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14573A -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 Google Patents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573A
KR20170114573A KR1020160041750A KR20160041750A KR20170114573A KR 20170114573 A KR20170114573 A KR 20170114573A KR 1020160041750 A KR1020160041750 A KR 1020160041750A KR 20160041750 A KR20160041750 A KR 20160041750A KR 20170114573 A KR20170114573 A KR 2017011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leeping
sleeper
present
storage 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018B1 (ko
Inventor
홍승철
박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을
Priority to KR102016004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0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0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1/00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생매트가 바람이나 유수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하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의 상부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침목블록, 상기 복수의 침목블록 사이에 채워지는 토사 및 상기 침목과 토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VEGETATION WITH SLEEPER}
본 발명은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생매트가 바람이나 유수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치수는 인류 역사와 함께한 가장 중요한 공공사업 중의 하나다. 더구나 오늘날과 같이 이상기온으로 인한 가뭄과 집중호우가 빈발하는 경우에는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강이나 하천을 항상 점검하고 정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하천 등의 정비사업은 물길을 바로잡고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를 제거하여 일정한 깊이로 유지하며, 제방이나 둑을 높이거나 튼튼히 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새로이 정비된 사면은 토사가 다져지거나 식물이 자라서 안정화되기 전까지 쉽게 유실될 수 있는 불안정한 상태로 외부환경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이 정비된 하천 등의 제방에는 사면이 바람이나 유수 등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트리스를 이용하여 사면을 덮어 보호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사면 보호용 매트리스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036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3693호가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사면 보호용 매트리스는 코코넛이나 짚 등과 같은 천연 식물성 섬유질을 주 재료로 하여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새로이 복토 되어 지반이 약한 사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하천 등의 사면이 바람이나 빗물 또는 유수에 의하여 씻겨져 나가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매트리스는 지반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지반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종자가 발아하기 용이한 환경을 만든다. 또한, 매트리스는 친환경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사면의 지반이 다져지고 식물이 자람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식물에 양분을 제공하게 되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매트리스에는 종자와 비료 등이 부가적으로 구비되어 식생을 촉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매트리스는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되어 가볍기 때문에 바람이나 유수에 의하여 유실되는 경우가 많다. 매트리스는 어느 정도의 바람이나 빗물 등으로부터 지반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바람의 강도가 심한 경우나 많은 비가 내리는 경우에 쉽게 날아가거나 휩쓸려 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매트리스를 설치한 후에 그 위에 돌이나 자갈 등을 일정 간격으로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하천 등의 사면은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석을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된 고정석이 경사면을 따라 쉽게 굴러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다.
KR 20-2009-0007300 U KR 10-1061036 B1 KR 10-091369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매트에 콘크리트나 나무 등과 같은 침목을 구비하여 식생매트가 하천 등의 사면으로 부턱 이탈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침목의 사이에는 식생을 위하여 필요한 토사가 채워질 수 있는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하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의 상부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침목블록, 상기 복수의 침목블록 사이에 채워지는 토사 및 상기 침목과 토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부매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침목블록에 대응하는 수납주머니가 구비되어 상기 침목블록이 상기 수납주머니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부매트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부매트는 금속재질의 그물망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납주머니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터널형상이 상기 하부매트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침목블록은 상기 수납주머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납주머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상부매트는 상기 수납주머니 또는 침목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부매트는 그물망 형상의 망채로 구성되는 침목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부매트는 망채의 크기가 20~40mm의 그물코로 구성되는 침목이 구비되어 식생에 용이한 토사가 걸러져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부매트의 상부에는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되는 커버매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에 의하면 식생매트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나 나무 등으로 구성된 침목이 구비되어 식생매트가 바람이나 호우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침목의 사이에는 상부망에 의하여 걸러진 균일한 입자의 토사가 구비되어 수변식물이 용이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100)는 하부매트(110)와, 상기 하부매트(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침목블록(130), 상기 침목블록(130) 사이에 채워지는 토사(150) 및 상기 침목블록(130)과 토사(1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매트(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매트(110)는 식생매트(100)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자연히 분해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식물성 섬유질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매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금속재질의 그물망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되는 식생매트(100)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침목의 재질이 장기간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하부매트(110) 또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금속재질의 그물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매트(110)의 상부면(도면 1을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임, 이하 동일)에는 침목블록(130)이 구비된다.
침목블록(130)은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매트(110)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분해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매트(110)가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침목블록(130)은 친환경적인 목재나 자연석 등이 될 수도 있다. 침목블록(130)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식생매트(100)의 무게를 가중하여 상기 식생매트(100)가 정비된 하천의 사면 위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침목블록(130)들 사이에 채워지는 토사(150)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침목블록(130)의 형태는 본 발명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것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재질을 다양한 형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10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침목블록(130)을 일정한 형상으로 하여 수납주머니(135)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침목블록(13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균일한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침목블록(130)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마름모형의 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침목블록(130)들 사이에 토사(150)가 채워지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침목블록(130)은 하부매트(110)의 상부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때 침목블록(130)은 특정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침목블록(130)은 공지의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하부매트(110)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부매트(110)의 상부면에 상기 침목블록(130)을 수납하는 수납주머니(135)가 구비되어 상기 수납주머니(135)에 침목블록(13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목블록(130)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수납주머니(135)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터널형상의 주머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침목블록(130)을 수납주머니(135)의 측면을 통하여 삽입하면서 하부매트(1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부매트(170)는 하부매트(110)에 대응하는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매트(170) 또한 하부매트(110)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외부에 노출되며 수변 식물이 용이하게 자라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인 식물성 섬유질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부매트(170)는 하부면이 전술하여 설명한 침목 또는 침목이 수납되어 있는 수납주머니(135)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하부매트(110)의 상부면으로 상기 침목블록(130)들 사이의 공간에는 토사(150)가 채워진다. 토사(150)는 침목블록(130)과 함께 하부매트(110)의 무게를 가중하는 동시에 수변식물이 자랄 수 있는 토양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침목블록(130)들 사이에 채워지는 토사(150)에는 식물의 종자나 비료 등이 적절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는 작업현장에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하부매트(110)를 하천의 사면에 펼쳐서 설치한 후에, 상기 하부매트(110)의 수납주머니(135)에 침목블록(130)을 삽입하여 결한다. 그런 후에 상기 침목블록(130)들 사이에 토사(150)를 채워넣고, 그 위에 상부매트(170)를 덮어서 앙카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매트(170)를 침목블록(130)의 상부면에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침목블록(130)들 사이에 토사가 용이하게 채워지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침목블록(130)이 상부면이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마름모꼴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는 하천 등의 사면에 펼쳐져서 놓여지는 하부매트(110)가 침목블록(130) 및 토사(150)에 의하여 눌려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토사(150)는 상부매트(170)에 의하여 가려져 있기 때문에 유실될 염려가 적어지며, 상기 상부매트(170)에 의하여 수분의 손실도 줄어들기 때문에 식물의 종자가 자라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100)는 전술하여 설명한 상부매트(170)가 그물망 형상의 망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침목블록(130)이 고정된 하부매트(110)와 상기 침목블록(130)이 상부매트(170)가 고정된 식생매트(100)를 하천의 사면에 설치한 후에 상기 상부매트(170)에 토사(150)를 뿌려서 침목블록(130)들 사이에 토사(150)를 채운다. 상부매트(170)와 하부매트(110)의 사이로 상기 침목블록(130)들의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토사(150)는 식물이 자라기 용이한 토사(1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이나 자갈은 가급적 적게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부매트(170)를 망채로 구성하여 특정 크기 이상의 자갈이나 돌은 상부매트(170)에 의하여 걸러지도록 하여 식생매트(100)의 내부로 침목블록(130)들 사이의 공간에는 비교적 고운 입자의 토사(150)가 채워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부매트(170)의 망채는 그물코의 크기가 20~40mm로 구성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m로 구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부매트(170)를 통하여 일정크기 이하의 토사(150) 입자가 침목블록(130)들 사이에 채워지고 난 후에는 상기 토사(150)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150)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매트(170)의 상부에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된 별도의 커버매트(19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침목블록(130)을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침목블록(130)을 고정하는 방법이나 상부매트(170) 및 하부매트(110)의 구성은 전술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식생매트
110: 하부매트
130: 침목블록
135: 수납주머니
150: 토사
170: 상부매트
190: 커버매트

Claims (6)

  1. 하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의 상부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침목블록, 상기 복수의 침목블록 사이에 채워지는 토사 및 상기 침목과 토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매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침목블록에 대응하는 수납주머니가 구비되어 상기 침목블록이 상기 수납주머니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부매트에 고정되는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매트는 금속재질의 그물망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납주머니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터널형상이 상기 하부매트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침목블록은 상기 수납주머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납주머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상부매트는 상기 수납주머니 또는 침목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트는 그물망 형상의 망채로 구성되는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트는 망채의 크기가 20~40mm의 그물코로 구성되는 침목이 구비되어 식생에 용이한 토사가 걸러져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식생매트.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트의 상부에는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되는 커버매트가 더 구비되어 있는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KR1020160041750A 2016-04-05 2016-04-05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Active KR10186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50A KR101860018B1 (ko) 2016-04-05 2016-04-05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50A KR101860018B1 (ko) 2016-04-05 2016-04-05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73A true KR20170114573A (ko) 2017-10-16
KR101860018B1 KR101860018B1 (ko) 2018-05-24

Family

ID=6029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50A Active KR101860018B1 (ko) 2016-04-05 2016-04-05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529B1 (ko) * 2021-12-15 2022-08-26 김병구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10B1 (ko) * 2019-06-25 2020-10-2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7332B2 (ja) * 2000-02-16 2008-08-20 日本植生株式会社 緑化用の植生マットおよび緑化方法
JP4239186B2 (ja) * 2000-10-13 2009-03-18 日本植生株式会社 植生マ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529B1 (ko) * 2021-12-15 2022-08-26 김병구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018B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CN108589743B (zh) 一种用于边坡防护的生态土工格栅
KR100723260B1 (ko) 하천 하안 버드나무 식재방법
KR200449105Y1 (ko) 코이어매트
KR100860748B1 (ko) 허니셀 녹화공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1860018B1 (ko)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KR100922466B1 (ko) 식생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SK50582008A3 (sk) Vegetačná strecha, najmä sklonitá a spôsob jej výroby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CN105756015B (zh) 一种生物多样性动态景观生态复合系统修复的方法
CN114215081B (zh) 一种露天矿山边坡生态修复施工方法
KR102684571B1 (ko) 암벽착생식물 인공서식지 조성 및 복원을 위한 개비온
KR100192709B1 (ko) 하천의 조경조성방법 및 조경조성을 위한 구조물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RU118644U1 (ru) Дорожное покрытие на газоне,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стоянок автомобилей с весом менее 2000 кг (варианты)
KR101477711B1 (ko) 황토, 배양토가 부착된 포러스콘크리트를 활용한 하천호안 시공방법
KR100872483B1 (ko) 암반사면의 녹화용 녹화분
KR20090075476A (ko) 사면녹화공법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11042158A (zh) 一种用于混凝土框架和浆砌片石骨架护坡的植物措施方法
CN110004951A (zh) 一种带蓄水供水系统的边坡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SK288021B6 (sk) Advertising surface establishing on the slope and/or having sloping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8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4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