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16582A - 안료 혼합물 - Google Patents

안료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582A
KR20170116582A KR1020170045854A KR20170045854A KR20170116582A KR 20170116582 A KR20170116582 A KR 20170116582A KR 1020170045854 A KR1020170045854 A KR 1020170045854A KR 20170045854 A KR20170045854 A KR 20170045854A KR 20170116582 A KR20170116582 A KR 20170116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ixture
component
base mixture
pig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카스 함
니콜레 하퍼코른
마리타 제켈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1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58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06Coating of the granules without description of the process or the device by which the granules are obta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4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 C09C1/003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absorbing layer
    • C09C1/0039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absorbing lay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coloured 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51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low and high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low refractive index
    • C09C1/0057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low and high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low refractive index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absorb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81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05Compounds of aluminium containing combined silica, e.g. m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4Physical treatment, e.g. grinding, treatment with ultrasonic vibrations
    • C09C3/043Drying, calc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9C3/063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6Pearl essence, e.g. coatings containing platelet-like pigments for pearl lustre
    • C09D7/12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15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colour of th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23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specially adapted for c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zed by the colour of th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40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17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oating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01P2004/34Spheres hol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4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 C09C1/0027One lay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sub-stoichiometric inorganic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51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low and high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low refractive index
    • C09C1/0054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low and high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low refractive index one lay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sub-stoichiometric inorganic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09C1/24Oxide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09C1/26Iron b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09C1/30Silicic acid
    • C09C1/3045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9C1/305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4Compounds of chromium
    • C09C1/346Chromium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09C1/3653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9C1/3661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20/00Methods of preparing the interference pigments
    • C09C2220/10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 C09C2220/103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comprising a drying or calcination step after applying each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sme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분 A가 하나 이상의 무기 층 및/또는 유기 층으로 커버링된 플레이크형 및 구형 기재의 혼합물이고, 성분 B가 금속 옥사이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금속 옥시할라이드, 베를린 블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입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성분 A 및 B를 기반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및 페인트, 코팅, 인쇄 잉크, 보안 인쇄 잉크, 플라스틱, 세라믹 물질, 유리 또는 화장품용 제형에서, 트레이서 또는 충전제로서, 또는 안료 제제 또는 무수 제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안료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료 혼합물{PIGMENT MIXTURE}
본 발명은 3개의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및 페인트, 코팅, 인쇄 잉크, 보안 인쇄 잉크, 플라스틱, 세라믹 물질, 유리 또는 화장품용 제형에서, 트레이서 또는 충전제로서, 또는 안료 제제 또는 무수 제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안료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무광 흡수성 안료는 제형의 매스 톤(mass tone)을 수득하기 위해 화장품용 제형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화장품용 제형에 혼입되기 위하여 복잡한 방식으로 사전-분산되어야 한다. 무광 흡수성 안료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종종 화장품용 제형에서 둔하고 분필 같은 효과를 갖고, 이는 피부가 건조한 외관을 취함을 의미한다.
충전제는 안료의 특정 형태로 여겨질 수 있다. 충전제의 경우, "착색" 기능이 가장 중요하지는 않다. 대신에, 산업용 충전제의 경우, 피부 감촉의 개선, 기계적 안정, 내마모성, 내후성 또는 생산비의 증가와 같은 인자가 충전제의 사용을 위해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SiO2 구체를 기반으로 하는 충전제는 비교적 양호한 피부 감촉을 나타내지만, 매우 높은 산란 능력을 갖는 단점을 갖는다. 이의 원인은 구형 충전제의 금속-옥사이드 층의 구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기능성 안료는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입자로 이루어지고, 즉 0.5 내지 100 nm의 입자 크기를 갖고, 이는 담체 구체의 표면을 균일한 배열로 커버링(covering)한다. 광은 층 표면에서 반사되어 광택을 야기한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개별 입자가 층 상에 형성되고 산란의 강력한 중심으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당한 정도의 산란이 발생한다. 이러한 2개의 반대 효과(광택 및 산란)의 결과로서, 안료는 피부 상에 백색 및 비정상적인 외관을 갖는다.
또한, 통상적인 충전제는 일반적으로 무색이거나 엷은 색이고 매우 불투명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충전제가 흡수성 안료 및/또는 효과 안료를 또한 포함하는 시스템에 첨가되는 경우, 충전제는 효과에 영향을 주고, 또한 착색력 및 은폐력(hiding power)을 감소시킨다.
또한, 충전제는 화장품용 제형에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파우더는 최종 제형을 기준으로 50% 이하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값은 립스틱에서 10 내지 15%의 충전제, 에멀젼에서 2 내지 6%의 충전제이다. 화장품용 충전제는 완전히 상이한 기능을 실현한다: 파운데이션에서, 소위 소광 효과(matting effect)로 인한 피부 상의 바람직하지 않은 기름진 광택을 예방하는 반면, 파우더에서, 예를 들어 피부에 대한 푸어링(pouring) 거동 또는 적용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돕는다. 방취제 제품에서, 일부 충전제의 높은 액체 흡수능이 사용된다.
착색될 시스템에서의 사용 이전에, 화장품용 충전제 또는 안료는 용이한 분산 및 재현가능한 색상을 용이하게 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최종 생성물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안료의 전처리, 예를 들어 연삭(grinding)은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젖을 때 안료의 색상이 변하는 것이 단점이다. 화장품용 제형을 위해, 안료는 종래의 흡수성 안료가 단지 작은 정도로 나타내는 양호한 피부 감촉을 추가적으로 가져야 한다.
한편으로 인간 피부 상에 자연스런 외관을 부여하고 다른 한편으로 주름을 덜 보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구형 입자, 특히 SiO2 구체를 기반으로 하는 충전제가 점점 더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착색 층으로 커버링된 무기 구형 충전제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제62-288662호, 제11-139926호, 제11-335240호 및 독일특허공개 제199 29 109호에 공지되어 있다.
국제특허공개 제00/15720호 및 유럽특허공개 제2826822 A1호는 구형 SiO2 입자 및/또는 플레이크형 기재를 기반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을 개시한다.
국제특허공개 제99/66883호는 금속 옥사이드, 예컨대 티타늄 옥사이드, 철 옥사이드 또는 아연 옥사이드로 코팅되고 최종 SiO2 층을 갖는 SiO2 구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팅된 SiO2 구체는 화장품용 제형에 간섭 안료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흡수성 안료(예를 들어, 철 옥사이드 안료)는 종종 화장품용 제형에서의 불량한 분산성, 피부의 건조하고 둔한 외관을 나타내고/내거나 만족스럽지 못한 피부 감촉을 야기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충전제가 종종 사용하되거나, 철 옥사이드 안료를 화장품용 제형에 분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전처리를 하는데, 이는 시간 및 비용의 소비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피부 감촉 이외에, 화장품용 제형 내의 양호한 분산성, 화학적 및 광화학적 안정성 및 피부에 부합되는 순수한 색 및 높은 은폐력을 동시에 가지고 상기 단점을 갖지 않는 기능적이고 균질한 안료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순수한 파우더, 크림, 에멀젼, 파운데이션 등으로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안료 혼합물은 피부의 부드럽고 균일하고 자연적인 외관을 나타내야 한다. 또한, 안료가 특히 액체 및 페이스트 제형의 견고성의 경미한 증가를 부여하는 것 및 제형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장품용 제제를 피부 상에 분산하는 것을 상당히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매우 양호한 피부 상으로의 분산력 또는 용기로부터의 제거에 대한 매우 양호한 제거 작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고점도인 크림, 즉 고체 파운데이션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특성 이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료 혼합물의 단순한 산업용 제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료 혼합물의 특정 특성, 예컨대 은폐력 및 구체적으로 조절가능한 색상 강도의 설정을 제조 공정의 과정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놀랍게도, 무광 질감 및 약간의 광택 또는 휘도가 서로 특별하게 조합되므로, 3-성분 시스템의 형태의 안료 혼합물이 상기 단점을 갖지 않고, 대신에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높은 은폐력에 의해 구별되고, 피부에 신선한 천연 외관을 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성분 A가 하나 이상의 무기 층 및/또는 유기 층으로 커버링된 플레이크형 및 구형 기재의 혼합물이고, 성분 B가 금속 옥사이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금속 옥시할라이드, 베를린 블루(Berlin Blu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입자를 포함하는, 성분 A 및 B를 포함하는 안료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성분 혼합물은 하기 특징에 의해 종래 기술의 안료 및 안료 혼합물과 구별된다:
- 한정된 광택 및/또는 한정된 색 강도를 갖는 무광 외관;
- 피부의 천연 색과 더욱 부합된 외관;
- 더욱 용이한 분산성;
- 개선된 가공성;
- 넓은 한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는 은폐력;
- 개선된 피부 감촉;
- 화장품용 제제의 개선된 질감;
- 화장품용 제형의 개선된 적용 거동;
- 무광 제형의 경우에 명백한 확장된 색 공간;
- 균질한 분말(개별적인 성분으로의 분리가 없으므로).
종래 기술의 제품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추가 이점은 분말의 균질성이다. 충전제, 흡수성 안료 및 효과 안료의 별개 사용의 경우에 분리가 종종 발생하는 반면, 균질한 생성물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보장된다(즉,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모든 성분이 서로 불가분하게 결합되고 개별 성분으로의 분리가 가능하지 않음).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질감 및 안정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나타낸다. 즉, 적용 특성에 악영향 없이 에멀젼의 점도 또는 파운데이션의 견고성을 경미하게 증가시키고 동시에 제제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인트, 코팅, 바람직하게 산업용 코팅, 인쇄 잉크, 보안 인쇄 잉크, 플라스틱, 세라믹 물질, 유리 또는 특히 화장품용 제형에서, 트레이서 또는 충전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료는 안료 제제의 제조 및 무수 제제, 예컨대 과립, 펄렛(pearlet), 칩, 펠렛, 소시지, 브리켓(briquette) 등의 제조에도 적절하다. 무수 제제는 특히 인쇄 잉크 및 화장품 분야에 사용된다.
성분 A의 플레이크형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플레이크형 기재이다. 바람직한 기재는 필로실리케이트이다. 천연 또는 합성 운모, 활석, 카올린, 플레이크형 Fe2O3, Fe3O4, Al2O3, BiOCl, 유리, SiO2, TiO2, BN, 옥시니트라이드, 니트라이드 및 흑연 플레이크, 진주정, 합성 지지체-부재 플레이크 또는 다른 상당한 물질이 특히 적합하다.
상이한 플레이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성분 A의 특히 바람직한 플레이크 혼합물은 다음과 같다:
운모 플레이크 + SiO2 플레이크;
운모 플레이크 + Al2O3 플레이크;
운모 플레이크 + 유리 플레이크;
운모 플레이크 + TiO2 플레이크;
운모 플레이크 + 옥시니트라이드 플레이크;
운모 플레이크 + 니트라이드 플레이크;
운모 플레이크 + 진주정;
운모 플레이크 + 흑연 플레이크;
운모 플레이크 + BiOCl;
SiO2 플레이크 + Al2O3 플레이크;
유리 플레이크 + SiO2 플레이크.
플레이크형 기재의 크기는 그 자체로는 중요하지 않고, 각각의 적용례에 맞춰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레이크형 기재는 0.05 내지 1.5 μm, 구체적으로 0.1 내지 1 μm의 두께를 갖는다. 다른 2개의 치수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1 내지 250 μ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μm, 구체적으로 5 내지 60 μm이다. 상이한 입자 크기의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N 운모(10 내지 60 μm), F 운모(5 내지 20 μm) 및 M 운모(15 μm 미만)의 운모 분획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N 및 S 분획(10 내지 130 μm) 및 F 및 S 분획(5 내지 130 μm)이 바람직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성분 A의 플레이크형 기재는 0.1 내지 100 μm, 구체적으로 0.3 내지 60 μ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성분 A에 적절한 구형 기재는 구형 입자, 예를 들어 그 중에서도 선진 케미칼스(Sunjin Chemicals), 코보(Kobo), 이케다(Ikeda), 아사히 글래스(Asahi Glass), 미요시(Miyoshi), 오메가 머티리얼즈(Omega Materials), 쓰리엠(3M), 에이비씨 나노테크(ABC NanoTech), 차이나 뉴 테크놀로지(China New Technology), 피큐(PQ) 코포레이션, 시벨코(Sibelco) 또는 에보니크(Evonik)에서 시판 중인 것이다. 바람직한 구형 입자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칼리 금속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칼리토 금속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SiO2 구체, 유리 비드, 중공 유리 비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세라믹 비드,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HDI-트라이메틸올 헥실 락톤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체 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형 기재는 SiO2 구체로서, 상표명 선실(SUNSIL), MSS-500, 세론(SHERON), 선스피어(SUNSPHERE), 실리카비즈(Silicabeads) SB, 오메가-실(OMEGA-SIL), 오메가-스피어스(OMEGA-Spheres), 스페리셀(SPHERICEL), Q 셀(Cel), 세라믹 마이크로스피어스(Ceramic Microspheres), 글래스버블즈(Glasbubbles) iM-K, 실노스(SILNOS), SS-T4, SS-S3, 소보실(SORBOSIL), 에어로실(AEROSIL), 플로-비즈(Flo-Beads), BPD, 다이아미드(Daiamid), MSP, 토스펄(TOSPEARL) 및 로나스피어스(Ronaspheres) 하에 시판 중인 것이다.
질소 흡수에 의해 측정되는 적절한 구형 베이스 입자의 BET 표면적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000 m2/g, 바람직하게 10 내지 750 m2/g, 특히 20 내지 550 m2/g이다. 본원에서 BET 표면적은 DIN ISO 9277: 2003-05에 따라 측정된다.
성분 A의 구형 베이스 기재는 바람직하게 0.1 내지 100 μm, 특히 0.3 내지 60 μm, 매우 특히 0.5 내지 15 μm의 입자 직경을 갖는다.
성분 A의 구형 및 플레이크형 기재는 임의의 혼합 비로 서로 혼합될 수 있다. 구체:플레이크 비는 바람직하게는 99:1 내지 1:99, 구체적으로 90:10 내지 10:9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85:15 내지 25:75이다. 광택 및 색 강도는 플레이크의 증가된 비율만큼 증가될 수 있고, 보다 큰 비율의 구체는 적용될 때의 피부 감촉 및 균질성에 대한 이로운 효과를 갖는다.
성분 A의 특히 바람직한 기재 혼합물은 다음과 같다:
천연 운모 플레이크 + SiO2 구체;
합성 운모 플레이크 + SiO2 구체;
Al2O3 플레이크 + SiO2 구체;
SiO2 플레이크 + SiO2 구체;
유리 플레이크 + SiO2 구체;
천연 운모 플레이크 + 유리 구체;
합성 운모 플레이크 + 유리 구체;
Al2O3 플레이크 + 유리 구체;
SiO2 플레이크 + 유리 구체;
유리 플레이크 + 유리 구체.
구형 및 플레이크형 입자로 이루어진 성분 A는 후속적으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층, 바람직하게는 무기 층으로 커버링된다. 무기 층은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및 비흡수성 옥사이드 또는 베를린 블루를 포함한다.
무기 층은 바람직하게는 Fe2O3, Fe3O4, FeOOH, Cr2O3, ZrO2, Al2O3, SnO2, SiO2, ZnO, TiO2 및 티타늄 서브옥사이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옥사이드로 이루어진다. 이때, TiO2는 금홍석 또는 예추석 개질될 수 있다.
흡수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Fe2O3, Fe3O4, Cr2O3, FeOOH, TiO2/Fe2O3 혼합 층, 슈도브루카이트, 일메나이트, 베를린 블루 또는 카르민 레드(Carmine Red)의 층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성분 A는 플레이크/구체 혼합물의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흡수성 층 및 하나 이상의 비흡수성 층을 갖는다.
성분 A의 기재 혼합물 상의 개별적인 층의 두께는 최종 생성물에 광학 특성에 관해서 아주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구체/플레이크 혼합물의 표면 상의 제1층은 색 특성에 대한 본질적인 영향을 갖는다.
제1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nm, 구체적으로 30 내지 6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nm이다. 제1층, 제2층 및 존재하는 경우 추가 층의 층 두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층 두께를 가지고, 또한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코팅(하나 이상의 층)에 의해, 색, 광택 및 은폐력을 넓은 한계 내에서 변화시키거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분 A의 특히 바람직한 혼합물(구체 + 플레이크)은 표면 상에 하기 층 순서를 갖는다: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 T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 Sn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 S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3O4 (제1층) + T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3O4 (제1층) + Sn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3O4 (제1층) + S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Cr2O3 (제1층) + T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Cr2O3 (제1층) + SnO2 (제2층);
기재 혼합물 + Cr2O3 (제1층) + S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 베를린 블루 (제2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 카르민 레드 (제2층);
기재 혼합물 + SnO2 (제1층) + T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기재 혼합물 + FeOOH (제1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 Fe2O3 (제2층);
기재 혼합물 + 베를린 블루 (제1층);
기재 혼합물 + Cr2O3 (제1층);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 TiO2 (제2층) + SiO2 (제3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 SiO2 (제2층) + TiO2 (제3층).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민 레드, 베를린 블루, 금속 옥사이드, 예를 들어, TiO2, Fe2O3, Cr2O3, Fe3O4, 티타늄 서브옥사이드, 예를 들어, TiOx(이때, x는 1.5 내지 1.95임),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예를 들어, FeOOH, 금속 옥시할라이드, 예를 들어, BiOCl,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입자를 포함한다.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μm, 구체적으로 0.3 내지 30 μ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모든 베이스 기재, 즉 성분 A의 플레이크, 구체, 및 성분 B의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입자가 유사한 입자 크기를 갖는 안료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A 및 B의 3개의 베이스 기재 모두가 0.1 내지 100 μm, 구체적으로 0.3 내지 30 μ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μm의 입자 크기 또는 입자 직경을 갖는 안료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층, 예를 들어 금속 옥사이드 층, 베를린 블루로 커버링하고, 성분 A를 성분 B와 혼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의 커버링은 바람직하게는 습식-화학적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이어서, 성분 B의 수성 현탁액은 성분 A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된다. 그러나,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의 커버링 후에 생성물을 분리하고 후처리하고, 이어서 성분 A의 건조된 생성물을 성분 B의 현탁액과 혼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성분 B의 현탁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이러한 혼합물을 동일 반응계 합성으로 커버링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의 표면 상의 금속 옥사이드 층은 바람직하게는 습식-화학적 방법에 의해 적용되고, 진주광택 안료의 제조를 위해 개발된 습식-화학적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3,087,828호, 제3,087,829호 또는 제3,553,001호, 독일특허 제14 67 468호, 제19 59 988호, 제20 09 566호, 제22 14 545호, 제22 15 191호, 제22 44 298호, 제23 13 331호, 제25 22 572호, 제31 37 808호, 제31 37 809호, 제31 51 343호, 제31 51 354호, 제31 51 355호, 제32 11 602호, 제32 35 017호 또는 제196 18 568호, 유럽특허 제0 659 843호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특허 및 기타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습식 코팅의 경우에, 성분 A의 구형 및 플레이크형 베이스 기재가 물에 현탁되고, 하나 이상의 가수분해가능한 금속 염이 가수분해에 적합한 pH(금속 옥사이드 또는 금속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가 부차적인 침전의 발생 없이 플레이크 및 구체 상에 바로 침전되도록 선택됨)에서 첨가된다. pH는 통상적으로 염기 또는 산의 동시 계량 첨가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어서, 성분 B(바람직하게는 물 중 현탁액)가 이러한 방식으로 코팅된 기재 혼합물(성분 A)에 첨가되고, 혼합되고, 세척되고, 건조되고, 선택적으로 하소되고, 이때 하소 온도는 각각의 경우에 존재하는 코팅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소 온도는 250 내지 900℃,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700℃이다. 필요에 따라,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은 개별 코팅의 적용 후에 분리되거나 건조되거나 하소될 수 있고, 이어서 추가 층의 침전을 위해 다시 재현탁될 수 있다.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철 옥사이드가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에 사용되는 경우, 황색, 갈색 및 적색의 색조가 하소 온도에 따라서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700℃ 초과의 하소 온도에서 황색 색조가 우세한데, 성분 A의 경우에, 티타늄 옥사이드 및 철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혼합된 옥사이드, 예를 들어 슈도브루카이트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Fe3O4 층은, 예를 들어, 유럽특허공개 제0 332 071호, 독일특허 제19 51 696.8호 및 제19 51 697.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암모니아, 수소, 또는 또한 탄화수소 및 탄화수소/암모니아 혼합물을 사용하는 Fe2O3 층의 환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환원은 바람직하게는 형성 기체(forming gas) 대기(N2/H2), 구체적으로 92%의 N2/8%의 H2 또는 96%의 N2/4%의 H2에서 수행된다. 환원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700℃, 구체적으로 500 내지 600℃이다.
최종 SiO2 층의 적용을 위해, 독일특허 제196 18 569호에 개시된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SiO2 층의 제조를 위해, 나트륨 또는 칼륨 물-유리(water-glass) 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코팅은 기체-상 코팅에 의해 유동층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주광택 안료의 제조를 위해 유럽특허 제0 045 851호 및 제0 106 235호에 제안된 방법이 상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최종 안료 혼합물의 색조는 커버링 비율 또는 이로부터 생성된 층 두께의 상이한 선택을 통해 넓은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시각적 또는 측정 기술 조절 하에 목적하는 색상에 접근함으로써 순수한 선택의 폭 이상으로 특정 색조의 미세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현탁액의 공동 후처리(joint work-up)는 상기 특성이 확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안료 혼합물의 균질성을 보장하고, 안료 혼합물의 코팅된 기재의 구조화된 표면 및 입자 형상에 기인한 분리를 예방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료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습식-화학적 코팅의 경우에, 성분 B의 수성 현탁액이 성분 A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되고, 성분 A 및 B를 포함하는 현탁액이 후처리되거나;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의 습식-화학적 커버링 후에, 생성물이 분리되고 후처리되고, 이어서 성분 A의 건조된 생성물이 성분 B의 현탁액과 혼합되고, 이어서 현탁액이 후처리되거나;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이 성분 B의 현탁액에 첨가되고, 성분 B 및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의 혼합물이 함께 습식-화학적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유기 또는 무기 층으로 커버링되고, 이어서 후처리되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본원에서 코팅은 베이스 기재의 각각의 표면의 완전한 커버링을 의미한다.
성분 A 및 성분 B는 임의의 비로 서로 혼합될 수 있다. 각각의 적용례에서 색 최적화를 위하여, 성분 A 대 성분 B의 바람직한 혼합 비(중량부)는 99:1 내지 1:99, 구체적으로 90:10 내지 10:9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20 내지 20:80이다. 이때, 혼합 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200 g/100 g, 특히 20 내지 200 g/100 g,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50 내지 150 g/100 g의 오일 흡수 값을 갖는다. 본원에서 오일 흡수 값은 DIN ISO 787/5-1980 (E)에 따라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특히 피부 상에 더 용이한 적용 및 더 균일한 분산을 달성함으로써 화장품의 질감 및 피부 감촉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이 비독성 미네랄 베이스 상에 조성되고 대부분 무기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에 매우 잘 허용된다.
광안정성, 내습성 및 내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용 면적에 따라 안료 혼합물을 후-코팅 또는 후-처리하는 것이 흔히 바람직하다. 적절한 후-코팅 또는 후-처리 방법은, 예를 들어 독일특허 제22 15 191호, 독일특허공개 제31 51 354호, 제32 35 017호 또는 제33 34 598호에 개시되어 있다. 후-코팅은 화학적 및 광화학적 안정성을 추가로 증가시키거나 안료 혼합물의 처리, 특히 다양한 매질로의 혼입을 용이하게 만든다. 습윤성, 분산성 및/또는 적용 매질과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Al2O3, ZrO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이 안료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실란을 사용하는 유기 후-코팅이 가능하고, 이는 유럽특허 제0 090 259호 또는 제0 634 459호, 국제특허공개 제99/57204호, 제96/32446호 또는 제99/57204호, 미국특허 제5,759,255호 또는 제5,571,851호, 국제특허공개 제01/92425호 또는 문헌[J.J. Ponjee, Philips Technical Review, Vol. 44, No. 3, 81 ff.] 및 문헌[P.H. Harding, J.C. Berg, J. Adhesion Sci. Technol. Vol. 11 No. 4, pp. 471-49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플레이크형 기재를 구형 입자와 혼합하고,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층, 예를 들어 금속 옥사이드로 습식-화학적 방법에 의해 커버링하고, 코팅된 기재/구체 혼합물(성분 A)을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입자(성분 B)와 혼합하고, 성분 A 및 B의 혼합물을 함께 후처리하고, 최종 혼합물을 건조하고, 선택적으로 15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하소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페인트, 코팅 및 인쇄 잉크의 영역으로부터 다양한 색상 시스템과 상용될 수 있다. 다양한 결합제, 특히 바스프(BASF), 마라부(Marabu), 프뢸(Proll), 세리콜(Sericol), 하트만(Hartmann), 제브뤼더 슈미트(Gebr. Schmidt), 시크파(Sicpa), 알베르크(Aarberg), 시크베르크(Siegwerk), 게에스베-발(GSB-Wahl), 폴만(Follmann), 루코(Ruco) 또는 코트스 스크린 잉크스 게엠베하(Coates Screen INKS GmbH)에서 시판 중인 수용성 제품이, 예를 들어 그라비어 인쇄, 플레소그래픽 인쇄, 오프셋 인쇄 또는 오프셋 오버프린트 바니싱을 위한 인쇄 잉크의 제조에 적절하다. 인쇄 잉크는 수계 또는 용매계이다.
특히 효과적인 효과, 예컨대 표면의 다듬질(smoothing) 및 불균일(주름, 구멍, 우묵 들어간 부분(recess), 미세균열 등)의 균일화가 다양한 적용 매질, 예를 들어, 화장품용 제형, 예컨대 매니큐어, 립스틱, 콤팩트 파우더, 젤, 로션, 비누 및 치약, 페인트, 산업용 코팅 및 파우더 코팅 및 플라스틱 및 세라믹에서 본 발명의 안료 혼합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매우 양호한 피부 접착력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특히 장식용 화장품에서 충전제로서 적절할 뿐 아니라 개인 관리 용품, 예컨대 바디 로션, 에멀젼, 비누, 샴푸, 비비 크림, 씨씨 크림, 디디 크림 등에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크림, 에멀젼 및 로션에서 안정화 작용을 갖는다.
플라스틱, 예를 들어 사출 성형된 부품에 사용 시, 사용은 흐름선(flow line) 또는 싱크 마크(sink mark)의 방지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하기 물질와 배합되어 다양한 적용례에 사용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철 플레이크 또는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기반으로 하는 금속 효과 안료;
- 금속 옥사이드-코팅된 합성 운모 플레이크, 천연 운모 플레이크, 유리 플레이크, Al2O3 플레이크, Fe2O3 플레이크 또는 SiO2 플레이크를 기반으로 하는 진주광택 안료;
- 금속 옥사이드-코팅된 합성 운모 플레이크, 천연 운모 플레이크, 유리 플레이크, Al2O3 플레이크, Fe2O3 플레이크 또는 SiO2 플레이크를 기반으로 하는 간섭 안료;
- 고니오크로마틱(goniochromatic) 안료;
- 금속 옥사이드-코팅된 합성 운모 플레이크, 천연 운모 플레이크, 유리 플레이크, Al2O3 플레이크, Fe2O3 플레이크 또는 SiO2 플레이크를 기반으로 하는 다층 안료(바람직하게는 2, 3, 4, 5 또는 7개의 층을 포함함);
- 유기 염료;
- 유기 안료;
- 무기 안료, 예컨대 투명 및 불투명 백색, 유색 및 흑색 안료;
- 플레이크형 철 옥사이드;
- 카본 블랙.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시판 중인 안료 및/또는 시판 중인 충전제와 임의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시판 중인 충전제는, 예를 들어 천연 및 합성 운모, 나일론 분말, 순수한 또는 충전된 멜라민 수지, 활석, 유리, 카올린, 알루미늄의 옥사이드 또는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칼슘, 아연, BiOCl, 바륨 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탄소, 보론 니트라이드 및 이들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혼합물이다. 충전제의 입자 모양에 대한 제한은 없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플레이크-형상, 구형 또는 침-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임의의 유형의 화장품 원재료 및 보조제와 제형에 합해질 수 있다. 이는 그 중에서도 오일, 지방, 왁스, 필름 형성제, 방부제, 및 일반적으로 활용적 특성을 결정하는 보조제, 예컨대 증점제 및 유동학적 첨가제, 예컨대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이산화규소, Ca 실리케이트, 젤라틴, 고분자량 탄화수소 및/또는 표면-활성 보조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친유성, 친수성 또는 소수성 유형에 속한다. 별개의 수성 및 비수성 상을 갖는 불균일 제형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각각의 경우 2개의 상 중 하나에만 존재할 수 있거나 2개의 상에 걸쳐 교대로 분산될 수 있다.
제형의 pH 값은 1 내지 14, 바람직하게 2 내지 11, 특히 바람직하게 4 내지 10이다.
제형 내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농도에 대한 제한은 없다. 적용에 따라, 0.001(헹굼형(rinse-off) 제품, 예를 들어 샤워 젤) 내지 6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화장품 활성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적절한 활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방충제, 무기 자외선(UV) 필터(예를 들어, TiO2), UV A/BC 보호 필터(예를 들어, OMC, B3, MBC), 노화방지 활성 화합물, 비타민 및 이의 유도체(예를 들어, 비타민 A, C, E 등), 자가-태닝제(특히, 예를 들어 DHA, 에리트룰로스), 및 추가의 화장품용 활성 화합물, 예컨대 비사보롤, LPO, 엑토인, 엠브리카, 알란토인,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이다.
유기 UV 필터는 일반적으로 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고, 무기 UV 필터는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제형은 추가의 통상적인 피부-보호 또는 피부-케어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알로에 베라, 아보카도 오일, 코엔자임 Q10, 녹차 추출물 및 또한 활성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형, 특히 본 발명의 안료 혼합물 외에 흡수제, 수렴제, 항균성 물질, 산화방지제, 발한 억제제, 소포제, 비듬방지 활성 화합물, 대전방지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표백제, 킬레이트화제, 탈취제, 연화제, 에멀젼화제, 에멀젼 안정화제, 염료, 습윤제, 필름 형성제, 충전제, 방향제, 향미료, 방충제, 방부제, 부식방지제, 화장품용 오일, 용매, 산화제, 식물성 구성 성분, 완충제 물질, 환원제, 계면활성제, 분사 기체, 유백체, UV 필터 및 UV 흡수제, 변성제, 알로에 베라, 아보카도 오일, 코엔자임 Q10, 녹차 추출물, 점도 조절제, 향료 및 비타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제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페인트, 코팅, 인쇄 잉크, 보안 인쇄 잉크, 플라스틱, 세라믹 물질, 유약, 유리 또는 화장품용 제형에서, 또는 트레이서 또는 충전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용도 및 안료 제제 또는 무수 제제의 제조를 위한 안료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청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A:
8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Merck KGaA))(입자 크기 < 15 μm)를 8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ABC Nanotech))(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한다. pH를 10% 황산으로 2.1까지 조정하고, 이어서, 2,200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pH를 10% 황산을 사용하여 4.3까지 조정한다. 이어서, 10% 암모늄 카보네이트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2개의 용액 1 및 2를 동시에 첨가한다. 용액 1을 60 g의 칼륨 헥사시아노페레이트(III) 및 1,300 g의 탈이온수로부터 제조한다. 용액 2는 76 g의 철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및 1,250 g의 탈이온수로 이루어진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한다.
회분 1B:
900 m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pH를 10% 황산을 사용하여 4.3까지 조정한다. 이어서, 10% 암모늄 카보네이트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2개의 용액 1 및 2를 동시에 첨가한다. 용액 1을 165 g의 칼륨 헥사시아노페레이트(III) 및 2,100 g의 탈이온수로부터 제조한다. 용액 2는 209 g의 철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및 1,950 g의 탈이온수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A 및 1B의 현탁액을 혼합하고,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해 체질하여, 청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고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A/1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a:
1A:1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b:
1A:1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c:
1A:1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 적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2A:
8 g의 합성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입자 크기 < 15 μm)를 8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시노에너지(Sinoenergy))(직경 2 내지 4 μm)를 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3까지 조정한다. 923 g의 10%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HCl을 사용하여 pH를 pH 2.1로 조정하고, 310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 2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3까지 조정한다. 1,000 g의 10%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2A 및 2B의 현탁액을 혼합하고,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안료 혼합물을 780℃에서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버건디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2A/2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2a:
2A:2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b:
2A:2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c:
2A:2B 비가 2:8일 때, 매우 양호한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3: 백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1.2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pH 1.8까지 조정한다. 이어서, 20 mL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25분에 걸쳐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20분 동안 교반하고, 물 중 20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입자 크기 < 15 μm) 및 6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의 600 mL의 현탁액을 30분에 걸쳐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어서, 200 mL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2.5시간에 걸쳐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1.8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후속 교반 시간 후,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5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을 여과하고, 생성물을 함유하는 필터 잔사를 물로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분말을 800℃에서 45분 동안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해 체질한다.
추가 노력(예를 들어, 연마 또는 강제 분산) 없이 화장품용 제형 내로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백색 매스 톤, 부드러운 피부 감촉, 무광 질감 및 우아한 미광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4: 적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4A:
15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입자 크기 < 15 μm)를 8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5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어서, 1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10까지 조정하고, 이러한 pH에서 5분 동안 유지하고, 10% 염산을 사용하여 3.1의 커버링 pH까지 조정한다. 838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170 g의 Fe2O3/L)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HCl을 사용하여 pH를 pH 1.8로 조정하고, 이어서 956 g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 133 g의 TiO2에 상응함)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5까지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이러한 회분이 완료되면,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11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고, 800℃에서 30분 동안 하소한다.
이러한 전구체는 42%의 Fe2O3, 33%의 TiO2, 21%의 SiO2 및 4%의 운모의 조성을 갖는다.
회분 4B:
2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8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pH 2.8로 조정한다. 이어서, 295 g의 철 클로라이드 용액(w(Fe)=14%)(60 g의 Fe2O3에 상응함)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을 석션으로 직접 여과하지는 않는다.
이어서, 회분 4A로부터의 60 g의 하소된 물질을 첨가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5까지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최종적으로, 현탁액을 여과하고, 10 L의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11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다. 최종적으로, 수득한 분말을 800℃에서 30분 동안 하소하고, 24 μm 체를 사용하여 체질한다.
최종 생성물은 하기 조성을 갖는다: 71%의 Fe2O3, 16%의 TiO2, 11%의 SiO2 및 2%의 운모.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버건디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4A/4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4a:
4A:4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4b:
4A:4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4c:
4A:4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5: 샴페인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5A:
8 g의 알루미늄 옥사이드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5 내지 40 μm)를 8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시노에너지)(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1로 조정한다. 2,200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3.3으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356 g의 7%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용액의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수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한다.
회분 5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1로 조정한다. 이어서, 1,350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3.3으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pH를 1.9로 조정하고, 356 g의 7%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6으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5A 및 5B의 현탁액을 혼합하고,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안료 혼합물을 780℃에서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샴페인색 내지 피부색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5A/5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a:
5A:5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5b:
5A:5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5c:
5A:5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6: 샴페인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6A:
12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15 μm 미만)를 10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8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1로 조정한다. 1,856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3.3으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289 g의 7%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용액의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다. 건조된 안료 혼합물을 머플 로(muffle furnace)에서 공기 하에 700℃에서 하소한다.
회분 6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6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1로 조정한다. 이어서, 1,265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3.1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pH를 2.1로 조정하고, 564 g의 7%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6으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6A로부터의 하소된 분말을 회분 6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분말을 780℃에서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샴페인색 내지 피부색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6A/6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6a:
6A:6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6b:
6A:6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6c:
6A:6B 비가 2:8일 때, 매우 양호한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7: 샴페인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7A:
15 g의 알루미늄 옥사이드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20 μm 미만)를 8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1로 조정한다. 356 g의 7%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pH 2.1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1,689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용액의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140℃에서 건조한다.
회분 7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8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1로 조정한다. 685 g의 7%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pH 2.1로 조정하고, 941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5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A로부터의 하소된 분말을 회분 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분말을 550℃에서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샴페인색 내지 피부색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7A/7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7a:
7A:7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7b:
7A:7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7c:
7A:7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를 수득한다.
실시예 8: 흑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8A:
8 g의 합성 이산화규소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5 내지 50 μm)를 8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3까지 조정한다. 923 g의 10%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HCl을 사용하여 pH를 pH 2.1로 조정하고, 이어서 310 g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하고 ,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 8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3까지 조정한다. 1,000 g의 10%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8A 및 8B의 현탁액을 혼합하고,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분말을 형성 기체(N2:H2 비 95:5) 하에 650℃에서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흑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효과 안료를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8A/8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8a:
8A:8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8b:
8A:8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8c:
8A:8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9: 흑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9A:
15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15 μm 미만)를 8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2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8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1로 조정한다. 886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32%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HCl을 사용하여 pH를 pH 2.1로 조정하고, 이어서 1,240 g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다. 건조된 분말을 머플 로에서 공기 하에 800℃에서 하소한다.
회분 9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82℃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2까지 조정한다. 495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5까지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A로부터 하소된 분말을 회분 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합한 분말을 형성 기체(N2:H2 비 = 92:8) 하에 500℃에서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흑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효과 안료를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9A/9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9a:
9A:9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9b:
9A:9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9c:
9A:9B 비가 2:8일 때, 매우 양호한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0: 흑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0A:
10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10 내지 60 μm)를 8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시노에너지)(직경 2 내지 4 μm)와 함꼐 1,2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8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9로 조정한다. 925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32%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HCl을 사용하여 pH를 pH 2.1로 조정하고, 이어서, 1,015 g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다.
회분 10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2로 조정한다. 750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5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A로부터 건조된 분말을 회분 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합한 분말을 형성 기체(N2:H2 비 = 92:8) 하에 760℃에서 하소하고,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흑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효과 안료를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0A/10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0a:
10A:10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0b:
10A:10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0c:
10A:10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1: 적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1A:
15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5 내지 35 μm)를 8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2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8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1로 조정한다. 886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32%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HCl을 사용하여 pH를 2.1로 조정하고, 이어서 1,240 g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pH를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 7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다. 건조된 분말을 머플 로에서 800℃에서 80분 동안 하소한다.
회분 11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82℃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pH를 10% 염산을 사용하여 3.2로 조정한다. 495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pH를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 5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1A로부터의 하소된 분말을 회분 11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합한 분말을 780℃에서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버건디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효과 안료를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1A:11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1a:
11A:11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1b:
11A:11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1c:
11A:11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2: 적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2A:
10 g의 합성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15 μm 미만)를 8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시노에너지)(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2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8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pH를 10% 염산을 사용하여 2.9로 조정한다. 925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32%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HCl을 사용하여 pH를 pH 2.1로 조정하고, 이어서, 1,015 g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pH를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 7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다.
회분 12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2로 조정한다. 750 g의 14% 철 클로라이드 용액을 후속적으로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5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2A로부터 건조된 분말을 회분 12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합한 분말을 780℃에서 하소하고, 24 μm의 메스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버건디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2A/12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2a:
12A:12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2b:
12A:12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2c:
12A:12B 비가 2:8일 때, 매우 양호한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3: 황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3A:
8 g의 합성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10 내지 40 μm)를 8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8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3.5로 조정한다. 이어서, 101 g의 철(III) 설페이트, 130 g의 철(II)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및 480 g의 탈이온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8로 조정하고, 이어서, 150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w SiO2 = 14%)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pH 5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 13B:
1.7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87℃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7로 조정한다. 이어서, 190 g의 철(III) 설페이트, 210 g의 철(II)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및 600 g의 탈이온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pH를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 7로 조정하고, 이어서, 90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w SiO2 = 14%)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pH 5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3A 및 13B의 현탁액을 혼합하고,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하고, 24 μm의 메스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황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3A/13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3a:
13A:13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3b:
13A:13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3c:
13A:13B 비가 2:8일 때, 매우 양호한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4: 황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4A:
15 g의 합성 운모 플레이크 메르크 카게아아(5 내지 40 μm)를 8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시노에너지)(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2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9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3.5로 조정한다. 이어서, 200 g의 철(III) 설페이트, 210 g의 철(II)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및 700 g의 탈이온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8로 조정하고, 이어서 290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w SiO2 = 14%)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pH 5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다.
회분 14B:
1.2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9로 조정한다. 이어서, 120 g의 철(III) 설페이트, 163 g의 철(II)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및 500 g의 탈이온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pH를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 7로 조정하고, 이어서 65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w SiO2 = 14%)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2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pH 6으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4A로부터의 건조된 분말을 회분 14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70℃에서 건조하고,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황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4A/14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4a:
14A:14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4b:
14A:14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4c:
14A:14B 비가 2:8일 때, 매우 양호한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5: 녹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5A:
8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입자 크기 10 내지 100 μm)를 8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2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5.5로 조정한다. 이어서, 309 g의 크로뮴(III)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및 800 mL의 탈이온수의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 15B:
2.1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6.0으로 조정한다. 이어서, 556 g의 크로뮴(III)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및 1,250 mL의 탈이온수의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5A 및 15B의 현탁액을 혼합하고,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분말을 공기 중에서 800℃에서 하소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해 체질한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5A/15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5a:
15A:15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5b:
15A:15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5c:
15A:15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6: 녹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6A:
15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입자 크기 5 내지 25 μm)를 8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시노에너지)(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8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1.8로 조정한다. 이어서, 350 g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516 g의 크로뮴(III)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및 1,010 mL의 탈이온수의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다. 건조된 분말을 머플 로에서 공기 하에 800℃에서 하소한다.
회분 16B:
1.9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8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6.0으로 조정한다. 이어서, 706 g의 크로뮴(III)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및 1,200 mL의 탈이온수의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A로부터 하소된 분말을 회분 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합한 분말을 공기 중에서 750℃에서 하소하고,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녹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6A/16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6a:
16A:16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6b:
16A:16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6c:
16A:16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7: 녹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7A:
10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입자 크기 < 15 μm)를 10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80℃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1로 조정한다. 이어서, 200 g의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400 g/L)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5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480 g의 크로뮴(III)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및 900 mL의 탈이온수의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염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한다.
회분 17B:
1.9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8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6.5로 조정한다. 이어서, 706 g의 크로뮴(III)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및 950 mL의 탈이온수의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7A로부터의 건조된 분말을 회분 17B의 현탁액에 첨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합한 분말을 공기 중에서 850℃에서 하소하고,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녹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7A/17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7a:
17A:17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7b:
17A:17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7c:
17A:17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8: 백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8A:
20 g의 천연 운모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입자 크기 10 내지 60 μm)를 65 g의 이산화규소 구체(시노에너지)(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1,2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0으로 조정한다. 이어서, 150 g의 10% 주석(IV) 클로라이드 용액을 45분에 걸쳐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300 g의 12%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6시간에 걸쳐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6으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회분 18B:
1.5 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pH 3.0으로 조정한다. 이어서, 1,900 g의 14%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4시간에 걸쳐 계량하여 첨가하고, 이러는 동안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8A 및 18B의 현탁액을 혼합하고,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분말을 800℃에서 45분 동안 하소하고, 이어서, 100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추가 노력(예를 들어, 연마 또는 강제 분산)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백색 매스 톤, 부드러운 피부 감촉, 무광 질감 및 우아한 미광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휘도(미광)는 18A/18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 18a:
18A:18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8b:
18A:18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8c:
18A:18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9: 청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회분 19A:
8 g의 유리 플레이크(메르크 카게아아)(입자 크기 10 내지 100 μm)를 80 g의 이산화규소 구체(에이비씨 나노텍)(직경: 2 내지 4 μm)와 함께 800 mL의 탈이온수 중에서 교반한다.
이러한 현탁액을 교반 하에 75℃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한다. pH를 10% 황산에 의해 2.1로 조정하고, 이어서, 2,200 g의 25%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을 계량하여 첨가한다.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pH를 10% 황산을 사용하여 4.3까지 조정한다. 이어서, 10% 암모늄 카보네이트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2개의 용액 1 및 2를 동시에 첨가한다. 용액 1을 60 g의 칼륨 헥사시아노페레이트(III) 및 1,300 g의 탈이온수로부터 제조한다. 용액 2는 76 g의 철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및 1,250 g의 탈이온수로 이루어진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한다.
회분 19B:
900 mL의 탈이온수를 교반 하에 73℃의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10%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4.3까지 조정한다. 이어서, 10% 암모늄 카보네이트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2개의 용액 1 및 2를 동시에 첨가한다. 용액 1을 165 g의 칼륨 헥사시아노페레이트(III) 및 2,100 g의 탈이온수로부터 제조한다. 용액 2는 209 g의 철 설페이트 헵타하이드레이트 및 1,950 g의 탈이온수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20%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한다.
회분이 둘 다 완료되면, 회분 19A 및 19B의 현탁액을 혼합하고, 여과하고, 세척하고, 150℃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24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과시킨다.
높은 채도를 갖고 추가 노력 없이 화장품용 제형에 매우 잘 혼입될 수 있고 청색 매스 톤 및 부드러운 피부 감촉 및 무광 질감을 갖는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은폐력, 피부 감촉 및 채도를 19A/19B 혼합 비를 통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9a:
19A:19B 비가 8:2일 때,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 및 보통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9b:
19A:19B 비가 1:1일 때, 매우 양호한 피부 감촉 및 중간 은폐력을 갖는 특히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9c:
19A:19B 비가 2:8일 때, 매우 높은 은폐력 및 양호한 피부 감촉을 갖는 높은 채도의 안료 혼합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0: 백색 매스 톤을 갖는 안료 혼합물
1,500 mL의 탈이온수를 초기에 가열가능한 반응 용기에 도입하고, 75℃까지 가열하고, 376 g의 TiOCl2 용액(400 g의 TiCl4/L)을 격렬한 교반 하에 이러한 온도에서 5 mL/분의 계량 속도(metering rate)로 계량하여 첨가한다. pH는 32%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의 제어된 첨가에 의해 공정 중에 강하되고 2.0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TiOCl2의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pH 2.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250 mL의 탈이온수 중 75 g의 운모 플레이크(입자 크기 1 내지 15 μm) 및 25 g의 SiO2 구체(D50 = 2 내지 4 μm; 에이비씨 나노텍 캄파니 리미티드로부터의 실노스(SILNOS) 130)의 균질한 현탁액을 첨가하고, 75℃가 다시 달성될 때, 염산(18% HCl)을 사용하여 pH를 2.2로 낮춘다. 32%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온도 및 pH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8,64 g의 SnOCl2 용액(50% SnCl4), 22.8 g의 염산(37% HCl) 및 167 g의 탈이온수의 균질한 용액을 30분에 걸쳐 균일한 속도로 계량하여 첨가한다. 15분의 후속 교반 시간 후에, 740 g의 TiOCl2 용액(400 g의 TiCl4/L)을 5 mL/분의 계량 속도로 첨가한다. 이러는 동안 32%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2.2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TiOCl2 용액의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32%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5.0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다.
수득한 고체를 여과하고, 15 L의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11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한다. 이어서, 생성물을 850℃에서 30분 동안 하소하고, 100 μm의 메쉬 너비를 갖는 체를 통해 체질한다.
피부에 바를 때 연한 푸른 빛의 광택을 나타내고 매우 부드러운 피부 감촉을 갖는 백색 분말을 수득한다.
사용 실시예
실시예 A1: 아이 쉐도우 젤
Figure pat00001
제법:
알로에 베라 분말을 상 A의 물에 용융시킨 후에, 모든 안료, 안료 혼합물 및 카보폴을 제외한 잔여 성분을 첨가하고 분산시킨다.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트르산 몇 방울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이어서, 교반 하에 카보폴 내에 산란시킨다. 완전히 용융된 후, 사전-용융된 상 B(균일화되지 않음) 내에서 서서히 교반하고, 이어서, 상 C를 첨가한다. 필요에 따라, 시트르산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7.0 내지 7.5로 조정한다.
알로에 베라를 함유하는 수성 아이 쉐도우 젤 제형을 수득한다(매우 빠르게 건조하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적용하는 데 용이함).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Rona, 등록상표)
(2) 노베온(Noveon)
(3) 테리 래보래토리스 인코포레이티드(Terry Laboratoires, Inc.)
(4) 바스프 아게(BASF AG)
(5) 아이에스피 글로벌 테크놀로지스(ISP Global Technologies)
(6) 가디언(Guardian)
실시예 A2: 크림형 아이 쉐도우
Figure pat00002
제법:
모든 성분이 융융될 때까지 상 B를 약 80℃로 가열하고, 교반 하에 65℃로 냉각한다. 이어서, 상 A의 성분을 교반 하에 첨가하고, 조성물을 65℃에서 제공된 포장재에 붓는다. 실온으로 냉각한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크로다 게엠베하(Croda GmbH)
(3) 사솔 저머니 게엠베하(Sasol Germany GmbH)
(4) 아이에스피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실시예 A3: 페이스 파우더
Figure pat00003
제법:
상 A의 구성 성분을 혼합기(예를 들어, 몰리넥스(Moulinex)의 라 몰리네트(La Moulinette))에 첨가하고 2 x 10초 동안 혼합한다. 혼합물을 비이커에 옮기고, 상 B를 첨가하고, 주걱을 사용하여 먼저 교반한다. 다시 상 A 및 상 B의 혼합물을 혼합기에 첨가하고, 3 x 10초 동안 진행하여 균일한 상을 수득한다.
36 mm의 직경을 갖는 파우더 트레이에 대한 압착 압력은 약 25 bar이다.
공급처:
(1) 레 꼴로랑뜨 와크허(Les colorants Wackherr)
(2)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3) 프래그런스 리소시스(Fragrance Resources)
(4) 코그니스 게엠베하(Cognis GmbH)
실시예 A4: 매티파잉 파운데이션(Mattifying foundation)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제법:
켈트롤을 상 A의 물에 서서히 첨가하고 분산시킨다. 상 A의 잔여 구성 성분을 교반하면서 산란시킨다. 상 B의 구성 성분을 상 A에 첨가하고 울트라-터랙스(Ultra-Turrax) T25(적색-청색 세팅, 13,500 내지 20,500 rpm)를 사용하여 3분 동안 균일화시키고 덩어리를 확인한다. 상 A/B 및 상 C를 각각 75℃로 가열한다. 상 C를 상 A/B에 교반 하에 첨가하고, 울트라-터랙스(황색-녹색 세팅, 8,000 내지 9,500 rpm)를 사용하여 2분 동안 균일화시킨다. 55 내지 60℃에서 상 D를 첨가하고, 40℃에서 상 E를 첨가하고, 교반 하에 실온으로 냉각하고, 30%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한다. 이어서, 적절한 용기로 옮긴다. 모든 피부 유형에 적절한 약간 불투명한 옅은 파운데이션을 수득한다. 아보카도 오일,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및 세포-보호 로나케어(등록상표) 엑토인이 피부-관리 작용을 지원한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씨.피. 켈코(C.P. Kelco)
(3) 바스프 아게
(4) 크로노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5) 레 꼴로랑뜨 와크허
(6) 사솔 저머니 게엠베하
(7) 코그니스 게엠베하
(8) 세픽(Seppic)
(9) 구스타프 히쓰 게엠베하(Gustav Heess GmbH)
(10) 심라이즈(Symrise)
(11) 엘레멘티스 스페셜티즈(Elementis Specialities)
(12) 클라리안트 게엠베하(Clariant GmbH)
실시예 A5: 바디 로션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제법:
알로에 베라 및 로나케어(등록상표) 알란토인을 상 A의 물에 교반하면서 사전-용융시키고, 이어서, 상 A의 나머지 구성 성분을 첨가하고, 60℃로 가열한다. 호호바 오일, 옥시넥스 K 리퀴드, 코스마콜 EMI, 유탄올 G 및 테고소프트 TN을 교반된 용기에 도입하고, 이어서, 분산 디스크(약 700 rpm, 20분)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카보폴을 첨가한다. 이어서, 상 B의 잔여 구성 성분을 첨가하고, 전체를 교반하여 균일 혼합물을 수득하고, 과도한 공기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 B의 바로 끝에 프로테란 AGL 95/C를 첨가한다. 60℃에서 분산 디스크의 도움으로 상 A를 상 B(실온)에서 서서히 에멀젼화시킨다. 상 C 및 D를 첨가하고, 이어서, 울트라-터랙스 T50을 속도 4로 사용하여 4분 동안 균일화시킨다. 실온으로 냉각한다.
pH(23℃) = 5.5 내지 6.0
점도: 브룩필드(Brookfield) DV II + 헬리패쓰(Helipath), 스핀들(spindle) C, 5 rpm, 24℃ = 11,200 mPa·s
공급처:
(1) 테리 래보래토리스
(2) 알파 아에사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Alfa Aesar GmbH & Co. KG)
(3)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4) 췸머 운트 슈바르츠 게임베하 운트 캄파니(Zschimmer & Schwarz GmbH & Co.)
(5) 노드만 라스만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Nordmann, Rassmann GmbH & Co.)
(6) 코그니스 게엠베하
(7) 구스타브 히스 게엠베하
(8) 에보니크 골드슈미트 게엠베하(Evonik Goldschmidt GmbH)
(9) 노베온
(10)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11) 바스프 아게
(12) 파펙스(Parfex)
(13) 아이에스피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실시예 A6: 네일 바니쉬
Figure pat00008
제법:
실시예 1로부터의 안료 혼합물을 바니쉬 베이스와 함께 칭량하고, 잘 혼합하고, 이어서 1,000 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한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
(2) 인터내셔널 래커스 에스.에이.(International Lacquers S.A.)
실시예 A7 : 립스틱
Figure pat00009
제법:
상 B의 구성 성분을 이들이 모두 용융될 때까지 약 75℃로 가열한다. 상 A를 첨가하고, 잘 교반한다. 립스틱 조성물을 65℃까지 냉각하고, 상에 기포가 없어질 때까지 교반한다. 균질한 용융물을 55℃로 예열된 주형틀에 넣는다. 이어서, 주형을 냉각하고, 냉각된 주물을 제거한다. 립스틱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이어서 립스틱을 잠시 불꽃-처리한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
(2) 쉴케 운트 마이르 게엠베하(Schulke & Mayr GmbH)
(3) 헨리 라모테 오일즈 게엠베하(Henry Lamotte Oils GmbH) 사솔 저머니 게엠베하
(4) 아젤리스 저머니 게엠베하(Azelis Germany GmbH)
(5) 바스프 아게

Claims (17)

  1. 성분 A가 하나 이상의 무기 층 및/또는 유기 층으로 커버링(covering)된 플레이크형 기재(flake-form substrate) 및 구형 기재(spherical substrate)의 기재 혼합물이고, 성분 B가 금속 옥사이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금속 옥시할라이드, 베를린 블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입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성분으로서 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안료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크형 기재가 천연 운모, 합성 운모, 활석, 카올린, 유리 플레이크, SiO2 플레이크, Al2O3 플레이크, 흑연 플레이크, Fe2O3 플레이크, BiOCl, TiO2 플레이크, 니트라이드 플레이크, 옥시니트라이드 플레이크, BN 플레이크, 진주정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안료 혼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형 기재가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칼리 금속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칼리토 금속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조합, SiO2 구체, 유리 구체, 중공 유리 구체, 알루미늄 옥사이드, 세라믹 구체,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HDI-트라이메틸올헥실 락톤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중합체성 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안료 혼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Fe2O3, TiO2, 베를린 블루, Cr2O3, Fe3O4, FeOOH, BiOCl, 티타늄 서브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입자로 이루어진, 안료 혼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플레이크형 기재가 천연 또는 합성 운모 플레이크인, 안료 혼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구형 기재가 SiO2 구체, 유리 구체 또는 중공 유리 구체를 포함하는, 안료 혼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이 1 또는 2개의 금속 옥사이드 층 또는 금속 옥사이드 혼합물로 커버링되는, 안료 혼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무기 층이 TiO2, Fe2O3, Fe3O4, FeOOH, Cr2O3, 베를린 블루, 카르민 레드, 티타늄 서브옥사이드, SnO2, ZnO, Al2O3, S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안료 혼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기재 혼합물의 표면 상에 하기 조성을 갖는, 안료 혼합물: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 Sn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 S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3O4 (제1층) + T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3O4 (제1층) + SnO2 (제2층);
    기재 혼합물 + Fe3O4 (제1층) + S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Cr2O3 (제1층) + T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Cr2O3 (제1층) + SnO2 (제2층);
    기재 혼합물 + Cr2O3 (제1층) + S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 베를린 블루 (제2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 카르민 레드 (제2층);
    기재 혼합물 + SnO2 (제1층) + TiO2 (제2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기재 혼합물 + FeOOH (제1층);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 Fe2O3 (제2층);
    기재 혼합물 + 베를린 블루 (제1층);
    기재 혼합물 + Cr2O3 (제1층);
    기재 혼합물 + Fe2O3 (제1층) + TiO2 (제2층) + SiO2 (제3층); 또는
    기재 혼합물 + TiO2 (제1층) + SiO2 (제2층) + TiO2 (제3층).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및 성분 B가 99:1 내지 1:99의 중량비(중량부)로 혼합되는, 안료 혼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및/또는 성분 B가 광 안정성, 온도 안정성 및 내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부 보호 층을 추가로 갖는, 안료 혼합물.
  12. 성분 A의 플레이크형 기재 및 구형 기재를 각각의 경우에 습식-화학적 코팅 또는 화학적 증착(CVD) 또는 물리적 증착(PVD) 공정에 의해 하나 이상의 무기 층으로 커버링하고, 이어서 성분 A 및 성분 B를 서로 혼합하고, 이어서 건조하고, 선택적으로 함께 하소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성분 A의 플레이크형 기재 및 구형 기재를 혼합하고, 습식-화학적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층으로 커버링하고, 코팅된 기재/구체 혼합물(성분 A)을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입자(성분 B)와 혼합하고, 성분 A 및 성분 B의 혼합물을 함께 후처리하고, 최종 혼합물을 15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하소하고, 이때 하소가 선택적으로 환원성 기체 하에 수행되는,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습식-화학적 코팅의 경우에, 성분 B의 수성 현탁액을 성분 A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하고, 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후처리하거나;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의 습식-화학적 커버링 후에, 생성물을 분리하고, 후처리하고, 이어서 성분 A의 건조된 생성물을 성분 B의 현탁액과 혼합하고, 이어서 현탁액을 후처리하거나;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을 성분 B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성분 B 및 성분 A의 기재 혼합물의 혼합물을 습식-화학적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무기 층으로 함께 커버링하고, 이어서 후처리하는,
    제조 방법.
  15. 페인트, 코팅, 인쇄 잉크, 보안 인쇄 잉크, 플라스틱, 세라믹 물질, 유약, 유리 또는 화장품용 제형에서, 트레이서 또는 충전제로서, 또는 안료 제제 또는 무수 제제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용도.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형.
  17. 제16항에 있어서,
    안료 혼합물 외에, 흡수제, 수렴제, 항균성 물질, 산화방지제, 발한 억제제, 소포제, 비듬방지 활성 화합물, 대전방지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표백제, 킬레이트화제, 탈취제, 연화제, 에멀젼화제, 에멀젼 안정화제, 염료, 습윤제, 필름 형성제, 충전제, 방향제, 향미료, 방충제, 방부제, 부식방지제, 화장품용 오일, 용매, 산화제, 식물성 구성 성분, 완충제 물질, 환원제, 계면활성제, 분사 기체, 유백체, 자외선 필터, 자외선 흡수제, 변성제, 알로에 베라, 아보카도 오일, 코엔자임 Q10, 녹차 추출물, 점도 조절제, 향료 및 비타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형.
KR1020170045854A 2016-04-11 2017-04-10 안료 혼합물 Ceased KR20170116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04164.1A DE102016004164A1 (de) 2016-04-11 2016-04-11 Pigmentgemisch
DE102016004164.1 2016-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82A true KR20170116582A (ko) 2017-10-19

Family

ID=5863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854A Ceased KR20170116582A (ko) 2016-04-11 2017-04-10 안료 혼합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70290750A1 (ko)
EP (1) EP3235878B1 (ko)
JP (1) JP6966861B2 (ko)
KR (1) KR20170116582A (ko)
CN (1) CN107286706B (ko)
DE (1) DE1020160041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990A (ko) * 2019-02-27 2021-11-08 슈반-스타빌로 코스메틱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수성 안료계 잉크
KR20220132901A (ko) *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아이엠씨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7742B2 (en) * 2017-12-19 2023-07-11 Sun Chemical Corporation High opacity white ink
EP3517579B1 (de) * 2018-01-23 2022-10-26 Merck Patent GmbH Pigmentgemisch enthaltend rote, blaue und grüne interferenzpigmente
WO2020055591A1 (en) * 2018-09-10 2020-03-19 Sun Chemical Corporation Pigment composition for seed coatings
MX2021007656A (es) 2018-12-28 2021-08-11 Unilever Ip Holdings B V Un proceso y composicion cosmetica para brillo y difuminado novedoso.
CN110251482B (zh) * 2019-07-24 2020-07-31 河南大学 一种单分散空心普鲁士蓝纳米微球、其制备方法及应用
CN113546648B (zh) * 2021-07-28 2022-04-19 西北师范大学 一种超薄纳米圆片状BiOBr高活性光催化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5722C (ko) 1961-06-28
US3087829A (en) 1961-06-28 1963-04-30 Du Pont Micaceous pigment composition
US3087828A (en) 1961-06-28 1963-04-30 Du Pont Nacreous pigment compositions
SE325680B (ko) 1968-11-08 1970-07-06 G E V Benson
US3553001A (en) 1969-01-02 1971-01-05 Merck Ag E Process for coating titanium dioxide on solid materials
DE2009566C2 (de) 1970-02-28 1972-06-15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itandioxid- bzw. Titandioxidaquatüberzügen
CA964403A (en) 1971-03-26 1975-03-18 Howard R. Linton Nacreous pigments of improved luster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CA957108A (en) 1971-03-30 1974-11-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igments treated with methacrylatochromic chloride for improved humidity resistance
DE2244298C3 (de) 1972-09-09 1975-06-19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313331C2 (de) 1973-03-17 1986-11-1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Eisenoxidhaltige Glimmerschuppenpigmente
DE2522572C2 (de) 1975-05-22 1982-06-0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Rutilhaltige Perlglanzpigmente
DE3030056A1 (de) 1980-08-08 1982-03-25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 metalloxiden beschichteten schuppenfoermigen glimmerpigmenten
DE3137808A1 (de) 1981-09-23 1983-03-31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echthei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137809A1 (de) 1981-09-23 1983-03-31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151355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bestaendigkeit,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151343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bestaendigkeit,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151354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211166A1 (de) 1982-03-26 1983-09-29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ydrophobierung von perlglanzpigmenten
DE3211602A1 (de) 1982-03-30 1983-10-1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rlglanzpigmenten mit verbesserten glanzeigenschaften
DE3235017A1 (de) 1982-09-22 1984-03-22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DE3237264A1 (de) 1982-10-08 1984-04-12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 metalloxid beschichteten effektpigmenten
DE3334598A1 (de) 1983-09-24 1985-04-18 Merck Patent Gmbh Witterungsbestaendige perlglanzpigmente
JPS62288662A (ja) 1986-06-09 1987-12-15 Ube Ind Ltd 複合黄色顔料
JP2597494B2 (ja) * 1988-02-01 1997-04-0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メークアップ化粧料
DE3808070A1 (de) 1988-03-11 1989-09-2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onders blaustichigen perlglanzpigmenten
DE4323914A1 (de) 1993-07-16 1995-01-19 Merck Patent Gmbh Perlglanzpigment-Zubereitung
EP0659843B1 (de) 1993-11-25 2002-02-13 MERCK PATENT GmbH Nicht glänzendes Pigment
US5571851A (en) 1994-01-28 1996-11-05 J.M. Huber Corporation Reinforcing fillers for plastics systems
JP3577576B2 (ja) 1995-04-10 2004-10-13 メルク株式会社 表面処理剤、表面処理薄片状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5759255A (en) 1996-02-07 1998-06-02 Engelhard Corporation Pearlescent pigment for exterior use
DE19618568A1 (de) 1996-05-09 1997-11-13 Merck Patent Gmbh Metalloxidbeschichtete Titandioxidplättchen
DE19618569A1 (de) 1996-05-09 1997-11-13 Merck Patent Gmbh Mehrschichtige Interferenzpigmente
JP3926007B2 (ja) 1997-11-05 2007-06-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下地化粧料
DE19820112A1 (de) 1998-05-06 1999-11-11 Eckart Standard Bronzepulver Mit reaktiven Orientierungshilfsmitteln beschichtete Effektpigmente
JP4044210B2 (ja) 1998-05-22 2008-02-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白っぽさのないメークアップ化粧料
US6117435A (en) 1998-06-24 2000-09-12 Color Access, Inc. Natural look cosmetic compositions
DE19842134A1 (de) 1998-09-14 2000-04-13 Merck Patent Gmbh Pigment mit hoher Lichtdiffusion
DE19929109A1 (de) 1999-06-24 2000-12-28 Merck Patent Gmbh Anorganische sphärische Absorptionspigmente
JP2001098186A (ja) * 1999-07-29 2001-04-10 Merck Japan Ltd 薄片状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DE19941607A1 (de) * 1999-09-01 2001-03-08 Merck Patent Gmbh Pigmentmischung enthaltend BIOCI-Pigmente
US6245323B1 (en) 2000-05-26 2001-06-12 Engelhard Corporation Bonded metal hydroxide-organic composite polymer films on particulate substrates
JP4391674B2 (ja) * 2000-08-09 2009-12-24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複合無機粉体
JP4684480B2 (ja) * 2001-07-18 2011-05-18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無機粉体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EP1469042A3 (de) * 2003-03-27 2010-07-07 MERCK PATENT GmbH Pigmentgemisch und dessen Verwendung in der Kosmetik und im Lebensmittel- und Pharmabereich
DE102006021784A1 (de) * 2006-05-09 2007-11-15 Merck Patent Gmbh Effektpigmente und deren Verwendung in der Kosmetik und im Lebensmittel- und Pharmabereich
DE102013012023A1 (de) 2013-07-19 2015-01-22 Merck Patent Gmbh Pigmentgemis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990A (ko) * 2019-02-27 2021-11-08 슈반-스타빌로 코스메틱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수성 안료계 잉크
KR20220132901A (ko) *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아이엠씨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5878B1 (de) 2019-03-20
JP2017190452A (ja) 2017-10-19
JP6966861B2 (ja) 2021-11-17
US20210145711A1 (en) 2021-05-20
CN107286706B (zh) 2021-04-30
CN107286706A (zh) 2017-10-24
DE102016004164A1 (de) 2017-10-12
EP3235878A1 (de) 2017-10-25
US20170290750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718B1 (ko) 안료
KR102322961B1 (ko) 안료 혼합물
US10219989B2 (en) Special effects with mixtures of interference pigments
KR20170116582A (ko) 안료 혼합물
JP6284544B2 (ja) 顔料
JP4960229B2 (ja) 大粒径のカラートラベル効果顔料を有する化粧用粉末組成物
JP2004292815A (ja) 銀色顔料
CN106458622B (zh) α-Al2O3薄片
CN111019394A (zh) 效果颜料
JP2019127592A (ja) 顔料混合物
WO2019043022A1 (en) PIGMENT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5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