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95647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647A
KR20170095647A KR1020160017362A KR20160017362A KR20170095647A KR 20170095647 A KR20170095647 A KR 20170095647A KR 1020160017362 A KR1020160017362 A KR 1020160017362A KR 20160017362 A KR20160017362 A KR 20160017362A KR 20170095647 A KR20170095647 A KR 2017009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region
user
mask body
mou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660B1 (ko
Inventor
원정희
김효선
김영현
이정래
이상민
유희천
박광애
전은진
최영근
박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1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6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6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코 영역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에 따라 접힘이 가능하도록, 주변 영역 대비 두께가 축소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 시 마스크가 벗겨지거나 마스크의 형태가 일그러지지 않을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함께 중국의 산업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연소 증가로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늘어나고 있어 미세먼지로의 노출이 가중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량의 유독성 화합물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이 흡입하면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의 질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하여 연간 2만여 명의 조기사망과 폐 관련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인체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이나 최근 국내에 유행하였던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감기 등을 유발하는 전염성 병균으로부터 감염 또는 전염을 막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 주변부 호흡기를 덮는 마스크 본체와 착용자에게 마스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하는 귀걸이부로 구성된다. 일부 마스크에서는 착용시 편안함이나 마스크와 안면의 밀착을 높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코를 덮는 코부와 턱을 감싸는 턱부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마스크 외에 보다 밀착력을 높이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높이기 위한 마스크도 존재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마스크 본체에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정전필터를 일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귀걸이 부는 탄성실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착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는 사용자의 착용감 및 미세먼지의 차단 향상 등을 위해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 시 마스크 전체가 들썩거릴 우려가 없어 마스크가 벗겨지거나 마스크의 형태가 일그러지지 않아 미세 먼지 등의 오염물의 흡입우려가 감소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코 영역 또는 턱 영역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에 따라 접힘이 가능하도록, 주변 영역 대비 두께가 축소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는,상기 마스크 본체를 융착, 압축 또는 용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조성 변화 없이 구조를 변화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경계로 일 영역은 안면에 접촉되어 고정되고, 타 영역은 들리거나 내려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코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 이루어지고, 상기 일 영역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 영역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하는 귀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는, 하나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코 영역과 상기 턱 영역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가 말을 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 시, 가이드부의 라인을 따라 마스크 본체가 접힐 수 있어, 가이드부 상단 영역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로 형태가 유지되고, 가이드부 하단 영역은 사용자의 입 움직임에 연동하여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어,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에 따른 마스크의 찌끄러짐이나 벗겨짐이 없어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면서도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융착과 같이 공법이 단순한 방식을 이용하여 마스크 본체가 접히기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서의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평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평면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10), 가이드부(120) 및 귀걸이부(130)를 포함하며, 마스크(100)는 사용자 입과 코 주변을 가려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진용 마스크 또는 한기를 차단하는 방한용 마스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사용자 안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 영역과 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110)는 코 영역을 커버하는 코부(111), 입 영역을 커버하는 입부(112), 턱 영역을 커버하는 턱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코부(111), 입부(112), 턱부(113)는 상하 일렬로 마련될 수 있고, 동일한 재질 또는 이종의 재질이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코부(111)와 입부(112)가 필터 기능을 이루는 경우, 공기를 통과시키면서도 먼지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극세사,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되어 호흡시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낸 후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마스크(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불편없이 숨을 쉴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사용자의 안면은 코를 중심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는데, 코부(111)와 입부(112)는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코부(111), 입부(112), 턱부(113)로 분리된 구성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턱부(113)는 입 영역의 하부인 턱이 목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입 영역으로부터 턱 영역으로 확장되어 커버될 수 있다.
즉,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영역인 콧구멍은 코의 하단부인 입술 위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안면 중에서도 코가 두드러지게 돌출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100)는 콧구멍이 형성되는 코끝을 중심으로 안면의 좌우(귀가 위치되는 방향) 및 상하(이마와 턱을 향하는 방향)를 향해 들어가도록 경사지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마스크 본체(110)의 코부(111), 입부(112), 턱부(113)는 부직포, 면직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재질의 특성상 평면을 이루나,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전에 평면을 이루는 코부(111), 입부(112), 턱부(113)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입체형상을 이루게 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부(111), 입부(112) 턱부(113)는 봉합 전에, 코부(111), 입부(112) 턱부(113)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선으로 중심을 서로 맞닿게 배치해보면, 코부(111)의 하단변과 입부(112)의 상단변, 입부(112)의 하단변과 턱부(113)의 상단변 각각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거리가 넓어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부(111), 입부(112), 턱부(113)가 서로 연결되도록 봉합되면, 코부(111) 및 입부(112), 턱부(113)의 내측면에 사용자의 코 등이 여유롭게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충분한 호흡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코부(111)에서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을 가로질러 지지부재(111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1111)는 철심 또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철심, 스펀지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구부러짐이 가능한 재질이 삽입되어, 마스크(100)의 상단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스크 본체(110)는,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부(120)를 경계로 일 영역은 안면에 접촉되어 위치가 유지되도록 고정된 형태를 이루고, 타 영역은 들리거나 내려질 수 있다. 여기서, 일 영역은 가이드부(120)의 상부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타 영역은 가이드부(120)의 하부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말을 하는 등 안면을 움직이는 경우, 마스크 본체(110)는 가이드부(120)를 기준으로 입 영역이 위치하는 입부(112)가 들썩거려 들려지고 내려질 수 있다.
여기서, 입부(112)가 들려지거나 내려질 때, 입부(112)는 턱부(113)뿐만 아니라 코부(111)와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져 마스크 본체(110) 전체가 들썩거려짐으로써, 마스크(100)가 벗겨지거나 마스크(100)의 형태가 일그러져 미세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부(112)의 상부 영역은 안면에 밀착되고, 입부(112)와 턱부(113)는 움직임이 자유로울 필요가 있다. 즉, 마스크 본체(110)에는 가이드 라인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본체(110)가 입체 구조를 이루기 위해 코부(111), 입부(112), 턱부(113)가 구분된 형태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코부와 입부로 구분되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0)의 형태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마스크 본체(110)는 접합선, 접힘선 등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고,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가이드부(120)는 마스크 본체(111)가 접히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마스크 본체(110)에서 코 영역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에 따라 접힘이 가능하도록, 주변 영역 대비 두께가 축소된다.
즉, 가이드부(120)는 사용자 안면의 움직임 시 마스크 본체(110) 전체가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되, 입 주변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20)는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영역과 움직임이 가능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20)는, 코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부(120)는 마스크 본체(110)를 융착, 압축 또는 용접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조성 변화 없이 구조를 변화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110)에서 가이드부(120)의 두께가 주변보다 얇게 형성되어, 입부(112)가 들려질 때, 가이드부(120)가 가이드 라인을 이루게 되므로, 마스크 본체(110)의 형태가 임의로 찌그러지지 않고 가이드부(120)를 따라 가이드부(120)의 상부 영역은 안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가이드부(120)의 하부 영역인 입부(112)와 턱부(113)는 들려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20)는 코부(111)에서 지지부재(1111)의 하부에 마련되어, 지지부재(1111)에 의해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코부(111)가 가이드부(120)를 기준으로 코부(111)의 상단부분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코부(111)의 하단부분은 입부(112)와 함께 들려질 수 있다.
이때, 코부(111)에서 가이드부(120)를 기준으로 상단 영역은 사용자 안면인 코 주변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면서도, 가이드부(120)의 하부 영역인 코부(111)의 하단부, 입부(112) 및 턱부(113)는 입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자유롭게 들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20)가 코 영역을 커버하는 코부(111)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이드부(120)는 사용자의 안면 움직에 연동하여 일영역은 안면에 밀착되고 다른 영역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턱부(113) 또는 입부(112)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귀걸이부(130)는 마스크(100)를 착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마스크 본체(11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귀걸이부(130)는 융착 또는 봉재 등의 방법으로 마스크 본체(11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줄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귀걸이부(130)는 고무줄, 탄성실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길이가 신축되거나, 천과 같이 길이가 일정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그 재질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 시, 마스크(100) 전체가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면으로부터 마스크(100)가 떨어져 갭이 형성될 우려가 감소되거나, 마스크(100)가 임의로 찌그러져 틈이 발생될 우려가 감소되어, 마스크(100)와 사용자 사이의 틈에 의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마스크(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주름부(1112)만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본체(110)의 봉합 방식에 따라 입체적인 구조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는 마스크 본체(110)의 봉합 방식에 따라 입체구조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주름부(1112)가 더 형성되어, 입체 구조가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 형태에 따라 가이드 라인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주름부(1112)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본체(110)는 접힌 상태로 보관가능하며, 사용시 펼쳐서 입체 공간을 형성하는 폴더형 마스크(100)로 이루어질 수 있어, 코 영역을 덮는 코부(111), 입 영역을 덮는 입부(112), 턱 영역을 덮는 턱부(11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는 마스크 본체(110)의 좌우 양측에 주름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주름부(1112)는 마스크 본체(110)의 좌우 양측에서 마스크 본체(110)의 중심부로 연장되되 마스크 본체(110)의 중심부에서 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부(1112)는 마스크 본체(110)의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마스크 본체(110)의 중심부에서 생략됨으로써, 마스크 본체(110)의 입부(112)의 중심에서는 공간 확보가 이루어지면서도, 입부(112)의 중심에는 주름이 생략되어 사용자의 입이 주름에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주름부(1112)는 마스크 본체(110)에서 코부(112)에 마련되어, 코부(112)의 가로 방향으로 주름질 수 있으며, 다트(dart) 또는 개더(gath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다트 또는 개더는 마스크 본체(110)의 봉재 또는 융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입부(112)에서 호흡공간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입부(112)의 좌우 영역에 주름부(1112)가 마련되면서도, 입부(112)의 중심부에서는 주름이 생략되어 주름에 의한 올록볼록 형태가 형성되지 않아, 입부(112)의 충분한 공간에서 주름에 입이 달라붙는 불편함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마스크 110: 마스크 본체
111: 코부 1111: 지지부재
1112: 주름부 112: 입부
113: 턱부 120: 가이드부
130: 귀걸이부

Claims (7)

  1.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코 영역 또는 턱 영역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에 따라 접힘이 가능하도록, 주변 영역 대비 두께가 축소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를 융착, 압축 또는 용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조성 변화 없이 구조를 변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사용자의 안면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경계로 일 영역은 안면에 접촉되어 고정되고, 타 영역은 들리거나 내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코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 이루어지고,
    상기 일 영역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 영역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하는 귀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하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코 영역과 상기 턱 영역에 모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60017362A 2016-02-15 2016-02-15 마스크 Active KR10262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362A KR102624660B1 (ko) 2016-02-15 2016-02-15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362A KR102624660B1 (ko) 2016-02-15 2016-02-15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647A true KR20170095647A (ko) 2017-08-23
KR102624660B1 KR102624660B1 (ko) 2024-01-15

Family

ID=5975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362A Active KR102624660B1 (ko) 2016-02-15 2016-02-15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12B1 (ko) * 2021-03-19 2021-10-19 주식회사 유니즈 하이브리드형 마스크
IT202100007394A1 (it) 2021-03-25 2022-09-25 Ernesto Farina Mascherina per vis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73Y1 (ko) * 2002-01-29 2002-05-13 이상호 일회용 방진마스크
KR20040027268A (ko) * 2003-03-12 2004-04-01 이용철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KR20060005877A (ko) * 2004-07-14 2006-01-18 주식회사 호성 일회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14113433A (ja) * 2012-12-10 2014-06-26 Yoko Tosaki 折りたたみ式マスク
JP3192589U (ja) * 2013-07-01 2014-08-21 威欣利實業有限公司 折り畳み可能な三面型立体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589B2 (ja) 1996-03-29 2001-07-30 株式会社ワコール 下半身衣類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73Y1 (ko) * 2002-01-29 2002-05-13 이상호 일회용 방진마스크
KR20040027268A (ko) * 2003-03-12 2004-04-01 이용철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KR20060005877A (ko) * 2004-07-14 2006-01-18 주식회사 호성 일회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14113433A (ja) * 2012-12-10 2014-06-26 Yoko Tosaki 折りたたみ式マスク
JP3192589U (ja) * 2013-07-01 2014-08-21 威欣利實業有限公司 折り畳み可能な三面型立体マス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12B1 (ko) * 2021-03-19 2021-10-19 주식회사 유니즈 하이브리드형 마스크
IT202100007394A1 (it) 2021-03-25 2022-09-25 Ernesto Farina Mascherina per vis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660B1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9453B1 (en)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AU2014309245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US20230404188A1 (en) Surgical mask having sliding-down and fogging preventing function
US805282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cemask structure
KR20170093560A (ko) 마스크
KR102594720B1 (ko) 마스크
US12193531B2 (en) Dust mask
KR20200002572A (ko) 마스크
JP2015009151A (ja) 医療用フェースマスク
JP3167627U (ja) 呼気上方漏出防止のためのマスク用添設部材および該部材を設けてなるマスク。
KR20170095647A (ko) 마스크
US20230337763A1 (en) Mask
KR20150145520A (ko) 코마스크
JP3230429U (ja) マスク用セパレータ及びマスク
JP2008114025A (ja) 立体的な鼻覆いマスク
KR20170075622A (ko) 마스크
KR20180054008A (ko) 마스크
KR102568990B1 (ko) 마스크
KR20170043981A (ko) 마스크
KR102724006B1 (ko) 마스크
KR102648327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102667364B1 (ko) 위생 마스크용 지지패드
KR102421391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102331656B1 (ko) 내부 공간의 선택적 블로킹을 통한 에어 믹싱 방지용 마스크 시스템
KR20170134083A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8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