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94648A -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648A
KR20170094648A KR1020160015671A KR20160015671A KR20170094648A KR 20170094648 A KR20170094648 A KR 20170094648A KR 1020160015671 A KR1020160015671 A KR 1020160015671A KR 20160015671 A KR20160015671 A KR 20160015671A KR 20170094648 A KR20170094648 A KR 2017009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
water
clothes
rot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히토 시모노
타다시 아사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5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4648A/en
Publication of KR2017009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648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부를 통해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배수부를 통해 터브에 저장된 물을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 배수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터브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1회전단계, 배수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a tub through a water supply unit, a drainage step of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tub through the drainage unit to the outside of the tub, and a drainage step, A first rotating step of rotating the tub in one direction to form a water flow in the tub, a second rotating step of proceeding in the course of the drainage step and rotating the drum in the other one of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한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provided in the cabinet for storing water, and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to accommodate the clothes.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 드럼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 등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한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회전시켜 터브 내부의 물과 의류를 마찰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되고 나면 터브에 저장된 물을 터브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의류를 세탁한다.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uses clothing to emulsify the detergent and wash the clothes using a water stream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That is,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eparates foreign matter from clothes by friction between water and clothes inside the tub by rotating the drum, and discharges the water stored in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tub after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from the clothes.

한편, 드럼의 회전으로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터브 내부의 물이 배출될 때 물과 함께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드럼의 내주면 및 외주면, 터브의 내주면에 잔류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과 터브를 세척할 필요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lothes by the rotation of the drum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together with water when the water inside the tub is discharged, and may remain on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um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There was a possibility of causing hygiene problems. Therefore,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needs to clean the drum and the tub.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을 세척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 drum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drum in which clothes are stored.

또한, 본 발명은 터브에서 물이 배출될 때마다 터브와 드럼을 세척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 tub and a drum whenever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tub.

물이 저장되는 터브, 의류가 저장되며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며,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터브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1회전단계; 상기 배수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며,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 garment having a tub for storing water, a drum for storing clothes,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and a drain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tub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ing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through the water supplying unit; Draining water stored in the tub through the drainage unit to the outside of the tub; Rotating the drum in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form a water flow in the tub while the drainage step is in progress; And rotating the drum in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the drainage step is in progress.

상기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2회전단계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상기 드럼의 바닥면보다 낮아질 때까지 교번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step and the second rotating step may be alternately repeated until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tub is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상기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2회전단계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이 상기 터브에서 모두 배출될 때까지 교번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step and the second rotating step may be repeated alternately until water stored in the tub is discharged from the tub.

상기 제1회전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개시되고, 상기 제2회전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후 개시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step may be started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and the second rotating step may be started after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상기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2회전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와 함께 개시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step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may be started together with the drainage step.

본 발명은 상기 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켜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산하는 분산단계; 상기 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의류가 상기 드럼에 밀착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method comprising: a washing step, which is performed before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 step and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wherein the drum is rotated to separate foreign matters from clothes; A dispersion step in which the drum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after completion of the cleaning step to disperse the clothes in the drum; And a dewatering step of starting water after completion of the draining step and rotating the drum with a rotation speed at which the cloth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um to separate water from the clothes.

상기 제1회전단계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단계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rotating step rotates the drum at an angle of not less than 90 degrees and not more than 270 degrees along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ng step rotates the other one of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o rotate the drum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270 degrees or less .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드럼을 360도 이상 회전시켜 의류를 물과 마찰시키는 단계로 구비되고, 상기 분산단계는 상기 드럼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rubbing the clothes with water by rotating the drum by 360 degrees or more, and the dispersing step may include rotating the drum at an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상기 세척단계는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세탁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step may include a washing step of separating foreign matters from the clothes.

상기 세척단계는 의류에서 세제나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헹굼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step may be a rinsing step of separating detergent or foreign matter from clothes.

본 발명은 상기 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거나 상기 의류에서 세제를 분리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360도 미만의 각도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켜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산하는 분산단계; 상기 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의류가 상기 드럼에 밀착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drum or the agitating portion rotatably provided in the drum is rotated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clothes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after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ing step, ;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rum or the agitator is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t an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to rotate the clothes in the drum Dispersing dispersing step; And a dewatering step of starting water after completion of the draining step and rotating the drum with a rotation speed at which the cloth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um to separate water from the clothes.

상기 제1회전단계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단계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rotating step rotates the drum at an angle of not less than 90 degrees and not more than 270 degrees along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ng step rotates the other one of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o rotate the drum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270 degrees or less .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을 세척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 drum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drum in which clothes are stored.

또한, 본 발명은 터브에서 물이 배출될 때마다 터브와 드럼을 세척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trol method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 tub and a drum whenever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tub.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이물질 제거단계의 진행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n exampl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ig. 2 shows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show the progress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tep.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3), 의류가 저장되며 상기 터브(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a tub 3 provided in the cabinet for storing water, clothes, and rotatable inside the tub 3 And a drum 5 provided therein.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의 일면에는 상기 드럼(5)으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드럼(5)에서 의류를 인출할 수 있게 하는 투입구(11)가 구비된다.The cabinet 1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cabinet 1 may be provided with a drum 5 on which a garment may be inserted or a garment may be taken out from the drum 5 (Not shown).

도 1은 상기 투입구(11)가 캐비닛(1)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투입구(11)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harging port 1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The charging port 11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13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 do.

상기 터브(3)는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터브 바디(31),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b 3 may include a tub body 31 fixed inside the cabinet and a tub inlet 3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1.

상기 터브 바디(31)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터브 바디(31)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tub body 31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store water therein.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ub body 3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터브 바디(31)는 지지부(4)를 통해 캐비닛(1)에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터브 바디(3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tub body 31 is fixed to the cabinet 1 through a supporting part 4. The supporting part 4 may be an elastic body for reducing the vibration of the tub body 31. [ In this case, one end of the elastic body may be fixed to the cabinet 1,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may be fixed to the tub body 31.

상술한 터브(3)는 급수부(7)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배수부(8)를 통해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터브 바디(3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tub 3 receives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7 and discharges the water inside the tub body 31 to the outside of the tub body 31 through the drainage unit 8. [

상기 급수부(7)는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7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71)을 개폐하는 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7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71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and a valve 7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7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배수부(8)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위치된 펌프(83), 상기 펌프와 상기 터브 바디(31)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81), 상기 펌프(83)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85)을 포함한다.The drainage unit 8 includes a pump 83 positioned outside the tub body 31, a first drain pipe 81 connecting the pump and the tub body 31, And a second water pipe 85 for guid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한편,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수위는 수위감지부(9)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body 31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9.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상기 수위감지부(9)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수위감지부(9)가 상기 터브 바디(31)에 연통하는 연통관(91), 상기 연통관의 자유단을 밀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통관(91) 내부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9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water level sensing unit 9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9 can detect the water level in the tub body 31. FIG. And a pressure sensor 93 that seals the free end of the communicating tube and senses a change in the pressure of the air stored in the communicating tube 91. As shown in FIG.

상기 연통관(91)은 제1배수관(81)에 연결됨으로써 터브 바디(31)에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수위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수위에 연동할 것이다.The communicating tube 91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8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ub body 31. In this case, the water level inside the communicating tube 91 will be linked to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body 31.

상기 터브 바디(31)에 물이 급수되어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면 연통관(91) 내부의 공기는 압축될 것이고,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이 배수되어 상기 연통관(91)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연통관(91) 내부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압축될 것이므로, 상기 압력센서(93)는 연통관(91) 내부의 압력을 근거로 터브 바디(3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body 31 to increase the water level in the communicating tube 91, the air inside the communicating tube 91 will be compressed and the water in the tub body 31 is drained to the communicating tube 91 The pressure sensor 93 senses the level of the inside of the tub body 31 based on the pressure inside the communicating tube 91. As a result, .

상기 드럼(5)은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바디(51), 상기 드럼 바디에 구비되어 투입구(11) 및 터브 투입구(33)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53)를 포함한다.The drum 5 includes a drum body 51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body 31 and a drum inlet 53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1 and the tub inlet 33, .

상기 드럼 바디(51)는 의류가 저장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드럼 바디(51)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drum body 51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clothes can be stored.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rum body 5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드럼 바디(51)에는 드럼 바디 내부를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시키는 관통홀(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55)은 드럼 바디(51)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 상기 드럼 바디(51)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상기 관통홀(55)을 통해 드럼 바디(51) 내부에 위치된 의류에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드럼 바디(51)의 회전 시 의류가 함유한 물은 상기 관통홀(55)을 통해 터브 바디(31)로 배출될 수 있다.The drum body 51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55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drum body with the inside of the tub body. The through hole 55 may include a hole penetra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51, And a hole penet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51. Therefore, the water inside the tub body 31 can be supplied to the clothes placed in the drum body 51 through the through holes 55, and water contained in the clothes when the drum body 51 rotates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tub body 31 through the through-hole 55.

상기 드럼 바디(51)는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6)는 전류를 공급받아 회전자기장(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6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3), 상기 로터(63)와 드럼 바디(51)를 연결하는 회전축(65)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um body 51 is rotated by a driving unit 6. The driving unit 6 includes a stator 61 receiving a current to form a rotating field, a rotor 63 rotated by a rotating magnetic field, And a rotary shaft 65 connecting the rotor 63 and the drum body 51.

상기 스테이터(61)는 상기 터브 바디(31)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65)은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51)와 로터(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ator 61 is fixed to the tub body 31 and is positioned outside the tub body 31. The rotating shaft 65 passe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31 and is connected to the drum body 51, A rotor 63 may be connected.

이 경우,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는 회전축(6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31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65.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통해 드럼(5)과 터브(3)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배수단계(S40)와 함께 진행되는 이물질 제거단계(S50)를 통해 드럼(5)과 터브(3)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prevent foreign matter from remaining in the drum 5 and the tub 3 through the control method shown in Fig. That is, the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reign matter from remaining on the drum 5 and the tub 3 through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tep S50 proceeding with the drainage step S40.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는 제1회전단계(S51) 및 제2회전단계(S53)로 구비될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removal step may be provided in a first rotation step S51 and a second rotation step S5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단계(S51)는 상기 구동부(6)를 통해 드럼(5)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F2)으로 회전시켜 터브(3) 내부에 수류(F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3, the first rotating step S51 rotates the drum 5 in either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F2 through the driving unit 6 to rotate the tub 3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F2, Thereby forming a water flow F1 insid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단계(S53)는 상기 드럼(5)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수류의 방향(F1)과 반대방향(F3)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5)의 외주면에 있는 이물질을 드럼에서 분리하는 단계이다.4, the second rotating step S53 rotates the drum 5 in the other one of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direction F3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F1)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5 from the drum.

상기 제1회전단계(S51)와 제2회전단계(S53)의 실행 중 터브(3) 내부에 형성된 수류는 터브(3)의 내주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터브(3)에서 분리하게 될 것이다.The water flow formed inside the tub 3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will separate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3 from the tub 3. [

상기 제1회전단계(S51)와 제2회전단계(S53)가 반복되면, 상기 제1회전단계(S51)와 제2회전단계(S53)의 기능은 서로 동일해질 것이다. 즉, 상기 제1회전단계(S51)와 제2회전단계(S53)가 반복되면, 상기 제1회전단계(S51)와 제2회전단계(S53)는 모두 터브(3)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효과 및 드럼과 터브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효과를 구현하게 될 것이다.If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are repeated, the functions of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will be the same. That is, when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are repeated, both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form a water flow inside the tub 3 Effect and the effect of separating the foreign substance from the surfaces of the drum and the tub.

상기 제1회전단계(S51)와 제2회전단계(S53)의 반복은 상기 배수단계(S40)의 종료 전까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터브(3)와 드럼(5)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시 터브(3)나 드럼(5)에 잔류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petition of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may be performed until the end of the drainage step S40. So that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tub 3 and the drum 5 is prevented from remaining on the tub 3 or the drum 5. [

상기 배수단계의 종료 여부(S60)는 상기 수위감지부(9)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하가 되었는지 여부를 제어부(미도시)가 판단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The completion (S60) of the drainage step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ler (not shown) by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9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water level.

상기 기준수위는 터브(3) 내부의 수위가 상기 드럼(5)의 바닥면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3) 내부의 수위가 드럼의 바닥면보다 높은 경우에만 상기 드럼(5)과 물을 마찰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The reference water level is preferably set to a water level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5 in the tub 3. This is because the drum 5 and the water can be rubbed only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3 is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다만,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터브(3) 내부의 물이 터브의 외부로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 가능한 수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3) 내부의 수위가 드럼의 바닥면보다 낮더라도 상기 제1회전단계(S51)와 제2회전단계(S53)를 반복하면 만약의 경우 드럼(5)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원심력으로 드럼(5)에서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However, the reference water level may be set to a water level tha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ater inside the tub 3 has be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The first rotating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ng step S53 are repeated even if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3 is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If the water level in the tub 3 is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3,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drum 5.

상기 제1회전단계(S51)와 상기 제2회전단계(S53)는 상기 배수단계(S40)가 시작될 때 함께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배수단계(S40)가 시작된 후 또는 상기 배수단계(S40)의 시작 전 개시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start together when the drainage step S40 starts. However, after the drainage step S40 is started or after the drainage step S40, Lt; / RTI >

후자의 경우, 최초로 진행되는 제1회전단계(S51)의 기능이 터브(3)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키는 것이고, 최초로 진행되는 제2회전단계(S53)에 의해 터브나 드럼에서 이물질의 분리가 본격화 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즉, 상기 제1회전단계(S51)는 배수단계(S40)의 시작 전 시작되고, 상기 제2회전단계(S53)는 상기 배수단계(S40)의 시작과 동시에 또는 상기 배수단계(S40)의 시작 후 시작될 수도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function of the first rotating step S51, which is firstly performed, is to form a water flow inside the tub 3, and the separation of foreign matter from the tub or drum is accelerated by the second rotating step S53, . That is, the first rotation step S51 is started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S40,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is started at the same time as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S40 or at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S40 Lt; / RTI >

한편, 상기 제1회전단계(S51)에서 제2회전단계(S53)로 전환할 때 및 상기 제2회전단계(S53)에서 제1회전단계(S51)로 전환할 때 상기 드럼(5)의 회전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데, 제1회전단계와 제2회전단계로 구성된 이물질 제거단계(S50)의 목적을 고려하면 상기 드럼의 회전이 중단되는 상태는 짧으면 짧을수록 유리하다.On the other hand,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rotation step S51 to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and switching from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to the first rotation step S51, rotation of the drum 5 Considering the object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al step (S50) composed of the first rotating step and the second rotating step,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drum is stopped is advantageous as it is short.

상기 드럼(5)에 의류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회전단계(S51)에서 상기 드럼(5)의 회전각도 및 상기 제2회전단계(S53)에서 상기 드럼(5)의 회전각도는 클수록 유리할 것이다.When clothes are not stored in the drum 5, the greater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5 in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5 in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It will be advantageous.

상기 드럼(5)에 의류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물질 제거단계(S50)가 진행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터브와 드럼의 청소를 위한 제어명령(예: 이물질 제거 코스의 선택)을 의류처리장치(100)에 입력한 경우가 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tep S50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clothes are not stored in the drum 5, the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for example, selection of a foreign matter removing course) for cleaning the tub and the drum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 ≪ / RTI >

상기 이물질 제거 코스는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10), 상기 배수단계(S40) 및 이물질 제거단계(S5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단계(S10)는 터브(3)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로, 제어부(미도시)가 밸브(73)를 제어함으로써 진행된다.The foreign matter removing path may include a water supplying step (S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a drainage step (S40), and a foreign matter removing step (S50). The water supply step S10 is a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3,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valve 73 to proceed.

한편,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50)는 급수단계(S10), 세척단계(S20), 분산단계(S30), 배수단계(S40) 및 탈수단계(S70)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어과정 중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회전단계(S51)와 제2회전단계(S53)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각도는 1회 미만이 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50)가 상기 분산단계(S30)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으로, 구체적 이유는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tep S50 is performed so as to proceed during the control process in which the water supply step S10, the cleaning step S20, the dispersion step S30, the drainage step S40 and the dehydration step S70 are sequentially perform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is set to be less than one in the first rotation step S51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The foreign substance removal step (S50) may weaken the effect of the dispersion step (S30).

상기 세척단계(S20)는 급수단계(S10)에서 공급된 물과 의류를 마찰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세탁단계나 헹굼단계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세탁단계는 세제를 통해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이고, 상기 헹굼단계는 세탁단계를 거친 의류에서 세제나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이다.The washing step S20 is a step of rubbing the clothes and water supplied in the water supply step S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lothes, and the washing step and the rinsing step may be an example. The washing step separates the foreign matter from the clothes through the detergent, and the rinsing step separates the detergent or foreign matter from the clothes after the washing step.

상기 세척단계(S20)는 제어부가 구동부(6)를 통해 드럼(5)을 회전시키는 단계로, 세척단계(S20)에서 드럼(5)은 360도 이상 회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5)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가 클수록 의류에서 이물질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The washing step S20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drum 5 through the driving unit 6 and the drum 5 is controlled to be rotated 360 degrees or more in the washing step S20. The larger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drum 5, the easier it will be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clothes.

상기 분산단계(S30)는 상기 세척단계(S20)의 완료 후 의류를 드럼(5)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단계로, 상기 배수단계(S40)의 완료 후 개시되는 탈수단계(S70)에서 드럼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The dispersing step S30 is a step of uniformly dispersing the clothes in the drum 5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ashing step S20. In the dehydrating step S70 star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raining step S40, Is minimized.

상기 탈수단계(S70)는 의류가 드럼(5)에 밀착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5)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시키는 단계이다.The dewatering step S70 is a step of separating water from the clothes by rotating the drum 5 only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a rotational speed at which the clothes are closely attached to the drum 5. [

따라서, 의류가 드럼(5)의 일부 영역에 집중돼 있으면, 탈수단계(S70)의 진행 시 상기 드럼(5)의 회전중심이 회전축(65)과 일치하지 못하는 현상(회전중심의 편심)이 발생하고, 이 경우 드럼이 크게 진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garment is concentrated in a part of the drum 5, a phenomenon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um 5 does not coincide with the rotation axis 65 (eccentricity of the rotation center) occurs during the dehydration step S70 In this case, the drum may vibrate greatly.

상기 분산단계(S30)는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분산단계(S30)는 상기 배수단계(S40)의 개시 전 진행되어야 하며, 상기 드럼(5)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The dispersion step S30 is a means for preventing such a problem. The dispersing step S30 should proceed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S40 and may be carried out by alternately rotating the drum 5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t an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상기 분산단계(S30)가 완료되면, 상술한 배수단계(S40)와 이물질 제거단계(S50)가 진행된다.When the dispersion step S30 is completed, the drainage step S40 and the foreign matter removal step S50 are performed.

상기 분산단계(S30)의 완료 후 상기 탈수단계(S70)의 개시 전 진행되는 이물질 제거단계(S50)에서 상기 드럼(5)의 회전수나 회전각도가 지나치게 크면, 상기 분산단계(S30)를 통해 드럼 내부에 골고루 배치된 의류가 드럼의 일부 영역에 집중될 것이고, 상기 탈수단계(S70)에서 드럼(5)이 크게 진동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f the number of revolutions or rotation angle of the drum 5 is excessively larg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ispersion step S30 and before the start of the dehydration step S70, The clothes uniformly arranged inside the drum may be concentrated in a part of the drum, and the drum 5 may vibrate greatly in the dewatering step S70.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단계(S51)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단계(S53)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first rotation step (S51) rotates the drum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360 degrees along the direction of either the clockwise direction or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53)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drum 9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360 degrees along the other one of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상기 드럼을 9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터브(3) 내부에 수류가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상기 드럼을 1회전(360도) 이상 회전시키면, 드럼(5) 내부에 분산돼 있는 의류가 드럼(5)의 일부 영역에 집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drum is rotat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water flow is not formed in the tub 3, and if the drum is rotated by one rotation (360 degrees) or more, The drum 5 can be concentrated in a part of the area.

즉, 각 회전단계(S51, S53)가 90도 이상 360도 미만의 각도로 드럼(5)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면, 터브(3) 내부에 수류형성이 용이할 뿐 아니라 분산단계(S30)를 통해 분산된 의류가 드럼의 일부 영역에 집중될 위험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if each of the rotation stages S51 and S53 is provided to rotate the drum 5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360 degrees, water flow is easily formed inside the tub 3 and dispersion step S30 is performed Thereby minimizing the risk that the dispersed garment will be concentrated in some area of the drum.

한편, 실험적 결과에 의하면, 상술한 효과는 상기 제1회전단계(S51)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단계(S53)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킬 때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obtained in that the first rotation step S51 rotates the drum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270 degrees or less along one of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rotation step (S53)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when the drum was rota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270 degrees or less along the other one of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술한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5)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교반시키는 교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may be applied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drum 5 and provided with a stirring unit for stirring cloth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부(57)는 상기 드럼(5) 내부에 수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agitating part 57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drum 5 so as to form a water flow inside the drum 5.

상기 교반부(57)는 상기 드럼(5)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구동부(6)와 별개로 구비된 제2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agitating part 57 may be provided to rotate by the driving part 6 that rotates the drum 5 or may be provided to rotate by a second driving part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riving part 6 It is possible.

전자의 경우, 상기 구동부(6)에는 상기 교반부만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드럼 및 교반부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한 태양기어, 유성기어 및 클러치 등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former case, the driving unit 6 should further include a sun gear, a planetary gear, and a clutch for rotating only the agitating unit or for rotating the drum and the agitating unit together.

상기 드럼(5) 내부에 교반부(57)가 구비될 경우, 상기 세척단계(S20)는 상기 드럼(5)과 상기 교반부(5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분산단계(S30)는 상기 드럼(5) 또는 상기 교반부(57)를 360도 미만의 각도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If the agitating part 57 is provided in the drum 5, the washing step S20 may include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drum 5 and the agitating part 57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clothes And the dispersing step S30 may include a step of alternately rotating the drum 5 or the stirring part 57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t an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

또한, 상술한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65)이 지면에 수직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ground)에 평행하거나 지면과 0도 이상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is parallel to the ground, or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r more and less than 90 degrees.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투입구
13: 도어 3: 터브 31: 터브 바디
33: 터브 투입구 4: 지지부 5: 드럼
51: 드럼 바디 53: 드럼 투입구 55: 관통홀
57: 교반부 6: 구동부 7: 급수부
8: 배수부 9: 수위감지부
100: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1: Cabinet 11:
13: door 3: tub 31: tub body
33: tub inlet 4: support 5: drum
51: Drum body 53: Drum loading port 55: Through hole
57: stir part 6: driving part 7: water supply part
8: drainage part 9: water level sensing part

Claims (12)

물이 저장되는 터브, 의류가 저장되며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며,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터브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1회전단계;
상기 배수단계의 진행 중 진행되며,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garment having a tub for storing water, a drum for storing clothes,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and a drain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tub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A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Draining water stored in the tub through the drainage unit to the outside of the tub;
Rotating the drum in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form a water flow in the tub while the drainage step is in progress;
And rotating the drum in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the drainage step is in prog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2회전단계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상기 드럼의 바닥면보다 낮아질 때까지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ion step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are alternately repeated until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tub becomes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2회전단계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이 상기 터브에서 모두 배출될 때까지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ion step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are alternately repeated until water stored in the tub is discharged from the t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개시되고, 상기 제2회전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ion step is started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is started after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2회전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와 함께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ion step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are started together with the drainage step.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켜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산하는 분산단계;
상기 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의류가 상기 드럼에 밀착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washing step of proceeding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after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ing step and rotating the drum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clothes;
A dispersion step in which the drum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after completion of the cleaning step to disperse the clothes in the drum;
Further comprising a dewatering step of starting water after the drainage step is completed and rotating the drum with a rotation speed at which the cloth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um to separate water from the cloth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계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단계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rotating step rotates the drum at an angle of not less than 90 degrees and not more than 270 degrees along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rotating step rotates the drum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270 degrees or less along the other one of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드럼을 360도 이상 회전시켜 의류를 물과 마찰시키는 단계로 구비되고,
상기 분산단계는 상기 드럼을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ashing step comprises rotating the drum by 360 degrees or more to rub the clothes with water,
Wherein the dispersing step comprises rotating the drum at an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세탁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ashing step is a washing step of separating foreign matters from the cloth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의류에서 세제나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헹굼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leaning step is a rinsing step of separating detergent or foreign matter from the clothe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거나 상기 의류에서 세제를 분리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360도 미만의 각도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시켜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 분산하는 분산단계;
상기 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의류가 상기 드럼에 밀착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rum and the agitating portion rotatably provided in the drum is rotated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clothes or detach the detergent from the clothe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ing step and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step Washing step;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rum or the agitator is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t an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to rotate the clothes in the drum Dispersing dispers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dewatering step of starting water after the drainage step is completed and rotating the drum with a rotation speed at which the cloth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um to separate water from the cloth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계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단계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을 90도 이상 27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rotating step rotates the drum at an angle of not less than 90 degrees and not more than 270 degrees along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rotating step rotates the drum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270 degrees or less along the other one of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KR1020160015671A 2016-02-11 2016-02-11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Ceased KR201700946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71A KR20170094648A (en) 2016-02-11 2016-02-11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71A KR20170094648A (en) 2016-02-11 2016-02-11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648A true KR20170094648A (en) 2017-08-21

Family

ID=5975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671A Ceased KR20170094648A (en) 2016-02-11 2016-02-11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464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5620A (en) * 2019-06-19 2021-01-0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drum wash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US20220064838A1 (en) * 2018-12-18 2022-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4128633A1 (en) * 2022-12-15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4838A1 (en) * 2018-12-18 2022-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2195620A (en) * 2019-06-19 2021-01-0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drum wash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CN112195620B (en) * 2019-06-19 2022-09-23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 drum wash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WO2024128633A1 (en) * 2022-12-15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5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CN106048965B (en) Th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2005328873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457163B1 (en) Washing machine and its rinsing control method
KR20170094648A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60016021A1 (en) Wash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KR20110013157A (en) Drainage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equipment
JPH08266776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18046887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253686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9187571A (en) Washing machine
KR2018001686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60034611A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JP7361248B2 (en) washing machine
KR20120001564A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2560665B1 (en)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89965A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65013B1 (en) Detergent dissolving metho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250051988A1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load type detection
KR102317045B1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7411955B2 (en) vertical washing machine
KR102664420B1 (en)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20897B1 (en) A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503046B1 (en) Method for washing laundry in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KR101082886B1 (en) Tub clean method of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