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08771A - 빌딩컴포넌트 건축방식의 구조단열 모듈패널과 결구방식 - Google Patents

빌딩컴포넌트 건축방식의 구조단열 모듈패널과 결구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771A
KR20170108771A KR1020160114785A KR20160114785A KR20170108771A KR 20170108771 A KR20170108771 A KR 20170108771A KR 1020160114785 A KR1020160114785 A KR 1020160114785A KR 20160114785 A KR20160114785 A KR 20160114785A KR 20170108771 A KR20170108771 A KR 20170108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rtical members
horizontal member
module panel
cov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재
Original Assignee
(주)이코노미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코노미하우징 filed Critical (주)이코노미하우징
Priority to CA294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CA2941521A1/en
Priority to EP16188391.3A priority patent/EP3219865A1/en
Publication of KR2017010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7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2Connection node with interlocking of specially shaped wooden members, e.g. puzzle type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모듈패널은,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직사각형 평판 형상인 한 쌍의 수직부재들; 상기 수직부재들의 사이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단부에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단 수용홈에 양단이 삽입된 상단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단부에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단 수용홈에 양단이 삽입된 하단 수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빌딩컴포넌트 방식의 구조모듈패널과 결구방식{STRUCTURAL MODULAR PANEL IN BUILDING COMPONENT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구조모듈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골목 구조를 활용한 구조모듈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구조의 목재부재는 원목을 균일한 소단면 각재로 제재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저렴하게 대량 공급하여 주택을 건설하는 방법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목구조는 습식공법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구조에 비해 시공과정이 단순화되어 공사기간이 짧으며, 건축자재 생산과정의 소요에너지가 가장 낮고 친환경재료로써 에너지 효율 및 주거쾌적성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목구조를 활용한 목조주택은 표준화/규격화된 목재(Standardized Dimensional Lumber)와 판상재를 주요 자재로 하고 못이나 철물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조체를 완성한다.
세부적으로는, 토대(Sil Plate)와 깔도리(Top Plate)사이를 수직으로 연속된 스터드(Stud)를 세워 벽체의 기본 뼈대를 형성하며, 베커(Backer), 코너(Corner), 헤더(Header), 래더블로킹(Ladder Blocking), 구조용 합판(OSB)등의 구성자재를 결합함으로써 복잡하고 다양한 주택의 내력벽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목재부재는 벽체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면서 여유 공극 없이 시공되므로 결로현상으로 인한 목재의 수축과 변형 발생 시 건조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하기 까지 비교적 시간이 오래 걸리며, 그 만큼 목재의 내구도가 쉽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기/기계설비 배선/배관을 위한 목재부재의 수선과정을 설비 조건에 따라 현장에서 복잡하게 진행하여야 하므로 설비 시공이 복잡해진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0-0107202호(2010.10.05.)
본 발명의 목적은 원활한 통풍을 통해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전기/기계 설비, 배선/배관 공간을 확보하며, 시공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모듈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모듈패널은,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직사각형 평판 형상인 한 쌍의 수직부재들; 상기 수직부재들의 사이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단부에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단 수용홈에 양단이 삽입된 상단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단부에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단 수용홈에 양단이 삽입된 하단 수평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수용홈 및 상기 하단 수용홈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단 수평부재 및 상기 하단 수평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너비방향에 따른 두께를 가지고 수직방향에 따른 너비를 가지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단 수평부재 및 상기 하단 수평부재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수평부재는 상기 하단 수평부재와 동일한 제1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상단 수평부재와 상기 제1 평면과 나란한 제2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상단 수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수평부재는 상기 상단 수평부재와 동일한 제1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하단 수평부재와 상기 제1 평면과 나란한 제2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하단 수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들은 서로 대향되는 면과 인접하고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 일면으로부터 상기 수직부재의 너비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걸림홈을 각각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들은 상기 걸림홈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나사홀을 각각 하나 이상 가지며, 상기 수직부재들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해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들은 서로 대향되는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나사홀을 각각 하나 이상 가지며, 상기 수직부재들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해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수평부재는, 수평몸체; 그리고 상기 수평몸체의 일단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상단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단 수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단 수용홈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는 수평삽입체를 구비하며,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상단 수평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단 수평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삽입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측 수평삽입체를 구비하는 외측상단 수평부재; 그리고 상기 상단 수용홈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돌출된 상기 수평삽입체가 삽입되는 외측상단 수용홈을 가지며,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외측 수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는 상기 외측상단 수평부재와 대향되는 전방면이 상기 외측상단 수평부재를 향해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는 상기 상단 수평부재와 대향되는 전방면이 상기 상단 수평부재를 향해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수평삽입체가 상기 외측상단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가 상기 상단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몸체의 경사면과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의 경사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수평삽입체는 상기 외측상단 수평부재와 대향되는 전방면이 상기 외측상단 수평부재를 향해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는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외측 수평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수평몸체는 상기 상단 수평부재와 대향되는 전방면이 상기 상단 수평부재를 향해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수평삽입체가 상기 외측상단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가 상기 상단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삽입체의 경사면과 상기 외측 수평몸체의 경사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수평삽입체는 상부를 향한 오목면 및 볼록면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부면을 가지고,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는 하부를 향한 볼록면 및 오목면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하부면을 가지며, 상기 수평삽입체가 상기 외측상단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가 상기 상단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삽입체의 오목면 및 볼록면과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의 볼록면 및 오목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수평삽입체의 오목면 및 볼록면과 상기 외측 수평삽입체의 볼록면 및 오목면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수직부재들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면과 나란한 상부면을 가지는 상부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 커버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상부 수직절개홈을 가지고, 상기 상부 커버플레이트는 인접한 상기 상부 수직절개홈과 연통되어 상기 상부 수직절개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상부 커버절개홈을 가지며,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상부 수직절개홈 및 상기 상부 수직절개홈과 연통된 상기 상부 커버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들과 상기 상부 커버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수직부재들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면과 나란한 상부면을 가지는 하부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부면은 상기 하부 커버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하부 수직절개홈을 가지고, 상기 하부 커버플레이트는 인접한 상기 하부 수직절개홈과 연통되어 상기 하부 수직절개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하부 커버절개홈을 가지며,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하부 수직절개홈 및 상기 하부 수직절개홈과 연통된 상기 하부 커버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들과 상기 하부 커버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활한 통풍을 통해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전기/기계 설비, 배선/배관 공간을 확보하며, 시공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모듈패널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의 다양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모듈패널의 분해/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을 복수 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모듈패널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의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모듈패널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골목 구조를 활용한 구조모듈패널은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직부재들(110)과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부재들(200,210)을 구비한다.
수직부재들(110)은 직사각형 평판 형상이며,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수직부재(110)는 두께(t)와 너비(w)(두께보다 큰), 그리고 수직방향에 따른 길이(l)를 가진다.
수직부재((110)는 상단부에 형성된 상단 수용홈(120)과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 수용홈(130)을 가진다. 상단 수용홈(120) 및 하단 수용홈(130)은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 형상이며, 후술하는 수평부재의 두께 및 너비와 대체로 일치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수용홈(120) 및 하단 수용홈(130)은 서로 대향되는 수직부재(11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단 수용홈(120) 중 하나는 하단 수용홈(130)과 동일 평면, 즉 수직부재(110)의 너비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수용홈(120) 중 다른 하나는 하단 수용홈(130)과 다른 평면, 즉 수직부재(110)의 너비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단 수용홈들(120)은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수평부재(200)는 하나 또는 둘일 수 있으며, 이에 맞추어 상단 수용홈(120) 역시 하나 또는 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 수평부재(210)는 하나 또는 둘일 수 있으며, 이에 맞추어 하단 수용홈(130) 역시 하나 또는 둘일 수 있다. 하단 수용홈들(130)은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부재들(200,210)은 직사각형 평판 형상이며,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수평부재(200,210)는 두께(t)와 너비(w)(두께보다 큰), 그리고 수직방향에 따른 길이(l)를 가진다. 수평부재들(200,210)은 양단이 상단 수용홈(120) 또는 하단 수용홈(130)에 삽입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단 수평부재(200) 중 하나는 하단 수평부재(210)와 동일 평면, 즉 수직부재(110)의 너비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수평부재(200) 중 다른 하나는 하단 수평부재(210)와 다른 평면, 즉 수직부재(110)의 너비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단 수평부재들(200)은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의 다양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하나의 상단 수평부재(200)와 하나의 하단 수평부재(210)가 동일 평면에 형성된 구조모듈패널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에 하단 수평부재(210)가 추가로 설치된 구조모듈패널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이며, 도 2d는 도 2c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에 하단 수평부재(210)가 추가로 설치된 구조모듈패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모듈패널의 분해/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을 복수 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재(110)는 걸림홈(140)을 가지며, 걸림홈(140)은 다른 수직부재(110)와 대향되는 면과 인접하고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 일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다. 걸림홈(140)은 복수 개가 수직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수직부재(110)에 형성된 걸림홈(140)과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걸림홈(140)의 함몰방향은 수직부재(110)의 너비방향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구조모듈패널이 결합되어 내력벽을 형성할 경우, 걸림홈(140)은 배선/배관의 통로로 활용되어 시공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모듈패널의 통풍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단 수평부재(200) 사이의 간극 또는 하단 수평부재(210) 사이의 간극 역시 구조모듈패널의 통풍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수직부재(110)는 걸림홈(140)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나사홀들(150)을 가지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홀(150)을 관통하는 볼트(151)와 너트(152) 결합을 통해 수직부재들(110)은 체결될 수 있다. 나사홀들(150)은 수직부재(110)에 따라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나사홀들(150)은 서로 대향되는 수직부재들(11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걸림홈(140)의 상하 뿐만 아니라, 걸림홈(140)이 형성된 일변(면)의 반대쪽 변(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조모듈패널(100)의 내부는 단열재를 채우고, 걸림홈(140)을 통해 배선/배관을 설치한 후 석고보드를 설치하여 걸림홈(140) 측을 마감하며, 구조용 합판은 걸림홈(140)의 반대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구조모듈패널(100)의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공기층을 확보하여 통풍구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걸림홈(140)을 통해 구조모듈패널(100) 전체에 걸쳐 배선/배관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수평부재들(200) 사이의 공간 또는 상단 수평부재들(200)의 외측 공간을 통해 원활한 통풍(20)이 가능하며, 걸림홈(140)의 공간을 통해 배선/배관의 경로(30)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모듈패널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수직배향으로 세워지며 상/하단에 각각 하나 또는 두 개의 수용홈(120, 130)를 가지는 수직부재(100)를 형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수직부재(100) 상단 수용홈(120)에 수평배향으로 끼워맞춰지는 상단수평부재(200)를 결합하는 단계(S120)와, 상기 수직부재 하단 수용홈(130)에 수평배향으로 끼워맞춰지는 하단수평부재(210)를 결합하는 단계(S130)와, 구조모듈패널(100)의 너비 방향으로 평행하여 설치되는 좌/우측 부 구조모듈패널(101, 102)을 상기 수직부재(100)에 형성된 나사홀(130)을 통하여 볼트(151) 너트(152)의 조임으로 결속시켜 결합하는 단계(S14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10)에 2축 내지 5축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제 1측(10)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140)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1측(10) 및 제 2측(11)에 각각 적어도 한 쌍의 나사홀(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방식으로 제조된 구조모듈패널(100)은 벽체 내부의 통풍 구조를 바탕으로 구조체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전기/기계설비 배선/배관 전용공간의 확보로 시공편의성이 향상된 구조모듈패널(100)로서 목조주택을 형성하는 내력벽이 만들어진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에 도시한 구조모듈패널의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모듈패널은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구조모듈패널이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네 개의 구조모듈패널은 좌우로 배열되고 상하로 적층되어 서로 체결되며,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원하는 크기의 구조모듈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는 하부 수직부재들(110D)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에 접하고,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다른 구조모듈패널과 인접한 하부 수직부재들(110D)은 서로 접하며, 하나의 구조모듈패널을 기준으로 하부 수직부재들(110D)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는 하부 수직부재들(110D)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의 상부면은 하부 수직부재들(110D)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가 상단 수평부재(200D)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나,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D)는 상단 수평부재(200D)의 상부면에 접하여 상단 수평부재(200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는 짧은 변으로부터 함몰된 상부 커버절개홈(840D)을 가지며, 상부 커버절개홈(840D)은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에 인접한 하부 수직부재(110D)는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부 수직절개홈(840D)과 연통되는 상부 수직절개홈(180D)을 가진다. 상부 커버절개홈(840D)은 인접한 상부 수직절개홈(180D)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상부 수직절개홈(180D)은 직선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하부 수직부재들(110D)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상부 수직절개홈들(180D)과 2개의 상부 수직절개홈들(180D)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부 커버절개홈들(840D)은 'I'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는 긴 변으로부터 함몰된 하나 이상의 걸림홈들(820D)을 가지며, 걸림홈들(820D)은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다. 걸림홈들(820D)은 앞서 설명한 통풍(20)을 위한 경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목재부재가 습기 등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상부 수직부재들(110U)의 하부면 및 상부 커버플레이트(800U)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상부 수직부재들(110U)의 하부면은 하부 수직부재들(110D)의 상부면과 대칭을 이루어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하부 커버플레이트(800U)는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와 대칭을 이루어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체결부재는 상부체결부재(400D)와 하부체결부재(900U)가 접합 또는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체결부재(400D)는 2개의 상부 수직절개홈들(180D)과 2개의 상부 커버절개홈들(840D)이 이루는 'I' 형상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하부체결부재(900U)는 상부체결부재(400D)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상부체결부재(400D)는 2개의 상부 수직절개홈들(180D)과 2개의 상부 커버절개홈들(840D)에 삽입되어 2개의 상부 수직부재들(110D)과 2개의 상부 커버플레이트(800D)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체결부재(400D)와 마찬가지로, 하부체결부재(900U)는 2개의 하부 수직절개홈들(도시안함)과 2개의 상부 커버절개홈들(도시안함)에 삽입되어 2개의 하부 수직부재들(110U)과 2개의 하부 커버플레이트(800U)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수의 구조모듈패널이 좌우로 배열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하로 배열된 구조모듈패널이 체결부재를 통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략

Claims (8)

  1.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직사각형 평판 형상인 한 쌍의 수직부재들; 및
    상기 수직부재들의 사이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단부에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단 수용홈에 양단이 삽입된 상단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단부에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단 수용홈에 양단이 삽입된 하단 수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 수용홈 및 상기 하단 수용홈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상인, 경골목 구조를 활용한 구조모듈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수평부재 및 상기 하단 수평부재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인, 경골목 구조를 활용한 구조모듈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수평부재 및 상기 하단 수평부재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경골목 구조를 활용한 구조모듈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수평부재는 상기 하단 수평부재와 동일한 제1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상단 수평부재와 상기 제1 평면과 나란한 제2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상단 수평부재를 구비하는, 경골목 구조를 활용한 구조모듈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들은 서로 대향되는 면과 인접하고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 일면으로부터 상기 수직부재의 너비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걸림홈을 각각 하나 이상 가지는, 경골목 구조를 활용한 구조모듈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들은 서로 대향되는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나사홀을 각각 하나 이상 가지며,
    상기 수직부재들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해 결속되는, 경골목 구조를 활용한 구조모듈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수직부재들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면과 나란한 상부면을 가지는 상부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 커버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상부 수직절개홈을 가지고,
    상기 상부 커버플레이트는 인접한 상기 상부 수직절개홈과 연통되어 상기 상부 수직절개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상부 커버절개홈을 가지며,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상부 수직절개홈 및 상기 상부 수직절개홈과 연통된 상기 상부 커버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들과 상기 상부 커버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조모듈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수직부재들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면과 나란한 상부면을 가지는 하부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들의 하부면은 상기 하부 커버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하부 수직절개홈을 가지고,
    상기 하부 커버플레이트는 인접한 상기 하부 수직절개홈과 연통되어 상기 하부 수직절개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하부 커버절개홈을 가지며,
    상기 구조모듈패널은 상기 하부 수직절개홈 및 상기 하부 수직절개홈과 연통된 상기 하부 커버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들과 상기 하부 커버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조모듈패널.
KR1020160114785A 2016-03-17 2016-09-07 빌딩컴포넌트 건축방식의 구조단열 모듈패널과 결구방식 Ceased KR20170108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941521A CA2941521A1 (en) 2016-03-17 2016-09-09 Structural modular panel in building component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EP16188391.3A EP3219865A1 (en) 2016-03-17 2016-09-12 Structural modular panel in building component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1765 2016-03-17
KR1020160031765 2016-03-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692A Division KR20190010519A (ko) 2018-12-10 2018-12-10 빌딩컴포넌트 건축방식의 구조단열 모듈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771A true KR20170108771A (ko) 2017-09-27

Family

ID=6003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785A Ceased KR20170108771A (ko) 2016-03-17 2016-09-07 빌딩컴포넌트 건축방식의 구조단열 모듈패널과 결구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7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7038A1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interlocking panels
GB2567030A (en) A unit for defining a recess for a joint
CA3018111A1 (en) A construction system
US9725902B1 (en)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stalling and utilizing a panel
CN108035469B (zh) 空间箱形旋切板胶合木正交胶合木组合楼盖及其制造方法
KR101229547B1 (ko) 건축용 그린팀버웰 내화벽 구조
US7373762B2 (en) Multi-functional assembly including a panel and stud with oppositely configured “V” notches along a cross sectional configuration
JP2009102940A (ja) 耐震壁
EP3219865A1 (en) Structural modular panel in building component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4091590A (en) Structural element
KR20170108771A (ko) 빌딩컴포넌트 건축방식의 구조단열 모듈패널과 결구방식
WO2018060946A1 (en) Modular system and kit for the dry building of structures for constructions, as well as building method thereof
JP4565342B2 (ja) 家屋等の壁面用ブロック
WO2022245213A1 (en) Interlockable wall reinforcement panel, wall reinforc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wall reinforcement
JP4904100B2 (ja) 建物ユニットと基礎との連結構造、建物ユニットと基礎との連結方法及びユニット建物
CN211646705U (zh) 装配式落地飘窗混凝土部件
JP7210470B2 (ja) 特に水平建物構造を構成するための平坦な建物要素
KR100734175B1 (ko) 목조주택 및 이 목조주택의 시공방법
KR200298613Y1 (ko) 목조 판넬의 조립구조
KR102774068B1 (ko) 데크 지지용 서포트보드를 갖는 데크 조립체
KR101148672B1 (ko) Alc주택벽체 시공방법
KR20130033138A (ko) 건축용 목재블록
KR20230117008A (ko) 조립식 나무블록
NO20170998A1 (no) Modulært system for oppføring av hus
CN1982558A (zh) 组合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040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70516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8100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090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040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70516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2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