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847A - 휴대용 뜸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4847A KR20170124847A KR1020160054795A KR20160054795A KR20170124847A KR 20170124847 A KR20170124847 A KR 20170124847A KR 1020160054795 A KR1020160054795 A KR 1020160054795A KR 20160054795 A KR20160054795 A KR 20160054795A KR 20170124847 A KR20170124847 A KR 201701248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lifting bar
- moxa
- moxibustion
- ca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2544 Cicatrix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16 fumig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241 scar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87 scar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5—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specific interfaces or standards, e.g. USB, serial, parall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뜸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쑥뜸의 열기에 따라 신체부위와 쑥뜸과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쑥뜸의 열기 강도를 조절하는 한편,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환부에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연이 정화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휴대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뜸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쑥뜸의 열기에 따라 신체부위와 쑥뜸과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쑥뜸의 열기 강도를 조절하는 한편,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환부에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연이 정화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휴대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은 병을 고치기 위해 쑥뜸을 혈이 위치한 살 위에 놓고 불을 붙여 살을 뜨는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뜸의 방법에는 피부에 직접 쑥뜸을 놓고 뜨는 직접 뜸과 피와 쑥뜸 사이를 띄우고 뜨는 간접 뜸이 있다.
그러나, 직접 뜸은 피부에 흉터를 남기게 되는 것은 물론, 쑥뜸시의 고통으로 인해 치료를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간접 뜸은 피부와 쑥뜸 사이를 띄워 피부에 쑥뜸이 직접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흉터 등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쑥뜸의 열기에 따른 피부와의 거리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피부에 화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5427호에는 쑥봉(쑥뜸)이 거치되는 쑥봉받침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쑥뜸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쑥뜸기는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환부로 쉽게 전달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쑥연 및 쑥진 등이 그대로 배출되면서 주변을 오염 및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뜸의 열기에 따라 신체부위와 쑥뜸과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쑥뜸의 열기 강도를 조절하는 한편,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환부에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연이 정화되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휴대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뜸 치료시 하부가 신체부위에 안착되는 케이싱; 상,하단부 사이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바; 및 상기 승강바에 연결되며, 쑥뜸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승강바를 인위적으로 가압하여 승,하강시킴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는 한편, 상기 승강바로의 가압해제에 따라 그 승강바와 함께 정지되면서 신체부위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승강바의 하강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신체부위에 닿기 전에 그 하강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바에는,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이 끼움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양단부 또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접하면서 상기 승강바의 하강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쑥뜸이 수용되는 거치망; 상기 승강바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거치플레이트; 및 상기 거치망을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망은,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을 신체부위에 결속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연을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바는, 상,하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승강바를 통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쑥뜸으로 송풍하여 쑥뜸에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신체부위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풍장치는, 내부가 상기 승강바의 상부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승강바를 통해 쑥뜸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소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가 간편한 것은 물론, USB단자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가능함으로써 휴대용충전기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쑥뜸의 열기에 따라 신체부위와 쑥뜸과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에 전달되는 쑥뜸의 열기 강도를 조절하여 화상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환부에 쉽게 전달될 수 있음으로써 뜸 치료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연 등을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쑥연이나, 쑥진 등에 의한 실내 오염 및 악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에서 거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에서 거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1)는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11)가 형성되고 뜸 치료시 하부가 신체부위에 안착되는 케이싱(10), 상,하단부 사이가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바(20) 및 상기 승강바(20)에 연결되며 쑥뜸(100)이 거치되는 거치부(3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승강바(2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신체부위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케이싱(10)은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또는 사각통 등을 포함하는 다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신체부위 예를 들면, 복부, 허리, 등, 팔, 다리, 무릎, 발 등에 안착되며, 신체부위는 뜸치료를 받고자 하는 환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공간부(11)와 연통되는 중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20)는 하단부가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상기 중공(12)을 이루는 둘레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뜸기(1)는 상기 중공(12)을 기밀하게 밀폐하는 한편, 상기 승강바(20)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킹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강바(20)의 하단부가 인입되는 인입공(41)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바(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부재(40)가 가하는 가압 및 마찰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승,하강되는 한편, 그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승,하강된 상태로 정지된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승강바(20)와 함께 승,하강되면서 피부와의 이격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뜸기(1)는 상기 승강바(2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거치부(30)가 신체부위와 가까워지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바(20)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거치부(30)가 신체부위와 멀어지도록 하면서 쑥뜸(100)의 열기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뜸기(1)는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20)의 하강에 따라 상기 거치부(30)가 신체부위에 닿기 전에 그 하강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는 고정핀(5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승강바(20)에는 상기 고정핀(51)이 끼움결합되는 고정공(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51)은 일단부가 상기 고정공(21)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타단부 또는 양단부가 상기 승강바(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접하면서 상기 승강바(20)의 하강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5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연결줄(60)에 의해 상기 케이싱(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승강바(20)로부터 상기 고정핀(51)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핀(51)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분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거치부(3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쑥뜸(100)이 수용되며, 그 쑥뜸(100)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거치망(31), 상기 승강바(20)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거치플레이트(32) 및 상기 거치망(31)을 상기 거치플레이트(32)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수단(33)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망(31)은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31a)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수단(33)은 상기 거치플레이트(32)에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31a)를 지지하는 복수의 거치고리(34)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고리(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상기 거치플레이트(32)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는 한편, 양단부 사이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거치고리(34)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거치망(31)의 탈착시, 상기 플랜지(31a)의 가압에 따라 상기 거치고리(34)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플랜지(31a)가 그 거치고리(34)에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거나, 그 거치고리(34)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고정핀(51)을 상기 승강바(2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봉(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케이싱(10)의 하부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뜸기(1)는 상기 거치망(31)을 상기 거치플레이트(32)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거치망(31)에 미사용된 쑥뜸을 수용하거나, 상기 거치망(31)으로부터 사용된 쑥뜸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바(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휴대용 뜸기(1)는 상기 승강바(20)를 통해 상기 거치부(30)에 거치되는 쑥뜸(100)으로 송풍하여 쑥뜸(100)에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신체부위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로운 성분은 상기 쓱뜸(100)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약리성분으로,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상기 송풍장치(70)에 의한 송풍에 의해 하강되면서 신체부위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70)는 내부가 상기 승강바(20)의 상부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커버(71), 상기 커버(71)의 내측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승강바(20)를 통해 쑥뜸(100)으로 송풍하는 송풍팬(72)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72)은 상기 승강바(2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되면서 그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송풍장치(70)는 상기 커버(71)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72)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구동스위치(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장치(7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송풍팬(72)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단자(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74)는 일반적인 형태의 USB단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7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커버(7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휴대용 뜸기(1)는 휴대용충전기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송풍팬(7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쑥뜸(100)에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신체부위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뜸기(1)는 상기 케이싱(10)에 연결되며, 상기 쑥뜸(100)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연 등을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필터(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80)는 카본필터 등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쑥뜸(100)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연이 정화되며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쑥연이나, 쑥진 등에 의한 실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악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뜸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 치료시 상기 케이싱(10)을 신체부위에 안정적으로 결속하기 위한 체결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90)는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체결부(91), 상기 케이싱(1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체결부(92) 및 상기 제1,2체결부(91,92)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수단(93)을 포함한다.
상기 제1,2체결부(91,92)는 일반적인 형태의 끈이나, 밴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케이싱(10)의 일측과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수단(73)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체결수단(93)은 벨크로, 똑딱단추, 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체결부(90)를 조절함으로써 신체부위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쑥뜸을 뜨기 어려운 신체부위에도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휴대용 뜸기
10 : 케이싱
11 : 공간부 12 : 중공
20 : 승강바 21 : 고정공
30 : 거치부 31 : 거치망
31a : 플랜지 32 : 거치플레이트
33 : 결속수단 34 : 거치고리
40 : 패킹부재 41 : 인입공
50 : 스토퍼 51 : 고정핀
60 : 연결줄 70 : 송풍장치
71 : 커버 72 : 송풍팬
73 : 구동스위치 74 : 연결단자
80 : 필터 90 : 체결부
91 : 제1체결부 92 : 제2체결부
93 : 체결수단 100 : 쑥뜸
11 : 공간부 12 : 중공
20 : 승강바 21 : 고정공
30 : 거치부 31 : 거치망
31a : 플랜지 32 : 거치플레이트
33 : 결속수단 34 : 거치고리
40 : 패킹부재 41 : 인입공
50 : 스토퍼 51 : 고정핀
60 : 연결줄 70 : 송풍장치
71 : 커버 72 : 송풍팬
73 : 구동스위치 74 : 연결단자
80 : 필터 90 : 체결부
91 : 제1체결부 92 : 제2체결부
93 : 체결수단 100 : 쑥뜸
Claims (8)
-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뜸 치료시 하부가 신체부위에 안착되는 케이싱;
상,하단부 사이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바; 및
상기 승강바에 연결되며, 쑥뜸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승강바를 인위적으로 가압하여 승,하강시킴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는 한편, 상기 승강바로의 가압해제에 따라 그 승강바와 함께 정지되면서 신체부위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의 하강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신체부위에 닿기 전에 그 하강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바에는,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이 끼움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양단부 또는 일단부가 상기 승강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접하면서 상기 승강바의 하강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쑥뜸이 수용되는 거치망;
상기 승강바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거치플레이트; 및
상기 거치망을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망은,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을 신체부위에 결속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쑥뜸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연을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는,
상,하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승강바를 통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쑥뜸으로 송풍하여 쑥뜸에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신체부위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내부가 상기 승강바의 상부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승강바를 통해 쑥뜸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795A KR20170124847A (ko) | 2016-05-03 | 2016-05-03 | 휴대용 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795A KR20170124847A (ko) | 2016-05-03 | 2016-05-03 | 휴대용 뜸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4847A true KR20170124847A (ko) | 2017-11-13 |
Family
ID=6038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4795A Abandoned KR20170124847A (ko) | 2016-05-03 | 2016-05-03 | 휴대용 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4847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78774A (zh) * | 2018-02-28 | 2018-05-29 | 杨桂华 | 一种艾灸保健装置及其工作方法 |
CN109199846A (zh) * | 2018-09-26 | 2019-01-15 | 刘克新 | 一种艾灸器 |
CN111202676A (zh) * | 2018-11-22 | 2020-05-29 | 魏银龙 | 一种新型的艾灸装置及艾灸方法 |
CN111388321A (zh) * | 2020-03-30 | 2020-07-10 | 李文静 | 一种用于内分泌临床治疗的可调节式艾熏装置 |
CN111467227A (zh) * | 2020-05-25 | 2020-07-31 | 郑洪妹 | 智能艾灸仪 |
CN114533543A (zh) * | 2022-03-22 | 2022-05-27 | 佛山市星曼信息科技有限公司 | 艾灸器 |
-
2016
- 2016-05-03 KR KR1020160054795A patent/KR20170124847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78774A (zh) * | 2018-02-28 | 2018-05-29 | 杨桂华 | 一种艾灸保健装置及其工作方法 |
CN109199846A (zh) * | 2018-09-26 | 2019-01-15 | 刘克新 | 一种艾灸器 |
CN111202676A (zh) * | 2018-11-22 | 2020-05-29 | 魏银龙 | 一种新型的艾灸装置及艾灸方法 |
CN111388321A (zh) * | 2020-03-30 | 2020-07-10 | 李文静 | 一种用于内分泌临床治疗的可调节式艾熏装置 |
CN111388321B (zh) * | 2020-03-30 | 2022-02-11 | 李文静 | 一种用于内分泌临床治疗的可调节式艾熏装置 |
CN111467227A (zh) * | 2020-05-25 | 2020-07-31 | 郑洪妹 | 智能艾灸仪 |
CN114533543A (zh) * | 2022-03-22 | 2022-05-27 | 佛山市星曼信息科技有限公司 | 艾灸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124847A (ko) | 휴대용 뜸기 | |
KR101298351B1 (ko) |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 |
JP3214577U (ja) | 高温熱輻射で低電圧の温灸型電子灸装置 | |
CN106075493A (zh) | 一种履带式智能床用除螨仪 | |
WO2004032821A1 (en) | Moxa cauterizing device | |
CN101507682A (zh) | 一种热风烘干多功能足浴器 | |
KR20140077135A (ko) | 쑥뜸 침대 | |
KR101513428B1 (ko) | 개량형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 |
CN206548853U (zh) | 一种履带式智能床用除螨仪 | |
CN205036607U (zh) | 无叶风扇 | |
JP2004113160A (ja) | Led光源による植物育成装置 | |
KR102504684B1 (ko) | 실내와 실외 겸용 해충퇴치기 | |
CN101697938B (zh) | 温和炙盒 | |
DE102005023463A1 (de) | Therapiegerät zur gezielt lokalen Kurzzeitbehandlung von durch Tröpfcheninfektion übertragener Krankheiten insbesondere von Erkältungen | |
CN206687016U (zh) | 便携式驱蚊器 | |
KR102202663B1 (ko) | 반구형 인서트 모듈을 구비한 신발 살균 건조 장치 | |
CN205514476U (zh) | 一种鞋用清洁保养装置 | |
CN210301723U (zh) | 一种多功能艾灸保健床 | |
CN205569525U (zh) | 一种鼻炎治疗器 | |
CN105832534B (zh) | 一种温控艾灸盒 | |
KR200282648Y1 (ko) | 한방 오행 쑥뜸기 | |
CN209376511U (zh) | 一种灭虫除湿装置 | |
CN209475142U (zh) | 一种多功能艾灸盒 | |
KR101888753B1 (ko) |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 |
CN208741485U (zh) | 一种可以填入中药材的随身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