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408A -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6408A KR20170096408A KR1020160017749A KR20160017749A KR20170096408A KR 20170096408 A KR20170096408 A KR 20170096408A KR 1020160017749 A KR1020160017749 A KR 1020160017749A KR 20160017749 A KR20160017749 A KR 20160017749A KR 20170096408 A KR20170096408 A KR 201700964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electronic device
- screen
- displayed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 H04M1/725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간에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유무선 네트워크(예: 블루투스(Bluetooth), 3G(3Generation) 등)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 표시중인 컨텐츠를 또 다른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길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는 또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전자 장치에 표시중인 컨텐츠를 또 다른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또 다른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스크린의 크기, 지원하는 화면 정보(예: 해상도 정보 등)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하여 확대(scale-up) 또는 축소(scale-down)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각 전자 장치 간에 동일하지 않은 스크린 크기로 인해, 또 다른 전자 장치의 화면 일부 영역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의 발생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에 관한 활용성을 저해하고, 불필요한 전력 이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후술할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상기 일 외부 장치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일 외부 장치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화면의 잔여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함으로써, 전자 장치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불필요한 전력 이용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전자 장치 및 일 외부 장치에 의해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에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에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45)는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10), 통신 모듈(220), (가입자 식별 모듈(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 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예: 통신 인터페이스(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NFC 모듈(228) 및 RF 모듈(2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프로세서(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컬러(color) 센서(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52), (디지털) 펜 센서(254), 키(2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마이크(예: 마이크(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프로젝터(2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272), USB(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 장치(2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모듈(310)은 커널(320)(예: 커널(141)), 미들웨어(330)(예: 미들웨어(143)), (API(360)(예: 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3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1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3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 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 윈도우 매니저(342), 멀티미디어 매니저(343), 리소스 매니저(344), 파워 매니저(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 패키지 매니저(347), 커넥티비티 매니저(348), 노티피케이션 매니저(349), 로케이션 매니저(350), 그래픽 매니저(351), 또는 시큐리티 매니저(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어플리케이션(370)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45)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3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349)는, 예를 들면,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35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52)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또는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360)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70)은, 예를 들면, 홈(371), 다이얼러(372), SMS/MMS(373), IM(instant message)(374), 브라우저(375), 카메라(376), 알람(377), 컨택트(378), 음성 다이얼(379), 이메일(380), 달력(381), 미디어 플레이어(382), 앨범(383), 와치(384),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 프로세서(210)),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는 도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도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통신 모듈(420) 및 디스플레이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프로세서(510), 통신 모듈(520) 및 디스플레이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는 도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1)를 구성하는 일 기능을 지원하는 모듈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 및 프로세서(510)은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 또는 도2에 도시된 프로세서(2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420) 및 통신 모듈(520)은 도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 또는 도2에 도시된 통신 모듈(2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430) 및 디스플레이 모듈(530)은 도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60) 또는 도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6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일 외부 장치로부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현재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무선 통신(예: 근거리 무선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을 통해 연결한 장치들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란 전자 장치들 간에 통신 수행 시 AP(Access Point), 라우터(router)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통신을 수행하는 일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연결될 장치로 제2 전자 장치(500)가 확인된 경우,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결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 간에 서로가 지원하는 코덱(codec), 코덱의 프로파일 정보, 코덱의 레벨 정보 및 해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은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예: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을 이용한 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미러링(mirroring) 기술(예: 풀 미러링(full mirroring), 앱 미러링(app mirroring)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풀 미러링(full mirroiring) 기술이란, 제1 전자 장치(400)의 프레임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또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 전달하는 기술일 수 있다. 음성과 영상을 RTP(real time transport protocol),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연결된 제2 전자 장치(500)의 터치 이벤트를 제1 전자 장치(400)로 전송하여 제어 가능한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앱 미러링(app mirroring) 기술이란, 제1 전자 장치(400)에서 구동되는 개별 소프트웨어가 제2 전자 장치(5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전자 장치(500)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하는 기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의 소프트웨어와 제2 전자 장치(500)의 소프트웨어는 사전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의 프로세서(510)는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판단된 화면의 일 영역에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판단된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변동 없이 표시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 크기를 확대(scale-up), 또는 축소(scale-down)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의 일 영역은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일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 중 어느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 영역은 제2 전자 장치(500)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일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의 일 영역은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에 의한 변경 입력에 따라 화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의 프로세서(510)는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일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결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510)의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는 화면의 잔여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의 메모리(미도시)는 복수의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예: 해상도 정보, 색상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의 메모리(미도시)는 복수의 외부 장치들의 제조사 정보, 모델명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결 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의 화면 정보(예: 스크린 크기 정보 등)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추출된 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 내의 일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잔여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결될 때 화면의 일 부분이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갖는 이미지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일 부분을 화면의 잔여 영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후, 화면의 일 부분이 특정 색상 데이터(예: 검은색에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 등)로 일정 시간(예: 0.05 sec, 0.1sec, 0.2 sec 등) 동안 유지되는 경우 해당 부분을 잔여 영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예: 리모콘(remote control) 등) 및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일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잔여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에 배치를 변경하거나, 화면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수신한 변경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어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외부 입력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 또는 화면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상태 정보 및 운영 체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가 자체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존재 여부, OS가 존재 한다면 동작 중인지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을 기반으로 잔여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가 현재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가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중인 경우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예: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가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없고 대기 상태에 있다면 제2 전자 장치(500)와는 관련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가 텔레비전인 경우, 현재 화면에 프로그램이 재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잔여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가 추가 컨텐츠 서비스(예: 스마트 허브 기능 등)를 지원하는 지 여부를 기반으로 잔여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을 지원하는 지 여부에 따라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감지함에 따른 응답으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을 구성하는 옵션들 중 일 옵션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 및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들의 제조사, 사업자가 제공하는 광고, 일반 뉴스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노래 관련 컨텐츠인 경우, 프로세서(500)는 잔여 영역에 작곡가 정보, 노래 관련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노래 관련 순위 정보, 노래 관련 뉴스 정보 등을 잔여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400)의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상태 정보(예: 제1 전자 장치(400)의 대기 화면을 구성하는 아이콘, 위젯 정보,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포그라운드(foreground), 백그라운드(background) 실행 정보 등)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400)와 연동된 복수의 외부 장치들의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제1 전자 장치(5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500))에 의해 실행중인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제1 전자 장치(40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 관해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란 컨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등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로, html 태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400)에서 백그라운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 제2 전자 장치(500)의 백그라운드 영역에서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 및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잔여 영역들 중 일부는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나머지 일부 영역은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일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일 영역에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표시 중인 컨텐츠의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추출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외부 서버로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쇼핑 관련 컨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해당 쇼핑 관련 컨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물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추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가격 정보, 판매 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해 외부 서버로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수신한 가격 정보, 판매 정보 등을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중, 제1 전자 장치(400)의 위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현재 일 영역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변경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가 제1 모드(예: 가로 모드)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던 중 제2 모드(예: 세로 모드)로 변경될 때, 제1 전자 장치(400)는 해당 모드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00)는 수신한 변경 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의 일 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화면의 잔여 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연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진 관련 데이터인 경우, 잔여 영역에 촬영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사진 메타데이터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영화 관련 데이터인 경우, 잔여 영역에 별점, 등장인물, 관련 영상, TV 영화 채널 목록, 제2 전자 장치(500)에 설치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관련 데이터인 경우, 잔여 영역에 음악 관련 영상, 제2 전자 장치(500)가 TV인 경우 음악 채널 목록,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결된 스피커 이름, 볼륨 제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게임 관련 데이터인 경우, 잔여 영역에 게임 관련 영상, 제2 전자 장치(500)에 저장된 다른 게임 목록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입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로, 선택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의 대기 화면, 배경 화면, 현재 표시 중인 화면 등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추가,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전체 영역에 선택 입력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 및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추가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다시 일 영역 및 잔여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형태로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현재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과,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에서 제1 가수의 노래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제2 가수의 노래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가수의 노래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잔여 영역에 제1 가수의 노래와 연관된 정보(예: 제2 전자 장치(500)에 저장된 관련 채널, 음원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51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제2 가수의 노래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가수의 노래와 연관된 정보(예: 음원 순위, 평점 정보, 음원 사이트 등)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요청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인 경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정보, 화면 크기 정보 및 실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에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결정된 화면 배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순서를 기반으로 화면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겹친 형태인 경우, 가장 상위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가장 좌측부터 순서대로 배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크기가 가장 큰 쪽부터 순서대로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에 배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생성된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디스플레이 모듈(420) 및 통신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의 메모리(미도시)는 제1 전자 장치(400)와 연동되는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예: 스크린 크기, 해상도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와 무선 통신(예: 근거리 무선 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할 장치를 검색하고,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약에 따라 능력 교환, 협상 등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으로 제2 전자 장치(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와 송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의 화면에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이미지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배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는 제1 전자 장치(400)에 미리 저장된 프로세싱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수동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제1 전자 장치(4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400)의 배경 화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의 일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 중인 경우, 제2 전자 장치(500)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관련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의 현재 화면이 대기 화면이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일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제2 전자 장치(500)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와 관련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관련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어플리케이션 배치의 결정 시,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 및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독립적인 컨텐츠는 전자 장치들의 제조사,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정보, 뉴스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독립적인 컨텐츠의 범위는 설정 가능하고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전자 장치(500)의 잔여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제1 전자 장치(400)의 대기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위젯,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결된 외부 장치들(예: 스피커, 외부 서버 등)과의 연결 상태등을 기반으로 제2 전자 장치(500)의 잔여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수신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잔여 영역에 일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장치(5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 및 일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장치(500))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수신한 선택 입력 및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기반으로,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가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배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400)의 백그라운드 환경에서 해당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에서 백그라운드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을 활성화하여 제2 전자 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제1 전자 장치(400)가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수신한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조정하는 요청신호를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변경,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 등의 기능 수행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입력을 기반으로 제2 전자 장치(500)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의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의 화면에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1 전자 장치(4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중인 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전체 화면으로 전환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전자 장치(400)의 대기 화면 등에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제1 전자 장치(400)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 어플리케이션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프로세서(510), 통신 모듈(520), 디스플레이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적어도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의 프로세서(510)는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500)에 미리 저장된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는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확인하거나,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결될 때 상기 화면의 일 부분에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갖는 이미지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일 부분을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으로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의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일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 배열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2 전자 장치(500)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상태 정보 및 운영 체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감지함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잔여 영역에 상기 제2 전자 장치(500)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제2 전자 장치(5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제2 전자 장치(500)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로, 상기 선택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정보, 화면 크기 정보 및 실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 배치를 결정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통신 모듈(420) 및 디스플레이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치 결정 시,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제1 전자 장치(400)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외부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4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400)의 배경 화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410)가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조정하는 요청신호를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의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400))의 화면에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0)는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400, 5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무선 통신(예: 3G, LTE,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400, 500)은 외부 서버를 통해,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일 계정(account)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가 외부 서버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을 통해 계정을 등록하고, 제2 전자 장치(500)는 등록된 계정을 통해 외부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 및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400, 500)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는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의 601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602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에 현재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디스플레이(WiFi Display), 에어플레이 미러링(airplay mirroring) 기술을 통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 Real Time Streaming Protocol)을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전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603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상기 일 영역 이외의 영역인 잔여 영역에 추가 기능 제공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기능 제공 화면은 일 영역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되거나,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관되거나, 일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의 604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추가 기능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는 가로 형태일 수 있다.
도 6b의 605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영역들 중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추가 기능 정보 화면(예: 아이콘, 전자 장치들(400, 500)과 연관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1 전자 장치(400), 제2 전자 장치(500) 또는 각 전자 장치와 연동된 외부 입력 장치 등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와 연동된 외부 입력 장치(예: 리모콘(remote control) 등)를 통해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700)의 일 키를 선택 입력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위치(예: 화면의 좌우 측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 제1 전자 장치(400)와 연동된 제1 외부 입력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 440), 제2 전자 장치(500)와 연동된 제2 외부 입력 장치(예: 리모콘(remote control) 등)에 의해 화면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f 및 도 6g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와 연동된 외부 입력 장치(예: 리모콘(remote control)), 제 1 전자 장치(400)의 터치 입력 등을 통해,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와 연동된 외부 입력 장치의 포인터로 제1 전자 장치(400)에서 실행중인 화면의 기능을 수행 시,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로 좌표값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결되기 전 복수의 대기 화면들(701, 702, 703)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는 복수의 대기 화면들(701, 702, 703) 중 제1 화면(701)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가 제1 화면(701)을 표시하는 중에, 터치 스와이프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던 화면을 변경하여 제2 화면(702) 또는 제3 화면(703)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결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현재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예: 제 1 화면(701))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화면(701)이 표시되지 않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추가 정보(예: 전자 장치들(400, 500)과 연관된 정보, 표시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정보 등)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때, 관련 정보를 제1 전자 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의 홈 화면을 구성하는 대기 화면들(701, 702, 703)에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중인 화면(704, 705)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추가된 화면(704, 705)에 대한 입력 이벤트(예: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입력, 컨텐츠에 대한 기능 수행 등)를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2 전자 장치(500)로 변경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의 추가 화면(704)이 일 URL을 포함하고, URL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해당 URL에 대한 웹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웹사이트 접속에 따른 상태 변경 정보를 제2 전자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수신한 상태 변경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배치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에 의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대기 화면들(710, 711)을 제1 전자 장치(400)의 대기 화면들(706, 707, 708, 709)에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대기 화면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 이동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제2 전자 장치(500)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현재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 중 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에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영역과 추가 정보를 표시할 화면의 잔여 영역에 대한 화면 배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 배치는, 제1 전자 장치(400), 제2 전자 장치(500), 또는 전자 장치들(400, 500)과 연동된 외부 입력 장치에 의해 변경 및 제어될 수 있다.
801, 802, 803을 참조하면, 화면의 일 영역 및 잔여 영역은, 1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일 섹션과 6개의 부분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804, 805, 806을 참조하면, 화면의 일 영역 및 잔여 영역은, 1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일 섹션과 4개의 부분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807 및 808을 참조하면, 화면의 일 영역 및 잔여 영역은, 1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일 섹션과 1개의 대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c의 809, 810, 811을 참조하면, 화면의 일 영역 및 잔여 영역은, 1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일 섹션과 5개의 부분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d의 812 및 813을 참조하면, 화면의 일 영역 및 잔여 영역은,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가로모드 형태로 구성되도록 섹션들을 구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901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일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제2 전자 장치(500)의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제1 전자 장치(400)에 미리 저장된 제2 전자 장치(500) 디스플레이 정보 등을 기반으로 제2 전자 장치(400) 스크린의 크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하거나 저장된 제2 전자 장치(500)의 디스플레이 정보와 제1 전자 장치(400)에 저장된 제1 전자 장치(400)의 디스플레이 정보의 비교를 통해 확장(scale-up) 비율, 축소(scale-down) 비율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판단된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에 제2 전자 장치(500)의 전체 화면 대비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어느 영역에 표시할 지 여부를 제공하는 이미지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들 중 일 이미지 아이템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감지된 입력을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400)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902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 추가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가 정보는, 제1 전자 장치(400) 및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와 독립적인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추가 정보는 뉴스 정보, 날씨 정보 등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독립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이미지 아이템을 하나의 옵션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가 정보는, 제1 전자 장치(400)에 연관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에 연관된 컨텐츠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제1 전자 장치(400)의 대기 화면이 포함하는 아이콘들, 위젯, 다른 외부 장치들과의 연결 상태등과 관련된 컨텐츠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 연관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이미지 아이템을 하나의 옵션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가 정보는, 제2 전자 장치(500)에 연관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에 연관된 컨텐츠는, 제2 전자 장치(500)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에 연관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이미지 아이템을 하나의 옵션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가 정보는,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 모두에 연관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섹션들 중 일부 섹션은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나머지 섹션은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 및 제2 전자 장치(500) 모두에 연관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이미지 아이템을 하나의 옵션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화면에 표시된 옵션들 중 일 옵션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감지된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잔여 영역의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90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의 연동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1 전자 장치(400)가 제2 전자 장치(500)에 변경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 부여, 제2 전자 장치(500)가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 부여 등을 결정할 수 있다.
904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와 실시간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미러링 기술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표시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1001)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화면의 잔여 영역(1003, 1005)에 추가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1003, 1005)에 어떤 추가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화면의 잔여 영역(1003, 1005)에 제2 전자 장치(500) 및 제1 전자 장치(400)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화면의 잔여 영역(1003, 1005)에 제1 전자 장치(400) 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 및 제1 전자 장치(400)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전자 장치(500) 및 제1 전자 장치(400)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시예이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1101)을 표시하고,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날씨, 광고, 공연 정보, 뉴스, 주식, 쇼핑 컨텐츠 등(1103)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1105)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백그라운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제1 전자 장치(400)의 홈 화면, 위젯, 제1 전자 장치(400)에서 자주 실행한 어플리케이션들(1107)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예: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제1 전자 장치(400)에서 자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등)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1 전자 장치(400)의 화면에는 표시하지 않고, 포 그라운드로 활성화시켜 제2 전자 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400)와 연동된 외부 장치들의 연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의 연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1109)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완 연결된 상태에 관한 정보 이미지 아이템들(111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1111)을 표시하고,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111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2 전자 장치(500)의 잔여 영역에 현재 제2 전자 장치(500)에서 시청중인 어플리케이션, 제2 전자 장치(500)의 사용자가 설정한 다른 채널 컨텐츠, 제2 전자 장치(500)가 TV인 경우, TV 기능,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e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 및 제1 전자 장치(400)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1119, 112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복수의 섹션들 중 일 섹션들에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관된 현재 재생중인 어플리케이션, 제2 전자 장치(500)가 TV인 경우 TV 기능(1121)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복수의 섹션들 중 일 섹션들에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제1 전자 장치(400)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1119)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가 가로 모드일 때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에 사진, 영화, 음악, 게임 등의 컨텐츠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가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의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 전체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일 영역(1201)에 표시되도록 변경하고, 화면의 잔여 영역(1203)에 일 영역(1201)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1203)에 일 영역(1201)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영역(1205)에 사진이 표시되는 경우, 화면의 잔여 영역(1207)에는 사진을 촬영한 위치 표시 지도(예: GPS 정보), 사진 메타데이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영역(1205)에 영화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화면의 잔여 영역(1207)에 영화 평점, 등장인물 DMB, 영화 관련 영상, 제2 전자 장치(500)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 제2 전자 장치(500)에 저장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영역(1205)에 음악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화면의 잔여 영역(1207)에 음악 컨텐츠 관련 영상, 제2 전자 장치(500)에 포함된 채널 정보,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결된 스피커 정보, 볼륨 제어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영역(1205)에 게임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화면의 잔여 영역(1207)에 게임 컨텐츠 관련 영상, 제2 전자 장치(500)에 저장된 다른 게임 컨텐츠 목록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가 뉴스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영역에 뉴스 어플리케이션(1301)을 표시하고, 화면의 잔여 영역에 뉴스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1303)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 중 일 섹션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1303)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수신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로 현재 화면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2 전자 장치(500)에서 선택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가 음악 어플리케이션(1305)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영역(1301)에 음악 어플리케이션(1307)을 표시하고, 화면의 잔여 영역(1303)에 음악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1309)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컨텐츠 목록 정보, 제2 전자 장치(500)가 TV인 경우 관련 채널 정보, 관련 채널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등을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화면에 음악 및 음악과 연관된 영상(1311)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영상(1313)을 표시하고, 화면의 잔여 영역에 해당 영상과 연관된 추가 정보(예: 동영상 정보, 음원 정보, 제2 전자 장치(500)에 저장된 채널 정보 등, 1315)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일 영상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 전체에 감지된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1317)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특정 키(예: back 키 등)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다시 그 이전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에 표시중인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500)의 일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00)의 화면이 새로운 음악 컨텐츠(1317)로 변경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해당 음악 컨텐츠(1319)를 스케일 업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된 음악 컨텐츠(1319)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132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a의 1410 및 1420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일 화면에 각각의 윈도우(1401, 1403, 1405)를 갖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1430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들(1407, 1409, 1411)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14b의 1440 및 1450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일 화면에 각각의 윈도우(1401, 1403, 1405)를 갖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들(1411, 1409, 1407)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할 때, 겹쳐 있는 윈도우가 있는 경우 가장 상위에 있는 윈도우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좌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할 때, 윈도우가 겹치지 않는 경우 크기(예: 화면 크기, 해상도 크기 등)가 가장 큰 경우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좌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할 때, 각 윈도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생성 시간을 기반으로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에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에 표시중인 일 컨텐츠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500)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수신한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1 전자 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에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1601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외부 장치들을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네트워크 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등)을 지원하는 장치들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란 전자 장치들 간에 통신 수행 시 AP(Access Point), 라우터(router)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통신을 수행하는 일 통신 방식일 수 있다.
160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로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1605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송신 장치 및 요청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1607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재1 전자 장치(400)로 접근을 허락하고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통신 연결 설정, 능력 교환, 협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서로가 지원하는 코덱(codec), 코덱의 프로파일 정보, 코덱의 레벨 정보 및 해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은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예: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을 이용한 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미러링(mirroring) 기술(예: 풀 미러링(full mirroring), 앱 미러링(app mirroring)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1609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연결될 수 있다.
1611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어플리케이션 연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2 전자 장치(500)로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을 송신할 수 있다.
1613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을 구성하는 일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을 구성하는 또 다른 영역에는 표시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 전자 장치들(400, 500)과 연관된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1701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적어도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00)와 제2 전자 장치(500)는 무선 네트워크(예: 근거리 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등)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400)에 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703을 참조하면, 제 2 전자 장치(500)는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미리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거나, 제1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결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500)에 미리 저장된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는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결될 때, 상기 화면의 일 부분에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갖는 이미지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일 부분을 화면의 잔여 영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1705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제2 전자 장치(500)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상태 정보 및 운영 체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감지함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잔여 영역에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잔여 영역에 제2 전자 장치(500) 및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5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노래 관련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잔여 영역에 노래 음원 순위, 관련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입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로, 상기 선택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입력은 잔여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및/또는 변경과 연관된 선택 입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제2 전자 장치(500)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 및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일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잔여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수신한 변경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00)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인 경우, 일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00))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정보, 화면 크기 정보 및 실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 배치를 결정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1801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제1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80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어플리케이션의 배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2 전자 장치(500)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제1 전자 장치(400) 및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1 전자 장치(4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400)의 배경 화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1805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선택 입력 및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기반으로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1 전자 장치(400)가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조정하는 요청신호를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의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400)의 화면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제1 전자 장치(400)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00))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는 동작, 상기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저장된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는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화면의 일 부분에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갖는 이미지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일 부분을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으로 확인하는 동작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일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 배열을 변경하는 동작상기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상태 정보 및 운영 체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감지함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저장된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는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화면의 일 부분에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갖는 이미지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일 부분을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으로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일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 배열을 변경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상태 정보 및 운영 체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감지함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외부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상기 선택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일 외부 장치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정보, 화면 크기 정보 및 실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 배치를 결정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일 외부 장치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외부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배경 화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일 외부 장치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조정하는 요청신호를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의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일 외부 장치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수신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110: 버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입출력 인터페이스 160: 디스플레이
170: 통신 인터페이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입출력 인터페이스 160: 디스플레이
170: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30)
-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저장된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는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확인하거나,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화면의 일 부분에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갖는 이미지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일 부분을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으로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일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 배열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상태 정보 및 운영 체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감지함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외부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상기 선택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일 외부 장치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정보, 화면 크기 정보 및 실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 배치를 결정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상기 일 외부 장치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치 결정 시,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외부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배경 화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일 외부 장치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조정하는 요청신호를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의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화면의 일 영역을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된 일 영역을 기반으로 확인된 화면의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저장된 외부 장치들의 화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는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화면의 일 부분에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갖는 이미지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일 부분을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으로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일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 배열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상태 정보 및 운영 체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감지함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외부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상기 선택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일 외부 장치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정보, 화면 크기 정보 및 실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 배치를 결정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일 외부 장치의 화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와 독립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일 외부 장치에만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잔여 영역에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일 외부 장치에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잔여 영역을 구성할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배경 화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일 외부 장치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을 조정하는 요청신호를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의 잔여 영역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일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 외부 장치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배경 화면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변경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일 외부 장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7749A KR20170096408A (ko) | 2016-02-16 | 2016-02-16 |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US15/429,815 US20170235435A1 (en) | 2016-02-16 | 2017-02-10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data display therefor |
MX2018007937A MX2018007937A (es) | 2016-02-16 | 2017-02-14 | Dispositivo electronico y metodo de presentacion de datos de aplicacion para el mismo. |
BR112018013485A BR112018013485A2 (pt) | 2016-02-16 | 2017-02-14 | dispositivo eletrônico e método de exibição de dados de aplicação para o mesmo |
CN201780005843.2A CN108475184A (zh) | 2016-02-16 | 2017-02-14 | 电子设备及其应用数据显示方法 |
EP17753454.2A EP3403175A4 (en) | 2016-02-16 | 2017-02-14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data display therefor |
PCT/KR2017/001611 WO2017142293A1 (en) | 2016-02-16 | 2017-02-14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data display therefor |
AU2017219385A AU2017219385A1 (en) | 2016-02-16 | 2017-02-14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data display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7749A KR20170096408A (ko) | 2016-02-16 | 2016-02-16 |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6408A true KR20170096408A (ko) | 2017-08-24 |
Family
ID=5956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7749A Withdrawn KR20170096408A (ko) | 2016-02-16 | 2016-02-16 |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235435A1 (ko) |
EP (1) | EP3403175A4 (ko) |
KR (1) | KR20170096408A (ko) |
CN (1) | CN108475184A (ko) |
AU (1) | AU2017219385A1 (ko) |
BR (1) | BR112018013485A2 (ko) |
MX (1) | MX2018007937A (ko) |
WO (1) | WO2017142293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4128A (ko) * | 2018-07-31 | 2020-02-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외부 디스플레이 전부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WO2024063432A1 (ko) * | 2022-09-20 | 2024-03-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08864B2 (en) * | 2011-08-24 | 2020-03-31 | Barco Limited | Method of establishing paid connection using screen mirroring application between multi-platforms |
KR102306536B1 (ko) * | 2015-04-01 | 2021-09-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위젯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JP2019036914A (ja) * | 2017-08-21 | 2019-03-07 | ウエストユニティス株式会社 | 連携表示システム |
WO2019080065A1 (zh) * | 2017-10-26 | 2019-05-0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方法及装置 |
CN108769095A (zh) * | 2018-03-31 | 2018-11-06 |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 车载导航双机互联的显示切换方法及车载导航 |
FI20185601A1 (en) * | 2018-06-29 | 2019-12-30 | Genera Oy | PUBLIC DISPLAY MANAGEMENT |
US10809899B2 (en) * | 2018-07-20 | 2020-10-20 | Navico Holding As | Computing device mirroring on a marine electronics device |
KR102689698B1 (ko) * | 2019-01-03 | 2024-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09901760B (zh) * | 2019-01-21 | 2020-07-2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对象控制方法及终端设备 |
US11416205B2 (en) * | 2019-04-16 | 2022-08-16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nd interacting with a companion-display mod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
CN110381195A (zh) | 2019-06-05 | 2019-10-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投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
CN110389736A (zh) * | 2019-06-05 | 2019-10-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投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
CN110471639B (zh) * | 2019-07-23 | 2022-10-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显示方法及相关装置 |
CN112307483B (zh) * | 2019-07-30 | 2025-02-21 | 华为技术有限公司 | 可信用户界面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
KR20210016936A (ko) * | 2019-08-06 | 2021-0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
CN110515579A (zh) * | 2019-08-28 | 2019-11-2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投屏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KR20210061199A (ko) * | 2019-11-19 | 2021-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기기,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미러링 방법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 미러링 방법 |
US11042222B1 (en) | 2019-12-16 | 2021-06-2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display designation and sharing |
US11404028B2 (en) * | 2019-12-16 | 2022-08-0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display notification handling |
US11487423B2 (en) * | 2019-12-16 | 2022-11-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display input areas and hidden inputs |
US11093046B2 (en) | 2019-12-16 | 2021-08-1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display designation for remote content source device |
CN114706664A (zh) * | 2020-01-08 | 2022-07-05 | 华为技术有限公司 | 跨设备任务处理的交互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5623257A (zh) * | 2020-04-20 | 2023-01-17 | 华为技术有限公司 | 投屏显示方法、系统、终端设备和存储介质 |
CN111767012A (zh) * | 2020-05-29 | 2020-10-13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投屏方法及装置 |
CN111796787B (zh) * | 2020-06-30 | 2022-07-26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显示方法及显示装置 |
CN114077411A (zh) * | 2020-08-11 | 2022-02-22 | 华为技术有限公司 | 数据传输方法和设备 |
CN114237779A (zh) * | 2020-09-09 | 2022-03-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窗口的方法、切换窗口的方法、电子设备和系统 |
FR3115132B1 (fr) * | 2020-10-13 | 2023-06-30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Procédé et dispositif de génération d’un signal haptique |
CN116391170A (zh) * | 2020-10-28 | 2023-07-04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
CN119088328A (zh) * | 2020-10-31 | 2024-12-0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应用窗口的投屏方法与电子设备 |
CN114691059B (zh) * | 2020-12-25 | 2024-03-2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投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
CN119248213A (zh) * | 2020-12-28 | 2025-01-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协同显示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4764316A (zh) * | 2020-12-31 | 2022-07-19 | 华为技术有限公司 | 焦点同步方法及电子设备 |
US20240184499A1 (en) * | 2021-03-31 | 2024-06-06 | Maxell, Ltd. |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
CN115835409B (zh) * | 2021-09-17 | 2025-06-27 | 荣耀终端股份有限公司 | 协同窗口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
CN113992958B (zh) * | 2021-10-18 | 2023-07-18 |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多窗口同屏互动方法、终端及存储介质 |
US11689695B1 (en) * | 2022-12-15 | 2023-06-27 | Northern Trust Corporation | Computing technologies for screensharing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307679A1 (en) * | 2008-06-10 | 2009-12-10 | Lg Electronics Inc. | Communication device and a host device, a method of processing signal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ost device, and a system hav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ost device |
KR101952682B1 (ko) * | 2012-04-23 | 2019-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9176703B2 (en) * | 2012-06-29 | 2015-11-0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screen capture |
US9632648B2 (en) * | 2012-07-06 | 2017-04-25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140011857A (ko) * | 2012-07-20 | 2014-0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
US9449575B2 (en) * | 2012-09-10 | 2016-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creen out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KR102043049B1 (ko) * | 2013-04-01 | 2019-11-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
KR102071579B1 (ko) * | 2013-09-02 | 2020-0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US10545623B2 (en) * | 2013-10-04 | 2020-01-28 | Sony Corpor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coordinate with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
KR102355622B1 (ko) * | 2014-12-24 | 2022-0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WO2016137167A1 (en) * | 2015-02-23 | 2016-09-01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
KR102482549B1 (ko) * | 2016-01-11 | 2022-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
2016
- 2016-02-16 KR KR1020160017749A patent/KR20170096408A/ko not_active Withdrawn
-
2017
- 2017-02-10 US US15/429,815 patent/US2017023543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2-14 MX MX2018007937A patent/MX2018007937A/es unknown
- 2017-02-14 BR BR112018013485A patent/BR112018013485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7-02-14 CN CN201780005843.2A patent/CN108475184A/zh not_active Withdrawn
- 2017-02-14 AU AU2017219385A patent/AU201721938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2-14 EP EP17753454.2A patent/EP3403175A4/en not_active Ceased
- 2017-02-14 WO PCT/KR2017/001611 patent/WO201714229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4128A (ko) * | 2018-07-31 | 2020-02-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외부 디스플레이 전부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WO2024063432A1 (ko) * | 2022-09-20 | 2024-03-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03175A1 (en) | 2018-11-21 |
CN108475184A (zh) | 2018-08-31 |
EP3403175A4 (en) | 2019-01-02 |
AU2017219385A1 (en) | 2018-06-21 |
BR112018013485A2 (pt) | 2018-12-04 |
MX2018007937A (es) | 2018-08-29 |
WO2017142293A1 (en) | 2017-08-24 |
US20170235435A1 (en) | 2017-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96408A (ko) |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CN106209964B (zh) | 电子装置和用于在电子装置中控制应用的执行的方法 | |
US20180107353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by electronic device | |
US10346359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viding an object management user interface | |
KR20180080629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히스토리 표시 방법 | |
KR20180106231A (ko) |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11093049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 |
KR20160105242A (ko) |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 |
KR102547115B1 (ko) |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60101600A (ko) |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
KR20170096849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공유 제어 방법 | |
KR20170053513A (ko) |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EP3107087B1 (en) |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areas of display independently and method thereof | |
KR20180089085A (ko) |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60070571A (ko) |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 |
KR102458444B1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0719209B2 (en) | Method for outputting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150133989A (ko) |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170030349A (ko) | 입력의 압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71739B1 (ko) | 전자 장치의 히스토리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 |
KR20170073930A (ko) | 웹푸시를 이용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20180019907A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운용 제공 방법 | |
KR20180073188A (ko) | 전자장치 및 이를 활용한 웹 페이지 표시 방법 | |
KR20170052003A (ko) |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119948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