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20747A -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747A
KR20170120747A KR1020160048883A KR20160048883A KR20170120747A KR 20170120747 A KR20170120747 A KR 20170120747A KR 1020160048883 A KR1020160048883 A KR 1020160048883A KR 20160048883 A KR20160048883 A KR 20160048883A KR 20170120747 A KR20170120747 A KR 2017012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
prediction
picture
present
pix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958B1 (ko
Inventor
임웅
심동규
류호찬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인사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4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958B1/ko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인사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2310522570.6A priority patent/CN116506603A/zh
Priority to CN202310522574.4A priority patent/CN116506604A/zh
Priority to US16/084,105 priority patent/US10694184B2/en
Priority to PCT/KR2017/002578 priority patent/WO2017155334A1/ko
Priority to CN202310522554.7A priority patent/CN116506600A/zh
Priority to CN202310522560.2A priority patent/CN116506602A/zh
Priority to CN201780028323.3A priority patent/CN109155857B/zh
Priority to CN202310522559.XA priority patent/CN116506601A/zh
Publication of KR2017012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747A/ko
Priority to US16/881,786 priority patent/US11438591B2/en
Priority to US17/872,577 priority patent/US11838509B2/en
Priority to KR1020220114757A priority patent/KR102716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958B1/ko
Priority to US18/381,715 priority patent/US12273518B2/en
Priority to KR1020240136441A priority patent/KR20240149871A/ko
Priority to US18/973,688 priority patent/US20250193397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04N19/6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using motion compensated temporal filtering [MCT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압축 영상의 복호화에 있어, 효과적으로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생성하여 화면 내 예측 픽쳐의 성능을 높임으로써 임의접근 픽쳐 및 상기 화면 내 예측 픽쳐를 참조하는 화면 간 예측 픽쳐들의 압축 성능 향상을 통하여 전체적인 비디오 압축 성능을 개선한다.

Description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INTRA PREDICTION FOR HIGH EFFICIENT VIDEO CODING}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해상도/고화질 영상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임의접근 및 화면 예측 성능의 향상을 위한 개선된 화면 내 예측 픽쳐의 효율적인 압축 방법이 중요해졌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효과적으로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는,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함에 있어, 화면 내 예측을 위하여 참조되는 주변 복원신호를 이용하여 복원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여 효율적인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원된 신호 중 화면 내 예측을 위하여 참조되는 범위를 기존에 비해 확장하여 더 많은 복원 화소들을 참조함으로써, 화면 내 예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호화기에서 화면 내 예측 신호의 생성과 참조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화면 내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체 비디오의 압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화면 내 예측 정보를 통하여 화면 내 예측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 내 예측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블록을 위한 참조 가능한 영역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에 따라 참조 화소열의 길이에 따른 방향성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에 따라 좌측 화소열의 길이에 따른 방향성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 중 적용 가능한 방향성 예측의 범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 중 이웃한 복원화소 영역의 신호로부터 미복원 화소영역의 화소 좌표에 따라 복원화소 영역과 동일한 기울기로 화소의 밝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화면 내 예측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 중 이웃한 복원화소 영역의 신호로부터 미복원 화소영역의 화소 좌표에 따라 복원화소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음의 기울기로 화소의 밝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화면 내 예측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 중 이웃한 복원화소 영역의 신호로부터 미복원 화소영역의 화소 좌표에 따라 복원화소 영역과 동일한 기울기로 화소의 밝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화면 내 예측신호를 생성하는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위한 상위 수준 신택스 (High-level syntax) 중 시퀀스 파라미터 셋에 의하여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위한 상위 수준 신택스 (High-level syntax) 중 픽쳐 파라미터 셋에 의하여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위한 상위 수준 신택스 (High-level syntax) 중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에 의하여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 예 및 분리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후술할 복호화 장치(Video Decoding Apparatus)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TV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영상을 복호화하거나 복호화를 위해 화면 간 또는 화면 내 예측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기에 의해 비트스트림(bitstream)으로 부호화된 영상은 실시간 또는 비 실시간으로 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망, 무선랜망, 와이브로망,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거나 케이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송되어 복호화되어 영상으로 복원되고 재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동영상은 일련의 픽쳐(Picture)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픽쳐들은 블록(Block)과 같은 코딩 유닛(coding unit)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기재된 픽쳐라는 용어는 영상(Image), 프레임(Frame) 등과 같은 동등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로 대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화면 내 예측 정보를 통하여 화면 내 예측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 내 예측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스트림 (101)은 엔트로피 복호화부 (102)에서 복호화 되며, 역양자화부 (103), 역변환부 (104)를 통하여 잔차신호가 복원된다. 화면 내 예측부 (106)는 예측신호 생성부 (105)에서 생성된 화면 내 예측을 위한 복원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측신호 생성부 (105)는 화면 내 예측을 위한 복원 신호에 저역통과 필터 (Low-pass filter)가 적용되어 고주파 성분의 일부를 제거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 (107)는 복원 영상 저장부 (109)에 저장된 이전 시간의 복원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 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내 예측 또는 화면 간 예측을 통하여 생성된 예측신호와 상기 잔차신호를 이용하여 복원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원신호는 인루프 필터부 (108)를 통하여 필터가 적용되며, 이후의 픽쳐에서 참조되기 위해 복원 영상 저장부 (109)에 저장될 수 있고, 각 영상들의 출력 순서에 따라 복원 영상 (110)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블록을 위한 참조 가능한 영역을 도시한다.
M×N 크기를 갖는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 (201)의 화면 내 예측을 위하여, 좌상단 참조화소 (202), 상단 참조화소열 (203) 및 좌측 참조화소열 (204)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참조화소열 (203)은 화면 내 예측 블록의 가로길이 N보다 클 수 있으며, 1보다 큰 n에 대하여 (n*N)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좌측 참조화소열 (204)은 화면 내 예측 블록의 세로길이 M보다 클 수 있으며, 1보다 큰 m에 대하여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에 따라 상단 참조 화소열의 길이에 따른 방향성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M×N 크기를 갖는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 (301)의 화면 내 예측을 위하여, 참조 가능한 상단 참조화소열 (302)의 길이가 2N보다 클 경우, 상기 화면 내 예측 블록 (301)에 대한 방향성 화면 내 예측은 상기 방향성 화면 내 예측 각도의 크기가 45도 보다 작은 각도 (303)인 방향성 화면 내 예측 (304)을 사용하여 화면 내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에 따라 좌측 참조 화소열의 길이에 따른 방향성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M×N 크기를 갖는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 (401)의 화면 내 예측을 위하여, 참조 가능한 좌측 참조화소열 (402)의 길이가 2M보다 클 경우, 상기 화면 내 예측 블록 (401)에 대한 방향성 화면 내 예측은 상기 방향성 화면 내 예측 각도의 크기가 315도 보다 큰 각도 (403)인 방향성 화면 내 예측 (404)을 사용하여 화면 내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 중 적용 가능한 방향성 예측의 범위를 도시한다.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에서 적용 가능한 방향성 예측은 예측 범위 1 (501), 예측 범위2 (502), 예측 범위 3 (503)을 포함하는 45도로부터 315도 범위의 방향성 예측 방향의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만일,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의 가로 길이 N에 대하여 상단 참조화소열의 길이가 2N 보다 클 경우, 예측 범위 1 (501), 예측 범위 3 (503), 예측 범위 5(505)에 해당하는 범위 내 하나의 방향성 예측 모드를 통하여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의 세로 길이 M에 대하여 좌측 참조화소열의 길이가 2M보다 클 경우, 예측 범위 1 (501), 예측 범위 2 (502), 예측 범위 4 (504)에 해당하는 범위 내 하나의 방향성 예측 모드를 통하여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참조화소열의 길이에 따른 예측 범위는 참조화소열의 복호화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신택스 요소를 통하여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의 화면 내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예측 범위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 중 이웃한 복원화소 영역의 신호로부터 미복원 화소영역의 화소 좌표에 따라 복원화소 영역과 동일한 기울기로 화소의 밝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화면 내 예측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과 인접한 복원된 주변 블록에 포함되는 복원화소 영역 (601)에 대하여 상기 복원화소 영역과 인접하여 연속되는 미복원화소 영역 (602)이 존재한다면, 상기 복원화소 영역의 시작위치로부터 일정 오프셋 (603)만큼 떨어진 위치의 화소값의 변화량과 상기 미복원화소 영역의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오프셋과 동일한 오프셋 (604)만큼 떨어진 위치의 화소값의 변화량이 동일하도록 예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복원화소 영역 (601)과 새롭게 생성된 상기 미복원화소 영역 (602)의 신호가 화면 내 예측을 위해 참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 중 이웃한 복원화소 영역의 신호로부터 미복원 화소영역의 화소 좌표에 따라 복원화소 영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음의 기울기로 화소의 밝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화면 내 예측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과 인접한 복원된 주변 블록에 포함되는 복원화소 영역 (701)에 대하여 상기 복원화소 영역과 인접하여 연속되는 미복원화소 영역 (702)이 존재한다면, 상기 복원화소 영역의 끝 위치로부터 일정 오프셋 (703)만큼 떨어진 위치의 화소값의 변화량과 상기 미복원화소 영역의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오프셋과 동일한 오프셋 (704)만큼 떨어진 위치의 화소값의 변화량 크기가 동일하며 기울기의 부호가 반대인 예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복원화소 영역 (701)과 새롭게 생성된 상기 미복원화소 영역 (702)의 신호가 화면 내 예측을 위해 참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 중 이웃한 복원화소 영역의 신호로부터 미복원 화소영역의 화소 좌표에 따라 복원화소 영역과 동일한 기울기로 화소의 밝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화면 내 예측신호를 생성하는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현재 화면 내 예측 블록과 인접한 복원된 주변 블록에 포함되는 복원화소 영역 (801)에 대하여 상기 복원화소 영역과 인접하여 연속되는 미복원화소 영역 (802)이 존재한다면, 상기 복원화소 영역의 끝 위치로부터 일정 오프셋 (803)만큼 떨어진 위치의 화소값의 변화량과 상기 미복원화소 영역의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오프셋과 동일한 오프셋 (804)만큼 떨어진 위치의 화소값의 변화량이 동일한 예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복원화소 영역 (801)과 새롭게 생성된 상기 미복원화소 영역 (802)의 신호가 화면 내 예측을 위해 참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위한 상위 수준 신택스 (High-level syntax) 중 시퀀스 파라미터 셋에 의하여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은 압축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는 NAL (Network Abstract Layer) 유닛 중 시퀀스 파라미터 셋 (901) 내에서 상기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의 적용 가능 여부를 'seq_model_intra_enabled_flag"의 1 비트 플래그 (902)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해당 플래그의 값이 참일 경우,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 셋을 참조하는 픽쳐들은 상기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사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위한 상위 수준 신택스 (High-level syntax) 중 픽쳐 파라미터 셋에 의하여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은 압축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는 NAL (Network Abstract Layer) 유닛 중 픽쳐 파라미터 셋 (1001) 내에서 상기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의 적용 가능 여부를 'pic_model_intra_enabled_flag'의 1 비트 플래그 (1002)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해당 플래그의 값이 참일 경우, 상기 픽쳐 파라미터 셋을 참조하는 슬라이스들은 상기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사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쳐 파라미터 셋 내에서 전송되는 'pic_model_intra_enabled_flag' 값이 참일 경우, 상기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이 픽쳐 내에서 허용되는 모든 크기의 화면 내 예측 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pic_model_intra_all_blk_sizes_flag'의 1비트 플래그 (1003)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pic_model_intra_enabled_flag가 참이고, 상기 pic_model_intra_all_blk_sizes_flag가 거짓일 경우, 현재 픽쳐 내에 포함된 화면 내 예측 블록들 중, 상기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의 최소 크기와 최대 크기를 밑이 2인 log 값인 min_log2_model_intra_blk_size (1004)와 max_log2_model_intra_blk_size (1005)를 지수골롬 코드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위한 상위 수준 신택스 (High-level syntax) 중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에 의하여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수행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은 압축 비트스트림 내에 존재하는 NAL (Network Abstract Layer) 유닛 중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1101) 내에서 상기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의 적용 가능 여부를 slice_model_intra_enabled_flag의 1 비트 플래그 (1102)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해당 플래그의 값이 참일 경우,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를 참조하는 블록들은 상기 제안하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사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다.

Claims (1)

  1. 비디오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영상의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비트스트림 수신부;
    상기 수신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수신된 비트스트림의 복호화를 위한 화면 내 예측신호 생성부 및 화면 내 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KR1020160048883A 2016-03-11 2016-04-21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443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83A KR102443958B1 (ko) 2016-04-21 2016-04-21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CN202310522574.4A CN116506604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US16/084,105 US10694184B2 (en) 2016-03-11 2017-03-09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PCT/KR2017/002578 WO2017155334A1 (ko) 2016-03-11 2017-03-09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CN202310522554.7A CN116506600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2310522560.2A CN116506602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1780028323.3A CN109155857B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2310522559.XA CN116506601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2310522570.6A CN116506603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US16/881,786 US11438591B2 (en) 2016-03-11 2020-05-22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17/872,577 US11838509B2 (en) 2016-03-11 2022-07-25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220114757A KR102716857B1 (ko) 2016-04-21 2022-09-13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US18/381,715 US12273518B2 (en) 2016-03-11 2023-10-19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240136441A KR20240149871A (ko) 2016-04-21 2024-10-08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US18/973,688 US20250193397A1 (en) 2016-03-11 2024-12-09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83A KR102443958B1 (ko) 2016-04-21 2016-04-21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757A Division KR102716857B1 (ko) 2016-04-21 2022-09-13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747A true KR20170120747A (ko) 2017-11-01
KR102443958B1 KR102443958B1 (ko) 2022-09-19

Family

ID=6038274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883A Active KR102443958B1 (ko) 2016-03-11 2016-04-21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0220114757A Active KR102716857B1 (ko) 2016-04-21 2022-09-13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0240136441A Pending KR20240149871A (ko) 2016-04-21 2024-10-08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757A Active KR102716857B1 (ko) 2016-04-21 2022-09-13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0240136441A Pending KR20240149871A (ko) 2016-04-21 2024-10-08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43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895A1 (ko) 2010-12-13 2012-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6145B1 (ko) * 2010-12-13 2020-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3958B1 (ko) * 2016-04-21 2022-09-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CN116506602A (zh) 2016-03-11 2023-07-28 数字洞察力有限公司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72B1 (ko) * 2008-03-10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장치 및 영상 복호화장치
KR20140140658A (ko) * 2013-05-28 2014-12-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추가적 예측 후보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95604A (ko) * 2015-08-03 2015-08-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인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564563B1 (ko) * 2014-05-07 2015-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958B1 (ko) * 2016-04-21 2022-09-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72B1 (ko) * 2008-03-10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장치 및 영상 복호화장치
KR20140140658A (ko) * 2013-05-28 2014-12-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추가적 예측 후보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1564563B1 (ko) * 2014-05-07 2015-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95604A (ko) * 2015-08-03 2015-08-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인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958B1 (ko) 2022-09-19
KR102716857B1 (ko) 2024-10-16
KR20240149871A (ko) 2024-10-15
KR20220128975A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074B2 (ja) 映像復号化方法及び装置
KR102271143B1 (ko) 스킵 모드를 이용한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JP5280530B2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のための時間圧縮での断片化参照
KR102716857B1 (ko)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1377528B1 (ko)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4786019B (zh) 图像预测方法、编码器、解码器以及存储介质
US119244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block division information in image codec for security camera
JP2015019152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09473A (ko)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190238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intra prediction mode information of square or rectangular block
US202200607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blocking filtering
KR20170125154A (ko) 곡선 화면 내 예측을 사용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81240A (ko) 무손실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110051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ata
CN116760976B (zh) 仿射预测决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629999B1 (ko) 무손실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31463B1 (ko) 무손실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70133026A (ko) 정방형 또는 직방형 블록 분할을 사용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80057788A (ko) 장면 전환에 따른 주관적 율 제어 방법 및 부호화 장치
KR102469039B1 (ko) 전방향 카메라에서 효과적인 영상 패딩 방법 및 장치
CN117413520A (zh) 大面积的空间光照补偿
KR20120138430A (ko) 계층적인 화면 내 예측 모드의 부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32598A (ko) 스크린 콘텐츠 코딩을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70113947A (ko) 글로벌 움직임 보상 방법 및 장치
KR20180064411A (ko) Hdr 양자화 혹은 마스킹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6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9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