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625A -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 Google Patents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8625A KR20170118625A KR1020170054953A KR20170054953A KR20170118625A KR 20170118625 A KR20170118625 A KR 20170118625A KR 1020170054953 A KR1020170054953 A KR 1020170054953A KR 20170054953 A KR20170054953 A KR 20170054953A KR 20170118625 A KR20170118625 A KR 201701186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molding
- fastening bar
- cross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46 3D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62 replic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그리고, 본 발명의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의 제작 방법은 특정 조형물의 형상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스캔단계, 이미지를 분석하여 삼차원 형상정보를 도출하는 모델획득단계, 삼차원 형상정보에 의한 형상을 상하로 관통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넓이가 넓어지는 결합구를 설정하는 결합구설정단계, 결합구가 설정된 삼차원 형상정보를 가로방향으로 경계를 설정하여 복수 개의 조형블록으로 나누는 가로분할단계, 각각의 조형블록 및 지주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및 지주의 직경이 넓은 일단을 바닥에 고정하고 각각의 조형블록을 지주가 관통되도록 적층하여 결합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의 블록편 및 체결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의 블록편이 체결바로 체결되어 조형블록을 형상한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의 블록편이 체결프레임으로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의 고정바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이 다수 개의 지주가 결합하여 하나의 조형물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3: 레이어
5: 서포터
10: 조형물
100: 지주
200: 조형블록 210: 블록편
212: 체결구 214: 체결바
215: 교차홈 216: 단턱
218: 체결프레임 220: 결합구
230: 고정바 232: 고정구
Claims (4)
- 일단이 바닥과 접하여 지지되고 타단이 상부로 길게 형성되는 지주;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편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블록편은 관통형성 되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홀수 개의 모서리를 지닌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체결구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에 직선형상의 체결바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주가 관통되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지주에 관통되어 적층되는 조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편은 상부를 가로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상부체결구; 및
상기 상부체결구와 교차되고, 하부를 가로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하부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는 내측면이 상기 지주의 외측면과 접하는 조립식 조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부로 갈수록 개방부의 넓이가 감소하는 조립식 조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횡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지주의 횡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조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결바 및 상기 하부체결바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어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체결구 및 상기 하부체결구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체결바 또는 상기 하부체결바는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교차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결바 및 상기 하부체결바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중첩되는 조립식 조형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4953A KR20170118625A (ko) | 2017-04-28 | 2017-04-28 |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4953A KR20170118625A (ko) | 2017-04-28 | 2017-04-28 |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5894A Division KR101765686B1 (ko) | 2016-04-15 | 2016-04-15 |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및 그 제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8625A true KR20170118625A (ko) | 2017-10-25 |
Family
ID=6030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4953A Ceased KR20170118625A (ko) | 2017-04-28 | 2017-04-28 |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18625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041B1 (ko) * | 2018-02-27 | 2019-09-18 | 주식회사 대오비전 | 3d 프린터를 이용한 블록 결합 구조의 선박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064647A (ko) * | 2019-11-26 | 2021-06-03 | 한창관 | 삼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조형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형물 |
KR20220107515A (ko) * | 2021-01-25 | 2022-08-02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층 방식의 문화재 구조물 |
-
2017
- 2017-04-28 KR KR1020170054953A patent/KR20170118625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041B1 (ko) * | 2018-02-27 | 2019-09-18 | 주식회사 대오비전 | 3d 프린터를 이용한 블록 결합 구조의 선박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064647A (ko) * | 2019-11-26 | 2021-06-03 | 한창관 | 삼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조형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형물 |
KR20220107515A (ko) * | 2021-01-25 | 2022-08-02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층 방식의 문화재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5686B1 (ko) |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및 그 제작 방법 | |
KR20170118625A (ko) |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 |
KR101765688B1 (ko) |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 |
JP2005187001A (ja) | ペットボトル連結具 | |
WO2017163740A1 (ja) | 組木、それを利用した組立体及び家具 | |
US20250018311A1 (en) | Assemblable toy frame | |
KR200441034Y1 (ko) | 조립 블럭 | |
KR101721961B1 (ko) | 삼차원 조립식 퍼즐 조형물 | |
US6993879B1 (en) | Molded plastic truss work | |
JP6695212B2 (ja) | 椅子の連結ブロック | |
JP3226098U (ja) | ビーズ保持トレイ及びビーズ玩具セット | |
KR101825874B1 (ko) | 학습 및 인테리어용 입체모형의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퍼즐식 입체모형 | |
JP6979689B2 (ja) | キャットタワー | |
KR200464964Y1 (ko) | 조립식 액자 | |
KR20070000067U (ko) | 조립 블럭 | |
KR101870319B1 (ko) | 트리 키트 | |
JPS6026750A (ja) | 三次元網状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 |
KR101556634B1 (ko) |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 | |
KR102121913B1 (ko) | Diy 인테리어 제품 | |
EA049508B1 (ru) | Люфт-сетка | |
JP2013167101A (ja) | Vカット工法による框組風フラッシュ建具の製造方法 | |
TWM507454U (zh) | 門板 | |
JP2016044444A (ja) | デッキ構造 | |
KR100751067B1 (ko) | 침대 프레임용 기둥 | |
JP6608718B2 (ja) | 什器の仕口構成体および什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41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4589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3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