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627A -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6627A KR20170126627A KR1020160056886A KR20160056886A KR20170126627A KR 20170126627 A KR20170126627 A KR 20170126627A KR 1020160056886 A KR1020160056886 A KR 1020160056886A KR 20160056886 A KR20160056886 A KR 20160056886A KR 20170126627 A KR20170126627 A KR 201701266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y sauce
- crab
- boil
- sauce
- a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41000238097 Callinectes sapidus Species 0.000 title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15096 spiri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WIUHFFTVRNATP-UHFFFAOYSA-N glycine betaine Chemical compound C[N+](C)(C)CC([O-])=O KWIUHFFTVRNA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6139 Brassica cre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BYPYZUCNSA-P L-argininium(2+) Chemical compound NC(=[NH2+])NCCC[C@H]([NH3+])C(O)=O ODKSFYDXXFIFQN-BYPYZUCNSA-P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UHFFFAOYSA-N Proline Natural products OC(=O)C1CCCN1 ONIBWKKTOPOV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21 argi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37 bet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QKSKPIVNLNLAAV-UHFFFAOYSA-N bis(2-chloro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lCCSCCCl QKSKPIVNLNL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49 gly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13 low-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29 pr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선간장에 꽃게를 넣어서 숙성시켜서 요리 맛을 내는 간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은 조선간장에 세척한 꽃게가 잠기도록 넣어서 4~6일간 저온에 보관하여 숙성시킨 후에 꽃게를 분리하고 끓여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숙성간장을 제조하는 단계; 맛국물 재료 건 다시마, 건 멸치, 건 표고버섯을 찬물에 담가서 우려낸 후, 그대로 센불에 끓여서 맛국물 재료를 건져내고, 여기에 대파, 양파, 마늘을 넣어서 끓인 후에, 다시 숙성간장에서 분리한 꽃게를 넣고 끓여서 꽃게, 고형물과 이물질을 걸러내어 맛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간장, 상기 맛국물, 액젓, 천일염을 혼합하여 가열한 후 염도를 조절하여 여과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은 조선간장에 세척한 꽃게가 잠기도록 넣어서 4~6일간 저온에 보관하여 숙성시킨 후에 꽃게를 분리하고 끓여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숙성간장을 제조하는 단계; 맛국물 재료 건 다시마, 건 멸치, 건 표고버섯을 찬물에 담가서 우려낸 후, 그대로 센불에 끓여서 맛국물 재료를 건져내고, 여기에 대파, 양파, 마늘을 넣어서 끓인 후에, 다시 숙성간장에서 분리한 꽃게를 넣고 끓여서 꽃게, 고형물과 이물질을 걸러내어 맛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간장, 상기 맛국물, 액젓, 천일염을 혼합하여 가열한 후 염도를 조절하여 여과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선간장에 꽃게를 넣어서 숙성시켜서 요리 맛을 내는 간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밥상에 건강식으로 올라오는 꽃게는 봄과 가을에 맛이 최고조에 달하게 되는데 봄에는 산란기 직전인 '암게'가 맛있고, 가을에는 '수게'가 속이 차서 맛있다고 한다. 꽃게는 지방함량이 낮고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고, 칼슘, 칼륨, 인, 철, 아연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고, 필수아미노산과 글리신, 프로린, 아르기닌, 베타인, 타우린 등의 감미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꽃게를 이용한 요리법은 양념게장, 간장게장, 꽃게탕 등 이미 많이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8246호 "비빔밥용 간장게장 소스 및 이를 이용한 간장게장 비빔밥"을 제안하고 있으며, 그 중 비빔밥용 간장게장 소스는, 간장게장에서 게살과 게알을 발라내는 게살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와, 간장게장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간장게장 맛국물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한 게살 혼합물과 간장게장 맛국물을 1:0.5~1: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게살, 게알 및 간장게장 맛국물을 진공포장한 간장게장 혼합소스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04-0048657 간장게장 제조방법에서는, 원료 게를 선별하여 영하 40℃에서 급속냉동시켜 보관하는 단계와, 상기 냉동시킨 원료 게를 세척 및 절단하여 게장소스에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게장소스에 침지된 원료 게를 상온에서 3시간 정도 숙성시킨 후 냉장온도 0℃에서 적어도 12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숙성이 완료된 게와 게장소스를 용기에 담아 밀봉한 후 냉장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간장게장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게장소스만 별도의 용기에 담아 판매하는 상품화와 게장소스를 불고기 등의 기타 요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선간장에 꽃게를 넣어서 숙성시키고, 감칠 맛을 낼 수 있는 다시마, 멸치, 표고버섯 등을 이용하여 맛간장을 제조하는 것으로, 맛과 영양이 좋으며, 요리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은 조선간장에 세척한 꽃게가 잠기도록 넣어서 4~6일간 저온에 보관하여 숙성시킨 후에 꽃게를 분리하고 끓여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숙성간장을 제조하는 단계; 맛국물 재료 건 다시마, 건 멸치, 건 표고버섯을 찬물에 담가서 우려낸 후, 그대로 센불에 끓여서 맛국물 재료를 건져내고, 여기에 대파, 양파, 마늘을 넣어서 끓인 후에, 다시 숙성간장에서 분리한 꽃게를 넣고 끓여서 꽃게, 고형물과 이물질을 걸러내어 맛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간장, 상기 맛국물, 액젓, 천일염을 혼합하여 가열한 후 염도를 조절하여 여과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맛국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하부 일측면에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며, 맛국물의 재료를 넣는 다공구조로 이루어진 맛국물 재료통을 본체 내부에 구비하고, 맛국물 재료통에 보관되어 있는 재료를 압축할 수 있는 제1, 2 압축판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맛국물 제조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선간장에 꽃게를 넣어서 숙성시키고, 다시마, 멸치, 표고버섯등을 우려낸 맛국물을 혼합하여 감칠맛과 영양이 좋은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맛간장 제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맛간장 제조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맛간장 제조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은 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와 실험예는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은, 조선간장에 꽃게를 넣어서 저온 숙성시켜 숙성간장을 제조하는 단계; 맛국물 재료와 꽃게를 이용하여 맛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숙성간장, 맛국물, 액젓, 천일염을 혼합하여 여과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숙성간장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꽃게를 솔로 닦으면서 흐르는 물에서 깨끗이 씻은 후에 물기를 제거하고 조선간장이 들어있는 숙성통에 무게비율로 조선간장과 꽃게는 2:1 비율로 넣는다. 조선간장에 꽃게가 잠길 정도로 넣어서 4~6일간 저온에서 숙성시킨다. 숙성시킨 후에 꽃게를 별도로 분리하고 숙성된 간장을 끓여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숙성간장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맛국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건 다시마, 건 멸치, 건 표고버섯을 찬물에 담가서 12시간 정도 우려낸다. 우려진 상태 그대로 센불에 2시간 정도 끓여낸 후 다시마, 멸치, 표고버섯을 분리한다. 여기에 대파, 양파, 마늘을 넣어서 끓인다. 다시 숙성간장에서 분리한 꽃게를 넣어서 끓여서 고형물과 이물질을 걸러내어 맛국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맛국물을 제조할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맛국물 제조용기를 사용한다. 상기 맛국물 제조용기는 내용물을 담는 본체(10)와 뚜껑(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의 일측에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밸브를 구비한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맛국물을 내는 재료를 넣을 수 있는 사각통 형상의 맛국물 재료통(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재료통(20)은 분리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맛국물 재료통(20)은 다공 구조를 이루며,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맛국물 재료통(20)의 양측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본체(10)의 양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봉(2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24)의 양측은 재료통(20)의 내측으로 제1, 2압축판(26)이 나사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제1,2압축판(26)은 사각판 형상으로, 상기 재료통(20)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압축판(26)이 결합되어 있는 상기 지지봉(24)의 나사선모양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봉(24)의 회전에 의해 제1, 2 압축판(26)이 중심을 향해 모이거나 벌어지게 된다. 일측에는 상기 지지봉(24)을 작동시키는 모터(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조용기의 재료통(20)에 맛국물을 낼 재료인 건 다시마, 건 멸치, 건 표고버섯을 넣고 개폐문(22)을 닫은 후에 본체(10)에 물을 넣어서 재료를 11 ~ 13시간 우려내고, 우려진 상태 그대로 끓여서 맛국물을 낸다. 그리고 하부의 배출구(14)를 열고, 상기 지지봉(24)을 작동시키면, 맛국물이 배출구로 배출되고, 제1,2 압축판(26)이 중앙으로 모이면서 맛국물 재료들을 압축하게 되고, 재료들이 포함하고 있는 수분들을 충분히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재료들을 재료통(20)에서 제거한 후, 대파, 양파, 마늘을 넣은 후에 상기에서 우린 맛국물을 제조용기에 투입하여 끓인다. 여기에 다시 숙성간장으로부터 분리한 꽃게를 넣어서 끓인다. 다 끓인 후에 맛국물을 제조용기의 하부의 배출구(14)를 열고 지지봉(24)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제1,2 압축판(26)이 압축되면서 재료통(20)에 들어있는 대파, 양파, 꽃게들이 압축되면서 맛국물이 배출구(14)로 추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맛국물 제조용기를 사용하여 맛국물을 제조하면 꽃게 등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있게 되고, 재료통에 별도로 꽃게 등의 재료가 보관되어 있어서 재료를 편리하게 제거할 수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숙성간장과 맛국물, 액젓 및 천일염을 혼합하여 맛간장을 제조하는 혼합단계를 설명한다. 혼합단계는 숙성간장, 맛국물, 액젓 및 천일염을 무게비율로 2 : 4: 1: 2로 혼합하여 염도가 22도 될 때까지 가열한 후, 여과한다. 여과한 맛간장은 용기에 담아서 판매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맛간장은 국, 찌개, 볶음, 무침 등 다양한 요리에 감칠맛을 살릴 수 있다. 특히 꽃게를 이용하여 맛과 영양이 풍부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 1.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조선간장 40㎏에 잘 씻은 꽃게 20㎏를 넣어서 5일간 저온 숙성시킨 후에 숙성된 간장과 꽃게를 분리하였다. 숙성된 간장은 끓여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한편, 건 다시마 1㎏, 건 멸치 1㎏, 건 표고버섯 1㎏을 맛국물 제조용기의 재료통에 넣고 97㎏의 찬물을 부어서 12시간 우려내었다. 재료가 우려진 상태 그대로 센불에 2시간 끓인 후에 맛국물과 재료를 분리하였다. 상기 우려진 맛국물을 제조용기에 다시 넣고, 여기에 대파 10㎏, 양파 10㎏, 마늘 2kg을 넣어서 끓였다. 끓인 후에 숙성된 간장으로부터 분리한 꽃게를 넣고 다시 끓인 후에 꽃게 등의 고형물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완성된 맛국물을 제조한다. 숙성된 간장 40㎏, 맛국물 80㎏, 액젓 20㎏, 천일염 40㎏을 혼합하여 염도 22도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맛간장을 제조하게 된다. 맛간장은 용기에 담아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뚜껑
14: 배출구 20: 재료통
22: 개폐문 24: 지지봉
26: 제1, 2압축판 30: 모터
14: 배출구 20: 재료통
22: 개폐문 24: 지지봉
26: 제1, 2압축판 30: 모터
Claims (2)
- 조선간장에 세척한 꽃게가 잠기도록 넣어서 4~6일간 저온에 보관하여 숙성시킨 후에 꽃게를 분리하고 끓여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숙성간장을 제조하는 단계;
맛국물 재료 건 다시마, 건 멸치, 건 표고버섯을 찬물에 담가서 우려낸 후, 그대로 센불에 끓여서 맛국물 재료를 건져내고, 여기에 대파, 양파, 마늘을 넣어서 끓인 후에, 다시 숙성간장에서 분리한 꽃게를 넣고 끓여서 꽃게, 고형물과 이물질을 걸러내어 맛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숙성간장, 상기 맛국물, 액젓, 천일염을 혼합하여 가열한 후 염도를 조절하여 여과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맛국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하부 일측면에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며, 맛국물의 재료를 넣는 다공구조로 이루어진 맛국물 재료통을 본체 내부에 구비하고, 맛국물 재료통에 보관되어 있는 재료를 압축할 수 있는 제1, 2 압축판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맛국물 제조용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6886A KR20170126627A (ko) | 2016-05-10 | 2016-05-10 |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6886A KR20170126627A (ko) | 2016-05-10 | 2016-05-10 |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6627A true KR20170126627A (ko) | 2017-11-20 |
Family
ID=6080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6886A Abandoned KR20170126627A (ko) | 2016-05-10 | 2016-05-10 |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662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74997A (zh) * | 2019-04-15 | 2019-06-14 | 上海海洋大学 | 一种即食香菇酱蟹食品及其制备方法 |
KR102075348B1 (ko) * | 2019-08-27 | 2020-02-10 | 차윤태 | 돼지갈비 제조방법 |
CN113854529A (zh) * | 2021-10-11 | 2021-12-31 | 天津味沁百家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无固形物食用菌复合调味汤料及其制作工艺 |
-
2016
- 2016-05-10 KR KR1020160056886A patent/KR20170126627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74997A (zh) * | 2019-04-15 | 2019-06-14 | 上海海洋大学 | 一种即食香菇酱蟹食品及其制备方法 |
KR102075348B1 (ko) * | 2019-08-27 | 2020-02-10 | 차윤태 | 돼지갈비 제조방법 |
CN113854529A (zh) * | 2021-10-11 | 2021-12-31 | 天津味沁百家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无固形物食用菌复合调味汤料及其制作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8434B1 (ko) | 된장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생선의 제조 방법 | |
KR101928043B1 (ko) |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테이크 | |
KR20170126627A (ko) | 꽃게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 |
CN105211933A (zh) | 一种五香草鱼肉脯的加工方法 | |
KR20160043269A (ko) | 천연 버섯 조미료 및 그 제조 방법 | |
CN101133883A (zh) | 一种方便火锅及其制备方法 | |
KR101509634B1 (ko) | 등푸른생선의처리방법 | |
KR102269774B1 (ko) | 조미김 제조방법 | |
KR20170114517A (ko) | 연잎 간장게장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52456B1 (ko) | 어간장 제조방법 | |
KR100525060B1 (ko) |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양념장 및 이를 이용한 생선조림방법 | |
KR20250045390A (ko) | 꽃게 맛간장 제조방법 | |
KR20030049137A (ko) | 갈치 육수, 이의 제조방법 및 갈치 조림의 제조방법 | |
KR101827061B1 (ko) | 멸치젓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85294B1 (ko) | 젓갈의 비린내 및 불쾌감을 주는 특유의 잡내가 없고, 각종 미네랄 및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담백하고 감칠맛 나는 액젓 제조방법 | |
KR20140120053A (ko) | 모시 육수의 제조방법법 | |
KR100314181B1 (ko) | 멸치국물을이용한조리용소스제조방법 | |
KR100571516B1 (ko) | 건조김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건조김치 | |
CN105361087A (zh) | 一种酸菜鱼汤料包 | |
KR20050096278A (ko) | 상온에서 장기보관 가능한 김치찌개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050121942A (ko) | 샤브샤브용 육수 및 그 육수의 제조방법 | |
KR100509206B1 (ko) | 황토 지장수 굴비를 이용한 황토 지장수 고추장 굴비 절임 방법 | |
CN103238770A (zh) | 一种枸杞酱加工方法 | |
KR102398817B1 (ko) | 야관문을 이용한 대구탕의 제조방법 | |
KR102431580B1 (ko) | 액젓 분말 조미료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