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05045A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045A
KR20170105045A KR1020177022270A KR20177022270A KR20170105045A KR 20170105045 A KR20170105045 A KR 20170105045A KR 1020177022270 A KR1020177022270 A KR 1020177022270A KR 20177022270 A KR20177022270 A KR 20177022270A KR 20170105045 A KR20170105045 A KR 20170105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port
dust
suction means
tur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202B1 (ko
Inventor
유타카 가시하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2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Nozzles combined with a different cleaning side, e.g. duplex nozzles or dual purpos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마다 적합한 흡입수단의 동작시간으로 설정된 더스트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흡입수단(45)은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 중 어느 것인가와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구동에 의해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 중 어느 것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며, 집진 제어부(49)는 흡입수단(45)의 동작을 제어하고, 집진 제어부(49)는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흡입수단(45)을 구동시키고, 또한 제1 소정 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며, 집진 제어부(49)는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흡입수단(45)을 구동하여 소정의 조작에 의해 정지 가능하고, 또한 흡입수단(45)이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소정 시간과 다른 제2 소정 시간 이상 정지되지 않을 때에는 흡입수단(45)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집진장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 중 어느 것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을 구비한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진장치로서 예를 들어 더스트몹 등의 더스트 컨트롤 제품에 의해 긁어 모아진 먼지를 흡입하는 기능과, 바닥면 등의 먼지를 흡입하는 기능을 전환 가능하게 별개로 구비한, 2방식의 전환 집진을 실시하는 것이 있다.
한편, 전기청소기로서 바닥면을 자율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소위 로봇 클리너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자율주행형의 전기청소기로서 청소가 종료되면, 더스트 스테이션에 귀환하여, 모인 먼지를 더스트 스테이션에 이송·회수하고, 또한 내장된 2차 전지를 충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있다.
전기청소기에서 포집한 먼지를 더스트 스테이션에 흡입할 때와, 더스트 컨트롤 제품에 의해 긁어 모아진 먼지를 더스트 스테이션에 흡입할 때에서는, 별개의 흡입의 형태이고, 그 흡입의 형태에 따라서 흡입수단의 구동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요망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5-3938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구 마다 적합한 흡입수단의 동작시간으로 설정된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집진장치는 제1 흡입구, 이 제1 흡입구와 다른 제2 흡입구, 흡입수단, 및 제어수단을 갖는다. 흡입수단은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 중 어느 것인가와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구동에 의해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 중 어느 것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한다. 제어수단은 흡입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 제어수단은 제1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흡입수단을 구동시키고 또한 제1 소정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이 제어수단은 제2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흡입수단을 구동하여 소정의 조작에 의해 정지 가능하고 또한 흡입수단이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소정시간과 다른 제2 소정시간 이상 정지되지 않을 때에는 흡입수단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집진장치를 구비한 전기청소장치의 내부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상동의 전기청소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동의 집진장치의 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집진장치의 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집진장치를 구비한 전기청소장치의 내부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상동의 전기청소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동의 집진장치의 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의 집진장치의 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제5 실시형태의 집진장치의 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제6 실시형태의 집진장치의 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제7 실시형태의 집진장치의 제어를 도시한 플루우차트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10"은 전기청소장치를 나타내고, 이 전기청소장치(10)는 자율주행형의 전기청소기(11)와, 이 전기청소기(11)의 기지부가 되는 집진장치로서의 더스트 스테이션(1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전기청소기(11)는 설치면(피청소면)인 바닥면(F)상을 자율 주행(자주)하면서 바닥면(F)을 청소하는, 소위 로봇 클리너(청소 로봇)이다. 즉, 이 전기청소기(11)는 바닥면(F) 전체를 자동 청소하는 것이다. 이 전기청소기(11)는 중공형상의 본체 케이스(20)와, 이 본체 케이스(20)를 바닥면(F)상에서 주행시키는 주행부(21)와, 바닥면(F) 등의 먼지를 청소하는 청소부(22)와, 더스트 스테이션(12)을 포함하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23)와, 센서부(24)와, 주행부(21), 청소부(22) 및 통신부(23)를 제어하는 전기청소기 제어수단(전기청소기 제어부)으로서의 본체 제어부(26)와, 이들 주행부(21), 청소부(22), 통신부(23) 및 본체 제어부(26) 등에 급전하는 2차 전지(2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기청소기(11)는 적어도 청소 종료시에는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위치에 이동하여 이 더스트 스테이션(12)과 접속되도록 주행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전기청소기(11)는 예를 들어 더스트 스테이션(12)을 기점으로 하여 청소를 개시하고, 청소가 종료되면 더스트 스테이션(12)으로 귀환하여 접속되도록 주행 제어된다.
본체 케이스(20)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편평한 원기둥 형상(원반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F)에 대향하는 하면에 집진구인 흡입구(31)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케이스(20)에는 흡입구(31)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모으는 집진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케이스(20)에는 집진부(32) 내의 먼지를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구(33)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먼지 배출구(33)는 흡입구(31)와 별개이어도 좋고, 흡입구(31)를 먼지 배출구(33)로서 사용해도 좋다.
주행부(21)는 복수(한쌍)의 구동부로서의 구동륜(34), 이들 구동륜(34)을 구동시키는 동작부로서의 구동수단(구동원)인 모터(35), 도시하지 않은 선회용 선회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청소부(22)는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20) 내에 위치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전동송풍기(3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부(22)는 예를 들어 흡입구(3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먼지를 긁어 올리는 회전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나, 본체 케이스(20)의 전측 등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먼지를 긁어 모으는 선회청소부로서의 보조청소수단(보조청소부)인 사이드 브러시 등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전동송풍기(38)를 대신하여 회전 브러시 또는 사이드 브러시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통신부(23)는 더스트 스테이션(12) 등의 외부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부(24)는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20)의 전방이나 주위 등의 소정 거리 이내의 벽이나 가구 등의 물리적인 물체(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의 비접촉 물체 검출수단(비접촉 검출부) 또는 접촉검출수단(접촉 검출부), 및 본체 케이스(20)의 하부의 바닥면(F)의 단차 등을 검출하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등의 단차검출수단(단차 검출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제어부(26)는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 제어수단 본체(전기청소기 제어부 본체)인 CPU, 이 CPU에 의해 판독되는 프로그램 등의 고정적인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인 ROM, 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작업영역이 되는 워크 에리어 등의 각종 메모리 에리어를 동적으로 형성하는 에리어 저장부인 RAM, 현재의 일시 등의 캘린더 정보를 계시하는 타이머 등(각각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또한, 이 본체 제어부(26)는 주행부(21)의 각 모터(35), 청소부(22)의 전동송풍기(38), 통신부(23), 및 센서부(24)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 제어부(26)는 센서부(24)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하는 주행모드와, 2차 전지(27)를 충전하는 충전모드와, 동작대기 중의 대기모드를 갖고 있다.
또한, 2차 전지(27)는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20)의 바깥면 등에 노출되는 접속부로서의 충전단자(3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더스트 스테이션(12)은 개략적으로 전기청소기(11)에 대하여, 전기청소기(11)의 집진부(32)에 포집한 먼지를 회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더스트 스테이션(12)은 전기청소기(11)와는 별개의 도시하지 않은 몹이나 비, 또는 플로어용 청소구 등의 바닥면(F)의 일부를 국소적으로 청소하는 데에 적합한 더스트 컨트롤 제품에 대하여, 이들에 의해 모이는 먼지, 또는 이들에 부착되는 먼지를 흡입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더스트 스테이션(12)은 바닥면(F)의 임의의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더스트 스테이션(12)의 2차 전지(27)를 충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더스트 스테이션(12)은 케이스체(41)와, 이 케이스체(41)에 설치된 제1 흡입구(42) 및 제2 흡입구(43)와, 먼지 회수부로서의 집진용기(44)와, 케이스체(41) 내에 수용된 흡입수단(흡입부)(45)과, 케이스체(41)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입 풍로(46)와, 전환수단(전환부)(47)과, 전기청소기(11)의 접속을 검출하는 검출부(48)와, 제어수단(제어부)으로서의 집진 제어부(49)와, 흡입수단(45), 검출부(48), 및 집진 제어부(49) 등의 전원이 되는 전원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더스트 스테이션(12)에는 전기청소기(11)의 2차 전지(27)를 충전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충전용 단자(51)를 설치해도 좋다.
케이스체(4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에 의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체(41)는 예를 들어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흡입구(42)는 자동용 흡입구라고도 부를 수 있는 것으로,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되는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는 것이다. 이 제1 흡입구(42)는 예를 들어 케이스체(41)의 정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1 흡입구(42)는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1)의 먼지 배출구(33)와 접속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흡입구(31)와 접속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이 제1 흡입구(42)는 전기청소기(11)의 집진부(32)와 연통되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이하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된다는 것은, 제1 흡입구(42)와 전기청소기(11)의 집진부(32)가 연통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전기청소기(11)의 이차 전지(27)를 충전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되었을 때에는, 전기청소기(11)의 충전단자(39)와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충전용 단자(51)가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제2 흡입구(43)는 수동용 흡입구라고도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전기청소기(11)와는 별개의 더스트 컨트롤 제품에 의해 긁어 모아진 먼지 및 이 더스트 컨트롤 제품에 부착된 먼지를 흡입하는 것이다. 이 제2 흡입구(43)는 예를 들어 케이스체(41)의 측면측의 하부, 즉 바닥면(F)에 인접하여 개구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제2 흡입구(43)는 케이스체(41)의 하부를 절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는 각각 흡입풍로(46)와 연통되어 있고, 먼지용기(44)를 통하여 흡입수단(45)의 흡입측(상류측)에 어느 한쪽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집진용기(44)는 흡입수단(45)의 동작에 의해 제1 흡입구(42) 또는 제2 흡입구(43)로부터 흡입풍로(46)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는 부분이다. 이 집진용기(44)로서는 종이팩이나 필터 또는 원심분리장치 등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집진용기(44)에는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되었을 때에 개방됨으로써 이 집진용기(44)를 흡입풍로(46)와 연통시키기 위한 덮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수단(45)은 예를 들어 전동송풍기이고 전원부(50)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발생시킨 부압을, 집진용기(44) 및 흡입풍로(46)를 통하여 제1 흡입구(42) 또는 제2 흡입구(43)에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입풍로(46)는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에 각각 연통되도록 분기된 더스트부이다.
전환수단(47)은 흡입풍로(46)에 대한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 중 어느 것인가를 선택적으로 흡입수단(45)과 접속시키는 것이다. 이 전환수단(47)은 전환수단 본체(전환부 본체)로서의 전환밸브(53)와, 피조작부인 버튼(5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전환수단(47)에는 전환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접속검출수단(접속 검출부)(55)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전환수단(47)은 흡입수단(45)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전환밸브(53)는 흡입풍로(46)의 분기부에 배치되어 있고, 버튼(54)의 조작에 연동하여 흡입풍로(46)의 분기부 중 어느 한쪽을 폐색하고 다른쪽을 개방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제1 흡입구(42)를 흡입수단(45)의 흡입측에 접속시키는 제1 위치와, 제2 흡입구(43)를 흡입수단(45)의 흡입측에 접속시키는 제2 위치가 번갈아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튼(54)은 예를 들어 케이스체(41)의 상부 등,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부분에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버튼(54)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53)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전환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버튼(54)의 조작과 전환밸브(53)는 기계적으로 연동시켜도 좋고, 전기적으로 연동시켜도 좋다.
접속검출수단(55)은 전환밸브(53)에 의해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 중 어느 것인가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접속검출수단(55)은 전환밸브(53)가 제1 위치에 있는지, 제2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검출부(48)는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검출부(48)는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1)의 통신부(23)로부터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되었을 때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된 것을 검출한다.
집진 제어부(49)는 흡입수단(45)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어수단 본체(제어부 본체)인 CPU, 이 CPU에 의해 판독되는 프로그램 등의 고정적인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인 ROM, 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작업영역이 되는 워크 에리어 등의 각종 메모리 에리어를 동적으로 형성하는 에리어 저장부인 RAM, 현재의 일시 등의 캘린더 정보를 계시하는 타이머 등(각각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이 집진 제어부(49)는 접속검출수단(55) 및 검출부(48)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접속검출수단(55)에 의한 전환밸브(53)의 전환위치의 검출, 다시 말하면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 중 어느 것이 흡입수단(45)과 접속되어 있는지의 검출, 및 검출부(48)에 의한 전기청소기(11)의 더스트 스테이션(12)에 대한 접속의 검출의 유무를 감시하고 있다. 또한, 이 집진 제어부(49)는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 중 어느 것이 현재 흡입수단(45)과 접속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현상태 식별자(S)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대해서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접속 식별자(D)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현상태 식별자(S)는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1, 제 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2, 초기상태에서 0이 된다. 접속 식별자(D)는 더스트 스테이션(12)에 대해서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0, 더스트 스테이션(12)에 대해서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 있을 때 1이 된다. 또한, 이 집진 제어부(49)는 제1 흡입구(42)를 흡입수단(45)에 접속하여 흡입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 카운터(C1)와, 제2 흡입구(43)를 흡입수단(45)에 접속하여 흡입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카운터(C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환밸브(53)를 전기적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이 집진 제어부(49)에 의해 전환밸브(53)의 동작을 제어해도 좋다. 또한, 집진 제어부(49)에는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전기청소기(11)의 2차 전지(27)의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충전용 단자(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전류 회로 등의 충전회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충전회로는 집진 제어부(4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집진 제어부(49)와 개별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전원부(5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용교류전원 등의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으로부터 급전하기 위한 전원 코드를 구비한 코드릴 장치가 사용되지만, 예를 들어 전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더스트 스테이션(12)은 개략적으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의 기동으로부터 자동정지까지의 제1 처리,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의 제2 처리,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의 제3 처리, 및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의 흡입수단(45)의 자동정지의 제4 처리를 각각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부(50)를 외부전원에 접속한 상태, 즉 통상의 기동상태(제1 기동상태)에서 더스트 스테이션(12)은 전환수단(47)의 전환밸브(53)가 제1 위치, 즉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청소를 종료한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귀환하여 이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되는 등, 제1 흡입구(42)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대상(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1))가 제1 흡입구(42)에 접속되면, 집진 제어부(49)이 흡입수단(45)을 기동시켜 먼지(전기청소기(11)의 집진부(32)에 포집한 먼지)를, 제1 흡입구(42)로부터 흡입풍로(46)를 통하여 집진용기(44)로 흡입하여 회수한다. 집진 제어부(49)는 흡입수단(45)이 제1 소정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작하면, 이 흡입수단(45)을 자동 정지시킨다.
또한, 제1 흡입구(42)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대상이 제1 흡입구(42)에 접속되어 이 제1 흡입구(42)로부터의 먼지의 흡입이 종료되었을 때, 예를 들어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된 상태에서, 본체 제어부(26)가 충전모드, 또는 대기모드 시일 때, 즉 제1 흡입구(42)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대상(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1))로부터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집진용기(44)로의 먼지의 이송이 실시되고 있지 않을 때, 또는 제1 흡입구(42)에 먼지를 흡입하는 대상(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1))이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으로부터 이탈하여 청소를 하고 있을 때(검출부(48)에 의해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지 않을 때) 등에, 사용자가 버튼(54)을 조작하면, 전환밸브(53)가 동작하여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는 상태로부터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는 상태로 전환되고, 집진 제어부(49)가 흡입수단(45)을 기동시켜 제2 흡입구(43)로부터 흡입풍로(46)를 통하여 집진용기(44)로 먼지를 흡입시킨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제2 흡입구(43)에 접근시킨 더스트 컨트롤 제품 등의 먼지를 회수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버튼(54)을 조작하면, 집진 제어부(49)가 흡입수단(45)을 정지시키고 또한 전환밸브(53)가 동작하여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되는 상태로 전환되지만, 예를 들어 제2 흡입구(43)로부터의 흡입을 개시한 후, 사용자가 가령 제2 소정시간(예를 들어 제1 소정시간과 달리 이 제1 소정시간보다 긴 시간(예를 들어 30초)) 이상 버튼(54)을 조작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에너지 절감 등을 위해 집진 제어부(49)가 흡입수단(45)을 자동정지시킨다.
또한, 제1 흡입구(42)에 의해 먼지를 흡입하는 대상,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1)(집진부(32))의 먼지를 흡입하고 있을 때, 다시 말하면 제1 흡입구(42)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기 시작하여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버튼(54)의 조작에 의해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되도록 전환되었을 때에는 제1 흡입구(42)로부터의 흡입을 중단하고, 제2 흡입구(43)로부터의 흡입을 개시한다.
이들 동작을, 도 3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도 3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에서는 후술하는 단계 1 내지 단계 15의 처리가, 상기 제1 처리에 대응하여, 단계 1 내지 단계 4 및 단계 16 내지 단계 18의 처리가, 상기 제2 처리에 대응하여, 단계 1 내지 단계 3 및 단계 19 내지 단계 24의 처리가, 상기 제3 처리에 대응하여, 단계 1 내지 단계 3, 단계 15, 단계 19, 단계 25 및 단계 26의 처리가, 상기 제4 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즉, 더스트 스테이션(12)은 전원이 투입되면 집진 제어부(49)의 각 카운터(C1, C2), 접속 식별자(D) 및 현상태 식별자(S)를 각각 초기화한다(단계 1).
이어서, 집진 제어부(49)는 접속검출수단(55)의 검출을 체크함으로써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 중 어느 것이 흡입수단(45)과 접속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단계 2), 이 검출에 기초하여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
이 단계 3에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집진 제어부(49)는 계속해서 지금까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던 것이 제1 흡입구(42)였는지, 즉 현상태 식별자(S)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 따라서, 이 단계 3 및 단계 4의 블럭에 의해, 집진 제어부(49)는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단계 4에서 현상태 식별자(S)가 1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집진 제어부(49)는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지, 즉 접속식별자(D)가 0인지를 판단한다(단계 5).
이 단계 5에서 접속 식별자(D)가 0인, 즉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집진 제어부(49)는 검출부(48)의 검출을 체크하고(단계 6),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7).
이 단계 7에서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소정의 단위시간 대기한(단계 8) 후, 단계 2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7에서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집진 제어부(49)는 접속 식별자(D)를 1로 설정하고(단계 9), 흡입수단(45)을 구동시켜 제1 흡입구(42)로부터의 흡입을 개시하고(단계 10), 제1 카운터(C1)를 인크리먼트(제1 카운터(C1)에 1을 가산)하여(단계 11), 단계 8로 나아간다. 또한, 이하, 흡입수단(45)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흡입수단(45)이 이미 구동되어 있는 경우, 흡입수단(45)의 구동을 계속하는 단계로 한다.
또한, 단계 5에서 접속 식별자(D)가 0이 아닌, 즉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집진 제어부(49)는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1 소정시간보다 길게 연속적으로 동작했는지의 여부, 즉 제1 카운터(C1)가 제1 소정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제1 시간임계값(ST1)보다 큰지의 여부(C1>ST1)를 판단한다(단계 12).
이 단계 12에서 제1 카운터(C1)가 제1 시간 임계값(ST1)보다 크지 않다(제1 시간 임계값(ST1) 이하임)고 판단한 경우에는, 흡입수단(45)을 아직 계속하여 동작시켜도 좋다고 판단하고, 단계 11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12에서 제1 카운터(C1)가 제1 시간 임계값(ST1)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1 흡입구(42)로부터 전기청소기(11)의 집진부(32)의 먼지를 충분히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집진용기(44)에 이송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집진 제어부(49)는 접속 식별자(D)를 0으로 초기화하고(단계 13), 흡입수단(45)을 정지시키고(단계 14), 제1 카운터(C1)를 0으로 초기화하여(단계 15), 단계 8로 진행한다. 또한, 이하 흡입수단(45)을 정지시키는 단계는 흡입수단(45)이 이미 정지되어 있는 경우, 흡입수단(45)의 정지를 그대로 계속하는 단계로 한다.
또한, 이하 단계 5 내지 단계 7 및 단계 9 내지 단계 15의 처리를 제1 흡입처리(단계 27)로서 정의한다.
한편, 단계 4에서 현상태 식별자(S)가 1이 아니라고(0 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었던 상태로부터 버튼(54)의 조작에 의해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전환밸브(53)가 동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제2 흡입구(43)의 이용중인, 즉 제2 흡입구(43)로부터 흡입수단(45)의 구동에 의해 더스트 컨트롤 제품 등의 먼지를 먼지용기(44)로 흡입하고 있는 것이 상정되는 점에서, 집진 제어부(49)는 현상태 식별자(S)를 1로 설정하고(단계 16), 흡입수단(45)을 정지시키고(단계 17), 제2 카운터(C2)를 0으로 초기화한(단계 18) 후, 단계 8로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제2 흡입구(43)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고 있을 때 버튼(54)을 조작하면, 집진 제어부(49)가 흡입수단(45)을 정지시키고 또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된다. 다시 말하면 제2 흡입구(43)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사용자가 버튼(54)을 조작함으로써 흡입수단(45)이 정지하여 제2 흡입구(43)로부터의 먼지의 흡입을 종료하고,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는 대기상태가 된다.
또한, 단계 3에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집진 제어부(49)는 지금까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던 것이 제2 흡입구(43)였는지, 즉 현상태 식별자(S)가 2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9). 따라서, 이 단계 3 및 단계 19의 블럭에 의해, 집진 제어부(49)는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단계 19에서, 현상태 식별자(S)가 2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버튼(54)의 조작에 의해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전환밸브(53)가 동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집진 제어부(49)는 현상태 식별자(S)를 2로 설정하고(단계 20), 접속 식별자(D)를 0으로 초기화하며(단계 21), 제1 카운터(C1)를 0으로 초기화한(단계 22) 후, 흡입수단(45)을 구동시켜 제2 흡입구(43)로부터의 흡입을 개시하고(단계 23), 제2 카운터(C2)를 인크리먼트(제2 카운터(C2)에 1을 가산)하고(단계 24), 단계 8로 진행한다. 이 때, 제1 흡입구(42)가 사용중인, 즉 제1 흡입구(42)로부터 전기청소기(11)의 집진부(32)의 먼지를 흡입하고 있는 것이 상정되는 점에서, 접속 식별자(D) 및 제1 카운터(C1)를 0으로 초기화함으로써, 다음회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제1 시간 임계값(ST1)과 제1 카운터(C1)의 차분(ST1-C1)의 시간분, 제1 흡입구(42)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단계 19에서 현상태 식별자(S)가 2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고, 사용자가 제2 흡입구(43)의 이용중인 것이 상정되는 점에서, 집진 제어부(49)는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2 소정시간보다 길게 연속적으로 동작했는지의 여부, 다시 말하면 제2 카운터(C2)가 제2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제2 시간 임계값(ST2)보다 큰지의 여부(C2>ST2)를 판단한다(단계 25).
이 단계 25에서 제2 카운터(C2)가 제2 시간 임계값(ST2)보다 크지 않다고(제2 시간 임계값(ST2)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흡입수단(45)을 아직 계속하여 동작시켜도 좋은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24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25에서 제2 카운터(C2)가 제2 시간 임계값(ST2)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흡입수단(45)의 장시간의 연속 동작에 의한 과열을 고려하여 집진 제어부(49)는 흡입수단(45)을 정지시키고(단계 26), 단계 8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흡입수단(45)을 구동시키고 또한 제1 소정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정지시켜,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소정의 조작, 예를 들어 버튼(54)의 조작에 의해 흡입수단(45)을 구동 및 정지 가능하고, 또한 흡입수단(45)이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소정시간과 다른 제2 소정시간 이상 정지되지 않을 때에는 흡입수단(45)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므로, 제1 흡입구(42)를 사용할 때와 제2 흡입구(43)를 사용할 때에서, 각각 적합한 흡입수단(45)의 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형 전기청소기(11)의 집진부(32)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용기(44)에 이송하는 제1 흡입구(42)의 경우에는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귀환)했을 때 흡입하면 좋고, 또한 사용자가 부재일 때 전기청소기(11)가 청소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흡입수단(45)을 사용자가 수동 조작 등에 의해 기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접속된 타이밍에서 자동적으로 흡입수단(45)을 기동시킴으로써 제1 흡입구(42)로부터의 흡입을 개시하고, 사용자의 부담을 감소시켜, 사용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청소기(11)는 더스트 스테이션(12)(제1 흡입구(42))에 대하여, 매회 대략 동일한 상태에서 접속될 뿐만 아니라, 집진부(32)로부터 집진용기(44)로의 먼지의 이송은 비교적 단시간에서 완료되므로, 제1 흡입구(42)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흡입수단(45)을 장시간 동작시킬 필요는 없고, 결정된 흡입시간에서 자동 정지시킴으로써, 흡입수단(45)을 사용자가 수동조작 등에 의해 정지시키는 등의 부담이 없고 사용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몹 등의 더스트 컨트롤 제품에 부착된, 또는 더스트 컨트롤 제품에 의해 긁어 모아진 먼지를 집진 용기(44)로 흡입하는 제2 흡입구(43)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더스트 컨트롤 제품을 사용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서의 흡입수단(45)의 기동이 필요해지고, 또한 먼지의 양이나 부착 상태에 따라 필요한 흡입 시간이 매회 다른 것이 상정되므로, 흡입수단(45)의 기동 및 정지의 타이밍을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튼(54)의 조작에 의해 자주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흡입시간의 부족이나 과잉이 발생하기 어렵고, 사용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연속하여 동작한 경우, 즉 흡입수단(45)이 제1 소정시간 보다 긴 제2 소정 시간 연속하여 동작한 경우에는 흡입수단(45)을 자동 정지시킴으로써, 흡입수단(45)이 동작한 그대로의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 계속하는 일이 없고, 흡입수단(45)을 과열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입구(42)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보다도 제2 흡입구(43)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 쪽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 흡입수단(45)을 동작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일이 많으므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의 흡입수단(45)의 자동정지까지의 시간보다도,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의 흡입수단(45)의 과열에 대한 보호를 위한 자동정지까지의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각각의 흡입구(42, 43)에 적합한 흡입수단(45)의 동작시간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원을 투입했을 때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전환수단(47)의 전환밸브(53)가 제1 위치, 즉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제1 기동상태인 것)을 전제로 했지만, 예를 들어 전원을 투입했을 때,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전환수단(47)의 전환밸브(53)가 제2 위치, 즉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 즉 전회의 사용시에 제2 흡입구(43)가 접속된 상태에서 흡입수단(45)이 집진 제어부(49)에 의해 자동정지된 상태 그대로가 되어 있는(단계 26의 처리를 실시한 후, 그대로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사용을 종료한) 경우(제2 기동상태)도 상정된다. 그래서, 이 제2 실시형태는 더스트 스테이션(12)이 제2 기동상태에서 기동했을 때에는 제1 흡입구(42)에 먼지를 흡입하는 대상(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되어도, 흡입수단(45)을 기동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하기의 단계 28을 구비하는 것이다.
즉, 단계 19에서 현상태 식별자(S)가 2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집진 제어부(49)는 현상태 식별자(S)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8).
이 단계 28에서 현상태 식별자(S)가 0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원을 투입했을 때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8로 진행하여(흡입수단(45)을 기동시키지 않고), 현상태 식별자(S)가 0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20(흡입수단(45)의 기동처리)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되어도 흡입수단(45)의 구동을 개시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원을 투입했을 때,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전환수단(47)의 전환밸브(53)가 제2 위치, 즉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1회,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가 되지 않는 한, 다시 말하면 버튼(54)을 적어도 1회 조작하여 전환밸브(53)를 전환하지 않는 한, 흡입수단(45)이 기동하지 않으므로, 전원 투입 직후에 제2 흡입구(43)로부터의 흡입이 자동적으로 개시하여 사용자를 놀라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형태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스트 스테이션(12)이 통지수단(통지부)으로서의 표시수단(표시부)인 램프(57)를 구비하는 것이다.
램프(57)는 케이스체(41)의 예를 들어 상부 등, 사용자에 의해 눈으로 보기 쉬운 곳에 배치되어 있다. 이 램프(57)로서는 예를 들어 LED가 사용된다. 또한, 이 램프(57)는 예를 들어 집진 제어부(49)에 의해 점등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와 같이, 단계 26에서 흡입수단(45)을 정지시킨 후, 집진 제어부(49)는 램프(57)를 점등상태로 하고(단계 31), 단계 8로 진행한다. 즉,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 흡입수단(45)을 소정 시간,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정지시킬 때까지 계속하여 구동한 경우에는, 램프(57)의 표시상태가 소등부터 점등으로 변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단계 18에서 제2 카운터(C2)를 0으로 초기화한 후, 집진 제어부(49)는 램프(57)를 소등상태로 하고(단계 32), 단계 8로 진행한다. 즉, 상기와 같이 점등한 램프(57)에 대해서는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었을 때 소등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램프(57)는 소등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흡입수단(45)이 소정 시간 계속되어 구동했을 때, 램프(57)의 표시상태가 변화되므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 그대로 되어 있으면, 전기청소기(11)가 더스트 스테이션(12)(제1 흡입구(42))에 접속되어도 전기청소기(11)의 집진부(32)로부터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집진용기(44)로의 먼지의 이송을 할 수 없으므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함으로써, 더스트 스테이션(12)을 적절하게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형태는 상기 제2 실시형태와 조합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제4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제3 실시형태에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단계 28을 부가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음에, 제5 실시형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5 실시형태는 상기 제4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이하의 단계 35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단계 28에서 현상태 식별자(S)가 0이라고(전원의 투입 직후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집진 제어부(49)는 램프(57)를 점등 상태로 한다(단계 35).
따라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전환수단(47)의 전환밸브(53)가 제1 위치, 즉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제1 기동상태시)에는, 램프(57)가 소등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전환수단(47)의 전환밸브(53)가 제2 위치, 즉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제2 기동상태시)에는 램프(57)가 점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램프(57)는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와,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서 표시상태가 다르므로, 이 표시상태의 상위(相違)에 의해, 제1 흡입구(42)와 제2 흡입구(43) 중 어느 것이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다.
다음에, 제6 실시형태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6 실시형태는 상기 제5 실시형태에서 램프(57)가 전원 램프를 겸하는 것이다.
즉, 램프(57)는 더스트 스테이션(12)의 전원 투입 상태(전원 코드를 벽면 등의 콘센트에 접속하여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램프(57)는 전원 비투입시에는 소등하고,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제2 기동상태시) 및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흡입수단(45)이 소정 시간,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소정 시간 계속하여 구동시키고 자동 정지한 경우에는 점멸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점등한다. 따라서, 이 램프(57)는 전원의 투입상태와, 전원의 비투입상태와,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흡입구(42)에 전기청소기(11)가 접속된 상태(제2 기동상태)에서 서로 다른 표시상태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의 개시(전원의 투입)후에 단계 1의 전에 집진 제어부(49)가 램프(57)를 점등상태로 하는 램프(57)가 점등하는 단계 41와, 단계 31을 대신하여 집진 제어부(49)가 램프(57)를 점멸 상태로 하는 단계 42와, 단계 32를 대신하여, 집진 제어부(49)가 램프(57)를 점등상태로 하는 단계 43과, 단계 35를 대신하여 집진 제어부(49)가 램프(57)를 점멸상태로 하는 단계 44를 구비한다. 또한, 전원 비투입 상태에서는 전원부(50)로부터 램프(57)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자동적으로 램프(57)는 소등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 및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흡입수단(45)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구동시킨 경우에만 램프(57)가 점멸되므로, 이 램프(57)의 점멸에 의해,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하고, 더스트 스테이션(12)을 적절하게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램프(57)가 전원 램프를 겸하므로, 전원 램프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부품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7 실시형태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7 실시형태는 상기 제6 실시형태와 램프(57)의 점등제어가 다르고, 전원 비투입시에는 램프(57)가 소등하고,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제1 기동상태시)에는 램프(57)가 점등하고,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제2 기동상태시)에는 램프(57)가 점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단계 3에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 집진 제어부(49)가 램프(57)를 점등상태로 하는 단계 47와, 단계 3에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과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 집진 제어부(49)가 램프(57)를 점멸상태로 하는 단계 48을 구비한다. 또한, 전원 비투입 상태에서는 전원부(50)로부터 램프(57)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자동적으로 램프(57)는 소등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제2 흡입구(43)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램프(57)가 점멸되므로, 제1 흡입구(42)가 흡입수단(45)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하고, 더스트 스테이션(12)을 적절하게 사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내지 제7 실시형태에서 램프(57)의 점등 상태의 변화는 점등, 점멸, 소등 이외에, 예를 들어 점등색이 다른 등의 변화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통지수단으로서는 램프(57)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성 등을 사용한 통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제1 흡입구(42)에 접속되는 전기청소기(11)는 자율주행형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더스트 스테이션(12)에 전기청소기(11)를 설치한 것을 검출하거나, 충전식의 전기청소기(11)의 충전단자의 접속을 검출함으로써 전기청소기(11)가 제1 흡입구(42)에 접속된 것을 검출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흡입구(42, 43)마다 적합한 흡입수단(45)의 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 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전력량과 작업효율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제1 흡입구와, 상기 제1 흡입구와 다른 제2 흡입구와, 상기 제1 흡입구와 상기 제2 흡입구의 어느 것과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흡입구와 상기 제2 흡입구의 어느 것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수단(흡입부)을 구비하는 집진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수단을 구동시키고, 또한 제1 소정 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며, 상기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수단을 구동하여 소정의 조작에 의해 정지 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수단이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소정 시간과 다른 제2 소정 시간 이상 정지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흡입수단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집진장치의 제어방법.
상기 제2 흡입구가 흡입수단(흡입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되어도 상기 흡입수단의 구동을 개시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집진장치의 제어방법.
상기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흡입부)에 접속되어 상기 흡입수단을 소정 시간 계속하여 구동시켰을 때 표시수단(표시부)의 표시상태가 변화되는 집진장치의 제어방법.
상기 제1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흡입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와, 상기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서 상기 표시수단(표시부)의 표시상태가 다른 집진장치의 제어방법.
상기 표시수단(표시부)을, 전원 비투입시에 소등시키고, 상기 제2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 및 상기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되어 제어수단이 상기 흡입수단을 소정 시간 계속하여 구동시킨 경우에는 점멸시키고, 그 밖의 경우에는 점등시키는 집진장치의 제어방법.
상기 표시수단(표시부)을, 전워 비투입시에 소등시키고,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등시키고, 상기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멸시키는 집진장치의 제어방법.
상기 제1 흡입구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집진부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이고, 상기 제1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흡입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청소기가 상기 제1 흡입구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흡입수단(흡입부)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집진장치의 제어방법.
상기 제1 소정 시간을 상기 제2 소정시간보다 짧게 설정한 집진장치의 제어방법.

Claims (8)

  1. 제1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와 다른 제2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와 상기 제2 흡입구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흡입구와 상기 제2 흡입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수단, 및
    이 흡입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수단을 구동시키고 또한 제1 소정 시간후에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며, 상기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수단을 구동하여 소정의 조작에 의해 정지 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수단이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소정 시간과 다른 제2 소정시간 이상 정지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흡입수단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제2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되어도 상기 흡입수단의 구동을 개시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집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되고 제어수단이 상기 흡입수단을 소정 시간 계속하여 구동시켰을 때 표시상태가 변화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집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표시수단은, 제1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와,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서 표시상태가 다른, 집진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표시수단은, 전원 비투입시에는 소등하고, 제2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 및 상기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되고 제어수단이 상기 흡입수단을 소정 시간 계속하여 구동시킨 경우에는 점멸하며, 그 밖의 경우에는 점등하는, 집진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표시수단은 전원 비투입시에는 소등하고,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제1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등하고, 제2 흡입구가 상기 흡입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멸하는, 집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흡입구는 전기청소기의 집진부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이고,
    제어수단은 제1 흡입구가 흡입수단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청소기가 상기 제1 흡입구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흡입수단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집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제1 소정시간이 제2 소정시간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집진장치.
KR1020177022270A 2015-12-18 2016-11-24 집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09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7872 2015-12-18
JP2015247872A JP6974931B2 (ja) 2015-12-18 2015-12-18 集塵装置
PCT/JP2016/084821 WO2017104371A1 (ja) 2015-12-18 2016-11-24 集塵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045A true KR20170105045A (ko) 2017-09-18
KR102009202B1 KR102009202B1 (ko) 2019-08-09

Family

ID=5905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270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9202B1 (ko) 2015-12-18 2016-11-24 집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6533B2 (ko)
EP (1) EP3391798B1 (ko)
JP (1) JP6974931B2 (ko)
KR (1) KR102009202B1 (ko)
CN (1) CN107205605B (ko)
TW (1) TWI621419B (ko)
WO (1) WO20171043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716A1 (ko) * 2020-06-25 2021-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 스테이션, 이동 로봇 및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이동 로봇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3889B2 (ja) * 2017-11-15 2021-08-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装置
ES2964140T3 (es) * 2019-01-31 2024-04-04 Vorwerk Co Interholding Electrodoméstico de funcionamiento con batería y estación de carga de batería
US12082757B2 (en) 2019-07-31 2024-09-10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KR102314036B1 (ko) * 2019-07-31 2021-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KR102208334B1 (ko) * 2019-09-05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037533A1 (en) * 2019-10-04 2022-08-10 Aertecnica S.P.A. Suction interface
CN111920346A (zh) * 2020-07-01 2020-11-13 深圳乐动机器人有限公司 用于控制清洁机器人集尘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216569815U (zh) * 2020-09-02 2022-05-24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用于机器人清洁器的对接站、机器人清洁器以及系统
CN112842179B (zh) * 2020-12-31 2023-01-03 科沃斯商用机器人有限公司 基站及清洁系统
US20240285138A1 (en) * 2021-07-09 2024-08-29 Lg Electronics Inc. Cleaner station
JP2023056893A (ja) * 2021-10-08 2023-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掃除機から塵埃を回収する回収装置
CN114041723A (zh) * 2021-11-18 2022-02-15 苏州精源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器运动传感器模块及其检测吸尘器运动状态的方法
WO2023158856A2 (en) * 2022-02-21 2023-08-24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docking s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146A (ko)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KR20070099763A (ko) * 2006-04-05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시스템
JP2015039382A (ja)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ダスキン 両用型集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676B1 (ko) * 1993-09-27 1999-06-15 윤종용 로보트 청소기
JP2003204904A (ja) 2001-11-09 2003-07-22 Sharp Corp 電気掃除機
CN1241518C (zh) 2002-05-31 2006-02-1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备自动除尘装置的真空吸尘器
KR100707354B1 (ko) 2006-04-06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시스템
JP4916266B2 (ja) * 2006-04-10 2012-04-11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集塵装置を備える建物
JP4567661B2 (ja) * 2006-12-25 2010-10-20 清作 田中 ごみとり器
JP5185551B2 (ja) * 2007-03-19 2013-04-17 日立工機株式会社 集塵機
JP2012152479A (ja) * 2011-01-28 2012-08-16 Hitachi Appliances Inc 収納装置付き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の収納装置
JP2013013539A (ja)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3017499A (ja) 2011-07-07 2013-01-31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TW201325532A (zh) 2011-12-16 2013-07-01 Kinpo Elect Inc 掃地機之集塵檢測系統及其方法
JP2014131529A (ja) * 2013-01-04 2014-07-17 Shoshiro Ikeda 掃除機用電気ちりとりアダプター
JP2015070922A (ja) * 2013-10-02 2015-04-16 株式会社ダスキン 掃除ロボット及び掃除ロボットシステム
JP6904659B2 (ja) 2015-09-14 2021-07-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146A (ko)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KR20070099763A (ko) * 2006-04-05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시스템
JP2015039382A (ja)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ダスキン 両用型集塵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716A1 (ko) * 2020-06-25 2021-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 스테이션, 이동 로봇 및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이동 로봇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09049A (ja) 2017-06-22
TWI621419B (zh) 2018-04-21
CN107205605B (zh) 2019-11-29
WO2017104371A1 (ja) 2017-06-22
EP3391798B1 (en) 2020-08-05
US20200077851A1 (en) 2020-03-12
EP3391798A1 (en) 2018-10-24
US11096533B2 (en) 2021-08-24
CN107205605A (zh) 2017-09-26
KR102009202B1 (ko) 2019-08-09
JP6974931B2 (ja) 2021-12-01
EP3391798A4 (en) 2019-09-04
TW201722333A (zh) 2017-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5045A (ko) 집진장치
WO2018216687A1 (ja) 電気掃除装置
CN107088025B (zh) 电动清扫装置
EP1806086B1 (en) Cleaner system compris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9687131B2 (en) Self-propelled floor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consecutive vehicle, which follows a lead vehicle
JP6993937B2 (ja) 電気掃除装置
JP5400966B2 (ja) 電気掃除機
JP2007181660A (ja) ロボット掃除システム
CN110623602A (zh) 电清扫装置
CN116322452A (zh) 包括真空清洁器和扩展坞的清洁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015465B1 (ko) 접이식 소형 진공청소기가 결합된 자동 청소로봇
JP6636320B2 (ja) 集塵装置
JP6674775B2 (ja) 集塵装置
JP6710523B2 (ja) 集塵装置
CN102984982A (zh) 电动吸尘器
CN111657792B (zh) 电动吸尘器
KR20070024749A (ko)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충전제어방법
JP2020151097A (ja) 電気掃除装置
JP2005013482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