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110)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LAA(licensed assisted access), eLAA(enhanced LAA) 등)를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면허 대역(licensed band)(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120), 제3 기지국(1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은 제1 기지국(110)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30)은 제1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3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 및 제3 기지국(130) 각각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 및 제1 기지국(110)에 접속된 UE(user equipment)(미도시) 각각은 면허 대역(F1)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MIMO(예를 들어, SU-MIMO, MU-MIMO, 대규모 MIMO 등), CoMP,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3 기지국(2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2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2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은 제1 기지국(2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240)은 제2 기지국(2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24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 및 제4 기지국(24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제1 기지국(210)에 접속된 UE, 제2 기지국(220) 및 제2 기지국(220)에 접속된 UE 각각은 면허 대역(F1)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310), 제2 기지국(320) 및 제3 기지국(330)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 제2 기지국(320) 및 제3 기지국(330) 각각은 MIMO(예를 들어, SU-MIMO, MU-MIMO, 대규모 MIMO 등), CoMP,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320), 제3 기지국(3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제1 기지국(3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제1 기지국(3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3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은 제2 기지국(3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5 기지국(3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기지국(350)은 제3 기지국(33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기지국(35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 및 제5 기지국(35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 제1 기지국(310)에 접속된 UE(미도시), 제2 기지국(320), 제2 기지국(320)에 접속된 UE(미도시), 제3 기지국(330) 및 제3 기지국(330)에 접속된 UE(미도시) 각각은 면허 대역(F1)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410),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MIMO(예를 들어, SU-MIMO, MU-MIMO, 대규모 MIMO 등), CoMP,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420), 제3 기지국(4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제1 기지국(4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면허 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제1 기지국(4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면허 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제1 기지국(410)이 동작하는 면허 대역(F1)과 다른 면허 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4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은 제2 기지국(4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5 기지국(4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기지국(450)은 제3 기지국(43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기지국(45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 및 제5 기지국(45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 및 제1 기지국(410)에 접속된 UE(미도시) 각각은 면허 대역(F1)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 제2 기지국(420)에 접속된 UE(미도시), 제3 기지국(430) 및 제3 기지국(430)에 접속된 UE(미도시) 각각은 면허 대역(F2)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즉, 기지국, UE 등)는 비면허 대역에서 LBT(listen before talk) 절차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노드는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비면허 대역의 점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이 아이들(idle) 상태로 판단된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노드는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 동작에 따른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동안 비면허 대역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이 비지(busy) 상태로 판단된 경우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통신 노드는 CSAT(carrier sensing adaptive transmission) 동작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노드는 미리 설정된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현재 듀티 사이클이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를 위해 할당된 듀티 사이클인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통신 노드는 현재 듀티 사이클이 셀룰러 통신 외의 통신(예를 들어, WLAN 등)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를 위해 할당된 듀티 사이클인 경우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듀티 사이클은 비면허 대역에 존재하는 WLAN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수, 비면허 대역의 사용 상태 등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에서 비연속 전송(discontinuous transmi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에서 최대 전송 기간(maximum transmission duration) 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ax COT)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통신 노드는 최대 전송 기간(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 내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현재 최대 전송 기간(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 내에 신호를 모두 전송하지 못한 경우 다음 최대 전송 기간(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에서 나머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간섭을 가지는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캐리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다른 통신 노드로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전송 파워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노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노드 중에서 기지국은 노드B(NodeB; N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액세스 노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노드 중에서 UE는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5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50), 저장 장치(5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5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UE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UE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UE는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의 셀과 면허 대역의 셀 간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이 적용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의 셀의 구성(configuration), 추가(add), 수정(modify) 또는 해제(release)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signaling)(예를 들어,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하, "RRC 메시지"라 함)의 송수신 절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RRC 메시지는 면허 대역의 셀로부터 UE에 전송될 수 있다. RRC 메시지는 비면허 대역의 셀의 운용 및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면허 대역의 셀과 다르게, 비면허 대역의 셀에서 신호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은 최대 전송 구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LBT에 기초하여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통신 노드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에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통해 LTE(또는, LTE-A 등)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LTE(또는, LTE-A 등)를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전송은 비주기적, 비연속적, 기회주의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기초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LTE(또는, LTE-A 등)를 지원하는 통신 노드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비면허 대역 버스트(burst)"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면허 대역에서 정의된 채널(예를 들어,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MCH(physical multicast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 및 신호(예를 들어,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들의 연속된 집합은 비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들의 전송은 "비면허 대역 전송"으로 지칭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은 하향링크 비면허 대역 프레임, 상향링크 비면허 대역 프레임, 하향/상향 비면허 대역 프레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향링크 비면허 대역 프레임은 "비면허 대역 전송"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비면허 대역 프레임 내에서, "비면허 대역 신호"는 "비면허 대역 전송"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전에 위치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 신호"는 "비면허 대역 전송"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의 타이밍(timing)(또는, OFDM 심볼(symbol) 타이밍)과 면허 대역에서 서브프레임의 타이밍(또는, OFDM 심볼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 대역 신호"는 "비면허 대역 전송"에 기초한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동기 획득, 채널 추정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등을 지원할 수 있다. FDD 방식에 기초한 프레임은 "타입(type) 1 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고, TDD 방식에 기초한 프레임은 "타입 2 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타입 1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라디오(radio) 프레임(600)은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프레임(600)은 20개의 슬롯들(예를 들어, 슬롯 #0, 슬롯 #1, 슬롯 #2, 슬롯 #3, …, 슬롯 #18, 슬롯 #19)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600) 길이(Tf)는 10ms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 길이는 1ms일 수 있다. 슬롯 길이(Tslot)는 0.5ms일 수 있다. 여기서, Ts는 1/30,720,000s일 수 있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들로 구성될 수 있다.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들로 구성될 수 있다.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는 일반(normal) CP 및 확장(extended) CP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면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 CP가 사용되면 슬롯은 6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서브프레임은 12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타입 2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라디오 프레임(700)은 2개의 하프(half)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프레임(700)은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 길이(Tf)는 10ms일 수 있다. 하프 프레임의 길이는 5ms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 길이는 1ms일 수 있다. 여기서, Ts는 1/30,720,000s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특별(special)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각각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 길이(Tslot)는 0.5ms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에 포함된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서브프레임 #1 및 서브프레임 #6 각각은 특별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특별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보호 구간(guard period; GP) 및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uplink pilot time slot; UpPTS)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특별 서브프레임 각각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에 포함된 10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표 1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고,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고, "S"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은 하향링크 구간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UE의 셀 탐색, 시간 및 주파수 동기 획득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에서 PDSCH, PDCCH,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참조 신호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보호 구간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간섭 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구간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동작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으로 전환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은 상향링크 구간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채널 추정, 시간 및 주파수 동기 획득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에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등이 전송될 수 있다.
특별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 보호 구간 및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 각각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표 2는 특별 서브프레임의 구성(예를 들어,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 및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의 구성)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1ms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 및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을 제외한 구간은 보호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 2에서 Ts는 기본 시간 단위일 수 있으며, 1/(15000홰)초로 설정될 수 있다.
표 3은 표 2의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 중에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서 모두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의 구성일 수 있다. 표 3에서 "DwPTS 필드", "보호 구간 필드" 및 "UpPTS 필드"에 기재된 숫자는 OFDM 심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개 OFDM 심볼들을 포함하고,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 0"이 사용되는 경우, 해당 특별 서브프레임은 3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DwPTS, 10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보호 구간 및 1개 OFDM 심볼을 포함하는 UpPT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의 자원 그리드(grid)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l은 OFDM 심볼 인덱스(index)를 지시할 수 있고,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는 하향링크에서 자원 블록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는 하향링크의 슬롯(또는, 자원 블록)에서 OFDM 심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는 자원 블록에서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자원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7개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 12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자원은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UE에 대한 자원 할당은 자원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고, 참조 신호, 동기 신호 등에 대한 매핑(mapping)은 자원 엘리먼트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의 자원 그리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l은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고,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는 상향링크에서 자원 블록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는 상향링크의 슬롯(또는, 자원 블록)에서 SC-FDMA 심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는 자원 블록에서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자원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7개 SC-FDMA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 12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SC-FDMA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자원은 "자원 엘리먼트"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0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14개 SC-FDMA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UCCH, PUS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R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주파수 영역 중 가장자리(edge) 영역을 통해 PUCCH, PUC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 SRS 등이 전송될 수 있다. PUCCH, PUC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 및 SRS가 할당되는 자원(예를 들어, 자원 블록의 개수, SC-FDMA 심볼의 개수, 주파수 자원의 위치, 시간 자원의 위치)은 시스템 구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PUCCH가 할당되지 않는 자원(예를 들어, 자원 블록)을 통해 PUSCH, PUS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 SRS 등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슬롯 중에서 가운데 SC-FDMA 심볼(예를 들어, 슬롯#0의 SC-FDMA 심볼#3, 슬롯#1의 SC-FDMA 심볼#3)에 PUS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가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 심볼(예를 들어, 슬롯#1의 SC-FDMA 심볼#6)에 SRS가 구성될 수 있다. 슬롯#1의 SC-FDMA 심볼#6에 SRS가 구성되지 않는 경우, 슬롯#1의 SC-FDMA 심볼#6을 통해 PUCCH 및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면허 대역의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하향링크 통신 및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되는 프레임(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 서브프레임)이 설명될 것이다.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FDD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타입 1 프레임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계없이 주파수 대역에 따라 하향링크 통신 및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1)에서 라디오 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통해 하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고,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2)에서 라디오 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통해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TDD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타입 2 프레임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고,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이 사용되는 경우, 서브프레임#0 및 #5를 통해 하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2-4 및 #7-9를 통해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은 여러 사용자들 의해 공유될 수 있으므로, 표 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기초한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고정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사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레임은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가변적 서브프레임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지국일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 및 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통신 노드(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LBT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채널(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1100). 예를 들어, 기지국은 경쟁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값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백오프 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25㎲ 또는 (25+TA(timing advance))㎲)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서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판단된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특별 서브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디오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S1110). 라디오 프레임의 길이는 미리 설정된 최대 길이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최대 길이는 10ms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특별 서브프레임 각각의 개수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라디오 프레임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2는 비면허 대역에서 라디오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면허 대역의 라디오 프레임#0에서 서브프레임#0 내지 #2에 대응하는 비면허 대역의 구간에서 채널 상태가 비지 상태이므로, 기지국은 비지 상태인 비면허 대역의 구간 이후부터 라디오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최대 길이가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가 1ms인 경우, 기지국은 10개 이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은 5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 1개 특별 서브프레임 및 4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설정된 라디오 프레임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120). 예를 들어,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스케쥴링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USC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그랜트(grant)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USCH일 수 있다. 상향링크 그랜트는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 및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로 분류될 수 있다.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PUSCH)을 스케쥴링하는 상향링크 그랜트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PUSCH)을 스케쥴링하는 상향링크 그랜트일 수 있다.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기초한 스케쥴링 방법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3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지국일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 및 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통신 노드(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다(S1300).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다.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표 4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표 4에 기재된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필요한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S1310). DCI는 PDCCH 및 EPDCCH(enhanced PDCCH)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는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서브프레임#(n+l) 전송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n은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l은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 계층(higher layer)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l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l은 4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서브프레임#4 전송을 스케쥴링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1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서브프레임#5의 전송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단말은 PDCCH 및 EPDCCH를 모니터링(또는, 검출)함으로써 DCI를 획득할 수 있고, DCI에 포함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확인할 수 있다(S1320). 단말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n+l)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n+l)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n+l)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1330). 예를 들어, 단말은 서브프레임#0을 통해 수신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4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1을 통해 수신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5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n+l)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4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1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5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 시점과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 시점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과 매칭될 수 있다. 셀프(self)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동일 캐리어(즉, TDD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일 캐리어) 또는 캐리어 쌍(paired carrier)(즉, FDD 통신 네트워크에서 캐리어 쌍)에서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과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는 캐리어는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캐리어와 다를 수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FDD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향링크 캐리어는 상향링크 캐리어와 별도로 설정되므로,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과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TDD 통신 네트워크에서, 표 1에 기초하여 "상향링크-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미리 정의되므로,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과 매칭될 수 있다.
반면,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채널 사용의 불확실성, 가변적인 상향링크-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등으로 인하여,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은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과 동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셀프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가변적인 상향링크-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버스트(또는, 라디오 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종래 상향링크 스케쥴링 방법의 사용은 제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기초한 스케쥴링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아래 스케쥴링 방법들은 셀프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 또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라디오 프레임은 10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은 6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3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 및 1개 특별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의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간 영역 기준으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는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간 영역 기준으로 마지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은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로 분류될 수 있다.
1)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되는 경우,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가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가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은 서로 다른 DCI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는 제1 DCI에 포함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는 제2 DCI에 포함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는 제3 DCI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은 동일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기초하여 스크램블링(scrambling)될 수 있고, 동일한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2)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하나의 공통 필드 및 복수의 개별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공통 필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개별 필드 A,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개별 필드 B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개별 필드 C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필드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자원 블록 할당 정보, MCS, TPC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필드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은 HARQ 프로세스, RV, ND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서브프레임 구조(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구조)에 기초한 스케쥴링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6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지국일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 및 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통신 노드(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S1600).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기초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은 특정 상황(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서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 단계 S1600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최대 개수 등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최대 개수는 "MSF"로 지칭될 수 있다. MSF는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SF는 4일 수 있다.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 MSF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기지국에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1610).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단말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사용을 지원하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이 요청되는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다(S1620). 단말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은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MSF 이하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연속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 내지 #7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필요한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가 설정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가 설정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가 설정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공통 필드 및 복수의 개별 필드들을 포함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설정될 수 있다. 공통 필드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7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필드들 각각은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7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개별 필드 A가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개별 필드 B가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개별 필드 C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HARQ 프로세스 번호, RV, NDI, k, i, 길이 정보, 채널 접속 절차 및 SRS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는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개별 필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MCS, 자원 블록 할당 정보, TPC 명령 등)은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들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의 종류는 앞서 설명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 HARQ 프로세스 번호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만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은 해당 상향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 및 C)를 통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고,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사용하여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을 유추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번호의 증가에 따라 HARQ 프로세스 번호가 증가되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를 통해 획득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1)로 유추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2)로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표 5에 기재된 i를 사용하여 HARQ 프로세서 번호를 유추할 수 있다.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대값이 y인 경우, 단말은 "x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1)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2)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y는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y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y는 16일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실제 값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에 대한 오프셋(offset)(이하,"H0ff"라 함)은 해당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 및 C)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H0ff를 사용하여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을 유추할 수 있다. 여기서, "H0ff=0, 1, 2, …, NSF-1"로 설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서브프레임 번호가 x이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된 H0ff가 1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1)로 유추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서브프레임 번호가 x이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된 H0ff가 2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2)로 유추될 수 있다. 한편,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대값이 y인 경우, 단말은 "x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H0ff(즉, 1))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H0ff(즉, 2))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들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만이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또는, 공통 필드)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은 해당 개별 필드(예를 들어, 개별 필드 B 및 C)를 통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사용하여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을 유추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번호의 증가에 따라 HARQ 프로세스 번호가 증가되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또는, 공통 필드)를 통해 획득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1)로 유추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2)로 유추될 수 있다. 한편,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대값이 y인 경우, 단말은 "x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1)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2)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실제 값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또는, 공통 필드)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에 대한 오프셋(H0ff)은 해당 개별 필드(예를 들어, 개별 필드 A 및 B 및 C)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H0ff를 사용하여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을 유추할 수 있다. 여기서, "H0ff=0, 1, 2, …, NSF-1"로 설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서브프레임 번호가 x이고, 개별 필드 B에 포함된 H0ff가 1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1)로 유추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서브프레임 번호가 x이고, 개별 필드 C에 포함된 H0ff가 2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2)로 유추될 수 있다. 한편,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대값이 y인 경우, 단말은 "x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H0ff(즉, 1))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H0ff(즉, 2))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HARQ 프로세스 번호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 RV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의 RV를 확인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 또는 개별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동일한 RV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공통 필드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RV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에서 서로 다른 RV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RV는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RV는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RV는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의 RV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RV는 NDI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V의 변화 순서가 미리 정의될 수 있고, NDI가 "0"인 경우에 미리 정의된 변화 순서에 따라 RV가 설정될 수 있고, NDI가 "1"인 경우 RV는 초기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변화 순서가 "0→2→1"인 경우,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개별 필드)가 한번 수신되면 해당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RV는 2로 설정될 수 있고,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개별 필드)가 두 번 수신되면 해당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RV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가 "1"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RV를 초기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RV를 "2"로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RV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개별 필드 A가 "1"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RV를 초기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RV를 "2"로 설정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RV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RV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RV를 확인할 수 있다.
■ N
SF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NSF는 MSF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해 동일한 NSF가 설정되므로,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또는,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NSF는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NSF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NSF 대신에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NDI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유효한 HARQ 프로세스 번호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이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1)이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2)이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동일할 수 있다. 즉, MSF가 4이고, NSF가 3인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이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중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예를 들어, x, (x+1) 또는 (x+2))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유효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 이전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유효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HARQ 프로세스 번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유효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이므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3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NDI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즉,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유추하기 위해, NDI는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예에서, 단말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NDI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1"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을 위한 NDI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4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을 위한 NDI가 "1"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3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 l, k, i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 시점과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 시점 간의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l은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은 4로 설정될 수 있다.
l은 단계 S1600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해 동일한 l이 설정되므로,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l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일반적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n+l) 내지 #(n+l+(NSF-1)) 전송이 스케쥴링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환경(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구조 등)으로 인해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n+l) 전송이 스케쥴링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스케쥴링은 k만큼 지연될 수 있다.
이 경우, k는 스케쥴링 지연 오프셋을 지시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k는 서브프레임#(n+l)과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실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n+l+k)) 간의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즉, k는 서브프레임#(n+1)부터의 스케쥴링 지연 오프셋일 수 있다. k는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k의 최대값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의 최대값은 8 또는 16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해 동일한 k가 설정되므로, 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k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k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적용 시점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라디오 프레임은 10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은 6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3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 및 1개 특별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브프레임#5 및 #6의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P(즉, l+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P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l이 고정된 값인 경우, P는 "l 및 k"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4"인 경우, P는 "l=4 및 k=1"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또는, l이 가변적인 값인 경우, P는 l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즉, l은 5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i=0, 1, …, NSF-1"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위한 i는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두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위한 i는 "1"로 설정될 수 있고, 마지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위한 i는 "NSF-1"로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순서에 따라 i를 추정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필드 A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는 "1"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는 "2"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l, k 및 i를 사용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공통 필드, 개별 필드)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지시할 수 있고, 단말은 l, k 및 i를 사용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공통 필드, 개별 필드)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는 "0"으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또는, "4"로 설정된 l, "0"으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는 "1"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또는, "4"로 설정된 l, "1"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는 "2"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또는, "4"로 설정된 l, "2"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l, k 및 i에 기초하여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가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가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공통 필드는 "0"으로 설정된 k(또는, "4"로 설정된 l 및 "0"으로 설정된 k)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A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는 "1"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는 "2"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l, k 및 i에 기초하여 단말은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 A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가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 B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가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 C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은 i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순서에 따라 i를 추정할 수 있고, l, k 및 추정된 i에 기초하여 개별 필드들 각각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서브프레임#(n+l+k+i)가 스케쥴링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이 10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n+l+k+i mod 10"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l, k 및 i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l, k 및 i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 길이 정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을 위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쥴링되는 경우, 길이 정보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는 "길이 타입 1"으로 지칭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는 "길이 타입 2"로 지칭될 수 있다.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8은 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0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도 10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18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800)에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는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8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9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900)에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는 슬롯#0의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예를 들어, 25㎲)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예를 들어, 25㎲)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9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0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000)에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는 슬롯#0의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예를 들어, (25+TA)㎲)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예를 들어, (25+TA)㎲)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000)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TA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또는 다른 값을 지시할 수 있다. 도 21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100)에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는 슬롯#0의 심볼#1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1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100)을 설정할 수 있다.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 길이 타입 1은 아래 표 6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22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3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도 10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22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200)에서,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는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2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3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300)에서,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는 슬롯#1의 심볼#5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부터 슬롯#1의 심볼#5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300)을 설정할 수 있다.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는 "길이 타입 1"은 아래 표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길이 타입 1"은 시작 위치 필드 및 종료 위치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 필드는 표 6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 필드는 표 7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 "길이 타입 2"는 표 6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는 "길이 타입 2"는 표 7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길이 타입 2"는 시작 위치 필드 및 종료 위치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는 표 6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는 표 7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길이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길이 타입 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길이 타입 1"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14개 SC-FDMA 심볼들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길이 타입 1"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 필드가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시작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 필드가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종료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길이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길이 타입 2"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길이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길이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길이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된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된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가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시작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가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종료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및 "길이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길이 타입 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길이 타입 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14개 SC-FDMA 심볼들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 필드가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시작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 필드가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종료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및 "길이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길이 타입 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를 위해 동일한 "길이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에서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동일한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길이 타입 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가 동일하게 설정되고,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B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C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B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C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가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시작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가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종료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길이 타입 1"을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는 "길이 타입 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공통 필드는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와 개별 필드 A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슬롯#0의 심볼#0과 개별 필드 B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슬롯#0의 심볼#0과 개별 필드 C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공통 필드는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개별 필드 A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와 슬롯#1의 심볼#6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와 슬롯#1의 심볼#6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와 공통 필드의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채널 접속 관련 정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수신된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에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채널(또는, 슬롯)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는 LBT 절차일 수 있다.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채널 상태가 비지 상태인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이하, "접속 지시자"라고 함),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타입 2) 및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지시자는 "접속 지시자 타입 1" 및 "접속 지시자 타입 2"로 분류될 수 있다. "접속 지시자 타입 1"은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접속 지시자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접속 지시자 타입 1"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동일한 "접속 지시자 타입 1"이 설정되므로, "접속 지시자 타입 1"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접속 지시자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동일한 "접속 지시자 타입 2"가 설정되는 경우,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접속 지시자 타입 2"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및 "접속 지시자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접속 지시자 타입 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및 "접속 지시자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동일한 "접속 지시자 타입 2"가 설정되는 경우,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설정된 경우,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접속 지시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접속 지시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접속 지시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0"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1", "10" 및 "11" 중에서 하나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종료 위치가 표 7의 "0"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종료 위치가 표 7의 "1"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은 타입 1 및 타입 2로 분류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경쟁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값을 선택할 수 있고, 백오프 값에 대응하는 구간(duration)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백오프 값에 대응하는 구간 + 연기 구간(defer duration)"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경쟁 윈도우는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아래 표 8에 기초하여 경쟁 윈도우를 결정할 수 있고, 선택된 경쟁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값을 선택할 수 있다. CWmin은 해당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서 경쟁 윈도우의 최소값을 지시할 수 있고, CWmax는 해당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서 경쟁 윈도우의 최대값을 지시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특정 구간(예를 들어, 25㎲)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특정 구간 + 추가 구간"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의 전송을 위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입 2"가 사용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1" 또는 "10"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 타입 2"가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11"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 타입 1"이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종료 위치가 표 7의 "1"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 타입 1"이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아래 표 9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표 9에서 현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개별 필드)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동일한 경우,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동일한 경우,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서로 다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타입 1"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1", "10" 및 "11"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슬롯#0의 심볼#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2"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1", "10" 및 "11"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현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슬롯#0의 심볼#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채널 접속 관련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채널 접속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SRS
인덱스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SRS가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SRS 인덱스는 아래 표 10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SRS 인덱스가 "00", "01" 및 "10"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을 통해 S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SRS 인덱스가 오직 "01"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5를 통해 SRS를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및 #6을 통해 SR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서 SRS 요청과 SRS 인덱스는 하나의 필드(이하, "SRS 필드"라 함)로 구성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SRS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SRS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SRS 전송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SRS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SRS 인덱스(또는, SRS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00"으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01"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10"으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SRS 인덱스(또는, SRS 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SRS 인덱스(또는, SRS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들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00"으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A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01"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B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10"으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C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SRS 인덱스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SRS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를 생성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RNTI에 기초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의 포맷(format)은 0A, 0B, 4A 또는 4B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들 각각을 위한 DCI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를 위한 DCI가 생성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를 위한 DCI가 생성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를 위한 DCI가 생성될 수 있다. DCI들(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은 동일한 RNTI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들을 위한 하나의 DCI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공통 필드, 개별 필드 A, 개별 필드 B 및 개별 필드 C를 포함하는 하나의 DCI가 생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PDCCH/EPDCCH를 통해 DCI를 전송할 수 있다(S1630). 단말은 PDCCH/EPDCCH를 모니터링(또는, 검출)함으로써 DCI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DCI로부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획득할 수 있다(S1640). 여기서, 단말은 RNTI를 기초로 DCI(즉,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RNTI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RNTI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즉, 공통 필드, 개별 필드 A, B 및 C)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존 상향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650). 도 15에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의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채널 접속 관련 정보 또는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의 전송 전에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관련 정보, 길이 정보 등에 기초하여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 및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에서 확인된 타입에 기초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슬롯#0의 심볼#0(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3의 슬롯#1의 심볼#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전송은 별도의 채널 접속 절차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슬롯#0의 심볼#0(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3의 슬롯#1의 심볼#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슬롯#0의 심볼#0(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슬롯#1의 심볼#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슬롯#0의 심볼#0(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슬롯#1의 심볼#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채널 접속 절차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판단된 경우 또는 채널 접속 절차 없이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NSF, l, k 및 i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표 6 및 표 7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길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SRS 인덱스에 기초하여 S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표 10에 기초하여 S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서브프레임 번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접속 절차에 의해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계 S1620에서 설정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