-05-20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94A true KR20170131094A (ko) 2017-11-29

Family

ID=6081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301A Abandoned KR20170131094A (ko) 2016-05-20 2016-05-20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109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782A1 (ko) * 2017-11-30 2019-06-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121251A (ko) * 2018-04-17 2019-10-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차량 센싱 장치 및 방법
CN110849416A (zh) * 2019-11-13 2020-02-28 江苏安高科技有限公司 一种温湿度记录仪
CN111231979A (zh) * 2018-11-27 2020-06-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用自主车辆遮挡气象现象的方法和控制系统
CN111781167A (zh) * 2020-07-17 2020-10-16 上海勋光电子科技有限公司 车载道路气象检测装置、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319504A (zh) * 2020-10-30 2021-02-05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车辆和存储介质
KR102314665B1 (ko) * 2021-02-25 2021-10-27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감시탑차량
KR20230027978A (ko) * 2021-08-20 2023-02-28 엄준호 가로등을 이용한 도로 정보 제공시스템
CN116740935A (zh) * 2023-06-26 2023-09-12 河北高速公路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环境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0944B2 (en) 2017-11-30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vision
KR20190064109A (ko) * 2017-11-30 2019-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WO2019107782A1 (ko) * 2017-11-30 2019-06-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121251A (ko) * 2018-04-17 2019-10-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차량 센싱 장치 및 방법
CN111231979A (zh) * 2018-11-27 2020-06-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用自主车辆遮挡气象现象的方法和控制系统
CN110849416A (zh) * 2019-11-13 2020-02-28 江苏安高科技有限公司 一种温湿度记录仪
CN111781167A (zh) * 2020-07-17 2020-10-16 上海勋光电子科技有限公司 车载道路气象检测装置、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319504A (zh) * 2020-10-30 2021-02-05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车辆和存储介质
CN112319504B (zh) * 2020-10-30 2022-12-13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车辆和存储介质
KR102314665B1 (ko) * 2021-02-25 2021-10-27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감시탑차량
US11369817B1 (en) 2021-02-25 2022-06-28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Watchtower vehicle
KR20230027978A (ko) * 2021-08-20 2023-02-28 엄준호 가로등을 이용한 도로 정보 제공시스템
CN116740935A (zh) * 2023-06-26 2023-09-12 河北高速公路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环境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740935B (zh) * 2023-06-26 2024-04-30 河北高速公路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环境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1094A (ko) 주행 기상 멀티 센싱 장치 및 주행 기상정보 시스템
US7406382B2 (en) System for determining weather information and providing ambient parameter data
US9799219B2 (en) Vehicle data system and method
EP1906202B1 (en) Vehicle position detection system
US20120310536A1 (en) Wea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weath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70089717A1 (en) Use of road lane data to improve traffic probe accuracy
KR101534716B1 (ko) 기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1848B1 (ko) 다른 운송체 또는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JP6492677B2 (ja) 車載機
CN104851295A (zh) 获取路况信息的方法和系统
JP4295130B2 (ja) 交通情報システム
KR20140119471A (ko)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수집 및 주의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1137A (ko) 도로 종합 정보 관측 차량
JP2004341795A (ja) 道路交通情報システム、冠水検知器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ならびに車両
KR101834014B1 (ko) 차량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22014729A (ja) 悪環境判定装置、悪環境判定方法
KR101034364B1 (ko) 진입 및 진출을 고려한 교차로에서의 교통정보 생성시스템 및 방법
JP5880273B2 (ja) 混雑情報提示システム、センタ装置、車両装置
KR101544854B1 (ko) 차량 주변의 도로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
KR101403661B1 (ko) 차량내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CN110462342B (zh) 用于查明气象区域的方法、装置和系统
KR19990064862A (ko) 차량자동항법장치의 교통흐름 정보 시스템
CN102157067A (zh) 拥塞信息动态提示的方法以及位置服务设备和服务器
KR101328171B1 (ko) 차량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16793B1 (ko) 스마트 교통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