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156A -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0156A KR20170130156A KR1020160060852A KR20160060852A KR20170130156A KR 20170130156 A KR20170130156 A KR 20170130156A KR 1020160060852 A KR1020160060852 A KR 1020160060852A KR 20160060852 A KR20160060852 A KR 20160060852A KR 20170130156 A KR20170130156 A KR 201701301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user data
- user
- screen
- p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제공하는 레이어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화면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데이터들의 저장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20)
-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전자 펜 입력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에 있어서,
전자 펜으로부터 제1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제1 화면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against) 상기 전자 펜을 이용한 제1 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펜 입력에 따른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화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화면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상기 전자 펜을 이용한 제2 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펜 입력에 따른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상기 제1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체 화면 데이터와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오버랩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계층 구조로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부재를 누르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제1 이벤트 신호이며,
상기 제1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이벤트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상기 부재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제2 이벤트 신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화면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화면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는 서로 연관된 화면 데이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데이터는 전체 화면 데이터의 일부이고,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는 상기 전체 화면 데이터의 다른 일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데이터는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는 상기 웹 페이지 화면과 링크된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데이터는 콘텐트의 표시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는 확대 또는 축소된 상기 콘텐트의 표시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2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생성된 제2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식을 선택하는 UI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화면 데이터는,
웹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콘텐트 실행 화면 또는 홈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는,
라이팅(writing), 드로잉(drawing), 텍스트 타이핑(text typing), 언더라이닝(underling) 및 마킹(marking)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스크롤링하는 사용자 입력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 방법.
-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전자 펜을 이용한 펜 입력을 감지하는 펜 감지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펜 감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된 제1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펜 감지 모듈에서 제1 화면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상기 전자 펜을 이용한 제1 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제1 펜 입력에 따른 제1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화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펜 감지 모듈에서 상기 제2 화면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상기 전자 펜을 이용한 제2 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제2 펜 입력에 따른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서로 연관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체 화면 데이터와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오버랩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용자 데이터를 계층 구조로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부재를 누르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제1 이벤트 신호이며,
상기 제1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이벤트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상기 부재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제2 이벤트 신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는 서로 연관된 화면 데이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 감지 모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스크롤링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 데이터 대신 상기 제2 화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0852A KR102520398B1 (ko) | 2016-05-18 | 2016-05-18 |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EP17799680.8A EP3441865B1 (en) | 2016-05-18 | 2017-05-18 |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user data, and method therefor |
PCT/KR2017/005184 WO2017200323A1 (ko) | 2016-05-18 | 2017-05-18 |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US16/098,953 US11137838B2 (en) | 2016-05-18 | 2017-05-18 |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user data, and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0852A KR102520398B1 (ko) | 2016-05-18 | 2016-05-18 |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0156A true KR20170130156A (ko) | 2017-11-28 |
KR102520398B1 KR102520398B1 (ko) | 2023-04-12 |
Family
ID=6032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0852A Active KR102520398B1 (ko) | 2016-05-18 | 2016-05-18 |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137838B2 (ko) |
EP (1) | EP3441865B1 (ko) |
KR (1) | KR102520398B1 (ko) |
WO (1) | WO201720032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13542A1 (ko) * | 2018-07-11 | 2020-01-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67484A1 (en) * | 2017-08-22 | 2020-06-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8683641A (zh) * | 2018-04-24 | 2018-10-19 | 广州亿航智能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通信方法、装置、无人机及计算机存储介质 |
CN115185444A (zh) * | 2019-04-17 | 2022-10-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添加批注的方法及电子设备 |
JP7417381B2 (ja) * | 2019-08-22 | 2024-01-18 | 株式会社ワコム | 電子ペン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5845A (ko) * | 2010-12-29 | 2012-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메모 방법 및 장치 |
KR20140056959A (ko) * | 2012-11-02 | 2014-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50007048A (ko) * | 2013-07-10 | 2015-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KR101532006B1 (ko) * | 2009-01-22 | 2015-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KR101554185B1 (ko) * | 2008-12-03 | 2015-09-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06819B2 (en) * | 2001-10-15 | 2009-10-20 | Maya-Systems Inc. | Multi-dimensional locating system and method |
US7551187B2 (en) * | 2004-02-10 | 2009-06-23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that utilize a dynamic digital zooming interface in connection with digital inking |
JP5897250B2 (ja) * | 2010-09-28 | 2016-03-30 | 任天堂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EP2487584A3 (en) * | 2011-02-11 | 2013-03-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US20140075281A1 (en) * | 2012-09-13 | 2014-03-13 | David Rubin | Systems and methods for annotating digital documents |
KR102083937B1 (ko) * | 2012-10-10 | 2020-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툴 제공 방법 |
KR20140117137A (ko) | 2013-03-26 | 2014-10-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용 펜을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US9575948B2 (en) * | 2013-10-04 | 2017-02-21 | Nook Digital, Llc | Annotation of digital content via selective fixed formatting |
KR20150069486A (ko) | 2013-12-13 | 2015-06-23 | 양희성 | 스마트 펜 |
US20150339050A1 (en) * | 2014-05-23 | 2015-11-2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Ink for Interaction |
US10509853B2 (en) * | 2014-09-05 | 2019-12-1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reating an annotation pane for a document by augmenting the document |
KR20170008640A (ko) * | 2015-07-14 | 2017-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US10067731B2 (en) * | 2016-01-05 | 2018-09-04 | Quirklogic, Inc. |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a shared digital virtual “absolute” canvas |
-
2016
- 2016-05-18 KR KR1020160060852A patent/KR102520398B1/ko active Active
-
2017
- 2017-05-18 EP EP17799680.8A patent/EP3441865B1/en active Active
- 2017-05-18 US US16/098,953 patent/US11137838B2/en active Active
- 2017-05-18 WO PCT/KR2017/005184 patent/WO201720032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4185B1 (ko) * | 2008-12-03 | 2015-09-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
KR101532006B1 (ko) * | 2009-01-22 | 2015-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KR20120075845A (ko) * | 2010-12-29 | 2012-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메모 방법 및 장치 |
KR20140056959A (ko) * | 2012-11-02 | 2014-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50007048A (ko) * | 2013-07-10 | 2015-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13542A1 (ko) * | 2018-07-11 | 2020-01-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
US11340780B2 (en) | 2018-07-11 | 2022-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0398B1 (ko) | 2023-04-12 |
US11137838B2 (en) | 2021-10-05 |
EP3441865A4 (en) | 2019-03-27 |
US20190087024A1 (en) | 2019-03-21 |
EP3441865A1 (en) | 2019-02-13 |
WO2017200323A1 (ko) | 2017-11-23 |
EP3441865C0 (en) | 2023-08-30 |
EP3441865B1 (en) | 2023-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809232B1 (ko) | 컨텐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장치 및 저장 매체 | |
KR102423447B1 (ko) |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07015682B (zh) | 用于提供用户接口的方法及电子设备 | |
KR102330829B1 (ko) | 전자 장치에서 증강현실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102485448B1 (ko) | 제스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180020669A (ko) |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CN107688370A (zh) | 用于控制显示器、存储介质、和电子设备的方法 | |
KR102536148B1 (ko) |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 |
KR20170071960A (ko) |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EP3107087B1 (en) |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areas of display independently and method thereof | |
US10719209B2 (en) | Method for outputting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EP3441865B1 (en) |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user data, and method therefor | |
KR20170030349A (ko) | 입력의 압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80028855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
KR20180029745A (ko) | 소프트 키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60034135A (ko) |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170036424A (ko) | 터치 속성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60071897A (ko)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 |
EP3131000B1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input | |
KR20170121868A (ko) |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EP3455712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EP3411783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97523A (ko) |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KR102503422B1 (ko) |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80074697A1 (en) | Method for outputting screen according to force in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