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704A - 제어된 브레이크다운 중에 레이저 조사에 의해 멤브레인 상의 나노 기공 제조를 국부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된 브레이크다운 중에 레이저 조사에 의해 멤브레인 상의 나노 기공 제조를 국부화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9704A KR20170119704A KR1020177026722A KR20177026722A KR20170119704A KR 20170119704 A KR20170119704 A KR 20170119704A KR 1020177026722 A KR1020177026722 A KR 1020177026722A KR 20177026722 A KR20177026722 A KR 20177026722A KR 20170119704 A KR20170119704 A KR 201701197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rane
- laser beam
- current
- potential
- reservoi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3 nano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GRRMZXFOOGQMFA-UHFFFAOYSA-J YoYo-1 Chemical compound [I-].[I-].[I-].[I-].C12=CC=CC=C2C(C=C2N(C3=CC=CC=C3O2)C)=CC=[N+]1CCC[N+](C)(C)CCC[N+](C)(C)CCC[N+](C1=CC=CC=C11)=CC=C1C=C1N(C)C2=CC=CC=C2O1 GRRMZXFOOGQMFA-UHFFFAOYSA-J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0 fluorescent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2 B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ZNSFCLAULLKQX-UHFFFAOYSA-N Bor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B PZNSFCLAULLK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5 copper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RUVKPQLZAKDPS-UHFFFAOYSA-L copper(II) sulfate Chemical compound [Cu+2].[O-][S+2]([O-])([O-])[O-] ARUVKPQLZAKDPS-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0 electromagnetic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HMNJMPURVTYEJ-UHFFFAOYSA-N fluorescein-5-iso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O1C(=O)C2=CC(N=C=S)=CC=C2C21C1=CC=C(O)C=C1OC1=CC(O)=CC=C21 MHMNJMPURVTY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73 fluorescence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99 fluorescence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4 free electr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7 ir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79 optical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6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02—Etc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3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elimination of segments of the precursor, e.g. nucleation-track membranes, lithography or laser meth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39—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53—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6—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elimination of segments of the precursor, e.g. nucleation-track membranes, lithography or laser meth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 B01D71/0211—Graphene or derivat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5—Silicon carb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ycarb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23K26/382—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23K26/382—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 B23K26/384—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of specially shaped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1/00—Devices without movable or flexible elements, e.g. microcapillary devices
- B81B1/002—Hol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in either longitudinal or sectional plane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2—Electrical eff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4—Use of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5—Use of magnetic or electrical fie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2—1-10 n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6—Electr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개시의 레이저 강화된 제어된 브레이크다운 기술을 사용하여 나노 기공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셋업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셋업에서 유체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레이저 강화된 제어된 브레이크다운 기술을 사용하여 나노 기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수의 멤브레인 재료 및 멤브레인 상에 조사될 광선의 관련 파장을 나열한 표이다.
도 5a 및 도 5b는 광선의 스폿 크기를 나타내는 디지털 이미지이다.
도 6은 SiN 멤브레인을 통한 누설 전류에 대한 영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레이저 강화된 제어된 브레이크다운 기술을 사용한 나노 기공 제조를 도시하는 광학 이미지이다.
대응하는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서 대응하는 부품을 가리킨다.
Claims (35)
-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는 멤브레인에서 특정 위치에 나노 기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멤브레인에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인가하면서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에서 멤브레인의 유전체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멤브레인을 가로질러 인가되는 동안에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멤브레인을 가로질러 인가되는 동안에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특성의 급격한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특성의 급격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멤브레인으로부터 전위 또는 전류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유전체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레이저 빔을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 상으로 지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특성의 급격한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로부터 레이저 빔을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는 레이저 빔이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 상으로 지향된 후에 인가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은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인가된 후에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 상으로 지향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상의 제2 위치 상으로 레이저 빔을 지향시켜 멤브레인에 제2 나노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는 특정 위치와 상이한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에 전위가 인가되는 경우, 모니터링되는 전기적 특성은 누설 전류이고, 전기적 특성의 급격한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누설 전류의 급격한 증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급격한 증가를 검출하는 단계는 누설 전류의 변화율을 결정하고 변화율을 문턱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위는 누설 전류의 변화율이 문턱값보다 클 때에 제거됨으로써, 나노 기공의 제조를 중단시키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급격한 증가를 검출하는 단계는 누설 전류의 값을 문턱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위는 누설 전류의 값이 문턱값보다 클 때에 제거됨으로써, 나노 기공의 제조를 중단시키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모니터링되는 전기적 특성은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압이고, 전기적 특성의 급격한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압의 급격한 감소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이 2개의 저장조를 분리시켜 유체가 2개의 저장조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온을 함유한 유체가 채워진 2개의 저장조 사이에 멤브레인을 배치하는 단계;
각각의 2개의 저장조 내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전극을 사용하여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이 2개의 저장조를 분리시켜 유체가 2개의 저장조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온을 함유한 유체가 채워진 2개의 저장조 사이에 멤브레인을 배치하는 단계;
멤브레인과 직접 접촉하게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전극을 사용하여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멤브레인의 특정 위치에 나노 기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에서 멤브레인의 표면 상에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지향시키는 단계로서, 멤브레인은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는 것인 단계;
멤브레인에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멤브레인에 인가되고 레이저 빔이 특정 위치에 지향되는 동안에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전기적 특성은 전압 또는 누설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값을 문턱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문턱값을 초과하는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값에 응답하여 멤브레인에 인가되는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제거하고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로부터 레이저 빔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재료 조성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의 파장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는 레이저 빔이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 상으로 지향된 후에 인가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은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인가된 후에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 상으로 지향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전위가 멤브레인에 인가될 때에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누설 전류를 포함하고,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누설 전류의 변화율을 결정하고 변화율을 값으로서 문턱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전위와 레이저 빔은 누설 전류의 변화율이 문턱값보다 클 때에 제거됨으로써, 나노 기공의 제조를 중단시키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전위가 멤브레인에 인가될 때에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누설 전류를 포함하고, 전위와 레이저 빔은 누설 전류의 값이 문턱값보다 클 때에 제거됨으로써, 나노 기공의 제조를 중단시키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전류가 멤브레인에 인가될 때에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압을 포함하고, 전류와 레이저 빔은 전압의 값이 문턱값보다 작을 때에 제거됨으로써, 나노 기공의 제조를 중단시키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이 2개의 저장조를 분리시켜 유체가 2개의 저장조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온을 함유한 유체가 채워진 2개의 저장조 사이에 멤브레인을 배치하는 단계;
각각의 2개의 저장조 내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전극을 사용하여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이 2개의 저장조를 분리시켜 유체가 2개의 저장조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온을 함유한 유체가 채워진 2개의 저장조 사이에 멤브레인을 배치하는 단계;
멤브레인과 직접 접촉하게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전극을 사용하여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멤브레인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복수 개의 나노 기공을 형성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위치 각각에서, 레이저 빔이 멤브레인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의 멤브레인의 표면 상으로 지향되고,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멤브레인에 인가되며,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특성은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멤브레인에 인가되고 레이저 빔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지향되는 동안에 측정되며, 측정된 전기적 특성은 문턱값과 비교되고,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와 레이저 빔은 문턱값을 초과하는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값에 응답하여 제거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 지향시키는 단계는,
상기 레이저 빔의 광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멤브레인과 레이저 빔 사이의 위치 정렬을 제어하는 단계, 및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에서 멤브레인의 표면을 향해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광원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 지향시키는 단계는,
상기 멤브레인의 위치를 광원에 대해 조정함으로써 멤브레인과 레이저 빔 사이의 위치 정렬을 제어하는 단계, 및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에서 멤브레인의 표면을 향해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광원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방법. -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는 멤브레인에 나노 기공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2개의 저장조, 적어도 2개의 전극, 및 홀더를 포함하는 유체 장치로서,
상기 저장조는 이온을 함유하는 유체를 유지하고, 멤브레인은 2개의 저장조를 분리시켜 유체가 2개의 저장조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극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멤브레인에 인가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는 2개의 저장조로부터 유체 내에 침지된 멤브레인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멤브레인에 광학적 접근을 제공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 장치;
상기 홀더의 윈도우를 통과하고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를 향해 지향되는 포커싱된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광학 장치로서, 포커싱된 레이저 빔은 상기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전극에 의해 멤브레인에 인가될 때에 멤브레인의 특정 위치를 조사하는 것인 광학 장치;
상기 전극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센서로서,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전압과 누설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접속된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급격한 변화를 검출하고, 측정된 전기적 특성의 급격한 변화의 검출에 응답하여, 멤브레인에 인가된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제거하며 포커싱된 레이저 빔을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로부터 제거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된 레이저 빔의 파장은 멤브레인의 유전체 재료의 재료 조성을 기초로 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는 도립형 광학 현미경(inverted optical microscope)인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이 2개의 저장조 각각에 배치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은 멤브레인과 직접 접촉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전류를 멤브레인에 인가하고,
센서는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전압을 전기적 특성으로서 측정하며,
제어기는 측정된 전압을 문턱값과 비교하고 문턱값보다 작은 전압에 응답하여 멤브레인에 인가된 전류 및 포커싱된 레이저 빔을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로부터 제거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전위를 멤브레인에 인가하고,
센서는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누설 전류를 전기적 특성으로서 측정하며,
제어기는 측정된 누설 전류를 문턱값과 비교하고 문턱값보다 큰 측정된 누설 전류에 응답하여 멤브레인에 인가된 전위 및 포커싱된 레이저 빔을 멤브레인 상의 특정 위치로부터 제거하는 것인 나노 기공의 제조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멤브레인에서 나노 기공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멤브레인에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가 인가되는 동안에 멤브레인의 나노 기공 상으로 레이저 빔을 지향시키는 단계;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누설 전류를 기초로 하여 나노 기공의 크기 증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나노 기공의 크기 증가의 검출에 응답하여 멤브레인에 인가되는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복수 개의 나노 기공을 포함하고 레이저 빔은 제1 나노 기공 상으로 지향되는 것인 나노 기공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 제2 나노 기공 상으로 지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이 2개의 저장조를 분리시켜 유체가 2개의 저장조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온을 함유한 유체가 채워진 2개의 저장조 사이에 멤브레인을 배치하는 단계;
각각의 2개의 저장조 내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전극을 사용하여 전위 또는 전류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노 기공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120054P | 2015-02-24 | 2015-02-24 | |
US62/120,054 | 2015-02-24 | ||
PCT/IB2016/051017 WO2016135656A1 (en) | 2015-02-24 | 2016-02-24 | Localizing nanopore fabrication on a membrane by laser illumination during controlled breakdow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704A true KR20170119704A (ko) | 2017-10-27 |
KR102444998B1 KR102444998B1 (ko) | 2022-09-19 |
Family
ID=5678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6722A Active KR102444998B1 (ko) | 2015-02-24 | 2016-02-24 | 제어된 브레이크다운 중에 레이저 조사에 의해 멤브레인 상의 나노 기공 제조를 국부화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10753009B2 (ko) |
EP (1) | EP3261753B1 (ko) |
JP (1) | JP7071825B2 (ko) |
KR (1) | KR102444998B1 (ko) |
CN (1) | CN107530638B (ko) |
AU (1) | AU2016224950B2 (ko) |
BR (1) | BR112017018197A2 (ko) |
CA (1) | CA2976313C (ko) |
ES (1) | ES2804175T3 (ko) |
MX (1) | MX392389B (ko) |
SG (1) | SG11201706587TA (ko) |
WO (1) | WO20161356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269706B1 (en) * | 2017-03-31 | 2025-04-01 | Nielson Scient Llc | 3D semiconductor fabrication |
CA3053587A1 (en) * | 2017-05-17 | 2018-11-22 | The Royal Institu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 / Mcgill University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nanopore in a membrane using an electric field applied via a conductive tip |
US11073764B2 (en) * | 2018-03-29 | 2021-07-27 | Northeastern University | Nanoscale etching of light absorbing materials using light and an electron donor solvent |
EP3598133B1 (en) | 2018-04-06 | 2021-02-17 | Northeastern University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quantifying species with nanopores, using complexes of nanoparticles with carrier particles |
US11454624B2 (en) | 2018-09-28 | 2022-09-27 | Ofer Wilner | Nanopore technologies |
CN109632899B (zh) * | 2018-11-02 | 2021-03-30 | 广东工业大学 | 一种精确可控的纳米孔制造方法 |
EP3947730A4 (en) * | 2019-03-25 | 2023-02-08 |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imited | Nanopore fabrication |
US12168265B2 (en) | 2019-03-25 | 2024-12-17 |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imited | Nanopore fabrication |
CN110120248B (zh) * | 2019-04-08 | 2020-12-25 |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 模拟纳米晶金属累积离位损伤的方法 |
US11703476B2 (en) | 2019-10-28 | 2023-07-18 | Northeastern University |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 molecule |
WO2021260587A1 (en) * | 2020-06-23 | 2021-12-30 | The University Of Ottawa | Improved techniques for nanopore enlargement and formation |
JP7440375B2 (ja) | 2020-08-19 | 2024-02-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孔形成方法及び孔形成装置 |
JP7543174B2 (ja) * | 2021-03-03 | 2024-09-0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ポア形成方法、およびポア形成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1896A (ko) * | 2009-06-29 | 2011-01-06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표면 전하 조절된 나노채널에 기초한 나노유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
KR20120069720A (ko) * | 2009-09-18 | 2012-06-28 |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 고감도 분자 탐지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나노공극을 가지는 베어, 단일층 그래핀 멤브레인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92025A (ja) * | 1986-10-06 | 1988-04-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導電性材料加工装置 |
JPH0674899B2 (ja) * | 1987-07-20 | 1994-09-21 | リンナイ株式会社 | 厨房家具 |
JPH0674899A (ja) * | 1992-08-31 | 1994-03-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試料表面の測定方法と装置及び試料表面の微細加工方法と装置 |
JP2004148458A (ja) * | 2002-10-31 | 2004-05-27 | Sony Corp | 微細加工装置および微細加工方法 |
WO2005017025A2 (en) | 2003-08-15 | 2005-02-24 |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 Study of polymer molecules and conformations with a nanopore |
EP1721657A1 (en) * | 2005-05-13 | 2006-11-15 | SONY DEUTSCHLAND GmbH | A method of fabricating a polymer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pore |
EP3923352A1 (en) * | 2010-01-27 | 2021-12-15 | Yale University, Inc. | Conductivity based selective etch for gan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
US9422154B2 (en) * | 2010-11-02 | 2016-08-2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Feedback control of dimensions in nanopore and nanofluidic devices |
EP2564999A1 (en) * | 2011-08-31 | 2013-03-06 | Asahi Glass Company, Limited | A method of generating a high quality hole or recess or well in a substrate |
BR112014027873B8 (pt) | 2012-05-07 | 2021-11-03 | Univ Ottawa | Método para controlar o tamanho de nanoporos de estado sólido |
US10613076B2 (en) * | 2013-03-14 | 2020-04-07 | The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 Optoelectronic control of solid-state nanopores |
US9656293B2 (en) * | 2013-03-15 | 2017-05-23 |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 Fabrication of nanopores in atomically-thin membranes by ultra-short electrical pulsing |
US9046511B2 (en) | 2013-04-18 | 2015-06-0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Fabrication of tunneling junction for nanopore DNA sequencing |
JP6209122B2 (ja) * | 2014-04-02 | 2017-10-04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孔形成方法及び測定装置 |
-
2016
- 2016-02-24 ES ES16754845T patent/ES2804175T3/es active Active
- 2016-02-24 US US15/552,534 patent/US10753009B2/en active Active
- 2016-02-24 KR KR1020177026722A patent/KR102444998B1/ko active Active
- 2016-02-24 BR BR112017018197A patent/BR112017018197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2-24 SG SG11201706587TA patent/SG11201706587TA/en unknown
- 2016-02-24 MX MX2017010824A patent/MX392389B/es unknown
- 2016-02-24 AU AU2016224950A patent/AU2016224950B2/en not_active Ceased
- 2016-02-24 CN CN201680022823.1A patent/CN10753063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2-24 EP EP16754845.2A patent/EP3261753B1/en active Active
- 2016-02-24 WO PCT/IB2016/051017 patent/WO201613565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2-24 CA CA2976313A patent/CA2976313C/en active Active
- 2016-02-24 JP JP2017544630A patent/JP7071825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1896A (ko) * | 2009-06-29 | 2011-01-06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표면 전하 조절된 나노채널에 기초한 나노유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
KR20120069720A (ko) * | 2009-09-18 | 2012-06-28 |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 고감도 분자 탐지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나노공극을 가지는 베어, 단일층 그래핀 멤브레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976313C (en) | 2024-01-16 |
US10753009B2 (en) | 2020-08-25 |
BR112017018197A2 (pt) | 2018-04-10 |
AU2016224950A1 (en) | 2017-09-14 |
CN107530638A (zh) | 2018-01-02 |
CA2976313A1 (en) | 2016-09-01 |
EP3261753B1 (en) | 2020-04-08 |
EP3261753A4 (en) | 2018-10-10 |
AU2016224950B2 (en) | 2021-01-28 |
SG11201706587TA (en) | 2017-09-28 |
ES2804175T3 (es) | 2021-02-04 |
WO2016135656A1 (en) | 2016-09-01 |
US20180043310A1 (en) | 2018-02-15 |
CN107530638B (zh) | 2021-03-09 |
KR102444998B1 (ko) | 2022-09-19 |
MX392389B (es) | 2025-03-24 |
MX2017010824A (es) | 2018-05-28 |
EP3261753A1 (en) | 2018-01-03 |
JP7071825B2 (ja) | 2022-05-19 |
JP2018513774A (ja) | 2018-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4998B1 (ko) | 제어된 브레이크다운 중에 레이저 조사에 의해 멤브레인 상의 나노 기공 제조를 국부화하는 방법 | |
JP6209122B2 (ja) | 孔形成方法及び測定装置 | |
KR20150040799A (ko) | 높은 전기장을 이용한 나노포어의 형성 방법 | |
WO2012165400A1 (ja) | 生体ポリマーの光学的解析装置及び方法 | |
EP286169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electric fields, ion exchange, and ph using spectral shift in diamond color centers | |
JP2015197385A5 (ko) | ||
WO2009022152A1 (en) | Single molecule spectroscopy using nanoporous membranes | |
CN105368938A (zh) | 一种基于电击穿在氮化硅薄膜上精确制备纳米孔的方法 | |
US11796531B2 (en) | Light-enhancing plasmonic nanowell-nanopore biosensor and use thereof | |
US2015036156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current | |
Tang et al. | On stochastic reduction in laser-assisted dielectric breakdown for programmable nanopore fabrication | |
US2012008041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laser pattern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 |
TW201515381A (zh) | 光電轉換元件評價裝置 | |
WO2021260587A1 (en) | Improved techniques for nanopore enlargement and formation | |
US9128117B2 (en) | Laser-enhanced chemical etching of nanotips | |
CN110208305A (zh) | 一种阴极荧光测量深度分辨的装置及方法 | |
JP7376369B2 (ja) | 半導体素子の検査装置 | |
FI20175623A1 (en) | A method and devices for adaptive measuring of electrochemiluminescence | |
US12168265B2 (en) | Nanopore fabrication | |
KR20120067840A (ko) | 유해 물질 검출 센서 칩 | |
US20100068799A1 (en) | Organic substance detec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e method | |
JP4956729B2 (ja) | 放電加工方法および放電加工装置 | |
CN117704962A (zh) | 一种原位测量超快扫描电子显微镜系统中泵浦光斑的方法 | |
Hong | High-Precision Fabrication of Single-Crystal Silicon Nanopores with Extremely Small Feature Sizes | |
CN119666752A (zh) | 一种基于双光子激发的载流子三维扩散显微成像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9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