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01201A - 안전벨트 장치용 벨트 스트랩 및 안전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장치용 벨트 스트랩 및 안전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201A
KR20170101201A KR1020177015190A KR20177015190A KR20170101201A KR 20170101201 A KR20170101201 A KR 20170101201A KR 1020177015190 A KR1020177015190 A KR 1020177015190A KR 20177015190 A KR20177015190 A KR 20177015190A KR 20170101201 A KR20170101201 A KR 2017010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ction
belt strap
strap
wea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539B1 (ko
Inventor
흐엘부루트 크리스 반
네르 리차드 반
윌리 웰츠
카이 스테판 뮬러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7010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5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05Woven fabrics for safety bel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6Fabrics of varying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022/026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at least two ends of the belt being retractable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24Multi-spool or multi-belt re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벨트 장치(1)용 벨트 스트랩(6)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벨트 스트랩(6)은 길이 방향과 관련하여 제2 섹션(12)보다 제1 섹션(13)에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장치용 벨트 스트랩 및 안전벨트 장치{BELT STRAP FOR SAFETY BELT DEVICE AND SAFETY BELT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안전벨트 장치용 벨트 스트랩(belt strap) 및 청구항 16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안전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벨트 장치와 그 내부에 제공된 벨트 스트랩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사고 시 탑승자의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탑승자가 좌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탑승자 보호 예에서 탑승자 부담과 관련한 중요한 기준 중 하나는,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벨트 섹션을 통해 소위 탑승자의 가슴을 압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슴 압박은 대각선 벨트 섹션의 접촉면 관련(성) 그리고 상기 대각선 벨트 섹션에 의해 가해지는 유지력의 결과로 인과적으로 나타나며, 이때 이러한 유지력은 또 한편으로는 승객 유형 및 사고 심각도(accident severity)에 따라 달라진다. 가슴 압박을 감소시키기 위한 주요 매개변수는 대각선 벨트 섹션의 접촉면이다.
벨트 스트랩은 안전벨트 장치의 벨트 리트랙터(belt retractor)에 와인딩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즉 상기 벨트 스트랩의 와인딩 폭은 와인딩상의 이유로 임의로 넓게 선택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벨트 스트랩의 접촉면 또한 제한적으로만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에 대처하기 위해, 이미 팽창 가능한 벨트 스트랩들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벨트 스트랩들은 이중층으로 설계되어 있고, 가스 발생기에 의해 사고 초기 단계에 증대된 접촉면을 갖는 두꺼운 "소시지" 형태로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해결책의 단점은, 제공되는 가스 발생기에 의해 안전벨트 장치의 비용이 증가하고, 또한 안전벨트 장치 고정에 필요한 설치 공간이 현저히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앞서 설명한 단점들을 방지하면서 간단한 수단들을 이용해 탑승자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벨트 스트랩 및 안전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스트랩 및 청구항 16의 특징들을 갖는 안전벨트 장치가 제안된다. 바람직한 추가 개선예들은 종속항, 상세한 설명부 및 관련 도면들에서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르면, 벨트 스트랩이 길이 방향과 관련하여 제2 섹션보다 제1 섹션의 종방향의 폭이 넓게 형성되도록 제안된다.
상기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서는, 예를 들면 가스 발생기와 같은 추가 부품들을 제공해야 하거나, 또는 팽창을 위해 벨트 스트랩을 특수하게 직조(weaving)해야 하는 과정 없이, 탑승자 부담이 벨트 스트랩의 형상 부여만으로도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1 섹션의 위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벨트 스트랩이 연결되었을 때 이러한 제1 섹션이 탑승자 부담을 감소시키는 탑승자의 부분에 접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6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안전벨트 장치가 제안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벨트 스트랩이 제공되고, 그리고 제2 벨트 리트랙터가 제공되며, 이러한 벨트 리트랙터에는 상기 벨트 스트랩의 제2 단부가 와인딩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서는, 벨트 스트랩의 제1 섹션이 접하는 탑승자의 부분의 탑승자 부담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벨트 리트랙터 제공에 의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벨트 스트랩의 제2 섹션만 완전히 와인딩될 수 있다.
제2섹션은 종래의 표준 안전벨트 장치들과 같이 제2 섹션은 바람직하게 46 내지 48㎜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벨트 스트랩의 제2 섹션이 종래의 벨트 리트랙터에 의해 와인딩될 수 있다. 2개의 벨트 리트랙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한하여, 벨트 스트랩이 완전히 와인딩되는 경우, 제1 섹션이 상기 2개의 벨트 리트랙터 중 하나의 벨트 리트렉터에는 와인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섹션을 위치 설정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벨트 스트랩은 제1 섹션의 상대적으로 큰 폭에도 불구하고 항상 완전히 와인딩될 수 있으며, 특히 주차 위치에서는 가능한 한 적은 풀림 상태로 차량 구조에 걸릴 수 있다.
제1 섹션이 75 내지 100㎜의 폭을 가짐으로써 착용 시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탑승자 부담 감소와 관련하여 특히 우수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섹션은 또한 바람직하게 350 내지 600㎜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벨트 스트랩은 제1 섹션에서 바람직하게는 1/1 및/또는 2/2 결합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벨트 스트랩이 제1 섹션의 넓은 접촉 섹션에서 경사(warp thread)와 위사(weft thread)의 매우 높은 밀도 결합 지점을 갖는다. 그 결과 벨트 스트랩에서 매우 균일한 하중 분배가 실현될 수 있다.
벨트 스트랩이 제1 섹션에서 10 내지 18 위사/㎝를 가짐으로써, 특히 매우 우수한 하중 분배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벨트 스트랩이 제1 섹션 방향으로 증가하는 위사/㎝ 수와 함께, 제2 섹션과 제1 섹션 사이에 배치된 전환 섹션에서 6 내지 18 위사/㎝를 갖는 경우 매우 균일한 하중 분배가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벨트 스트랩이 제2 섹션과 제1 섹션 사이에, 상기 제1 섹션 방향으로 증가하는 폭을 갖는 전환 섹션을 갖는 것이 제안되며, 이때 상기 전환 섹션은 100 내지 200㎚의 길이를 갖는다. 제안된 전환 섹션 및 전환 섹션의 치수에 의해, 벨트 스트랩과 고정된 탑승자에 대해 하중 분배가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섹션에 의한 탑승자의 부담 감소가 제2 섹션으로 넘어가는 전환 영역에서 급격한 탑승자 부담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또한, 벨트 스트랩이 제1 섹션에서 서로 겹쳐서 배치된 2개의 층으로 직조되는 것이 제안되는데, 즉 2개의 층이 결합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서는 눈에 띄는 구멍 없이 균일한 외관이 달성될 수 있다. 그 밖에 이로 인해 제1 섹션 영역에서 벨트 스트랩의 드레이퍼리(drapery) 또는 만곡 경향이 저지될 수 있다.
그 밖에 벨트 스트랩의 경사가 최소 3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직조 빔(weaving beam)에서 직조됨으로써 방지되어야 할 드레이퍼리 또는 만곡 경향과 관련하여 벨트 스트랩이 특히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이한 직조 빔을 상호 엮어서 직조함에 따라 벨트 스트랩은 특정한 속성을 갖는 여러 구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역들은 벨트 스트랩에 횡 방향으로, 예를 들면 증가된 강도와 같은 특정 속성을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벨트 스트랩이 제1 경사 수를 갖는 중앙의 제1 직조 빔에서 직조되고, 그리고 상기 중앙의 제1 직조 빔에 인접한 제2 및 제3 직조 빔에서 제2 경사 수로 직조되는 경우 - 이때 상기 제2 경사 수는 상기 제1 직조 빔에서의 제1 경사 수보다 작음 - 만곡 또는 드레이퍼리 경향이 특히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직조 빔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중앙의 제1 직조 빔에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되는데, 그 결과 벨트 스트랩이 상기 중앙 섹션의 양측에서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어느 특정한 측(preferred side)이 하중 작용 시 만곡되거나 접히게 기울어지지 않는다. 또한, 벨트 스트랩의 양 측면이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데, 그 결과 상기 벨트 스트랩은 억제 특성이 변경되지 않으며 비틀린 상태에서도 탑승자에게 착용될 수 있다.
특히 우수한 결과는 제1의 중앙 직조 빔에서 100 내지 140개, 바람직하게는 120개의 경사 및/또는 제2 및 제3 직조 빔에서 70 내지 80개, 바람직하게는 75개의 경사를 갖는 벨트 스트랩에 의해 달성될 수 있었다.
추가로 결합사를 다른 경사와 분리된 직조 빔에서 직조하는 것이 제안되며, 이로 인해 상기 결합사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나머지 경사와 다른, 위사와의 결합하여 직조될 수 있다. 특히 이로 인해 벨트 스트랩의 두 층을 서로 매우 간단히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이하게 가이드 되는 그리고 차량에 고정 가능한 벨트 버클(belt buckle)에 로킹될 수 있는 벨트 텅(belt tongue)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벨트 텅은 로킹 상태에서 벨트 스트랩을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벨트 섹션과 탑승자의 골반을 가로지르는 골반 벨트 섹션으로 나누어지고, 그리고 제1 섹션이 상기 대각선 벨트 섹션 또는 대각선 벨트 섹션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 및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서는, 대각선 벨트 섹션에 의한 가슴 압박이 감소될 수 있다. 탑승자의 골반이 현저히 더 큰 하중을 견딤으로써, 부상 위험으로 인해 종래의 벨트 스트랩을 종래의 폭으로 설계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골반 벨트 섹션은 벨트 스트랩의 제2의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벨트 리스랙터 또는 제1 벨트 리트랙터에 와인딩될 수 있다.
다음에 이어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해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해서 설명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스트랩을 구비한 안전벨트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폭이 넓어진 제1 섹션을 갖는 벨트 스트랩을 상이한 도면으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3은 종 방향 길이에 평행하게, 벨트 스트랩의 제1 섹션의 위사를 절단한 2개의 상이한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 1에는 차량의 좌석(3)에 앉은 탑승자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장치(1)가 나타난다. 상기 안전벨트 장치(1)는 제1 벨트 리트랙터(4) 및 리버싱 장치(11)를 포함하고, 이 두 요소는 차량의 B-기둥(B-column)(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 장치(1)는 제2 벨트 리트랙터(5) 및 벨트 버클(10)을 포함하고, 이 두 요소는 차량 구조의 하부 섹션에,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바닥 구조에 고정되어 있다. 더 나아가 벨트 스트랩(6)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벨트 스트랩에서는 상기 벨트 버클(10)에 로킹될 수 있는 벨트 텅(9)이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된다. 상기 벨트 텅(9)은 로킹 상태에서 벨트 스트랩(6)을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벨트 섹션(7)과 탑승자의 골반을 가로지르는 골반 벨트 섹션(8)으로 세분한다.
벨트 스트랩(6)은 제1 단부가 제1 벨트 리트랙터(4)에 와인딩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벨트 리트랙터로부터는 리버싱 장치(11)까지 상부로 이어지다. 벨트 스트랩(6)은 상기 리버싱 장치(11)로부터는 계속해서 대각선 벨트 섹션(7)에서 벨트 버클(10)에 로킹된 벨트 텅(9)까지 이어지고, 그리고 추가로 이러한 벨트 텅(9)으로부터는 골반 벨트 섹션(8)에서 제2 벨트 리트랙터(5)까지 이어지며, 이 경우 상기 제2 벨트 리트랙터에는 벨트 스트랩(6)의 제2 단부가 와인딩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 장치(1)는 이러한 점까지는 2개의 벨트 리트랙터(4 및 5)를 구비한 종래의 3 포인트 안전벨트 장치의 구조에 상응한다.
도 2에는 벨트 스트랩(6)의 절단 부분, 바람직하게는 대각선 벨트 섹션(7)의 절단 부분이 확대되어 나타난다. 벨트 스트랩(6)은 하나 이상의 제1 섹션(13), 제2 섹션(12) 그리고 각각 상기 두 섹션(12 및 13) 사이에 배치된 전환 섹션(14)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섹션(12)은 종래의 안전벨트의 폭에 상응하는 46 내지 48㎜의 폭을 갖는다. 벨트 스트랩(6)은 각각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벨트 스트랩(6)의 제2 섹션(12)에 상응하는 2개의 벨트 리트랙터(4 및 5)에 와인딩될 수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치수 및 조립 치수를 갖는 종래의 벨트 리트랙터(4 및 5)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벨트 스트랩의 제1 섹션(13)의 폭은 75 내지 100㎜이고, 길이는 350 내지 600㎜이다. 또한, 제1 섹션(13)과 제2 섹션(12) 사이에는 각 하나의 전환 섹션(14)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환 섹션에서는 제1 섹션(13)의 방향으로 벨트 스트랩(6)의 폭이 증가한다. 상기 전환 섹션(14)들은 각각 100 내지 200㎜의 바람직한 길이를 갖는다. 제1 섹션(13)은, 벨트 스트랩(6) 착용 상태에서 탑승자의 가슴 상에 놓이도록 벨트 스트랩(6)에 위치 설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1 섹션(13)은, 벨트를 풀었을 때 벨트 스트랩(6)이 상대적으로 적은 폭을 갖는 제2 섹션(12)만 완전히 완인딩되도록 2개의 벨트 리트랙터(4 및 5)에 롤링되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거나, 또는 제2 섹션(12)은 이러한 방식으로 길이가 선택된다. 이 경우 제2 섹션(12)의 길이는, 벨트 스트랩(6)이 제1 벨트 리트랙터(4)를 통해, 전환 섹션(14) 또는 제1 섹션(13)이 리버싱 장치(11)에 접할 때까지 최대한 롤링되도록 선택된다. 나머지 벨트 슬랙(belt slack)은, 벨트 스트랩(6)의 제2 단부가 제2 벨트 리트랙터(5)에 와인딩됨으로써 감긴다. 이 때문에 벨트 스트랩(6)은 실제로 대각선 벨트 섹션(7)과 골반 벨트 섹션(8)의 2개의 자유 단부에 걸쳐서 와인딩된다.
제안된 해결책의 장점은, 벨트 스트랩(6)의 접촉면이 탑승자에 접하는 제1 섹션(13) 영역에서 증대되고, 그 결과 탑승자 부담이 감소된다는 데 있다. 이 경우, 벨트 스트랩(6)은 2개의 와인딩되는 제2 섹션(12) 또는 2개의 단부에서 종래의 치수로 설계되어 있으며, 그 결과 종래의 벨트 리트랙터(4 및 5)가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제1 섹션(13)만 완전히 와인딩되지 않도록 와인딩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제1 섹션(13)의 위치는, 벨트 스트랩 인출 동작 및 인입 동작을 방해함 없이 주차 위치에서 벨트 스트랩(6)을 푼 상태뿐만 아니라 벨트 스트랩(6)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항상 리버싱 장치(11)와 벨트 텅(9) 사이에 놓이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는 2개의 벨트 리트랙터(4 및 5) 사용에 의해 구현된다.
벨트 스트랩(6)은 제1 섹션(13)에서 10 내지 18 위사/㎝의 위사 밀도를 갖고, 제2 섹션(12)에서는 약 6 내지 12 위사/㎝의 위사 밀도를 가지며, 그리고 전환 섹션(14)에서는 상기 제1 섹션(13) 방향으로 증가하는 6 내지 18 씨실/㎝의 위사 밀도를 갖는다. 상기 씨실 밀도는 각각 벨트 스트랩(6)의 종방향 길이 방향으로 지정되었다.
계속해서 벨트 스트랩(6)은 제2 섹션(12) 영역과 전환 섹션(14) 영역에서 각각 2/2 결합으로 직조되어 있고, 제1 섹션(13) 영역에서는 1/1 및/또는 2/2 결합으로 직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의 아래쪽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 스트랩(6)은 상기 제1 섹션(13) 영역에서 경사(19, 20)와 위사(18)의 2개 층을 갖는 이중층으로 직조되어 있으며, 이 경우 2개 층 및 특히 위사(18)는 가장자리 영역들에서 각각 2개의 결합사(17)에 의해 1/1 결합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나머지 경사(19, 20)는 2/2 결합뿐만 아니라 1/1 결합으로도 직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결합사(17)만 1/1 결합으로 직조되고, 경사는 2/2 결합으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제1 섹션(13)은 중공 직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섹션(13)과 전환 섹션(14)의 제안된 형성 장점은 이로 인해, 벨트 스트랩(6)이 정규 사용 동안뿐만 아니라 하중 시 접혀짐이 없고 가장자리 영역들에서 변형됨 없이 승객들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전환 섹션(14)의 길이 및 이러한 전환 섹션(14)에서 증가하는 위사 밀도는 가능한 한 균일한 하중 분포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제1 섹션(13) 영역에서 1/1 및/또는 2/2 결합의 위빙 패턴이 매우 중요한데, 이로 인해 매우 밀집되고 높은 수의, 위사(18), 경사(19, 20) 및 결합사(17) 결합 포인트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사(19, 20)는 바람직하게는 830 내지 1670 dtex의 바람직한 번수(yarn count)를 갖고, 반면에 위사(18)는 400 내지 1100 dtex의 바람직한 번수를 가지며, 그리고 결합사(17)는 280 내지 550 dtex의 바람직한 번수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결합사(17)의 번수는 상기 위사(18)의 번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경사(19, 20)를 포함하는 벨트 스트랩(6)은 상이한 섹션(12, 13 및 14)들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거나 상이한 응력으로 직조되어야 한다.
도 2의 중간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 스트랩(6)의 경사(19, 20)는 3개의 직조 빔(Ⅰ, Ⅱ 및 Ⅲ)에서 직조되었다. 이 경우 제1 직조 빔(Ⅲ)은 중앙 섹션에 150개의 경사를 가지며, 반면에 제1 직조 빔(Ⅲ)에는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동일하게 형성된, 제2 직조 빔(Ⅱ)의 2개의 부분 빔 또는 부분 섹션이 접하며, 이는 제1 직조 빔(Ⅲ)과 비교하면 각각 75개의 적은 경사 수를 가지며, 그 결과 제2 직조 빔(Ⅱ)은 전체적으로 2개의 부분 빔 또는 부분 섹션의 합에서 마찬가지로 150개의 경사(19 및 20)를 갖는다. 제2 직조 빔(Ⅱ)의 부분 섹션에서 외측에는 제3 직조 빔(Ⅰ)의 2개의 또 다른 부분 섹션 또는 부분 빔이 접하며, 이때 상기 부분 섹션들 또는 부분 빔들은 각각 60개의 경사를 가지며, 그 결과 제3의 직조 빔(Ⅰ)이 전체적으로 120개의 경사(19, 20)를 갖는다. 상이한 직조 빔(Ⅰ, Ⅱ 및 Ⅲ)의 경사(19, 20)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결합으로 그리고/또는 상이한 방향 설정으로 위사(18)와 직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벨트 스트랩(6)이 종방향 길이에 대해 횡 방향으로 상이한 위사(18) 결합을 갖는다. 상이한 직조 빔(Ⅰ, Ⅱ 및 Ⅲ)에서 경사(19, 20)를 직조함으로써, 벨트 스트랩(6)에는 의도한 바대로 제1 섹션(13)에서 상기와 같은 횡 방향 강도가 제공될 수 있으며, 벨트 스트랩(6)은 마찬가지로 상승된 종 방향 힘에서 측면 가장자리 섹션에서 측면 직조되지 않는다. 이 경우 여러 직조 빔(Ⅰ, Ⅱ 및 Ⅲ)에서의 직조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대적으로 폭이 더 좁은 제2 섹션(12)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인장력이, 제1 섹션(13)에도 동일하게 그리고 반대로도 전달되기 때문이다. 직조 빔(Ⅰ, Ⅱ 및 Ⅲ)이라는 용어는 각각 경사(19, 20)의 그룹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경사는 각각 공통으로 위사(18)에 대한 측면 방향 설정을 변경하여 위사(18)와 균등 결합으로 직조된다.
상이한 직조 빔(Ⅰ, Ⅱ 및 Ⅲ)에서 경사(19 및 20)를 직조함으로써, 이러한 경사(19 및 20)의 결합은 상이한 그룹으로 벨트 스트랩(6)의 종 방향 길이에 대해 횡 방향으로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재차 상이한 강도 그리고 이러한 강도에 의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벨트 스트랩(6)의 정해진 변형 특성이 의도한 바대로 달성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결합사(17)는 바람직하게 분리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4 직조 빔에서 벨트 스트랩(6)의 전체 횡 방향 길이에 걸쳐서 위사(18)와 1/1 결합으로 직조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결합사(17)는 다른 직조 빔(Ⅰ, Ⅱ 및 Ⅲ)의 경사(19, 20)와 다른 결합으로 직조되고, 이로 인해 상기 경사(19 및 20)의 두 층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사(18)의 제4 직조 빔은 실제로 벨트 스트랩(6)의 횡 방향 길이에 걸쳐서 다른 직조 빔(Ⅰ, Ⅱ 및 Ⅲ)과 중첩되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개의 날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개의 날실을 포함한다.
직조 빔(Ⅰ, Ⅱ 및 Ⅲ)은 결합 그룹으로서 위사(18)와 함께 직조된 경사(19, 20) 또는 결합사(17)의 그룹화를 의미한다. 이 경우 결합은 상이한 리듬뿐만 아니라 동일한(그러나 오프셋 방식으로) 리듬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직조 빔(Ⅱ 및 Ⅰ)의 부분 섹션들 또는 부분 빔들은 바람직하게 제1 직조 빔(Ⅲ)에 대칭적으로 배치 및 분할되어 있고, 위사(18)와 2/2 또는 1/1 균등 결합으로, 바람직하게는 2/2 균등 결합으로 직조된다.

Claims (16)

  1. 자동차 안전벨트 장치(1)의 벨트 스트랩(belt strap)(6)으로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길이 방향과 관련하여 제2 섹션(12)보다 제1 섹션(13)에서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섹션(13)이 75 내지 100㎜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섹션(13)이 350 내지 600㎜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상기 제1 섹션(13)에서 1/1 및/또는 2/2의 결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상기 제1 섹션(13)에서 10 내지 18 위사(weft threa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상기 제2 섹션(12)과 제1 섹션(13) 사이에 배치된 전환 섹션(14)에서, 상기 제1 섹션(13) 방향으로 위사/㎝ 수가 증가하는 6 내지 18 위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제2 섹션(12)과 제1 섹션(13) 사이에, 상기 제1 섹션(13)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는 전환 섹션(14)을 가지며, 상기 전환 섹션은 100 내지 200㎜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제1 섹션(13)에서, 서로 겹쳐서 배치된 2개의 층(15, 16)으로 직조(weaving)되어 있고, 그리고
    - 상기 두 층(15, 16)이 결합사(17)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의 경사(warp threads)(19, 20)는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직조 빔(weaving beam)(Ⅰ, Ⅱ, Ⅲ)에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10. 제9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중앙의 제1 직조 빔(Ⅲ)에서 제1의 경사 수(19, 20)로 직조되어 있고, 그리고
    - 상기 중앙의 제1 직조 빔(Ⅲ)에 인접한, 제2 및 제3의 직조 빔(Ⅰ, Ⅱ)의 부분 섹션에서 제1 직조 빔(Ⅲ)의 제1 경사(19, 20) 수보다 작은 제2 경사 수(19, 20)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11. 제10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직조 빔과 제3 직조 빔(Ⅰ, Ⅱ)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의 제1 직조 빔(Ⅲ)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상기 중앙의 제1 직조 빔(Ⅲ)에서 140 내지 160개, 바람직하게는 150개의 경사(19, 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상기 제2 및 제3 직조 빔(Ⅰ, Ⅱ)에서 120 내지 150개, 바람직하게는 135개의 경사(19, 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8항에 있어서,
    - 상기 결합사(17)가 상기 다른 경사(19, 20)와 분리된 직조 빔에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에 마련되고,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벨트 버클(belt buckle)(10)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한 벨트 텅(belt tongue)(9)이 제공되어 있고,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로킹 상태에서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벨트 섹션(7) 및 탑승자의 골반을 가로지르는 골반 벨트 섹션(8)으로 나누어지며, 그리고
    - 상기 제1 섹션(13)이 상기 대각선 벨트 섹션(13) 또는 상기 대각선 벨트 섹션(13)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위치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6).
  16. - 제1 벨트 리트랙터(belt retractor)(4) 및
    - 제1 단부가 상기 제1 벨트 리트랙터(4)에 와인딩될 수 있는 벨트 스트랩(6)을 구비한 안전벨트 장치(1)로서,
    - 상기 벨트 스트랩(6)이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 상기 벨트 스트랩(6)의 제2 단부가 와인딩될 수 있는 제2 벨트 리트랙트(5)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KR1020177015190A 2014-11-06 2015-11-09 안전벨트 장치용 벨트 스트랩 및 안전벨트 장치 Active KR101989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22654.6A DE102014222654B4 (de) 2014-11-06 2014-11-06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Sicherheitsgurteinrichtung
PCT/EP2015/076029 WO2016071528A1 (de) 2014-11-06 2015-11-09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sicherheitsgurt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201A true KR20170101201A (ko) 2017-09-05
KR101989539B1 KR101989539B1 (ko) 2019-09-30

Family

ID=5447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190A Active KR101989539B1 (ko) 2014-11-06 2015-11-09 안전벨트 장치용 벨트 스트랩 및 안전벨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62484B2 (ko)
KR (1) KR101989539B1 (ko)
CN (1) CN107107861B (ko)
DE (1) DE102014222654B4 (ko)
WO (1) WO2016071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8676B2 (en) * 2015-12-16 2021-05-1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Textured woven fabric for use in implantable bioprostheses
DE102016211409B4 (de) 2016-06-24 2021-06-24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6863930B (zh) * 2017-04-06 2019-03-15 特大纺织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织网及其安全护腰带
US10391965B2 (en) 2017-07-19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bular seat belt system having air delivery
US10479162B2 (en) 2017-12-07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having tubes for air delivery
US10442392B2 (en) * 2017-12-07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air distribution manifold
US10471800B2 (en) 2017-12-07 2019-1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electrical connector
US10569735B2 (en) 2017-12-07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uniform air delivery
DE102018210890B4 (de) * 2018-07-03 2022-10-13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8118436A1 (de) * 2018-07-31 2020-02-06 Carl Stahl Gmbh & Co. Kg Gurtband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DE102018129267A1 (de) * 2018-11-21 2020-05-28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urtbandes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in einem Fahrzeug, Gurtband sowie Fahrzeug mit Gurtband
CN111137244A (zh) * 2020-02-17 2020-05-12 安徽理工大学 一种双电机双向预紧主动放松式安全带
DE102020206517B3 (de) * 2020-05-26 2021-04-22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21104034B3 (de) * 2021-02-19 2022-02-03 Berger Gmbh & Co. Holding Kg Sicherheitsgurtband für ein 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4982A1 (de) * 1972-12-28 1974-07-11 Takata Kojyo Co Breitenvariabler gurt, insbesondere sicherheitsgurt
DE3119177A1 (de) * 1981-05-14 1982-12-09 Hans-Hellmut Ing.(grad.) 2061 Sülfeld Ernst Sicherheitsgurt
DE10046268A1 (de) * 1999-09-24 2001-05-03 Takata Corp Gasgurt und Gasgurt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1253A1 (de) 1968-09-16 1970-12-17 Kuehl Dipl Ing Hans Sicherheitsbegurtung
US3888503A (en) * 1973-02-22 1975-06-10 Allied Chem Limiting of continuous extent of inflatable restraint
JPS5713053U (ko) 1980-06-24 1982-01-23
DE3113701A1 (de) * 1981-04-04 1982-10-21 Naamloze Vennootschap Klippan S.A., 3030 Heverlee Gewebtes gurt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3328738C2 (de) * 1983-08-09 1987-02-19 Kurt 8428 Rohr Eichert Sicherheitsgurt-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S6164173U (ko) * 1984-09-28 1986-05-01
JPS61111860U (ko) * 1984-12-26 1986-07-15
ES2152232T3 (es) * 1992-12-15 2001-02-01 Kikuchi Web Tech Co Ltd Cincho grueso.
EP0648876B1 (en) * 1993-05-06 1997-03-05 Kikuchi Web Tech Co., Ltd. Belt used as rope
US5465999A (en) * 1994-06-30 1995-11-14 Takata Corporation Inflatable seat belt having defined shape
US5658012A (en) * 1995-11-02 1997-08-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webbing energy management device
US6419263B1 (en) * 1998-05-11 2002-07-16 The B. F. Goodrich Company Seatbelt system having seamless inflatable member
US5947513A (en) * 1997-07-03 1999-09-07 Lehto; Mark R. Passenger restraint system
DE10114343B4 (de) * 2001-03-23 2005-09-29 Schroth Safety Products Gmbh Hosenträgergurt
US6533315B2 (en) * 2001-07-17 2003-03-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Tongue assembly and buckle for inflatable seat belt
US6951350B2 (en) * 2003-02-24 2005-10-04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Seatbelt airbag
JP2007210420A (ja) * 2006-02-08 2007-08-23 Takata Corp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DE202008016802U1 (de) * 2008-12-19 2009-04-02 E. Oppermann, Einbeck, Mechanische Gurt- Und Bandweberei Gmbh Gurt
DE102009058039C5 (de) * 2009-12-14 2014-02-27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8696741B2 (en) * 2010-12-23 2014-04-15 Maquet Cardiovascular Llc Woven prosthesi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1084336B4 (de) * 2011-10-12 2013-12-05 Carl Stahl Gmbh & Co. Kg Gurt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urtbands
US9260804B2 (en) * 2011-10-20 2016-02-16 New Horizon Elastic Fabric Co., Ltd. Fabric straps with tubular structure containing free-floating yarns and varied width
WO2013112717A1 (en) * 2012-01-24 2013-08-01 Nike International Ltd. Weaving using reactive materials
JP5914167B2 (ja) * 2012-05-25 2016-05-11 タカタ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9492268B2 (en) * 2012-11-13 2016-11-15 The Secant Group, Llc Tapered tubular implant formed from woven fabric
KR20140071011A (ko) * 2012-12-03 201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의 에어백쿠션
US9260076B2 (en) * 2013-07-23 2016-02-16 Honda Motor Co., Lt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vehicle occupant's shoulder during side collision impact
US9090225B2 (en) 2013-08-02 2015-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houlder belt latch load-limiting system
FR3032462B1 (fr) * 2015-02-10 2017-03-10 Aircelle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reforme de fibres de renfort tissee comprenant une section evolutive
DE102015207649A1 (de) * 2015-04-27 2016-10-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 und Komfort-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sass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ieser Vorrichtung
US9962528B2 (en) * 2015-07-22 2018-05-0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Variable diameter woven medical tube texti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4982A1 (de) * 1972-12-28 1974-07-11 Takata Kojyo Co Breitenvariabler gurt, insbesondere sicherheitsgurt
DE3119177A1 (de) * 1981-05-14 1982-12-09 Hans-Hellmut Ing.(grad.) 2061 Sülfeld Ernst Sicherheitsgurt
DE10046268A1 (de) * 1999-09-24 2001-05-03 Takata Corp Gasgurt und Gasgurt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7861A (zh) 2017-08-29
DE102014222654B4 (de) 2022-08-25
WO2016071528A8 (de) 2017-03-16
DE102014222654A1 (de) 2016-05-12
US20170341621A1 (en) 2017-11-30
US10562484B2 (en) 2020-02-18
CN107107861B (zh) 2021-04-06
WO2016071528A1 (de) 2016-05-12
KR101989539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1201A (ko) 안전벨트 장치용 벨트 스트랩 및 안전벨트 장치
EP1874988B1 (en) A webbing belt
US6641165B2 (en) Air belt apparatus
US6837079B1 (en) Warp knitted fabric for air belt cover
US7954847B2 (en) Stretchable webbing, inflatable belt, and inflatable belt apparatus
US7845676B2 (en) Stretchable webbing, inflatable belt, and inflatable belt apparatus
KR102495128B1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
CN115698403B (zh) 用于机动车辆的安全带装置的安全带
US6370924B1 (en) Warp-knitted fabric for inflatable belt cover
EP3204543B1 (de)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sicherheitsgurteinrichtung
US8434527B2 (en) Seat belt webb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757656B2 (ja) エアベルトカバー用たて編み物、エアベルトカバー及びエアベルト装置
JP2015016736A (ja)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
JPH09254740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9196127A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
JP2015108211A (ja) 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