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13959A -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959A
KR20170113959A KR1020160038238A KR20160038238A KR20170113959A KR 20170113959 A KR20170113959 A KR 20170113959A KR 1020160038238 A KR1020160038238 A KR 1020160038238A KR 20160038238 A KR20160038238 A KR 20160038238A KR 20170113959 A KR20170113959 A KR 2017011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pace
fluid
inner space
hu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중수
손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3959A/ko
Publication of KR2017011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5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2701/10
    • B63B273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횡요 저감 탱크는 내부공간에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배플; 및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유체의 이동통로가 되는 유체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의 횡요 저감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 및 상기 선체에 고정되는 상기 횡요 저감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횡요 저감 탱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Anti rolling tank and Rolling decreasing type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파도에 의해서 상하동요 및 횡요(횡동요)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요현상은 작업성능을 떨어뜨리거나, 안전상의 문제를 유발하게 되므로 방지 또는 억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에는 횡요 방지를 위한 장치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요 방지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는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를 선박의 몸체인 선체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테면 ART(Anti-Rolling Tank) 등이 있다.
ART를 선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ART의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 선체에서 화물 적재 공간을 줄이거나, 선박의 제원을 키우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ART가 선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지게 될수록 ART의 설치 작업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도 어려워 지게 되고, 관련 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ART의 구조 및 규격은 ART가 설치되는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구조 및 규격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구조 및 규격이 달라지면 이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선박의 경우 충분한 유체의 양이 확보되지 않은 ART는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가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선체의 길이가 추가적으로 증가해야 하기 때문에 건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횡요를 저감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건조 비용, 설치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의 관련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요 저감 탱크는 내부공간에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배플; 및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유체의 이동통로가 되는 유체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탱크본체는,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분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공간; 및 상기 분리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중력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탱크본체는,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상기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은 중력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이동유닛은, 상기 분리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연장되는 이동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의 횡요 저감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 및 상기 선체에 고정되는 상기 횡요 저감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횡요 저감 탱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횡요를 저감할 수 있고,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며, 관련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횡요 저감 탱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횡요 저감 탱크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횡요 저감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횡요 저감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횡요 저감 탱크(100)는 내부공간(115)에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본체(110)와, 상기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 구비되는 배플(120) 및 상기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 구비되고, 유체의 이동통로가 되는 유체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이동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31)과, 일측이 상기 관통홀(131)에 연결되고, 타측이 연장되어 탱크본체(110)의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는 이동배관(132)을 포함하는 유체이동부(133)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경우에는 횡동요 또는 횡요를 저감하기 위해 횡동요 감쇠 탱크(ART: Anti-Rolling Tank)를 사용한다. 특히,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경우에는 플럼 타입(Flume Type)의 횡동요 감쇠 탱크가 주로 적용되는데, 이러한 플럼 타입의 횡동요 감쇠 탱크의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는 적정량의 유체가 채워지게 된다.
이때,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 채워진 유체가 과도하게 출렁이는 현상은 배플(120)을 설치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탱크본체(1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물인 배플(120)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배플(120)에 의하면 유체가 과도하게 출렁이는 슬로싱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탱크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플(120)의 형태, 수량 등은 선박이나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특성 예를 들면, 적재되는 화물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탱크본체(110)의 규격 및 내부공간(115)에 채워지는 유체의 양은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규격, 화물 적재량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규모가 증가 될수록, 적재되는 화물량이 증가 될수록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 채워지는 유체의 양로 증가하게 된다.
이때, 단일 탱크로 필요한 양의 유체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에는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내에 복수개의 탱크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탱크는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상에 복수개의 탱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간 확보를 위해 선체의 길이가 증가해야 하고, 해양구조물의 규모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횡요 저감 탱크의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선체의 길이 또는 해양구조물의 규모가 추가적으로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탱크본체(110)의 규격이 중력방향으로 증대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1에는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이 분리판(111)에 의해 제1공간(112) 및 제2공간(113)으로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분리판(111)은 탱크본체(11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분리판(111)에 의하면 선체(미도시)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공간(112)의 상부에 제2공간(113)이 적층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111)은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판(111)은 제1분리판(111a)과 상기 제1분리판(111a)으로부터 중력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분리판(1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은 제1공간(112), 제2공간(113) 및 제3공간(114)으로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의 공간들은 중력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력방향으로 적층되는 공간에 의하면 선체의 길이가 증가될 필요가 없고, 해양구조물의 규모가 추가적으로 증대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건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내부공간(115)에 고정되는 분리판(111)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탱크본체(110)의 높이는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분리판(111)의 개수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규모와 같은 조건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듯이, 단일 탱크본체(110)의 내부에 복수개의 분리판(111)이 설치됨으로써 내부공간(115)이 분리될 수도 있고, 제1공간(112), 제2공간(113) 및 제3공간(114)을 각각 형성하도록 단위유닛 형태의 탱크본체를 구비하여 상기 탱크본체를 중력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횡요 저감 탱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탱크본체(110)의 내부에서 제1공간(112), 제2공간(113) 및 제3공간(114)을 중력방향으로 적층하게 되면,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이동배관(132)을 설치할 수 있어 탱크본체(110)의 내부에 유체를 채우거나, 탱크본체(110)의 내부로부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별도의 배관시설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이듯이, 탱크본체(110)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제1분리판(111a)에는 관통홀(13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31)의 하부로는 탱크본체(11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탱크본체(110)의 외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이동배관(1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배관(132)은 관통홀(13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될 뿐만 아니라, 탱크본체(110) 내부의 유체를 탱크본체(1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이와 같이 이동배관(132)을 구성하게 되면 이동배관(132)이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이동배관(13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중력에 의해 신속하게 하부로 낙하하여 별다른 장치 없이 신속하게 탱크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이동배관(132)이 배플(120)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서 배플(120)을 다수개 설치하지 않아도 유체가 과도하게 출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탱크본체(110)의 높이가 중력방향으로 증가되는 경우에는 이에 맞게 배플(120)의 높이도 증가되며, 이동배관(132)의 길이도 증가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이듯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횡요 저감 탱크(100)를 포함하는 선박(2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은 선체(210) 및 상기 선체(210)에 고정되는 상기 횡요 저감 탱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횡요 저감 탱크(1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의 측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보이듯이, 선체(210)에 설치된 상기 횡요 저감 탱크의 탱크본체(110)의 내부에는 분리판(11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분리판(111)에 의하여 탱크본체(110)의 내부공간은 복수개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공간들은 중력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따르면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해양구조물의 규모를 추가적으로 증대시킬 필요가 없어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횡요 저감 탱크 110 : 탱크본체
111 : 분리판 111a : 제1분리판
111b : 제2분리판 112 : 제1공간
113 : 제2공간 114 : 제3공간
115 : 내부공간 120 : 배플
131 : 관통홀 132 : 이동배관
133 : 유체이동부 200 : 선박
210 : 선체

Claims (6)

  1. 내부공간에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배플; 및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유체의 이동통로가 되는 유체이동유닛;
    을 포함하는 횡요 저감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는,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요 저감 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분리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공간; 및
    상기 분리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중력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요 저감 탱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는,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상기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은 중력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요 저감 탱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동유닛은,
    상기 분리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연장되는 이동배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요 저감 탱크.
  6. 선체; 및
    상기 선체에 고정되는 제5항의 횡요 저감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횡요 저감 탱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선박.
KR1020160038238A 2016-03-30 2016-03-30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Withdrawn KR20170113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238A KR20170113959A (ko) 2016-03-30 2016-03-30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238A KR20170113959A (ko) 2016-03-30 2016-03-30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59A true KR20170113959A (ko) 2017-10-13

Family

ID=6013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238A Withdrawn KR20170113959A (ko) 2016-03-30 2016-03-30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3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9457A (zh) * 2022-06-22 2022-09-06 广州航海学院 一种减摇水舱及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9457A (zh) * 2022-06-22 2022-09-06 广州航海学院 一种减摇水舱及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6045A2 (en) Floating offshore structure
US9828072B2 (en) Compact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acility
JP5624146B2 (ja) 横揺れ低減型船舶
KR20100084435A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KR20170113959A (ko) 횡요 저감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1023477A (en) Ship construction.
CN110481714A (zh) 一种油液运输船专用货仓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JPH09502941A (ja) 制水隔壁を備えたタンカー
JP6368060B1 (ja) 液体貨物バラ積船
CN107531316B (zh) 漂浮单元和稳定该漂浮单元的方法
US20190009868A1 (en) Buoyant offshore structure
KR102130307B1 (ko) 선박 탱크 시스템
WO2018043591A1 (ja) 浮体式生産貯蔵積出設備
KR101031266B1 (ko) 밸러스트 시스템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KR20120012869A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WO1997031817A1 (en) Semi-submersible vessels
KR20120014633A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20170003467U (ko) 적층형 안티 롤링 탱크 구조물
KR20110075916A (ko) 이동 항구
KR20100073787A (ko) 부상식 도크 게이트용 밸러스트 탱크
KR20120017891A (ko) 솔리드형 밸러스트 장치
JP2009234634A (ja) スロッシング抑制装置
KR101605118B1 (ko) 부유식 화물적재구조를 가진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