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064A -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캡처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캡처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7064A KR20170107064A KR1020177023561A KR20177023561A KR20170107064A KR 20170107064 A KR20170107064 A KR 20170107064A KR 1020177023561 A KR1020177023561 A KR 1020177023561A KR 20177023561 A KR20177023561 A KR 20177023561A KR 20170107064 A KR20170107064 A KR 201701070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ent
- module
- dialing
- dose
- paramet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26058 directional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36 working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0047 auto-injec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402 cel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7 drug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60 med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50 pharmac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643 prefilled syring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91 self-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8—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35—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e.g. blocking means, means preventing insufficient dosing, means allowing correction of overset do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8—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 A61M5/3155—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by rotational movement of dose setting member, e.g. during setting or filling of a syrin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68—Means keeping track of the total dose administered, e.g. since the cartridge was inserted
-
- G06F19/3468—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5—Acoustical, e.g. ultrasonic, measu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입 디바이스에 의해 발산되는 에너지의 임펄스를 검출하고, 임펄스에 기초하여 약의 투약량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개시된다. 일 예에 있어서, 모듈은 자기주사기 상의 클릭-휠(click-wheel)을 다이얼링함으로써 발산되는 진동들을 검출하고, 다이얼링된 투약량에 기초하여 약의 선택된 투약량을 결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입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주입 디바이스 상에서 선택된 약물의 투여량(dose)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주입을 위하여 약물의 어떠한 투여량이 선택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주입 디바이스의 모션(motion) 또는 진동을 측정하는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주입 디바이스들은 병원 또는 의사 진료실 외부에서 환자들이 그들의 약물들을 자기-투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 디바이스들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흔히 만성 질환의 관리를 위하여 사용된다. 전형적인 주입 디바이스는, 릴리즈(release) 버튼의 단일 푸시를 가지고 주사바늘을 전개하고 약물을 전달하는 의료 디바이스 내의 사전충전형 주사기를 갖는다. 전형적인 주입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달될 약물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주입 디바이스들은 또한 일회용일 수 있으며, 주입 이전 및 이후에 주사바늘을 차폐(shield)하기 위한 안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만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자기-투약 환자들은 그들의 일상의 다수의 측면들의 로그(log) 또는 이력을 유지한다. 로그의 부분으로서, 환자들은 식습관 및 운동 루틴과 함께 각각의 주입의 시간 및 약물의 양을 기억하고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그의 누락되거나 또는 잘못된 기록은 부정확한 주입 정보가 저장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의료진이 장래의 약물 투약계획(medication regimen)들에 대하여 부적절한 결정을 내리게끔 하는 것과 함께 환자가 그들의 약의 장래의 투여량들을 잘못-투약하게끔 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들 중 일부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의 주입 디바이스들은 환자에 의해 얼마나 많은 약이 주입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광학적, 용량적, 자기적 또는 유사한 방법들을 포함하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근방식들은 큰 크기의 디바이스들을 야기하며, 이는 디바이스들을 부피가 크게 만들고 인체공학적으로 매력적이지 않게 만든다. 일부 종래의 주입 디바이스들은 또한, 예를 들어, 원래 주입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계되지 않은 새로운 투여량 다이얼링(dialing) 버튼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와 주입 디바이스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었다. 다른 종래의 주입 디바이스들은 약물 주입 이전과 이후의 사전-충전형 카트리지 내부의 스토퍼(stopper)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투여량을 검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측정들 사이에 발생하는 복수의 개별적이 투여량 조절(dosing) 이벤트들의 수 또는 방향(direction)을 결정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주입 디바이스에 의해 발산(give off)되는 에너지의 임펄스(impulse)를 검출하고, 임펄스에 기초하여 약의 투약량(dosage)을 결정하며, 그 정보를 환자에게 통신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약의 투여량을 선택함으로써 발산되는 에너지의 임펄스를 검출하고, 임펄스의 크기 및 방향에 기초하여 선택된 투여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는 주입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다. 방법은: 주입 디바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임펄스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임펄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이벤트와 관련되는, 단계; 임펄스에 기초하여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외부 이벤트가 다이얼링 이벤트라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또는 다른 측면들은, 주입 디바이스의 몸체에 부착될 수 있는 주입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진동들 및 방향적 모션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얼링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는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투여량 다이얼링 파라미터들을 검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모듈은: 주입 디바이스와 메이팅(mate)하도록 구성된 캐리어(carrier); 캐리어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 및 파라미터들을 판독하고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된 측면들이 개시된 측면들을 예시하지만 제한하지 않도록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유사한 지시 부호들이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갖는 주입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a는 외부 모듈이 부착된 주입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인접한 외부 모듈을 갖는 주입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인접한 외부 모듈을 갖는 주입기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디바이스의 선택된 투약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디바이스 상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라고 결정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시그니처(signature)들을 예시하는 그래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캡(cap) 내에 구축된 모듈을 갖는 주입 디바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갖는 주입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a는 외부 모듈이 부착된 주입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인접한 외부 모듈을 갖는 주입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인접한 외부 모듈을 갖는 주입기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디바이스의 선택된 투약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디바이스 상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라고 결정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시그니처(signature)들을 예시하는 그래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캡(cap) 내에 구축된 모듈을 갖는 주입 디바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 전달 디바이스 또는 주입 디바이스의 예들, 개선들, 및 배열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방식들이 존재한다. 도면들 및 다음의 설명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지만,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개시되는 실시예들 및 다양한 대안적인 설계들의 완전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다양한 조합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주입 디바이스 상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실시예들이 본원에서 논의되며,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된다. 일 실시예는, 주입 디바이스, 예를 들어, 자기주사기, 일회용 주입 디바이스, 또는 교체가능 사전-충전형 카트리지들을 갖는 오래 가는 주입 디바이스의 외부 몸체에 부착되도록 설계된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PHYSIOJECTTM 자기주사기, VYSTRATM 일회용 펜(Pen), 또는 Becton Dickinson®로부터의 재사용가능 펜에 부착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주입 디바이스의 외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모듈이 다이얼링된 투여량을 검출하기 위한 소형, 경량, 저 전력 및 저 비용 모듈로서 설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가 주입기 디바이스 상에서 다이얼을 회전시킬 때, 모듈은 회전과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검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투여량을 결정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될 바와 같이, 모듈은 다이얼링 프로세스와 연관된 모션 또는 진동들을 검출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그 데이터로부터 주입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밀한 투약량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주입 디바이스의 안전 캡 내에 통합된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초기에 캡 내로 설계되고 주입 디바이스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원래의 캡을 대체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주입 디바이스의 사용과 연관된 외부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하고 검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외부 이벤트에 기인하여 주입 디바이스에 의해 경험되는 배향(orientation), 모션, 방향적 움직임, 사운드, 및 진동들에 대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주입 디바이스의 사용 이전의, 주입 디바이스의 사용 동안의, 그리고 주입 디바이스의 사용 이후의 외부 이벤트의 모션 및 진동들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모듈은 또한,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인지 또는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에 대한 실수일 수 있는 무관한 이벤트, 예를 들어, 주입 디바이스의 우연한 노크(knock)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검출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가 투여될 약의 적절한 양을 선택하는 동안 발생하는 복수의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의 수 및/또는 방향에 기초하여 선택된 총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슐린 펜들과 같은 주입 디바이스는 투여량이 선택될 때마다 기계적인 에너지의 급격한 릴리즈와 관련된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기계적인 에너지의 릴리즈는 청각적 클릭(click)들 및 촉각적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현된다. 주입 디바이스 내에서, 기계적인 에너지의 릴리즈는 주입 디바이스 몸체 또는 내부 공기 공간들을 통해 전달되는 전체 모션 및 진동들을 야기한다. 모듈 내의 센서들은 기계적인 에너지의 릴리즈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이얼링 이벤트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센서들은 에너지의 임펄스와 관련된 관성력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투여량 증가 이벤트(예를 들어, "다이얼 업(dialed up)")와 투여량 감소 이벤트("다이얼 다운(dialed down)")를 구별하기 위하여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이벤트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연한 노크에 기인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이 지정된 문턱 값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임의의 무관한 방해들 또는 이벤트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수의 제어된 연구들을 수행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된 연구들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클릭들")을 측정하는 것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 중 임의의 이벤트의 최저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의 평균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프로세서가 외부 이벤트를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반드시 초과해야만 하는 특성들을 나타내는 식(formula)으로서 지정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외부 이벤트에 기인하는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외부 이벤트의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며, 이벤트 파라미터들과 문턱 값을 비교하도록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비교가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문턱 값을 초과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 연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예를 들어, 우연한 노크가 센서들에 의해 검출될 때, 프로세서는 이벤트를 거부한다. 따라서, 프로세서가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문턱 값을 초과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외부 이벤트를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로서 분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주어진 약의 주입("주입 이벤트")에 대한 선택된 총 투여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의 수 및 방향을 카운트(count)하거나 또는 추적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 이벤트가 다이얼링 투여량 이벤트인지 여부 및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의 방향(예를 들어, 다이얼링 업 또는 다이얼링 다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유닛(unit)들의 약물의 투여량을 선택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3 투여량을 다이얼링 업함으로써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3 유닛들만큼 선택된 투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오류를 인식할 수 있고, 2 유닛들의 희망되는 투여량에 도달하기 위하여 단일 유닛을 다이얼링 다운함으로써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도록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서는 다이얼링 업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 다이얼링 다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구별하도록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수락(accept)하고, 선택된 총 투여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주입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모듈로부터의 정보를 환자들, 지급인들, 약국들 및 임상의들을 포함하는 관계가 있는 파티들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이전에, 모듈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잘-알려진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예컨대 Bluetooth®, WIFI, 또는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애플리케이션이 모듈에 대한 연결을 검출하면, 온-보드(on-board)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가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으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이벤트에 대하여 선택된 총 투여량 및 선택된 총 투여량이 선택된 시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된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보여주는 차트 또는 그래프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 이벤트 시간들 및 선택된 총 투여량의 이력 또는 로그가 주어진 시간의 기간에 대하여, 예를 들어, 이전 일, 주, 월, 등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모듈은 기존의 주입 디바이스를 개조하도록 구성되고 성형될 수 있다. 모듈은, 모듈의 위치가 주입 디바이스의 기존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의 활성화 또는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입기의 몸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추가로, 모듈은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 시에 활성화되는 전자 스위치 또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활성화 이벤트는 외부 이벤트의 발생 또는 주입 디바이스의 몸체에 대한 모듈의 부착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약물 투여를 위하여 주입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기능이 모듈 내로 설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활성화 이벤트의 검출 시에, 스마트 모듈은 연결된 임의의 외부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주입들이 일어난 때를 추적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활성화의 시간 및 날짜를 기록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인슐린을 당뇨병 환자에게 투약하도록 구성된 인슐린 주입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다. 투약 시에, 모듈은 주입 이벤트를 검출하고, 환자에 대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파라미터들 및 주입 이벤트 정보를 추적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전자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들이 전형적으로 하루에 몇 번 인슐린을 투약하기 때문에, 이는 환자들이 그들의 인슐린 주입들의 시간 및 날짜를 추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듈은 주입 디바이스로부터 주어진 인슐린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 디바이스는 일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듈이 마찬가지로 일회용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듈은, 상이한 주입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스위칭 동안 투약되는 약물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제거되어 상이한 일회용 주입 디바이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약물을 투약하기 위한 주사바늘을 보호하는 안전 캡 또는 다른 엘리먼트 내에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원래의 캡을 대체하여 원래의 설계로부터의 캡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주입 디바이스의 기존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에 간섭하는 것을 추가로 회피하는 스마트 캡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특정 세부사항들이 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어진다. 그러나, 예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컴포넌트들/디바이스들은 불필요한 세부사항으로 예들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블록도들로 도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이러한 컴포넌트들, 다른 구조들 및 기술들이 예들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예들이 순서도, 흐름도, 유한 상태도, 구조도, 또는 블록도로서 도시되는 프로세스로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순서도가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동작들을 설명할 수 있지만, 동작들 중 다수가 병렬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동작들의 순서는 재-배열될 수 있다. 그것의 동작들이 완료될 때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함수, 절차,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스가 소프트웨어에 대응할 때, 프로세스의 종료는 호출 함수 또는 메인 함수에 대한 함수의 반환(return)에 대응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하고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의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되는 데이터, 명령어들, 커맨드(command)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적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환자 또는 의료 전문가를 포함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작시킬 수 있지만, 간결함을 위하여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이하에서 "사용자"로서 언급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유체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주입 디바이스 내의 유체는 이하에서 "약물"로서 언급될 것이다.
비제한적으로, 기계적 버튼들, 촉각적 입력들, 음성-제어형 입력, 또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입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들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지만, 간결함을 위하여 입력은 이하에서 "버튼" 또는 "트리거(trigger)"로서 상호교환적으로 언급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주입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주입 디바이스(100)는 주입 디바이스(100)의 일 단부 상에 위치된 주입 버튼(106)을 갖는 세장형(elongated)의 원통형 몸체(108)를 포함한다. 주입 버튼(106)은 사용자 내로 주사기(미도시)를 릴리즈하도록 주입 디바이스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주입 버튼(106)이 맞물릴 때, 주입 디바이스(100) 내부의 주사기가 전개되어 약물이 사용자 내로 주입된다. 몸체(108)의 원위 단부에 사용자가 주사기와 우연히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안전 캡(102)이 존재한다.
주입 디바이스(100)에는 또한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이 장착된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은 주입 버튼(106) 근처에 도시된다. 그러나,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의 위치가 주입 디바이스 몸체(108)를 따라 임의의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은, 사용자가 쉽고 용이하게 주입 체적 또는 투여량을 다이얼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약물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도록 다이얼링하기 위하여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을 동작시킬 수 있다.
주입 디바이스(100)는 또한, 사용자가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에 의해 선택된 약물의 양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뷰잉 윈도우(viewing window)(105)(도 1c)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뷰잉 윈도우(105)는 약물의 체적을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뷰잉 윈도우(105)는 단일 투여량과 동일한 약물의 증분(increment)을 보여줄 수 있으며, 그 결과 각각의 투여량은 사용자의 특정한 의료적 요법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은 약물의 양과 동일한 단일 유닛이다.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의 동작은, 각각의 투여량 증분, 전형적으로는 하나의 유닛에서 일어나는 촉각적 및 청각적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촉각적 피드백은 급격하게 릴리즈되는 서로 일시적으로 간섭하는 2개의 엘리먼트들의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느껴질 수 있으며, 이는 기계적 에너지 피드백이 사용자에 의해 느껴지게끔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약물 투여량의 증분 조정은 각각의 다이얼링된 투여량 증분에 대응하는 청각적 및 촉각적 "클릭"을 야기한다. 촉각적 및 청각적 피드백은, 투여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때 사용자에 의해 청취되고 느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은, 서로에 대하여 움직이는 적어도 2개의 부재들, 톱니형(toothed) 크라운 및 캠(cam)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부재들은 투여량 증분이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링될 때마다 서로 간섭한다. 간섭은 각각의 투여량 증분에서 주기적으로 중단(interrupt)되며, 이는 기계적 에너지의 일시적이고 급격한 릴리즈를 야기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기계적 에너지의 릴리즈 또는 임펄스가 청각적 및 촉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하여 펜 몸체 및 주변 공기를 통해 전달된다.
도 1은 또한 주입 디바이스 몸체(108) 외부에 부착된 투여량 검출 모듈(110)을 도시한다. 투여량 검출 모듈(110)은 몸체(108)에 강건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임펄스의 방향 및 크기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기계적 에너지의 릴리즈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일단 검출되면,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알고리즘에 의해 필터링되고 해석되며, 그럼으로써 투약량의 증분적 변화뿐만 아니라 투약량 선택 방향, 예를 들어, 다이얼 업 또는 다운을 결정한다.
모듈(110)은 투약량 검출 모듈(110)을 주입 디바이스 몸체(108)에 강건하게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브래킷(coupling bracket)(11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110)은 원통형 형상일 수 있으며, 주입 디바이스(100)의 외부 쉘(shell) 또는 캡에 가역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110)은 주입 디바이스(100)에 장착하기 위한 탭(tab)들, 스냅(snap)들, 브래킷들,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브래킷(114)은 단단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클램핑(또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해 모듈(110)을 주입 디바이스 몸체(108)에 메이팅(mate)(및 분리)하도록 도시된 2개의 탱(tang)들을 포함한다. 모듈(110)은, 주입 디바이스(100)의 기존 기능들이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 및 방식으로 주입 디바이스 몸체(108)를 따라 설치되도록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투여량 다이얼링 부재(104) 및 뷰잉 윈도우(105)로부터 떨어져 몸체(108)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투여량 검출 모듈(110)은 사용자가 모듈(110)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상태 표시기들(112)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상태 표시기들(112)은 모듈(110)의 부분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상태 또는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상태 표시기들(112)은 발광 다이오드("LED")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명들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자극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의 상태 또는 상황은, 비제한적으로, 범위 밖 상태들(예를 들어, 연결의 상실) 또는 온도 경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110)은 마이크로스위치(116)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16)는 모듈(110)을 활성화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스위치(116)는 모듈(110)을 주입 디바이스(100)에 부착할 때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모듈(110)은 이것이 주입 디바이스(100)에 부착되자마자 활성화되며, 전원이 꺼지던가 또는 주입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외부 이벤트들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원하는 대로 모듈(110)을 턴 온하거나 또는 오프하기 위하여 버튼을 누름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116)를 능동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주입 디바이스(100)가 모듈(110)의 존재 없이 사용자 내로 약물을 주입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모듈(110)은 기존 주입 디바이스에 전자적인 모니터링 및 리포팅 성능들을 부가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모듈(110)은, 주입 디바이스(100)의 기존 기능들을 변화시키지 않고 제조 이후에 주입 디바이스(10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 디바이스(100)는 PHYSIOJECTTM 자기주사기, VYSTRATM 일회용 펜, 또는 Becton Dickinson로부터의 재사용가능 펜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주입기 디바이스들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투여량 검출 모듈(110) 내의 엘리먼트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모듈(110)은 주입 디바이스의 투여량의 다이얼링과 연관된 특성들 및 외부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하고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모듈(110)은 또한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자극들을 통해 주입 디바이스의 다양한 외부 이벤트들 및 특성들을 사용자에게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외부 디바이스(27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110)은 센서 모듈(210)과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프로세서(205)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210)은 모션 센서(212) 및 진동 센서(2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5)는 또한, 표시기(112), 클럭(230), 전원(240), 마이크로스위치(106), 저장부(280), 및 작업 메모리(250)에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프로세서(205)는, 모듈(110)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는 명령어들을 정의하는 데이터 값들을 저장하는 모듈들을 갖는 메모리(220)에 연결된다. 메모리(220)는 필터링 모듈(221), 이벤트 결정 모듈(222), 이벤트 값 결정 모듈(224), 문턱값 결정 모듈(225), 및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또한 외부 디바이스(27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260)에 연결된다. 외부 디바이스(270)는 통신 모듈(278), 애플리케이션(272), 및 디스플레이(274)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모듈(110)이 주입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안 모듈(110) 내에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로부터의 데이터,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가 일련의 단계들을 통해 기록되거나, 송신되거나, 또는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마이크로스위치(106)가 활성화될 때 활성화된다. 이에 응답하여, 센서 모듈(210)은 외부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센서 모듈(210)로부터 프로세서(205)로 송신되는 센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런 다음 프로세서(205)는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메모리(220)로부터의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온-보드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로부터의 센서 데이터가 메모리(205)에 기록되고 외부 디바이스(270)로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주입 이벤트에 대하여 선택된 투여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의 수 및 각각의 다이얼링 이벤트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외부 이벤트, 예를 들어, 모듈(110) 외부의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210)은, 비제한적으로, 사용자가 주입 디바이스(100)의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을 동작시키는 것에 기인하는 움직임, 배향, 진동들, 및 사운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모션 센서(212) 및 진동 센서(2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주입 디바이스에 의해 주입되거나 또는 그 안에 존재하는 약물의 양, 근접성, 및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션 센서(212) 및 진동 센서(214)는, 가속도계가 외부 이벤트로부터 기인하는 주입 디바이스 몸체 상에 부여되는 움직임들을 센싱할 수 있도록 주입 디바이스 몸체에 대하여 구성되는 단일 축 가속도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단일 축 가속도계는 주입 디바이스의 장축에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션 센서(212) 및 진동 센서(214)는 복수의 가속도계들, 예를 들어, 단일 축 및/또는 3D 가속도계들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다양한 방향들에서의 방향 움직임 및 진동들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검출 감도를 증가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디바이스 데이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추가적인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모듈(110) 근처에서 발생하는 청각적 진동들을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은, 비제한적으로, 약물의 주입,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과 연관된 클릭 사운드, 또는 주입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것에 고유한 다른 사운드들과 같은 주입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들에 대하여 특유한 사운드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주입 디바이스의 사용, 저장 동안의, 또는 사용 이후의 주입 디바이스에 의해 경험되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온도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는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하여 표시기(112)로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를 사용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모듈(110)의 범위 밖 상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위 밖 상태들은, 비제한적으로, 주입 디바이스에 대한 모듈(110)의 근접, 외부 디바이스(270)에 대한 모듈(110)의 근접, 또는 통신 모듈(260)에서의 데이터 연결의 상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센서 모듈(210)은 범위 밖 데이터를 표시기(112)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임의의 형태의 자극들, 예를 들어, 시각적 광, 청각적 또는 촉각적 통지들을 통해 현재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외부 이벤트를 평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추가적인 센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은 주입 디바이스 기능들에 고유한, 예를 들어, 약물의 주입의 사용 또는 안전 캡의 제거에 고유한 사운드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운드들은, 검출된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는 대조적인 무관한 이벤트(예를 들어, 주입 이벤트)와 관련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적인 가속도계가 투여량을 투약하기 이전에 안전 캡의 제거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적인 가속도계들은 또한 전형적으로 주입 이벤트와 연관된 주입 디바이스 배향, 예를 들어, 모션 및 배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들이 본원에서 제공되지만, 센서 모듈(210)은,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무관한 이벤트, 또는 일반적인 주입 디바이스 용법의 결과인지 여부의 결정을 지원하고 나타내도록 구성된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센서를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또한 표시기(112)에 연결된다. 센서 모듈(210)에 응답하여, 표시기(112)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기(112)가 하나 이상의 LED들을 포함할 때, 하나 이상의 LED들은 센서 데이터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기(112)는 사용자에게 디바이스의 상황 또는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상태들 또는 상황들의 예들은, 비제한적으로, 사용-준비, 미-준비, 고장, 냉장(refrigerated), 등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LED들은 컬러, 지속기간, 또는 광 방출의 반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이한 상황들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모듈(110) 내에 포함된 클럭(230) 또는 유사한 것에 연결된다. 클럭(230)은 모듈(110)의 작업 메모리(250) 및 메모리(220) 내의 내부 시간을 계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는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알고리즘을 프로세싱하는 동안 계속해서 내부 클럭(230)을 체크하고 메모리(220) 또는 센서 모듈(210)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전원(240)에 연결된다. 전원(240)은 모듈(110)의 나머지 부분들에 전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240)은 모듈(110) 내에 포함된 배터리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110)은, 모듈이 주입 디바이스(100)의 동작 동안 몇 주,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전력 및 배터리 수명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240)은 모듈(110) 외부에 위치된, 예를 들어, 주입 디바이스(100) 상에 또는 다른 외부 위치에 위치된 소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마이크로스위치(106)에 연결된다. 마이크로스위치(106)는, 모듈(110)이 주입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시점에 또는 주입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에 활성화될 수 있다. 모듈(110)의 활성화 시에, 전원(240)은 프로세서(205)를 포함하는 모듈(11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활성화하도록 모듈(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데이터를 작업 메모리(205) 및/또는 저장부(280)에 저장하거나 또는 이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 메모리(205)는 모듈(110)의 동작 동안에 동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0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 내에 저장된 모듈로부터의 명령어들이 프로세서(205)에 의해 실행될 때 작업 메모리(25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작업 메모리(250)는 또한 프로세서(205)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에 의해 사용되는 스택(stack) 또는 힙(heap) 데이터와 같은 동적 런 타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파라미터들 또는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이 저장부(280)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는 작업 메모리(250) 및/또는 저장부(280) 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모듈(260)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70)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2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몇몇 모듈들을 저장한다. 모듈들은 프로세서(205)에 대한 명령어들을 정의하는 데이터 값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모듈(110)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일부 측면들에 있어서,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05)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300) 또는 그의 부분들을 수행하게끔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20)는, 센서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분석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필터링 모듈(221)을 포함한다. 메모리(220)는 또한, 필터링 모듈(221)에 의해 해석되고 분석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 이벤트의 외부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이벤트 파라미터 결정 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외부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대표적인(representative) 이벤트 값을 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이벤트 값 결정 모듈(224)을 더 포함한다. 메모리(220)는 또한, 문턱 값을 결정하거나 및/또는 지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문턱값 결정 모듈(2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메모리(2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이벤트 파라미터들 및 문턱 값에 기초하여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가 이상에서 식별된 모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220)가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모듈들, 더 적은 모듈들, 또는 모듈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이상에서 논의된 기능들은 도 2에 도시된 이상에서 식별된 모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필터링 모듈(221)은, 센서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필터를 적용하고 이를 해석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필터링 모듈(221) 내의 명령어들은 외부 이벤트 시그니처를 나타내는 센서 파형들을 해석하기 위하여 저 전력 필터(low power filter)를 적용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할 수 있다. 필터링 모듈(221) 내의 명령어들은 또한 외부 이벤트 시그니처를 별개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방향 컴포넌트 및 크기 컴포넌트로 분리하거나 또는 분할하도록 프로세서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링 모듈 내의 명령어들은 센서 모듈(210)로부터의 원시(raw) 신호를 해석하고, 필터링하며, 분석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이벤트 파라미터 결정 모듈(222) 내의 명령어들은 센서 모듈(210)에 의해 검출된 외부 이벤트의 외부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한다. 이벤트 파라미터 결정 모듈(222) 내의 명령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필터링 모듈(221)에서 결정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한다. 이벤트 파라미터들은 센서 모듈(210)에 의해 검출된 바와 같은 외부 이벤트의 방향 및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파라미터 결정 모듈(222) 내의 명령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이벤트의 결과로서 주입 디바이스(100)에 의해 경험되는 임펄스에 기초하여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벤트 파라미터 결정 모듈(222)은 또한 저장부(280) 또는 작업 메모리(250) 내에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기록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값 결정 모듈(224) 내의 명령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대표적인 이벤트 값을 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외부 이벤트에 기인하는 스코어(score) 파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방향 컴포넌트 파형이 크기 컴포넌트 파형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이벤트 값 결정 모듈(224)은 저 주파수 컴포넌트를 고 주파수 컴포넌트와 곱하여 스코어 파형을 야기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문턱값 결정 모듈(224) 내의 명령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리 정의된 문턱값에 기초하여 문턱 값을 지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임의의 무관한 방해들 또는 이벤트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수의 제어된 연구들을 수행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된 연구들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클릭들")을 측정하는 것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 중 임의의 이벤트의 최저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의 평균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이전에 결정되고 저장부(280) 및/또는 작업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 있다. 문턱값 결정 모듈(224)은 저장부(280) 및/또는 작업 메모리(250)로부터 문턱 값을 검색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값 결정 모듈(22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센서 모듈(210)에 의해 검출된 예상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나타내는 제어된 연구들에 기초하여 문턱 값을 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값 결정 모듈(224)은 문턱 값을 동적으로 갱신하기 위하여, 이전에 결정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인 것으로 프로세서(205)에 의해 결정된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문턱 값을 동적으로 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문턱값 결정 모듈(22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입 디바이스(100)의 예상된 하루의 핸들링에 기초하여 문턱 값을 지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을 나타낸다.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 내의 명령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이벤트 값 및 문턱 값에 기초하여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한다. 문턱 값은, 프로세서(205)가 외부 이벤트를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로서 인식하기 위하여 실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반드시 초과해야만 하는 특성들을 나타내는 식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 내의 명령어들은 외부 이벤트 값과 문턱 값을 비교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이벤트 값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은 외부 이벤트를 다이얼링 이벤트로서 작업메모리(250) 또는 저장부(280)에 기록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양자 택일적으로, 비교가 외부 이벤트 값이 문턱 값을 초과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 연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예를 들어, 우연한 노크가 센서 모듈(210)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프로세서(205)는 외부 이벤트를 거부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은 또한 각각의 외부 이벤트의 방향 및 수를 카운트하고 추적하도록 프로세서(226)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이벤트들의 수는 선택된 투약량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이벤트들의 수는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또는 무관한 외부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의 인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분리된 외부 이벤트는 우연한 노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단일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 관련될 것 같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아마도 2회 이상의 투여량 다이얼링 동작에 의해 투약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의 발생을 결정하고 및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의 수를 추적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또한 통신 모듈(260)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6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셀 통신, Bluetooth®, ZigBee®, LAN, WLAN, RF, IR, 또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통신 방법 또는 시스템에 의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모듈(260)은 Bluetooth®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BLE 모듈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모듈(260)은 클라우드 연결을 이용하여 홈 건강 모니터로 데이터를 통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또는 주입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 통신 모듈(260)은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270)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70)는 모바일 디바이스, 홈 건강 모니터, 컴퓨터, 서버, 또는 임의의 다른 외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 데이터가 사용자들, 지급인들, 약사들, 의사들, 간호사들, 가족 구성원들 또는 임의의 다른 희망되는 파티들에게 송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270)는 애플리케이션(272), 디스플레이(274) 및 통신 모듈(278)을 포함한다. 외부 디바이스(270)는 애플리케이션(272)을 실행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통신 모듈(278)을 통해 모듈(110)의 통신 모듈(2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모듈(260)은 Bluetooth® 연결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70)와 통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74)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70) 상에서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270)는 애플리케이션(272)을 실행하는 모바일 전화기 또는 태블릿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데이터는 사용자의 외부 디바이스(270)로 그리고 애플리케이션(272)을 통해 송신되며, 사용자는 정보를 지급인들, 약사들, 의사들, 간호사들, 또는 다른 제 3 파티들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272)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송신할 사람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데이터는 직접 지급인들, 약사들, 의사들, 간호사들, 또는 다른 제 3 파티들로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는 일련의 단계들을 통해 모듈(11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70)로 송신될 수 있다. 통신 모듈(260)은 프로세서(205) 또는 모듈(110) 내에 포함된 임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통신 모듈(260)은 외부 디바이스(270)의 통신 모듈(278)과 통신 연결을 개시한다. 그런 다음, 통신 모듈(260)은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270)로 송신한다. 외부 디바이스(270)는, 모듈(11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락하고, 데이터를 클라우드 내의 또는 외부 디바이스(270)의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하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74)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272)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270)는 통신 모듈(2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 데이터를 다른 위치, 예컨대 서버 컴퓨터로 송신한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주입 디바이스(100)와 같은 주입 디바이스 상에서 선택된 투약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프로세스(30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300)는 시작 단계에서 시작하며, 그런 다음 단계(310)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투여량 검출 모듈(110)과 같은 모듈이 초기화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초기화는 모듈이 주입 디바이스의 외부 상에 위치될 때, 예를 들어, 마이크로스위치(106)를 동작시킴으로써 일어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사용자 또는 다른 기계적 입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개시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모듈의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무선 통신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은 외부 이벤트의 발생 시에 개시될 수 있다.
개시 이후에, 프로세스는 단계(32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모듈(110)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모듈(110)은 외부 이벤트를 검출하고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단계(320)의 기능들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모듈(110)이 단계(320)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 이후에, 프로세스(300)는 결정 단계(33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였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인 것으로 결정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계속해서 외부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단계(320)로 복귀한다.
결정 단계(330)에서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였다는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 프로세스(300)는 결정 단계(34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새로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새로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아닌 경우, 시스템은 새로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결정 단계(340)에서 아이들(idle)로 진행하고 그 상태로 남아 있는다.
결정 단계(340)에서, 프로세스(300)는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새로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결정은 이벤트 파라미터들 및 지정된 문턱 값에 기초하며, 이들 둘 모두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정된다. 결정 단계(340)는 주어진 시간에서의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지정된 문턱 값 아래로 감소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 단계(340)에서의 결정은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에 의해 이루어지며,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은 계속해서 이벤트 파라미터들과 지정된 문턱값을 비교한다.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지정된 문턱 값 아래로 감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이벤트 파라미터들 및 문턱값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아이들로 남아 있는다. 결정 단계(340)에서의 결정이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지정된 문턱값 아래로 감소되었다는 것인 경우, 프로세스(300)는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새로운 이벤트라는 것을 결정한다.
결정 단계(340)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새로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라는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350)로 이동한다. 단계(350)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는 작업 메모리(250) 또는 저장부(280)와 같은 모듈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새로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저장함으로써, 프로세스(300)는 이벤트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총 투약량을 결정하고, 추적하며, 카운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듈(110)은 사용자가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동작시킨 횟수 및 이러한 동작의 방향("다이얼 업" 또는 "다이얼 다운")을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스(300)가 단계(350)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카운트를 갱신한 이후에, 프로세스(300)는 단계(36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송신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모듈(260)과 같은 통신 모듈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외부 디바이스(270)와 같은 모바일 폰, 컴퓨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지급인들, 약사들, 의사들, 간호사들, 또는 다른 제 3 파티들이 송신된 투여량 다이얼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물 요법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도 4는 주입 디바이스 내에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프로세스(33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330)는 시작 단계에서 시작하며, 그런 다음 단계(410)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외부 이벤트가 검출된다. 외부 이벤트는 모듈(110) 내에 포함된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이벤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서 모듈(2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션 센서 및 진동 센서는 외부 이벤트의 결과로서 주입 디바이스를 통해 전파되는 기계적 에너지의 임펄스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센서 모듈은, 비제한적으로, 가속도계, 마이크로폰, 온도 센서, 위치 근접 센서, 광학적 센서,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데이터는 단일 축 가속도계로부터 30 kHz의 샘플링 주파수로 수집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검출된 외부 이벤트에 기초하여 센서 모듈(21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후의 액세스 및 온-보드 프로세싱을 위하여 센서 데이터를 작업 메모리(250) 또는 저장부(280)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센서들에 의해 외부 이벤트가 검출된 이후에, 프로세스(330)는 단계(42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결정된다. 단계(420)의 기능들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모듈(110)이 프로세스 단계(420)에서 외부 이벤트를 분석한 이후에,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43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모듈(110)은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인지 또는 무관한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430)의 기능들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외부 이벤트의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프로세스(42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이벤트는 필터링 모듈(221) 및 이벤트 파라미터 모듈(222)로부터의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구성된 프로세서(205)에 의해 분석된다. 프로세스(420)는 시작 단계에서 시작하며, 그런 다음 단계(510)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센서 데이터가 도 2에 도시된 센서 모듈(210)과 같은 모듈의 센서들로부터 획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작업 메모리(25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가 획득된 이후에, 프로세스(420)는 단계(52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센서 데이터가 필터링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링 모듈(221)과 같은 소형의 저 전력 필터링 유닛으로 송신되는 외부 이벤트의 시그니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데이터는 필터링되고 2개의 컴포넌트들로 분할된다. "방향 컴포넌트"로 지칭되는 하나의 컴포넌트는 외부 이벤트의 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 컴포넌트는 센서 데이터의 저 주파수 파형이다. 저 주파수 센서 데이터는 가속도계의 전체 모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들의 전체 모션은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 상의 움직임의 방향 또는 "클릭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저 주파수 컴포넌트는 100 Hz 미만의 주파수를 갖는 센서 데이터일 수 있다.
제 2 컴포넌트인 "크기 컴포넌트"는 외부 이벤트의 크기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크기 컴포넌트는 센서 데이터의 고 주파수 파형이다. 고 주파수 센서 데이터는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진동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가청 범위 내의 진동들은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 상의 움직임에서 기인하는 사운드 또는 "클릭 사운드"를 나타낼 수 있다. 진동들은 주입 디바이스 몸체를 통해 전파되는 진동들 또는 모듈(110)을 둘러싸는 공기 내의 진동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 주파수 컴포넌트는 4 kHz보다 더 큰 주파수를 갖는 센서 데이터일 수 있다.
센서 데이터가 필터링된 이후에, 프로세스(420)는 결정 단계(53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컴포넌트가 방향 컴포넌트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결정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05)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향 컴포넌트가 프로세싱될 것이라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프로세스(420)는 단계(54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외부 이벤트의 방향 컴포넌트가 프로세싱된다. 결정 단계(530)에서, 방향 컴포넌트가 프로세싱될 것이라는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420)는 단계(59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외부 이벤트의 크기 컴포넌트가 결정된다. 도 5가 방향 컴포넌트가 프로세싱될지 여부의 결정으로서 결정 단계(530)를 도시하지만, 결정 단계(530)가 크기 컴포넌트가 프로세싱될지 여부의 결정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정은 프로세스(420)가 단계(590)로 이동하게끔 할 것이며, 반면 부정적인 결정은 프로세스(420)를 단계(540)로 이동시킨다.
단계(540) 내지 단계(570)는 외부 이벤트의 방향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540)에서 프로세스(420)는 방향 컴포넌트의 변화의 레이트(rate)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420)는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저 주파수 컴포넌트의 변화의 레이트를 측정한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540)에서 측정된 변화의 레이트는 지정된 변화의 레이트와 비교될 수 있다. 지정된 변화의 레이트는 방향 컴포넌트를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 연관된 것으로서 통과/실패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문턱 값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지정된 변화의 레이트는 실험을 통해, 예를 들어, 변화의 측정된 최저 레이트로서 변화의 문턱 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하여 공지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의 변화의 레이트를 측정하는 것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시에, 센서 모듈(예를 들어, 센서 모듈(210))은 외부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고,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신호의 변화의 레이트가 문턱 레이트보다 더 빠른 경우, 외부 이벤트는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나타낸다. 양자 택일적으로, 센서 모듈이 수집한 신호의 변화의 레이트가 지정된 변화의 레이트보다 더 느린 경우, 외부 이벤트는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 관련되지 않은 것으로서 거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지정된 변화의 레이트가 작업 메모리(250) 또는 저장부(28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5)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정된 변화의 레이트는 모듈(110)의 슬루 레이트(slew rate)에 기초할 수 있다.
변화의 레이트가 측정된 이후에, 프로세스(420)는 결정 단계(55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방향 컴포넌트의 변화의 레이트가 양(positive)의 변화의 레이트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컴포넌트의 변화의 레이트가 양의 값들을 갖는 변화의 레이트라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프로세스(420)는 단계(56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방향 컴포넌트는 증가로서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이 증가라는 결정은, 외부 이벤트로부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이 주입 디바이스의 투여량을 하나의 유닛만큼 증가시키기 위하여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것과 연관된 움직임인 것으로서 나타나거나 또는 이를 모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가 지정(designation)은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의 "다이얼 업" 또는 "시계방향" 동작일 수 있다.
방향 컴포넌트의 변화의 레이트가 양의 값들을 갖는 변화의 레이트가 아니라는 결정, 예를 들어, 변화의 레이트가 음(negative)이라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프로세스(420)는 단계(57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방향 컴포넌트는 감소로서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이 감소라는 결정은, 외부 이벤트로부터 센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이 주입 디바이스의 투여량을 하나의 유닛만큼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것과 연관된 움직임인 것으로서 나타나거나 또는 이를 모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소 지정은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의 "다이얼 다운" 또는 "반시계방향" 동작일 수 있다. 도 5가 변화의 레이트가 양인지 여부의 결정으로서 결정 단계(550)를 도시하지만, 결정 단계(550)가 변화의 레이트가 음인지 여부의 결정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정은 프로세스(420)가 단계(570)로 이동하게끔 할 것이며, 반면 부정적인 결정은 프로세스(420)를 단계(560)로 이동시킨다.
결정 단계(530)에서의 결정이 크기 컴포넌트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야기하는 경우, 프로세스(420)는 블록(590)으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이벤트 크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크기 컴포넌트는 이상에서 상세화된 바와 같이 센서 데이터의 고 주파수 컴포넌트와 관련될 수 있다. 고 주파수 컴포넌트는 파형을 생성하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포락선 검출 및 적분을 통해) 변환될 수 있다. 외부 이벤트의 크기(또는 라우드니스(loudness))는 결과적인 파형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이 단지 하나의 예이며, 다른 방법이 외부 이벤트의 크기 컴포넌트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외부 이벤트 방향 및 크기 파라미터들이 결정된 이후에, 프로세스(420)는 단계(58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이벤트 파라미터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250)와 같은 모듈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비제한적으로 외부 이벤트의 크기 및 방향을 포함하는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저장된 이후에, 프로세스(420)는 종료 단계에서 종료된다.
도 6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라고 결정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프로세스(43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는, 작업 메모리(250) 또는 저장부(280)로부터 검색된 데이터를 가지며, 이벤트 결정 모듈(225), 문턱값 결정 모듈(225), 및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모듈(226)로부터의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구성된 프로세서(205)에 의해 결정된다.
프로세스(430)는 시작 단계에서 시작하며, 그런 다음 단계(605)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도 2에 도시된 작업 메모리(205)와 같은 메모리로부터 획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도 5에 따라 결정된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작업 메모리(250)를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획득된 이후에, 프로세스는 단계(61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이벤트 값이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방향 컴포넌트 및 크기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검색하고 이벤트 값 또는 스코어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벤트 파라미터 컴포넌트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저 주파수 파형 컴포넌트는 고 주파수 파형 컴포넌트와 곱해진다. 결과적인 파형은 프로세싱되는 외부 이벤트의 센서 데이터와 연관된 스코어링 파형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벤트 값은 외부 이벤트에 기인하는 주입 디바이스 상에 부여된 모션 및/또는 진동들과 연관된 센서 모듈(예를 들어, 센서 모듈(210))에 의해 검출된 변화의 레이트에 기초할 수 있다.
이벤트 값 또는 스코어가 결정된 이후에, 프로세스(430)는 단계(62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문턱 값이 획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값 결정 모듈(224) 내의 명령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정된 문턱값에 기초하여 문턱 값을 획득하도록 프로세서(205)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미리 결정되고 저장부(280) 및/또는 작업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 있다. 문턱 값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임의의 무관한 방해들 또는 이벤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수의 제어된 연구들을 수행함으로써 실험적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된 연구들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클릭들")을 측정하는 것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 중 임의의 이벤트의 최저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제어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의 평균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값 결정 모듈(22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상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나타내는 제어된 연구들에 기초하여 문턱 값을 결정하도록 프로세서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공지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 연관된 예상된 변화의 레이트에 기초할 수 있다.
문턱 값이 획득된 이후에, 프로세스(430)는 단계(635)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이벤트 값 및 문턱 값이 비교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5)는 작업 메모리(250) 또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이벤트 및 문턱 값들을 액세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이벤트 값을 문턱 식과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이벤트 값은 이상에서 상세화된 바와 같이 스코어링 파형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문턱 값은 예상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과 연관된 미리 결정된 변화의 레이트일 수 있다.
단계(625)에서의 비교에 기초하여, 프로세스(430)는 결정 단계(630)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이벤트 값이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결정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05)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벤트 값이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 프로세스(430)는 외부 이벤트를 거부하고 종료 단계에서 종료된다. 그런 다음 프로세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 단계(330)로 이동한다.
이벤트 값이 문턱값을 초과한다는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 프로세스(430)는 단계(635)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로서 기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외부 이벤트를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05) 및 작업 메모리(250)와 같은 메모리에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로서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듈은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외부 이벤트를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로서 인식하고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은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의 각각의 동작 및 이러한 동작의 방향을 카운트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주입 이벤트의 선택된 총 투여량을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는, 이벤트 값이 문턱 값을 초과하고 2 ms 시간 프레임 내의 최고 이벤트 값일 때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듈은 이벤트 값이 지정된 시간 윈도우(time window) 내의 최대 값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계속해서 외부 이벤트의 이벤트 값을 모니터링하고 그 값을 선행 및 후속 이벤트 값들과 비교한다.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가 기록된 이후에, 프로세스(430)는 종료 단계에서 종료되며, 프로세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정 단계(330)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적인 센서 데이터가 외부 이벤트를 평가함에 있어서 추가적인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스(300)에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디바이스 기능들에 고유한, 예를 들어, 약물을 주입하는 것 또는 안전 캡의 제거에 고유한 사운드들이 검출되고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운드들은, 검출된 외부 이벤트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는 대조적인 무관한 이벤트(예를 들어, 주입 이벤트)와 관련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캡을 제거하는 것과 연관된 모션 및 진동들이 검출되고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외부 이벤트가 주입 이벤트와는 연관되지만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는 연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배향 및 모션이 검출되고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이벤트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주입 디바이스의 배향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와 연관된 데이터와 구별되는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다. 이상의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스(300)는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다른 무관한 이벤트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검출 수단을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들이 제공되지만, 프로세스(300)가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다른 이벤트들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시그니처들을 예시하는 그래프들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의 각각은 시간에 대하여 플롯팅(plot)된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진동 주파수들을 예시한다.
도 7a는, 사용자기 2 클릭 아웃(click out)을 수행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하는,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투여량을 2 유닛만큼 증가시키기 위하여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한 투여량의 증가를 예시한다.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관리할 수 있는 잡음이 존재하지만, 별개의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나타내는 2개의 구별되는 이벤트들(710a 및 710b)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110)은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을 사용함으로써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며, 본원에서 상세화된 바와 같이 필터링하고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시그니처를 해서한다. 도 7b는 도 7a와 유사하지만, 사용자가 4 증분들만큼 투여량을 다이얼 업함으로써 초래된 4개의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도시한다. 도 7c 및 도 7d는 "클릭 인(clicks in)"을 수행하거나 또는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을 다이얼 다운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투여량을 감소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디바이스(8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주입 디바이스(800)는 주입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주입 디바이스(800)는 주입 디바이스(800)의 일 단부 상에 위치된 주입 버튼(806)을 갖는 몸체(808)를 포함한다. 주입 버튼(806)은 실질적으로 주입 버튼(106)과 유사하다. 주입 디바이스(800)는 또한 사용자가 주입 투여량을 다이얼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804)을 포함한다.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804)은 실질적으로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104)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몸체(808)의 원위 단부에 사용자가 주사기와 우연히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마트 캡(802)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 디바이스(800)는 모듈(810)을 포함한다. 모듈(810)은 모듈(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들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모듈(810)은 스마트 캡(802) 내로 또는 이의 부분으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810)은 주입 디바이스(800)의 외부 크기 또는 형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주입 디바이스(800)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주입 디바이스 몸체(808)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 디바이스(800)는 PHYSIOJECTTM 자기주사기, VYSTRATM 일회용 펜, 또는 Becton Dickinson로부터의 재사용가능 펜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주입기 디바이스들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모듈(810)은 사용자가 모듈(810)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상태 표시기들(812)을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상태 표시기들은 모듈(810)의 부분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상태 또는 상황들을 나타낼 수 있다. 상태 표시기들(812)은 발광 다이오드("LED")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명들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자극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의 상태 또는 상황은, 비제한적으로, 범위 밖 상태들(예를 들어, 연결의 상실) 또는 온도 경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기(812)는 표시기들(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810)은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는 투약량 검출 모듈(810)을 활성화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스위치는 스마트 캡(802)을 주입 디바이스(800) 상에 위치시킬 때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모듈(810)은 스마트 캡(802)이 주입 디바이스(800) 상에 위치될 때 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주사기를 보호하고, 스마트 캡(802)이 주입 이벤트로부터 제거될 때 비활성화될 수 있다. 스마트 캡(802)의 제거 시에 모듈(810)을 비활성화함으로써, 후속 외부 이벤트들이 모듈(810)에 의해 검출되지 않고, 주입 이벤트를 투약하기 위한 주입 디바이스(800)의 움직임이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 결정 알고리즘으로부터 제거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캡(802)의 제거가 모듈(810)을 비활성화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주입 디바이스(800)의 연속적이고 중단되지 않는 모니터링을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 이벤트를 투약하기 위하여 스마트 캡(802)을 제거하는 것은, 스마트 캡(802)의 제거 이후에 검출된 임의의 외부적 움직임들이 무관하거나 또는 주입 이벤트들이며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들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디바이스-상태(state-of-device) 표시자가 모듈(810)로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한 특정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측면들이 광범위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이 둘 모두가 단지 대표적일 뿐이라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원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이 임의의 다른 측면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 및 이러한 측면들 중 2 이상이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들 및 이점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기술된 측면들 중 임의의 수의 측면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원에서 기술된 측면들 중 하나 이상에 더하여 또는 그 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다양한 약물 전달 또는 주입 디바이스들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들은 당뇨병에 대한 인슐린 주입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들을 위해 설계된 주입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추가로, 본원에서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약물 전달 또는 주입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들은 모바일 및 비-모바일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시스템 환경들 또는 구성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들, 환경들, 및/또는 구성들의 예들은, 비제한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들, 서버 컴퓨터들,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들, 다중프로세서 시스템들,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시스템들, 프로그램가능 가전 기기들, 네트워크 PC들, 미니컴퓨터들, 메인프레임 컴퓨터들, 이상의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들,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추가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전화기들, 스마트폰들,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들, 울트라-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들,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들, 등)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 1", "제 2"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하는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언급이 일반적으로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수량 또는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오히려, 이러한 지정들은 본원에서 2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엘리먼트의 경우들간에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 사용도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에 대한 언급은, 오로지 2개의 엘리먼트들만이 이용될 수 있다거나 또는 제 1 엘리먼트가 반드시 어떤 방식으로 제 2 엘리먼트에 선행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엘리먼트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청구항들 또는 설명에서 사용되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형태의 용어는 "A 또는 B 또는 C 또는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정하는 것"은 다양한 액션들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 것"은 계산하는 것, 컴퓨팅하는 것, 프로세싱하는 것, 도출하는 것, 조사하는 것, 검색하는 것(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 내에서 검색하는 것), 확인하는 것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은 수신하는 것(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액세스하는 것(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것)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은 해를 구하는 것, 선택하는 것, 고르는 것, 수립하는 것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아이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언급하는 구절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이러한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 둘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 저장 매체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예에 있어,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 카메라, 또는 다른 디바이스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카메라, 또는 다른 디바이스 내의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송신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프로세서-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명령어들의 형태로 희망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절하게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플로피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며, 반면 디스크(disc)는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이상의 것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통합될 수 있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명령어들 및 코드들의 하나 또는 임의의 세트 또는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구현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순조롭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원에서 정의된 전반적인 원리들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현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원에 도시된 구현예들에 한정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 본원에서 개시된 원리들 및 특징들과 부합하는 가장 광범위한 범위가 부여될 것이다. 단어 "예시적인"은 오로지 본원에서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역할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에서 "예시적인"으로서 설명된 임의의 구현예는 반드시 다른 구현예들보다 더 선호되거나 바람직한 것으로는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추가적으로, 당업자는, 용어들 "상부" 및 "하부"가 때때로 도면들의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사용되며, 상대적인 위치들이 적절하게 배향된 페이지 상의 도면의 배향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구현되는 바와 같은 IMOD의 적절한 배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개별적인 구현예들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 특징들이 또한 단일 구현예에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구현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이 또한 임의의 적절한 서브조합들로 또는 별개의 다수의 구현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징들이 이상에서 특정 조합들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설명되고 심지어 초기에 이와 같이 청구되었을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일부 경우들에서 삭제될 수 있으며, 청구된 조합이 서브조합 또는 서브조합의 변형으로서 인도될 수 있다.
표제들은 다양한 섹션들의 위치를 찾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그리고 참조를 위하여 본원에 포함된다. 이러한 표제들은 이와 관련하여 설명된 개념들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개념들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적용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개시된 구현예의 이상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구현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순조롭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원에서 정의된 전반적인 원리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현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현예들을 본원에서 보여진 구현예들로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서 개시되는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가장 광범위한 범위가 허용될 것이다.
Claims (27)
- 주입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얼링(dialing)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주입 디바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임펄스(impulse)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임펄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이벤트와 관련되는, 단계;
상기 임펄스에 기초하여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이벤트가 다이얼링 이벤트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는 방향적 모션 컴포넌트 및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방향적 모션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진동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파라미터들은 상기 외부 이벤트의 크기 및 상기 외부 이벤트의 방향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이벤트의 상기 크기 및 방향은 상기 임펄스의 함수(function)인,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다이얼링 이벤트라고 결정하는 단계는,
문턱 값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상기 문턱 값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외부 이벤트는 상기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상기 문턱 값을 초과할 때에만 다이얼링 이벤트인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카운팅(count)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카운팅된 다이얼링 이벤트는 다이얼링 이벤트인 것으로 결정된 별개의 외부 이벤트와 관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카운팅하는 단계는 상기 주입 디바이스의 투약량(dosage amount)과 관련되는,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투약량을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후속 투약량은 상기 송신된 투약량에 기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투여량(dose) 다이얼링 파라미터들을 검출하기 위한 모듈로서,
주입 디바이스와 메이팅(mate)하도록 구성된 캐리어(carrier);
상기 캐리어 상에 장착되며, 임펄스를 검출하고 상기 임펄스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상기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도출하며, 상기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듈.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주입 디바이스의 커버링(covering) 엘리먼트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모듈.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주입 디바이스의 외부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모듈.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존재는 상기 주입 디바이스의 기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모듈.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외부 이벤트의 함수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라미터들이 문턱 값을 초과할 때 다이얼링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압력, 사운드, 진동, 모션, 및 배향에 대한 센서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듈.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방향적 움직임 및 진동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모듈.
- 약물 주입 디바이스로서,
몸체;
약물의 양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
상기 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주입 디바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임펄스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 컴포넌트는 집합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임펄스에 기초하여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및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임펄스가 다이얼링 이벤트와 관련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이벤트와 관련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이벤트는 상기 투여량 다이얼링 메커니즘의 동작과 관련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는 방향적 모션 컴포넌트 및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 프로세서들, 및 메모리 컴포넌트는 캐리어 상에 장착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몸체에 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파라미터들은 상기 외부 이벤트의 크기 및 상기 외부 이벤트의 방향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이벤트의 상기 크기 및 방향은 상기 임펄스의 함수인,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 및 상기 프로세서는 집합적으로,
문턱 값을 지정하고; 및
상기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상기 문턱 값과 비교하도록 더 구성되며, 외부 이벤트는 상기 이벤트 파라미터들이 상기 문턱 값을 초과할 때에만 다이얼링 이벤트인 것으로 결정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주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카운팅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카운팅된 다이얼링 이벤트는 다이얼링 이벤트인 것으로 결정된 별개의 외부 이벤트와 관련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얼링 이벤트들을 카운팅하는 것은 상기 주입 디바이스의 투약량과 관련되는, 주입 디바이스.
-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주입 디바이스는,
상기 투약량을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후속 투약량은 상기 송신된 투약량에 기초하는, 주입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107023P | 2015-01-23 | 2015-01-23 | |
US62/107,023 | 2015-01-23 | ||
PCT/US2016/014304 WO2016118736A1 (en) | 2015-01-23 | 2016-01-21 |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a dose dialing ev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7064A true KR20170107064A (ko) | 2017-09-22 |
Family
ID=5641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3561A Withdrawn KR20170107064A (ko) | 2015-01-23 | 2016-01-21 | 투여량 다이얼링 이벤트를 캡처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3) | US10258745B2 (ko) |
EP (1) | EP3247427B1 (ko) |
JP (1) | JP6820264B2 (ko) |
KR (1) | KR20170107064A (ko) |
CN (1) | CN107405448B (ko) |
AU (1) | AU2016209250B2 (ko) |
BR (1) | BR112017015609A2 (ko) |
CA (1) | CA2974211C (ko) |
ES (1) | ES2898325T3 (ko) |
MX (1) | MX2017009484A (ko) |
SG (1) | SG11201705798XA (ko) |
WO (1) | WO2016118736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5378A (ko) * | 2018-08-30 | 2020-03-10 |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 약물주사 펜매니저 |
WO2021255216A1 (en) * | 2020-06-19 | 2021-12-23 | Sanofi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KR20240103162A (ko) * | 2022-12-26 | 2024-07-04 | 주식회사 푸른소나무 | 약물 주입 기록 장치 |
KR20240103161A (ko) * | 2022-12-26 | 2024-07-04 | 주식회사 푸른소나무 | 약물 주입 기록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182258A1 (en) | 2015-12-29 | 2017-06-29 | InsuLog Ltd. | Adjunct device and system for an injector for monitoring injected amounts |
JP6909807B2 (ja) * | 2016-04-29 | 2021-07-28 |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 用量の取込みを備えた薬剤送達システム |
JP7521896B2 (ja) * | 2016-08-26 | 2024-07-24 |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注射デバイスに取り付けるためのデバイス |
US11219716B2 (en) | 2016-08-30 | 2022-01-11 |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 Supplementary device for an injection device |
EP3519021A1 (en) | 2016-10-03 | 2019-08-07 | Tecpharma Licensing AG | Electronic module for monitoring injection devices |
WO2018083061A1 (en) | 2016-11-01 | 2018-05-11 |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 Supplementary device for an injection device |
CH713114A2 (de) * | 2016-11-09 | 2018-05-15 | Tecpharma Licensing Ag | Elektronisches Zusatzmodul für Injektionsgeräte. |
JP7069167B2 (ja) * | 2016-12-08 | 2022-05-17 |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注射デバイス |
WO2018111776A1 (en) * | 2016-12-13 | 2018-06-21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Event capture device for medication delivery instruments |
CN106693119A (zh) * | 2016-12-24 | 2017-05-24 | 北京糖护科技有限公司 | 一种声控自动记录胰岛素注射剂量的装置 |
CN106730171A (zh) * | 2016-12-24 | 2017-05-31 | 北京糖护科技有限公司 | 一种声控自动记录胰岛素注射剂量的装置及其电路 |
CA3046512A1 (en) * | 2016-12-28 | 2018-07-05 | Genentech, Inc. | Injection monitoring device |
CN110290821B (zh) | 2017-02-28 | 2022-03-29 | 艾斯曲尔医疗公司 | 监测装置 |
AU2018227384B2 (en) | 2017-02-28 | 2020-11-26 | Eli Lilly And Company | Dose detection and drug identification for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
EP3381493B1 (en) * | 2017-03-30 | 2023-06-07 | Ypsomed AG | Electronic unit for injection devices |
EP3381494A1 (en) | 2017-03-30 | 2018-10-03 | Tecpharma Licensing AG | Monitoring an injection process |
EP3862038B1 (en) * | 2017-03-31 | 2024-11-13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Smart wearable injection and/or infusion device |
GB201705375D0 (en) * | 2017-04-04 | 2017-05-17 | Kraus & Weisert Patentanwälte Partgmbss | Medicament delivery device adapted to a syringe, a system comprising the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said device or system |
US20180289901A1 (en) | 2017-04-06 | 2018-10-11 | Nordic Healthcare Advisory Aps |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registering an injection location |
JP7033611B2 (ja) * | 2017-05-11 | 2022-03-10 |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 ピストンロッドブレーキ機構 |
BR112019024399B1 (pt) | 2017-05-19 | 2022-03-22 | Credence Medsystems Inc | Sistema para coletar informações de injeção |
US9789260B1 (en) * | 2017-05-25 | 2017-10-17 | Innovative Precision Instruments Limited | Device and system for drug information detection |
JP7210544B2 (ja) * | 2017-08-10 | 2023-01-23 | メディミューン,エルエルシー | コンプライアンス、患者遠隔モニタ、及びアドヒアランスを改善するための、オートインジェクタの使用状況をデジタル式にモニタする機器付属品 |
US11232862B2 (en) * | 2017-08-18 | 2022-01-25 | Bayer Healtcare Llc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dictive maintenance |
AU2018319544B2 (en) | 2017-08-21 | 2021-02-25 | Eli Lilly And Company | Dose detection module for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
AU2018321269B2 (en) | 2017-08-21 | 2021-03-25 | Eli Lilly And Company | Medication delivery device with sensing system |
CH714289A2 (de) | 2017-10-31 | 2019-05-15 | Tecpharma Licensing Ag | Stromversorgung Zusatzmodul. |
CN117653830A (zh) | 2017-11-23 | 2024-03-08 | 赛诺菲 | 具有旋转编码器的药剂注射装置 |
JP7260544B2 (ja) | 2017-12-21 | 2023-04-18 | サノフイ | 注射デバイスの使用の音響検出 |
US20200324055A1 (en) * | 2017-12-21 | 2020-10-15 | Sanofi | Apparatus for detecting activation of a drug delivery device |
US11672916B2 (en) | 2017-12-28 | 2023-06-13 | Sanofi | Sensor device for attachment to an injection device |
US10232123B1 (en) * | 2018-02-13 | 2019-03-19 | Innovative Precision Instruments Limited | Device and system for drug information detection |
WO2019164936A1 (en) | 2018-02-22 | 2019-08-29 | Eli Lilly And Company | Medication delivery device with a sensed element |
EP3545993A1 (en) * | 2018-03-29 | 2019-10-02 | Tecpharma Licensing AG | Status indicator for drug delivery systems |
EP3545992A1 (en) | 2018-03-29 | 2019-10-02 | Tecpharma Licensing AG | State estimation for drug delivery systems |
EP3545991A1 (en) | 2018-03-29 | 2019-10-02 | Tecpharma Licensing AG | Power supply for drug delivery systems |
EP3572107A1 (en) | 2018-05-22 | 2019-11-27 | Tecpharma Licensing AG | Click event identification in delivery devices |
EA039524B1 (ru) * | 2018-05-25 | 2022-02-07 | Эли Лилли Энд Компани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с измер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ой |
TW202010527A (zh) * | 2018-08-31 | 2020-03-16 | 榮晶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劑量紀錄裝置及劑量紀錄方法 |
EP3886948A1 (en) * | 2018-11-29 | 2021-10-06 | InsuLog Ltd. |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jector activities |
US12222253B2 (en) * | 2019-03-13 | 2025-02-11 | Shl Medical Ag | Medicament delivery device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
EP3983032A1 (en) * | 2019-06-13 | 2022-04-20 | Sanofi | Apparatus for detecting a dose of medicament delivered from an injection device |
US11710562B2 (en) | 2019-08-29 | 2023-07-25 | Medtronic Minimed, Inc. | Gesture-based control of diabetes therapy |
TWI694846B (zh) * | 2019-09-18 | 2020-06-01 |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 注射筆的資訊收集裝置及其資訊收集方法 |
US20240042134A1 (en) * | 2019-09-19 | 2024-02-08 | Cc Biotechnology Corporation | Common injection device |
USD973202S1 (en) | 2020-05-19 | 2022-12-20 | Ypsomed Ag | Add-on for an injection device |
EP3974012A1 (en) * | 2020-09-29 | 2022-03-30 | Ypsomed AG | Priming event identification in delivery devices |
CN112546351B (zh) * | 2020-12-21 | 2025-02-21 | 北京伏尔特技术有限公司 | 一种胰岛素笔注射剂量语音播报及数据存储管理系统 |
EP4398962A1 (en) * | 2021-09-07 | 2024-07-17 | Sanofi | Injection device and supplementary device |
AU2023298643A1 (en) * | 2022-06-30 | 2025-01-09 | Bigfoot Biomedical, Inc. | Medicine delivery system, methods of providing feedback related to use of medicine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detecting usages of medicine delivery system |
WO2024059673A1 (en) * | 2022-09-15 | 2024-03-21 | Eli Lilly And Company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state of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218452T2 (de) | 2001-05-16 | 2007-11-15 | Eli Lilly And Co., Indianapolis | Arzneimitteleinspritzvorrichtung mit rückstellung erleichternder antriebsanordnung |
WO2005109119A2 (en) | 2004-04-24 | 2005-11-17 | Inrange Systems, Inc. | Integrated, non-sequential, remote medication management and compliance system |
WO2007107564A1 (en) * | 2006-03-20 | 2007-09-27 | Novo Nordisk A/S | Electronic module for mechanical medication delivery devices |
EP2349412B1 (en) * | 2008-10-01 | 2019-07-24 | Novo Nordisk A/S | Medical assembly with monitoring device |
CN103782298A (zh) * | 2011-05-06 | 2014-05-07 | 诺沃-诺迪斯克有限公司 | 用于随时间的推移优化药物配药方案的系统 |
DK3400981T3 (da) | 2011-09-08 | 2020-03-16 | Sanofi Aventis Deutschland | Fremgangsmåde og overvågningsanordning til overvågning af driften af en lægemiddelindgivelsesanordning |
EP2692378A1 (en) * | 2012-08-03 | 2014-02-05 |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 Pen-type drug injection device and electronic add-on monitoring module for monitoring and logging dose setting and administration |
US20150290396A1 (en) | 2012-10-23 | 2015-10-15 | Insuline Medical Ltd. | Drug dispensing-tracking device, system and method |
WO2014111337A1 (en) | 2013-01-15 | 2014-07-24 |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 Supplemental device for attachment to a medical injection device for generating usage reports about use of the injection device in digital image format |
WO2016071912A1 (en) * | 2014-11-05 | 2016-05-12 | Insuline Medical Ltd. | Drug tracking device |
-
2016
- 2016-01-21 MX MX2017009484A patent/MX2017009484A/es unknown
- 2016-01-21 ES ES16740750T patent/ES2898325T3/es active Active
- 2016-01-21 US US15/003,393 patent/US10258745B2/en active Active
- 2016-01-21 CA CA2974211A patent/CA2974211C/en active Active
- 2016-01-21 BR BR112017015609-1A patent/BR112017015609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1-21 CN CN201680013431.9A patent/CN107405448B/zh active Active
- 2016-01-21 SG SG11201705798XA patent/SG11201705798XA/en unknown
- 2016-01-21 EP EP16740750.1A patent/EP3247427B1/en active Active
- 2016-01-21 AU AU2016209250A patent/AU2016209250B2/en active Active
- 2016-01-21 JP JP2017538590A patent/JP6820264B2/ja active Active
- 2016-01-21 WO PCT/US2016/014304 patent/WO201611873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1-21 KR KR1020177023561A patent/KR20170107064A/ko not_active Withdrawn
-
2019
- 2019-04-15 US US16/384,774 patent/US11583635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2-16 US US18/170,394 patent/US12042641B2/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5378A (ko) * | 2018-08-30 | 2020-03-10 |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 약물주사 펜매니저 |
WO2021255216A1 (en) * | 2020-06-19 | 2021-12-23 | Sanofi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KR20240103162A (ko) * | 2022-12-26 | 2024-07-04 | 주식회사 푸른소나무 | 약물 주입 기록 장치 |
KR20240103161A (ko) * | 2022-12-26 | 2024-07-04 | 주식회사 푸른소나무 | 약물 주입 기록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277775A1 (en) | 2023-09-07 |
CA2974211C (en) | 2023-08-01 |
MX2017009484A (es) | 2017-11-15 |
US20160213853A1 (en) | 2016-07-28 |
CA2974211A1 (en) | 2016-07-28 |
WO2016118736A1 (en) | 2016-07-28 |
EP3247427A4 (en) | 2018-08-01 |
EP3247427A1 (en) | 2017-11-29 |
SG11201705798XA (en) | 2017-08-30 |
WO2016118736A8 (en) | 2017-08-03 |
US10258745B2 (en) | 2019-04-16 |
US20190298931A1 (en) | 2019-10-03 |
JP6820264B2 (ja) | 2021-01-27 |
US11583635B2 (en) | 2023-02-21 |
AU2016209250B2 (en) | 2020-06-18 |
CN107405448A (zh) | 2017-11-28 |
ES2898325T3 (es) | 2022-03-07 |
BR112017015609A2 (pt) | 2018-03-13 |
JP2018502658A (ja) | 2018-02-01 |
EP3247427B1 (en) | 2021-10-06 |
US12042641B2 (en) | 2024-07-23 |
CN107405448B (zh) | 2021-03-23 |
AU2016209250A1 (en) | 2017-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4264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a dose dialing event | |
US11826555B2 (en) | Automatic medication delivery tracking | |
JP7349483B2 (ja) | 温度検知により最適化された液体測定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 |
US9775957B2 (en) | Smart module for injection devices | |
EP3250262B1 (en) | Dose capture device for syringes | |
JP6058673B2 (ja) | 経時的に薬剤投与療法を最適化するための適応システム | |
JP2018118069A (ja) | レジメン特定フィーチャを伴う医療用送達装置 | |
JP2017525500A (ja) | スナップ特徴を有するアクセサリ装置 | |
US20220096756A1 (en) | Event capture device for medication delivery instruments | |
EP3484555B1 (en) | Device for generating protocol data for an injection pen | |
TW201718040A (zh) | 具有劑量計數器之機械式致動輸液裝置 | |
WO2018028886A1 (en) | Device for generating protocol data for an injection p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8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