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95495A - Tailor-made chair - Google Patents

Tailor-made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495A
KR20170095495A KR1020160016935A KR20160016935A KR20170095495A KR 20170095495 A KR20170095495 A KR 20170095495A KR 1020160016935 A KR1020160016935 A KR 1020160016935A KR 20160016935 A KR20160016935 A KR 20160016935A KR 20170095495 A KR20170095495 A KR 2017009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user
height
seat
lumbar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직원
최경자
Original Assignee
강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직원 filed Critical 강직원
Priority to KR102016001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5495A/en
Publication of KR2017009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495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에 관한 것이다.
지면과 접촉되는 다수 개의 지지다리(100), 지지다리(100)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200),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며 감싸는 등받이부(300), 등받이부(300)와 결합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요추의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400), 좌판부(200)와 등받이부(300)를 연결하는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으로 이루어진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1)에 있어서,
상기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은 좌판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면(510);과 상기 제 1면(510)을 기준으로 제 1면(510) 끝단부에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어 등받이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2면(520);과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등받이부(30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면(520)에 구비되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 및 상기 등받이높이조절부(5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이동된 등받이높이조절부(530)를 고정하는 걸림턱(540);으로 구성되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300)가 상하 높이 조절될 때에 등받이부(300)에 고정되어 있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와 요추지지부(400)가 기어수단의 조합으로 인해 등받이부(300)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하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요추지지부(400)는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의 요추 위치에 맞게 등받이부(300)의 움직임에 따라 동일하게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등받이높이조절부(530)는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가 등받이부(300)에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부(300)에 고정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540)은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가 등받이부(300)를 상하 높이 조절할 때에 등받이부(300)에 고정된 등받이높이조절부(5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장에 관계없이 장신의 체형까지도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서 요추의 위치를 정확히 지지함으로서 자연적으로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유도하여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로 인한 사용자의 척추의 건강을 제고하는 이점이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adjusting seat for spine protection.
A seat plate 200 coupled with the support leg 100 to seat the user's hips so that the seat can be seated by the user, A lumbar support unit 400 coupled to the back support unit 300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a lumbar support unit 400 supporting the user's lumbar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according to the sitting height of the user, And a seat back link connection bracket (500) for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backrest part (300)
The seat back connection bracket 500 includes a first surface 5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 panel 200 and a second surface 510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510, A second surface 5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ckrest 300 and a backrest height adjuster 520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520 to move the backrest 30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sitting height, (530); And a latching jaw 540 for allowing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to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ixing the moved back height adjusting unit 530,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portion 530 and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fixed to the backrest portion 300 when the backrest portion 300 is adjusted by the user to the height of the backrest portion 300 can be adjusted And the vertical height is adjusted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At this time, the lumbar support unit 400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ck part 30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umbar part of the user within the range of 160 [cm] to 229 [cm] The portion 530 is formed in a configuration that is vertically adjustable by being fixed to the back portion 300 so that a user who is within a range of 160 cm to 229 cm in height can rest on the back portion 300 .
In addition, when the user, who is within the range of 160 cm to 229 cm, adjusts the backrest 300 up and down, the latching jaw 540 is rotated by the backrest height adjuster 530 fixed to the backrest 300 Ar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so as to be movable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supports the position of the lumbar vertebrae in the sitting position of the user even in the tall body regardless of the height, thereby naturally inducing the user to sit on the chair in a right posture, thereby providing comfort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Description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Tailor-made chair}{Tailor-made chair}

본 발명은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맞춰 등받이부가 조절되고 등받이부가 조절되면서 요추지지부의 높이가 사용자의 요추 위치에 맞게 조절되어 장신의 체형까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인체공학적인 맞춤형 의자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요추를 보호하고 지지하여 장시간의 앉은 자세에서도 척추를 바로잡아주어 사용자의 건강을 제고하는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adjusting chair for protecting a sp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rest adjusting chair capable of adjusting a height of a lumbar support to a user's lumbar vertebr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adjusting seat for protecting a backbone which protects and supports a user's lumbar vertebra by providing an ergonomic customized chair capable of sitting on the back of the vertebra,

일반적으로 척추는 사람 등의 목에서부터 엉덩이까지 "S"자 형상의 관절구조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the spine consists of an "S" -shaped joint structure from the neck to the hip of a person.

이러한 척추는 경추와 흉추, 요추 및 천골(꼬리뼈)로 되어 있는데, 목 부분을 경추라 하고 가슴부분을 흉추라고 하며 그 이하를 요추와 천골(꼬리뼈)이라 한다.These vertebrae are made up of cervical vertebrae, thoracic vertebrae, lumbar vertebrae and sacral bones (tail bone). The neck part is called the cervical vertebra, the thoracic part is called the thoracic vertebra, and the lower part is called the lumbar vertebra and the sacral vertebra.

그 중에서도 특히 요추부분을 허리라고 부르며 이 부분에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허리디스크라 한다.Particularly, the lumbar part is called the waist, and the pain in the part is called the waist disc.

특히,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에 있어 요추부분에 가장 많은 신체의 하중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서 허리디스크로 인한 고통도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Particularly, in a human being upright, the load of the body is transmitted to the lumbar region most of the time.

이와 같이, 사람이 많이 받고 있는 통증인 허리디스크는 누워 있을 때 가장 하중이 적게 전달되어 통증이 제일 약하고 그 다음이 서 있을 때이며 가장 통증을 많이 받을 때는 허리를 굽혀 척추에 하중이 가장 많이 가해지게 되는 바닥에서의 앉은 자세를 취할 경우이다.In this way, the waist disc, which is a lot of people suffering from pain, is delivered with the lowest load when lying down, the pain is the weakest, the next is when standing, and when the pain is the most, the waist is bent and the load is applied to the spine the greatest It is when you take a sitting position on the floor.

상기와 같이 사람이 직립보행을 함으로서 근본적으로 허리디스크가 필연적으로 유발될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의자는 인간 생활을 가장 편리하게 해주는 도구 중 하나이지만 대부분의 종래의 의자는 사람이 앉아 잠깐 쉬는 정도의 역할 뿐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도 사람의 척추 건강을 고려하여 설계된 의자는 찾아보기 힘들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person stands upright and basically a waist disk is inevitably triggered, the chair is one of the most convenient tools for human life, but most of conventional chairs have a role of sitting It is hard to find a chair that is designed considering the spine health of a person even when sitting on a chair.

더구나, 사람은 신장에 따라 앉은 키 높이가 다르며 앉은 키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당연히 요추의 위치가 달라진다.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lumbar vertebrae vari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erson who is seated and height of the seated person.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의 의자는 사람의 앉은 키 높이에 대한 요추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의하지 못하며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단순한 의자 자체의 높낮이 조절 기능만 있을 뿐 각 사용자 신장에 맞는 맞춤의자와 같은 편안함은 전달하지 못하였다.However, most conventional chairs do not accurately define the position of the lumbar vertebrae relative to the sitting height of the person, and only the height of the chair itself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I can not.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3218호의 "맞춤형 의자"(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와 별개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서 지지하며 양측에 날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을 일부 감싸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일부 감싸서 지지해 주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 그리고 경추지지부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길이로써,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 사이에는 a:b:c:d:e = 1 : 0.681~0.729 : 0.492~0.527 : 0.667~0.744 : 0.264~0.296의 관계를 만족함과 동시에 공지의 의자에 연결되는 의자 지지대는 중간가로대에 결합되며, 중간가로대에는 좌우측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좌우측단에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탄성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등받이부와 상하단에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5 (a) as a prior art related to a backrest adjusting seat for spine protection, a "customized ch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cedent") of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132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echnique 1 ") includes a seat plate on which a user's hips are seated, a seat plat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eat plate and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a cervical vertebra tha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ervical vertebrae of a user who is seat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and partially supports the cervical vertebra of the user by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e on both sides A waist width (c), a shoulder width (d), a shoulder width (c), and a shoulder width (d) A chair support which satisfies the relation of a: b: c: d: e = 1: 0.681 to 0.729: 0.492 to 0.527: 0.667 to 0.744: 0.264 to 0.296, And the intermediate cross member is formed to be long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by fastening bolts at left and right ends, and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the back portion by bolts at upper and lower ends.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본 출원인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8369호의 "척추보호용 등받이 조절 의자"(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함.)는 등받이구조의 내측에 요추보호용 보조 등받이를 구비 설치하고 상기 등받이와 보조등받이에 래크와 피니언 구조를 채택하여 상기 등받이를 상하로 슬라이딩 함에 따라 상기 보조등받이도 동일한 비율로 상하 슬라이딩 하도록 하여, 의자에 앉는 사람의 앉은 키의 높이에 맞게 상기 등받이와 보조등받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신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와 등 및 목의 척추 관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보호용 등받이 조절 의자에 관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as shown in Fig. 5 (b), the backrest control chair of spine prot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2 ")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8369, Is provided with a backrest for lumbar protection on the inside of the backrest structure and a rack and pinion structure is adopted for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so that the backrest is slid up and down so that the backrests can slide up and down at the same rate,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re appropriately adjusted to suit the seat height of the sitting person so that they can be used flexibly so as to effectively protect the spine joints of the user's back and back and neck. .

이에 따라, 상기 선행기술 1, 2는 종래 기술에 대비하여 월등한 기술로서 사용자의 신장에 맞는 맞춤의자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장신의 체형, 즉 189[cm]이상의 장신의 체형까지는 아우르지 못하는 기술의 한계가 있었다.Accordingly, although the prior arts 1 and 2 ar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arts, they are designed to protect the user's spine by providing a customized chair suitable for the user's height.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technology that could not be cove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3218호 (2008.03.0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13218 (Mar. 3, 20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8369호 (2011.04.04)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28369 (April 04, 20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189[cm] 이상인 장신의 체형까지도 자신에게 맞는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주는데에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comfort and comfort to the user by providing a backrest-adjustable chair suitable for a spinal guard even for a body shape of 189 [cm] or mor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맞게 사용자의 요추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지하여 보호함으로서 장시간의 앉은 자세에서도 사용자의 척추를 바로잡아주어 척추의 휘어짐을 방지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support and protect the position of the user's lumbar spine in accordance with the sitting height of the user so that the user's spine can be corrected even in a long sitting position to prevent the spine from being bent.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지면과 접촉되는 다수 개의 지지다리, 지지다리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며 감싸는 등받이부, 등받이부와 결합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요추의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 좌판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는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에 있어서,A back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leg and adapted to receive the user's hips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back plate, a back plat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A lumb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lumbar support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umbar spine in accordance with the seat height of a seated user coupled with the backrest, and a seatback back connection bracket for connecting the seat back and the backrest, As a result,

상기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은,The seat back connection bracket includes:

좌판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면;A first surfa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 plate;

상기 제 1면을 기준으로 제 1면 끝단부에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어 등받이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2면;A second surface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surface e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ck portion;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등받이부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면에 구비되는 등받이높이조절부; 및A backrest height adjuster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so as to move the backrest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seat; And

상기 등받이높이조절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이동된 등받이높이조절부를 고정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되,And a locking jaw for allowing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to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ixing the moved back height adjusting unit,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가 상하 높이 조절될 때에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있는 등받이높이조절부와 요추지지부가 기어수단의 조합으로 인해 등받이부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하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eight of the backrest is adjusted at the same time as the backrest is mov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portion and the lumbar support portion which are fixed to the backrest portion when the backrest portion is vertically adjusted by the user.

이때, 상기 요추지지부는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의 요추 위치에 맞게 등받이부의 움직임에 따라 동일하게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등받이높이조절부는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가 등받이부에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umbar support moves equally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ck part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umbar part of the user within the range of 160 [cm] to 229 [cm] 229 [cm] to be fixed to the backrest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lean his back on the backrest portion.

또한, 상기 걸림턱은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가 등받이부를 상하 높이 조절할 때에 등받이부에 고정된 등받이높이조절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ho is within the range of 160 cm to 229 cm, adjusts the height of the backrest so that the backrest height adjuster fixed to the backrest can move within a certain range .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laimed invention in its broadest possible form and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189[cm] 이상인 장신의 체형까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허리와 등, 척추 및 목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의 목디스크 및 허리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By providing a backrest-adjustable chair that can sit comfortably up to 189 [cm]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user, it protects the user's back, back, spine and neck effectively to maintain comfort and proper posture So as to prevent the user's neck disk and the back disk.

또한,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함으로서 장시간의 앉은 자세에서도 사용자의 척추를 바로잡아주어 척추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척추 건강을 제고한다.Further, by supporting the user's lumbar vertebrae using the backrest adjusting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vertebrae are corrected even in a long sitting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vertebrae from being ben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pinal health.

더하여서,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서 등받이부가 사용자의 요추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좌판부를 기준으로 125[°] 이내로 뒤로 뉘어질 수 있으므로 의자에서도 장시간의 안정되고 편안한 취침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t plate and the backrest are separately formed, the backrest can be restored to within 125 [deg.] Based on the seat plate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lumbar spine, have.

도 1은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의 결합상태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른 요추지지부의 높이에 대한 참고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adjusting seat of a spine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adjusting seat of a spine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upled state of the backrest adjusting and adjus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reference data on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a user who can use the backrest adjusting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presentative view of the prior art for a backrest adjusting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backrest adjusting and adjus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adjusting seat of a spine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지면과 접촉되는 다수 개의 지지다리(100), 지지다리(100)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200),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며 감싸는 등받이부(300), 등받이부(300)와 결합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요추의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400), 좌판부(200)와 등받이부(300)를 연결하는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으로 이루어진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1)에 있어서,A seat plate 200 coupled with the support leg 100 to seat the user's hips so that the seat can be seated by the user, A lumbar support unit 400 coupled to the back support unit 300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a lumbar support unit 400 supporting the user's lumbar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according to the sitting height of the user, And a seat back link connection bracket (500) for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backrest part (300)

상기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은,The seat back connection bracket (500)

좌판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면(510);과A first surface 5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 plate 200;

상기 제 1면(510)을 기준으로 제 1면(510) 끝단부에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어 등받이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2면(520);과A second surface 520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5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nd of the first surface 510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ck portion 300;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등받이부(30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면(520)에 구비되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 및A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520 so as to move the backrest 30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sitting height; And

상기 등받이높이조절부(5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이동된 등받이높이조절부(530)를 고정하는 걸림턱(540);으로 구성되되,And a latching jaw 540 for moving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ixing the moved back height adjusting unit 530,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300)가 상하 높이 조절될 때에 등받이부(300)에 고정되어 있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와 요추지지부(400)가 기어수단의 조합으로 인해 등받이부(300)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하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portion 530 and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fixed to the backrest portion 300 when the backrest portion 300 is adjusted by the user to the height of the backrest portion 300 can be adjusted And the vertical height is adjusted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상기 좌판부(200)와 등받이부(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개로 구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에 의하여 연결/결합된다.The seat plate 200 and the backrest 300 are separately provided as shown in FIGS. 1 to 3, and are connected / coupled by the seat back connection bracket 500 as described above.

이는, 사용자가 좌판부(200)에 착석하면서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1)가 자신의 앉은 키 높이에 맞춰지도록 등받이부(30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move the backrest 300 up and down so that the backrest adjusting seat 1 is positioned at the sitting height of the seat while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board 200.

등받이부(300)의 상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구성인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의 제 1면(510)의 일정 부분이 좌판부(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제 2면(520)의 일정 부분의 선단부는 등받이부(300)의 뒷면 일측에 고정된다.A certain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510 of the seat back link connection bracket 500, which is a key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 portion 300,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 panel 200, The distal end portion of a certain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5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300.

이때, 제 2면(520)의 일정 부분의 선단부가 등받이부(300)의 뒷면 일측에 고정될 때 상기 요추지지부(400)와 함께 고정되는데 요추지지부(400)와 고정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수단인 제 6기어(610)가 포함된 제 5기어(600)와 제 8기어(710)가 포함된 제 7기어(700)와 각각 결합하게 된다.When the distal end of the certain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5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surface 300 and the lumbar support 400 is fixed to the lumbar support 400, The fifth gear 600 including the sixth gear 610 as the gear means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venth gear 700 including the eighth gear 710 are respectively coupled.

이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의 움직임에 따라 제 5기어(600), 제 6기어(610), 제 7기어(700), 제 8기어(710)가 동시에 각각의 비율을 가지는 기어비에 의한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요추지지부(400)가 등받이높이조절부(530)와 동시에 상하운동 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fifth gear 600, the sixth gear 610, the seventh gear 700 and the eighth gear 710 are simultaneously driven by a gear ratio having respective ratio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portion 530 So that the lumbar support unit 400 moves up and down with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at the same tim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기어(610)가 요추지지부(400)에 형성된 제 4기어(420)와 맞물리며 제 5기어(600)는 등받이부(300)에 형성된 제 1기어(310)에 맞물려 래크 앤드 피니언(rack & pinion)의 동작원리와 동일하게 운동함으로서 등받이높이조절부(530)의 움직임에 따라 요추지지부(400)도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3, the sixth gear 610 meshes with the fourth gear 420 formed on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and the fifth gear 600 meshes with the first gear 310 formed on the back portion 300, So that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portion 530. As shown in FIG.

이와 마찬가지로, 제 8기어(710)는 제 4기어(420)와 대칭되도록 요추지지부(400)에 형성된 제 3기어(410)와 맞물리며 제 7기어(700)는 제 1기어(310)와 대칭되도록 등받이부(300)에 형성된 제 2기어(320)와 맞물린다.Similarly, the eighth gear 710 is engaged with the third gear 410 formed on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fourth gear 420, and the seventh gear 700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gear 310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320 formed on the backrest portion 300.

따라서, 사용자가 좌판부(200)에 착석하여 자신의 앉은 키에 맞춰지도록 등받이부(300)를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이에 따라 등받이부(300)에 고정되어 있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가 움직이고 등받이부(300)에 형성된 제 1, 2기어(310, 320)가 움직이면서 각각 제 5, 7기어(600, 700)가 반응하게 되고 제 5, 7기어(600, 700)가 반응하면서 제 5, 7기어(600, 700)에 포함되어 있는 제 6, 8기어(610, 710)가 움직이고 제 6, 8기어(610, 710)가 움직이면서 요추지지부(400)에 형성된 제 3, 4기어(410, 420)가 움직이므로 사용자에 의해 등받이부(300)의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면 요추지지부(400)도 동시에 사용자의 요추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up and down the backrest 300 so as to be seated on the seat board 200 and aligns with the sitting key of the user,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fixed to the backrest 300 moves, The fifth and seventh gears 600 and 700 react with each other as the first and second gears 310 and 320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gears 300 and 300 move and the fifth and seventh gears 600 and 700 react, The third and fourth gears 410 and 420 formed on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as the sixth and eighth gears 610 and 710 included in the gears 600 and 700 move and the sixth and eighth gears 610 and 710 move, The height of the backrest 300 is adjusted by the user so that the lumbar support 400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lumbar vertebra of the user at the same time.

즉, 상기 등받이부(300)를 기준으로 요추지지부(400)와 제 2면(520)의 일측이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등받이부(300)가 상하 높이 조절될 때 등받이부(300)에 고정되어 있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로 인해 등받이부(300) 내부에 구성된 기어수단(제 1, 2기어)과 요추지지부(400)의 일측에 구성된 기어수단(제 3, 4기어) 및 별도의 기어수단(제 5, 6, 7, 8기어)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요추지지부(400)가 등받이부(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동시에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That is, one side of the second surface 520 is coupled to the lumbar support unit 400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300, and the backrest 300 is fixed to the backrest 300 when the backrest 300 is vertically adjusted by the user (First and second gears) formed in the backrest 300 due to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portion 530 having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portion 530 and the gear means (third and fourth gears) formed on one side of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The lumbar support 400 moves up and down simultaneously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ackrest 300 due to the organic coupling of the means (fifth, sixth, seventh and eighth gears).

이때, 상기 요추지지부(400)는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의 요추 위치에 맞게 등받이부(300)의 움직임에 따라 동일하게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등받이높이조절부(530)도 마찬가지로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가 등받이부(300)에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부(300)에 고정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lumbar support unit 400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ck part 30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umbar part of the user within the range of 160 [cm] to 229 [cm] The portion 530 is also configured to be vertically adjustable by being fixed to the backrest 300 so that a user within the range of 160 cm to 229 cm can lean against the back of the backrest 300 .

상기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에 형성된 걸림턱(540)은 사용자가 등받이부(300)를 상하 높이 조절할 때에 등받이부(300)에 고정된 등받이높이조절부(5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높이조절부(5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된 등받이높이조절부(5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backrest 300 upwards and downwards, the engagement protrusions 540 formed on the backrest connection brackets 500 can move the backrest height adjustment unit 530 fixed to the backrests 300 within a certain range So that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can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ix the moved back height adjusting unit 530 as described above.

제 1기어(310), 제 2기어(320), 제 3기어(410), 제 4기어(420), 제 5기어(600), 제 6기어(610), 제 7기어(700), 제 8기어(710) 및 걸림턱(540)은 도 4에 도시된 참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어비가 형성되어야 하며 걸림턱(540)의 일정 범위는 수직방향으로 최소 25[cm] 이상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gear 310, the second gear 320, the third gear 410, the fourth gear 420, the fifth gear 600, the sixth gear 610, the seventh gear 700, 8 gear 710 and the engagement jaw 540 should be formed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data shown in FIG. 4, and a certain range of the engagement jaw 540 is formed with a width of 25 [cm] or more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irabl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신장이 229[cm]인 사용자에 맞춰 등받이부(300)가 제작된다면 등받이부(300)의 길이로만 111[cm]가 필요하게 되고, 이에 맞춰 의자가 제작되면 대략 200[cm]가 넘는 크기로 의자가 만들어지게 되므로 의자의 부피가 커져 의자를 용이하게 취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포장 및 배송 등 다방면으로 불편한 점을 야기시킨다.4, if the backrest 300 i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a user having a height of, for example, 229 [cm], the length of the backrest 300 is required to be 111 [cm] The chair is produced in a size exceeding about 200 [cm], so that the chair becomes bulky, making it difficult to handle the chair easily, and causing various inconveniences such as packaging and delivery.

따라서, 등받이부(300)의 길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터 경추 7번까지의 높이를 고려하되 경추 7번까지가 아닌 견갑골까지의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1)의 최적의 설계를 위해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rest 30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to the cervical vertebrae 7 but not up to the cervical vertebrae 7, as shown in FIG. 4, For optimum design of the adjusting and adjusting chair 1,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lude a headrest 800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상기 헤드레스트(8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300)의 상단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구체적인 형상이나 특징은 본 출원인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0349호("경추 받침 맞춤형 헤드레스트")를 참고하기로 한다.1 to 3, the headrest 800 is formed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t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300, and the specific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headrest 800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349 ("Cervical spine customized headrest").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1)에 착석하여 자신의 앉은 키에서의 요추 위치에 맞게 등받이부(300)를 조절하고 등받이부(300) 이상으로는 헤드레스트(8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함으로서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한다.That is, the user is seated on the backrest adjusting sea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just the backrest 300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lumbar vertebrae in his or her sitting key, It adjusts the height and supports the user's cervical spine to provide comfort and comfort.

더하여서, 본 발명인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1)는 좌판부(200)를 기준으로 등받이부(300)가 125[°] 이내에서의 일정 기울기로 뒤로 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의 제 1면(510)과 좌판부(200)가 결합되는 곳에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rest-adjusting seat 1 for a spine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ckrest 30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in 125 [deg.] With respect to the seat plate 200, A separate structure may be ad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surface 510 of the seat 500 and the seat plate 200 are coupled.

이는, 종래의 의자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기능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is is a function that is commonly found in conventional chair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은 종래의 의자와는 다르게 사용자의 요추 위치를 지지하며 뒤로 뉘어질 수 있으므로 의자에 착석한 앉은 자세로 장시간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conventional chair,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user's lumbar spine position and can be laid back so that a comfortable sleeping state can be induced for a long time in a sitting position in a chair.

더불어, 상기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은 내구성이 강하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300)가 일정 기울기로 뉘어질 때 등받이부(30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e backrest connecting bracket 500 is formed of a strong and resilient material so that the backrest 300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backrest 300 is lai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

요약하여, 본 발명은 신장에 관계없이 장신의 체형까지도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서 요추의 위치를 등받이부(300)의 상하 높이 조절로 인해 동시에 움직이는 요추지지부(400)가 정확히 지지하게 하며, 등은 견갑골이 위치한 부분까지는 등받이부(300)가 감싸 지지하고 장신의 체형의 경우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800)로 경추가 지지되도록 하여 자연적으로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편안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척추의 건강을 제고하는 이점이 있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which moves simultaneously due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ack portion 300, to accurately support the position of the lumbar vertebrae in the sitting position of the user, The cervical spine can be supported by the headrest 800 which can be adjusted up and down in the case of a tall body shape so that the cervical spine can naturally be seated in the chair in a right posture, Of the spine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health.

다시 한번 강조하면,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서의 요추의 위치가 가장 중요하고 도 4의 참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바닥 엉덩이에서 경추 7번까지 확실하게 맞아야 한다.Once again, the position of the lumbar vertebrae in the sitting position of the user is most important and should be reliably fitted from the bottom of the user to the cervical vertebrae 7 based on the reference data of FIG.

특히, 요추지지부(400)의 위치가 사용자의 요추 위치와 정확하게 맞아야 하며 사용자의 신장이 189[cm] 이하에서는 요추의 위치가 6[mm] 이상의 오차가 나지 않아야 하며, 신장 199[cm] 이상에서는 1[cm] 이상의 오차가 나지 않아야 한다.Particularly, the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must be exactly matched with the position of the user's lumbar region. If the user's height is less than 189 cm, the position of the lumbar vertebrae should not be more than 6 [mm] There should be no error more than 1 [cm].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과 대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구성의 기능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면 할수록 자세가 더욱 교정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posture can be further corrected by the long-time use due to the functions of the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technique.

이외의 본 발명에 대해 부족한 설명은 본 출원인의 기술인 상기의 선행기술 1의 내용을 참고하기로 한다.Other explanations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prior art 1 which is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n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Accordingly,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in a limiting sense.

본 발명에 따르면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는 장신의 체형까지 포함하여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서 요추를 편안하게 함으로서 척추의 건강을 제고하므로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산업 및 의자를 제작하는 제조업, 의자가 설치되거나 필요한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의자 판매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데에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ckrest adjusting seat for spine protection includes the body shape of a tall person, the lumbar spine is comforted in the sitting position of the user, thereby improving the health of the spine.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chair sales business targeting the necessary places.

1 :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
100 : 지지다리 200 : 좌판부
300 : 등받이부 310 : 제 1기어
320 : 제 2기어 400 : 요추지지부
410 : 제 3기어 420 : 제 4기어
500 :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 510 : 제 1면
520 : 제 2면 530 : 등받이높이조절부
540 : 걸림턱 600 : 제 5기어
610 : 제 6기어 700 : 제 7기어
710 : 제 8기어 800 : 헤드레스트
1: Adjustable backrest chair with spine protection
100: support leg 200:
300: backrest 310: first gear
320: second gear 400: lumbar support
410: Third gear 420: Fourth gear
500: Backrest connecting bracket 510: First side
520: second side 530: backrest height adjuster
540: jaw chuck 600: fifth gear
610: sixth gear 700: seventh gear
710: Eighth gear 800: Headrest

Claims (4)

지면과 접촉되는 다수 개의 지지다리(100), 지지다리(100)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200),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며 감싸는 등받이부(300), 등받이부(300)와 결합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요추의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400), 좌판부(200)와 등받이부(300)를 연결하는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으로 이루어진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1)에 있어서,
좌판등받이연결브라켓(500)은,
좌판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면(510);
상기 제 1면(510)을 기준으로 제 1면(510) 끝단부에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어 등받이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2면(520);
사용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등받이부(30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면(520)에 구비되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 및
상기 등받이높이조절부(5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이동된 등받이높이조절부(530)를 고정하는 걸림턱(540);으로 구성되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300)가 상하 높이 조절될 때에 등받이부(300)에 고정되어 있는 등받이높이조절부(530)와 요추지지부(400)가 기어수단의 조합으로 인해 등받이부(300)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하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
A seat plate 200 coupled with the support leg 100 to seat the user's hips so that the seat can be seated by the user, A lumbar support unit 400 coupled to the back support unit 300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a lumbar support unit 400 supporting the user's lumbar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according to the sitting height of the user, And a seat back link connection bracket (500) for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backrest part (300)
The seat back connection bracket 500 includes:
A first surface 5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 plate 200;
A second surface 520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the first surface 510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510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ck portion 300;
A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520 so as to move the backrest 30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sitting height; And
And a latching jaw 540 for moving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ixing the moved back height adjusting unit 530,
The backrest height adjusting portion 530 and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fixed to the backrest portion 300 when the backrest portion 300 is adjusted by the user to the height of the backrest portion 300 can be adjusted The chair is adjustable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as the mov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부(400)는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의 요추 위치에 맞게 등받이부(300)의 움직임에 따라 동일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umbar support portion 400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ck portion 30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user's lumbar region within a range of 160 cm to 229 cm. Adjustable backrest cha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높이조절부(530)는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가 등받이부(300)에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부(300)에 고정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rest height adjuster 530 is fixed to the backrest 300 so that a user who is within a range of 160 cm to 229 cm can rest on the backrest 300, A backrest-adjustable chair with spine prot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540)은 신장 160[cm] 내지 229[cm]까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가 등받이부(300)를 상하 높이 조절할 때에 등받이부(300)에 고정된 등받이높이조절부(5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ing jaw 540 has a backrest height adjusting unit 530 fixed to the backrest 300 when the user who is within the range of 160 cm to 229 cm has the height of the backrest 300 up and down Wherein the backrest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KR1020160016935A 2016-02-15 2016-02-15 Tailor-made chair Ceased KR201700954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935A KR20170095495A (en) 2016-02-15 2016-02-15 Tailor-made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935A KR20170095495A (en) 2016-02-15 2016-02-15 Tailor-made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495A true KR20170095495A (en) 2017-08-23

Family

ID=5975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935A Ceased KR20170095495A (en) 2016-02-15 2016-02-15 Tailor-made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5495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442A (en) * 2021-09-30 2021-12-07 李传军 A multifunctional adjustable seat that dynamically protects the spine
KR20230016335A (en) 2021-07-26 2023-02-02 강직원 Height adjustable posture correction chair
KR20230024603A (en) 2021-08-12 2023-02-21 강직원 Teaching chair with positioning equipment
KR20230126322A (en) 2022-02-23 2023-08-30 강직원 Height adjustable chair for student teaching tools
KR20230174991A (en) * 2022-06-22 2023-12-29 한의경 Backrest moving device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335A (en) 2021-07-26 2023-02-02 강직원 Height adjustable posture correction chair
WO2023008761A1 (en) * 2021-07-26 2023-02-02 박지은 Height-adjustable posture correction chair having lumbar support portion having resilient support function
KR20230024603A (en) 2021-08-12 2023-02-21 강직원 Teaching chair with positioning equipment
CN113749442A (en) * 2021-09-30 2021-12-07 李传军 A multifunctional adjustable seat that dynamically protects the spine
KR20230126322A (en) 2022-02-23 2023-08-30 강직원 Height adjustable chair for student teaching tools
KR20230174991A (en) * 2022-06-22 2023-12-29 한의경 Backrest moving device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249B2 (en) Chair having an adjustable backrest for spinal protection
EP1720429B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9352675B2 (en) Bi-level headrest, body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user's cranium
KR20170095495A (en) Tailor-made chair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8459738B2 (en) Portable backrest for a person seated sideways on a sofa
KR101931519B1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20050225140A1 (en) Seating arrangement
KR101495603B1 (en)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101605830B1 (en) A chair auxiliary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US20080290701A1 (en) Ergonomic Support Apparatus
KR20230016335A (en) Height adjustable posture correction chair
JP6112768B2 (en) Seating device
KR20190081416A (en) Chair for guiding correct posture
KR200477226Y1 (en) Correction of posture chair
KR20230024603A (en) Teaching chair with positioning equipment
EP3166556B1 (en) Adjustable seat
JP2017094015A (en) Chair-type posture correction appliance
KR20130062621A (en) Chair for correcting attitude
KR20170001713U (en) Health function chair
HK1203788B (en) A comfortable orthopa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20120008273U (en) Comfortable cushion of the chair
AU2003225336A1 (en) A seat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