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99615A -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에 대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에 대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615A
KR20170099615A KR1020160021938A KR20160021938A KR20170099615A KR 20170099615 A KR20170099615 A KR 20170099615A KR 1020160021938 A KR1020160021938 A KR 1020160021938A KR 20160021938 A KR20160021938 A KR 20160021938A KR 20170099615 A KR20170099615 A KR 2017009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ate nitrogen
high concentration
ammonia
anod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지우이앤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우이앤이(주) filed Critical 지우이앤이(주)
Priority to KR102016002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615A/ko
Publication of KR2017009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61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5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by removing ammoniacal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1/0442
    • C25B9/10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2Cata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5N03-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의 질산성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폐수로부터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질산성 질소를 제거함으로써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에 대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Electrochemical Process for high concentration of nitrate containing wastewater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고농도의 질산성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폐수로부터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질산성 질소를 제거함으로써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산성 질소를 함유하고 폐수에서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생물학적 탈질, 역삼투막을 이용한 여과 등의 방법이 이용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746호에는 아질산화균이나 질산화균 등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로부터 질소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고비용이 소요되거나 운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바, 종래 기술보다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질산성 질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제시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746호(2012. 12. 17.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과 쉬운 운전방식을 이용하여 경제적이고 매우 효율적으로 폐수로부터 질산성 질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의 이동을 위한 양이온 교환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질산성 질소 제거를 위한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전기분해조(반응조); 양극(anode); 음극(cathode); 및 암모니아제거용 혼화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고농도의 질산성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폐수로부터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질산성 질소를 제거함으로써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폐수처리 방법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과 쉬운 운전방식을 이용하여 경제적이고 매우 효율적으로 폐수로부터 질산성 질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축액 대상 전해 탈질 반응기(전기분해조)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면, 에너지 사용 효율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이 적용되는 폐수처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용액 속에 존재하는 암모니아 함유량과 용액의 pH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그래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용액내에 하이포아염소산과 하이포아염소산 이온이 pH에 따라 공존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에는, 질산성 질소 제거를 위한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전기분해조(반응조)가 구비되어 있다. 전기분해조는, 양이온의 이동을 위한 양이온 교환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분되는데, 양극실에는 불용성 전극으로서 양극(anode)((+)극)이 배치되고, 음극실에는 불용성 전극으로서 음극(cathode)((-)극)이 배치된다. 양극과 음극에는 각각 전원(power supply)를 통해서 전기가 공급된다.
NaCl 용액이 담겨있는 NaCl 용액 저장조로부터 NaCL 용액이 양이온 교환막과 양극 사이에 형성된 양극실로 공급되며, 폐수 저장조에 담겨 있던 처리 대상 폐수(고농도의 질산성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폐수)는 양이온 교환막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음극실로 공급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기분해조에서는 다음의 화학식 1 내지 5의 반응이 진행된다.
[화학식 1]
NO3 - + H2O + 2e- ■ NO2 - + 2OH- 
[화학식 2]
NO3 - + 6H2O + 8e- ■ NH3 + 9OH-  
[화학식 3]
NO3 - + 3H2O + 5e- ■ 1/2 N2(g) + 6OH- 
[화학식 4]
NO2 - + 5H2O + 6e- ■ NH3 + 7OH-
[화학식 5]
NO2 - + 2H2O + 3e- ■ 1/2 N2(g) + 4OH-
상기한 화학식 1 내지 5에 따른 반응식을 통해서 발생된 암모니아는, 용액의 pH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암모늄 이온(NH4 +)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나, 위 화학식 1 내지 5에서 알 수 있듯이, 수산화기(OH-)의 발생으로 인하여 pH가 상승하게 되어 암모니아(NH3)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 양이 많으며, 음극에 이끌려서 양이온교환막을 통하여 양극실로 이동하는 암모늄 이온(NH4 +)은 미량에 불과하다.
음극실로부터의 유출수는 높은 pH로 인한 다량의 암모니아(NH3)와 미량의 아질산성 질소 이온(NO2 -)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제거를 위하여 암모니아제거용 혼화조로 이송된다. 즉, 음극실로부터 배출되는 유출수는 암모니아 제거용 혼화조로 보내지는 것이다.
한편, 전해질 용액(NaCl 용액)이 유입되는 양극실에서는 NaCl 용액의 염소이온으로부터 아래의 화학식 6 내지 화학식 8의 반응식에 따라 강력한 산화제인 하이포아염소산(HClO)이 생성되며, 음극실로부터 양이온 교환막을 통과하여 넘어온 미량의 암모늄 이온(NH4 +)과 아래의 화학식 9와 같이 반응하여 질소가스로 산화된다.
[화학식 6]
2Cl- ⇒ Cl2 + 2e-
[화학식 7]
Cl2 + H2O ⇒ HClO + H+ + Cl-
[화학식 8]
HClO ⇒ OCl- + H+
[화학식 9]
NH4 + + 1.5HOCl ⇒ 0.5N2 + 1.5H2O + 2.5H+ + 1.5Cl-
상기한 화학식 8에서 하이포아염소산(HClO)과 하이포아염소산 이온(OCl-)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용액의 pH에 따라 공존한다.
미량의 암모늄 이온의 질소가스로의 전환 반응이 끝난 전해질 용액에는 유리염소인 하이포아염소산이 고농도로 잔류하고 있으며, 이들은 추가적인 암모니아 제거를 위하여 암모니아 제거용 혼화조로 이송된다. 즉, 암모니아 제거용 혼화조로부터 배출되는 용액 중 일부는 다시 NaCl 용액 저장조로 반송되며, 나머지는 처리수로서 배출되는 것이다.
암모니아제거용 혼화조로 이송된 암모니아(NH3) 함유 음극실 유출수와 다량의 하이포아염소산(HClO) 함유 양극실 유출수는 아래의 화학식 10 및 화학식 11에 따라 반응하며, 수중의 암모니아는 질소 형태로 전환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됨으로써 수중으로부터 제거된다.
[화학식 10]
2NH3 + 3OCl- ⇒ N2 + Cl- + 3H2O
[화학식 11]
NO2 - + OCl- ⇒ NO3 - + Cl- 
이 때 암모니아를 산화시켜 질소가스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과량의 하이포아염소산(HClO)이 필요한데, 여기에서 과량이라 함은 염소와 암모니아의 질량비를 7.5:1 이상이 되도록 함을 의미한다.
양극실의 전해질 용액(NaCl 용액) 농도는 양극실에서 암모늄 이온(NH4 +)과의 반응이 끝난 후 암모니아제거용 혼화조에서 음극실 유출수 중의 암모니아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에서 결정한다.
암모니아제거용 혼화조 유출수에는 산화제인 하이포아염소산(HClO) 생성에 필요한 염소 이온(Cl-)이 다량 존재하므로 양극실 유출수량 만큼 NaCl 용액 저장조로 반송시켜 NaCl 사용량을 극소화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농축액 대상 전해 탈질 반응기(전기분해조)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면, 에너지 사용 효율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양극실의 전해질 용액으로서 NaCl 용액을 사용하므로, 소독효과를 가지는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HOCl)이나 차아염소산 이온(hypochlorite, OCl-)을 생성하게 된다. 전기분해시에 양극에서의 반응은 물의 산화에 의한 산소와 수소 이온의 생성이며, 양극 표면에서의 염소이온은 염소가스로 전환된다. 이 때, 염소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소 발생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MMO(Mixed Metal Oxide) 전극에 Ruthenium, Iridium 과 같은 촉매물질을 코팅함으로써 염소 발생에 필요한 전압을 낮춤과 동시에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산소 발생을 최소화하여 염소발생을 더욱 활성화시키게 된다.
염소가스는 수중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차아염소산이온이나 차아염소산을 발생시킨다. 부가적인 방응으로 차아염소산과 차아염소산이온은 서로 반응하여 염소산염을 형성하며, 염소산염의 분해 반응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반영에서 존재하는 염소산화물에 의해 소독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전기농축이 일어나는 이온교환막 여과장치를 거친 전해액 내에 소독효과를 가지는 물질들이 다량으로 존재하므로, 이를 별도로 저장해두었다가 이온교환막 여과를 거친 처리수를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희석하여 주입함으로써, 일반 세균과 총대장균군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와 같은 전기분해에 의한 소독(Electro-disinfection) 과정은 소독을 위한 별도의 약품 투입을 필요없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특히, 처리수에 이들 소독 물질 즉, 산화제를 주입할 경우에는 이온 교환막 여과에서 제거되지 못한 비소를 5가의 비소로 산화시키게 되어 음용수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

  1. 양이온의 이동을 위한 양이온 교환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질산성 질소 제거를 위한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전기분해조(반응조);
    양극(anode);
    음극(cathode); 및
    암모니아제거용 혼화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고농도의 질산성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폐수로부터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질산성 질소를 제거함으로써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방법.
  2. 양이온의 이동을 위한 양이온 교환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질산성 질소 제거를 위한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전기분해조(반응조);
    양극(anode);
    음극(cathode); 및
    암모니아제거용 혼화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고농도의 질산성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폐수로부터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질산성 질소를 제거함으로써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장치.
KR1020160021938A 2016-02-24 2016-02-24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에 대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Withdrawn KR20170099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38A KR20170099615A (ko) 2016-02-24 2016-02-24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에 대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38A KR20170099615A (ko) 2016-02-24 2016-02-24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에 대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15A true KR20170099615A (ko) 2017-09-01

Family

ID=5992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938A Withdrawn KR20170099615A (ko) 2016-02-24 2016-02-24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에 대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6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312A1 (ko) * 2018-08-07 2020-02-13 (주) 테크로스 수 중 질산성 질소의 처리 방법
CN115403114A (zh) * 2022-08-11 2022-11-29 江苏泰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双室电解反应池的硝酸盐废水处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312A1 (ko) * 2018-08-07 2020-02-13 (주) 테크로스 수 중 질산성 질소의 처리 방법
CN115403114A (zh) * 2022-08-11 2022-11-29 江苏泰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双室电解反应池的硝酸盐废水处理方法
CN115403114B (zh) * 2022-08-11 2024-01-05 江苏泰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双室电解反应池的硝酸盐废水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dríguez-Peña et al. New insights about the electrochemical production of ozone
Cotillas et al. Optimization of an integrated electrodisinfection/electrocoagulation process with Al bipolar electrodes for urban wastewater reclamation
JP4040028B2 (ja) 有機物と窒素化合物を含む被処理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JP4671743B2 (ja) アンモニア性窒素含有廃水の電解処理方法及び装置
US7300591B2 (en) Wastewater treating method and wastewater treating apparatus
US20030052062A1 (en) Nitrogen treating method and nitrogen treating system
Pillai et al. Studies on process parameters for chlorine dioxide production using IrO2 anode in an 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KR20170099616A (ko) 이온교환막 여과공정-전기화학적 질소제거 공정의 복합 처리에 의한 오염 지하수의 정화처리방법 및 정화처리장치
KR101046942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866425B1 (ko) 고농도 유기성폐수의 전처리장치
JP2018035024A (ja) 次亜塩素酸ソーダの製造方法及び次亜塩素酸ソーダの製造装置
KR20170099615A (ko) 고농도 질산성 질소 함유 폐수에 대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JPH07100466A (ja) 廃水の処理方法
CN111087047A (zh) 一种含溴有机废水的处理方法
JP2007105673A (ja) 硝酸性窒素を含む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並びに該排水処理用電解槽
JP3788688B2 (ja) 酸化態窒素含有水の電解処理方法と装置
US6436275B1 (en)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nitrate in the presence of an amide
KR102613581B1 (ko)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함유한 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0545306B1 (ko) 질산성 폐수의 전기 화학적 처리 방법
JP2001300538A (ja) アンモニウム塩又はアンモニアを含む排水の分解処理方法
JPH06182344A (ja) 塩分、無機窒素化合物含有溶液の分解・利用方法と装置
JP2009028629A (ja) 硝酸性窒素及びカルシウムイオンを含む排水の処理方法
JP2007061681A (ja) 硝酸性窒素を含む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並びに該排水処理用電解槽
JP4140057B2 (ja) 窒素化合物含有排水の電解処理方法
Petrychenko et al. Removal of ammonium ions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electrodi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