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347A - 부체식 플랩 게이트 - Google Patents
부체식 플랩 게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8347A KR20170088347A KR1020177013651A KR20177013651A KR20170088347A KR 20170088347 A KR20170088347 A KR 20170088347A KR 1020177013651 A KR1020177013651 A KR 1020177013651A KR 20177013651 A KR20177013651 A KR 20177013651A KR 20170088347 A KR20170088347 A KR 201700883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body
- bottom metal
- resin plate
- end side
- fil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out-buildings or cellars; Other simple closures not designed to be close-fit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38—Rolling gates or gates moving horizontally in their own plane, e.g. by sli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 E05Y2900/60—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Barrag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G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간략화와 아울러, 도어체의 제작정밀도와 조립정밀도를 저감시켜서 제작공수를 삭감한다.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의 노면(rs)에 설치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1)이다. 도어체(4)의 기단측에 설치되는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를, 도어체(4)의 기단부(4a)에 설치되는 저부철물(5)과, 도어체(4)의 기립 시에 도어체(4)를 지탱하는 수지 플레이트(6)와, 저부철물(5) 및 수지 플레이트(6)를 덮는 지수막(13)과, 지수막(13)에 있어서 저부철물(5)을 덮는 부분에 부착되는 제1가압판(14)과, 지수막(13)에 있어서 수지 플레이트(6)를 덮는 부분에 부착되는 제2가압판(16)으로 구성한다. 저부철물(5)은 도어체(4)의 폭과 동일한 길이이고, 도어체(4)의 표면(4d)에 있어서 기단측 모서리부의 돌출부(5b)에 볼록원호모양면(5a)을 형성한다. 수지 플레이트(6)는 저부철물(5)과 동일한 길이이고, 저부철물(5)의 볼록원호모양면(5a)과 합치하는 오목원호모양면(6a)을 갖는다.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의 노면(rs)에 설치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1)이다. 도어체(4)의 기단측에 설치되는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를, 도어체(4)의 기단부(4a)에 설치되는 저부철물(5)과, 도어체(4)의 기립 시에 도어체(4)를 지탱하는 수지 플레이트(6)와, 저부철물(5) 및 수지 플레이트(6)를 덮는 지수막(13)과, 지수막(13)에 있어서 저부철물(5)을 덮는 부분에 부착되는 제1가압판(14)과, 지수막(13)에 있어서 수지 플레이트(6)를 덮는 부분에 부착되는 제2가압판(16)으로 구성한다. 저부철물(5)은 도어체(4)의 폭과 동일한 길이이고, 도어체(4)의 표면(4d)에 있어서 기단측 모서리부의 돌출부(5b)에 볼록원호모양면(5a)을 형성한다. 수지 플레이트(6)는 저부철물(5)과 동일한 길이이고, 저부철물(5)의 볼록원호모양면(5a)과 합치하는 오목원호모양면(6a)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증수(增水) 시에 증수된 물이 건물이나 지하공간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의 노면(路面)에 설치하고, 증수 시에 도어체(door體)를 기립(起立)시켜서 상기 입구부분을 차단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浮體式 flap gate)에 관한 것이다.
증수 시에 증수된 물이 건물이나 지하공간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의 노면에, 당해 입구부분을 차단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는, 도어체에 부력 형성부(浮力 形成部)를 설치한 구성이고,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으로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수압(水壓)과 도어체 자체의 부력을 이용하여 도어체가 기립되어, 당해 입구부분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도어체는, 노면 또는 노면에 설치된 받침대에, 도어체의 폭방향 2군데에 설치된 힌지(hinge)를 통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그러나 상기 힌지에 의하여 도어체를 기립시키는 구조의 경우에, 구조의 복잡화에 의하여 높은 제작정밀도나 조립정밀도가 필요하게 되어 제작공수가 증가된다. 또한 도어체에 작용하는 하중이 힌지부에 집중되기 때문에, 도어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높은 강도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노면 또는 노면에 설치된 받침대에, 힌지를 통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어체를 설치한 부체식 플랩 게이트는, 구조의 복잡화에 의하여 제작공수가 증가된다는 점이다. 또한 힌지부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도어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높은 강도가 필요하게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작용하는 하중이 도어체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도어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간략화함과 아울러, 도어체의 피벗지지부 구조의 간략화에 의하여 제작정밀도와 조립정밀도를 저감시켜서 제작공수를 삭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증수 시에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부분의 노면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물의 방향으로 높이방향의 평면 내에서, 도어체의 선단측이 기단측을 지점으로 하여 기립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체식 플랩 게이트로서,
상기 도어체의 기단측에 설치되는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를, 하기의, 저부철물, 수지 플레이트, 지수막, 제1가압판, 제2가압판으로 구성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저부철물은, 상기 도어체의 기단측의 단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고, 도복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모서리부에 볼록원호모양면을 형성하고 있다.
수지 플레이트는, 도어체의 기립 시에 상기 저부철물의 상기 볼록원호모양면을 형성한 부분의 받침좌로 되어 도어체를 지탱하는 것으로, 상기 저부철물과 동일한 길이이고, 상기 저부철물의 상기 볼록원호모양면과 합치하는 오목원호모양면을 갖고 있다.
지수막은, 상기 저부철물 및 수지 플레이트의 표면측에, 이들 저부철물 및 수지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가압판은, 상기 지수막에 있어서 상기 저부철물을 덮는 부분을, 상기 저부철물에 일체적으로 끼우도록, 상기 저부철물의 표면측에 부착된다.
제2가압판은, 상기 지수막에 있어서 상기 수지 플레이트를 덮는 부분을, 상기 수지 플레이트 또는 상기 도어체의 기단측에 배치된 기대에 일체적으로 끼우도록, 상기 수지 플레이트의 표면측에 부착된다.
상기의 본 발명에서는, 도어체의 기단측의 단부에 부착되는, 도어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저부철물의 볼록원호모양면을 형성한 부분을, 이 볼록원호모양면과 합치하는 오목원호모양면을 갖는 저부철물과 동일한 길이의 수지 플레이트가 받침좌로 되어 도어체를 피벗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체의 하중을 분산시켜서 피벗지지할 수 있어, 도어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의 피벗지지부를, 저부철물과, 수지 플레이트와, 이들 저부철물 및 수지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된 지수막과, 이 지수막을, 상기 저부철물이나 수지 플레이트 또는 기대에 일체적으로 끼우는 제1, 2가압판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피벗지지부의 구성이 간략화되어 제작정밀도와 조립정밀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제작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체의 하중을 분산시켜서 피벗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피벗지지부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정밀도와 조립정밀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제작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전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기단측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기립회전의 피벗지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4는, 기립 시의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에 있어서, 도어체의 중량을 수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의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5는, 기립 시의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에 있어서, 수압하중을 받아서 도어체가 부상한 경우에 당해 수압하중의 지지상태를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의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6은, 지수막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기단측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기립회전의 피벗지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4는, 기립 시의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에 있어서, 도어체의 중량을 수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의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5는, 기립 시의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에 있어서, 수압하중을 받아서 도어체가 부상한 경우에 당해 수압하중의 지지상태를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의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6은, 지수막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어체(door體)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여 도어체의 프레임(frame)을 간략화함과 아울러, 제작정밀도와 조립정밀도를 저감시켜서 제작공수를 삭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목적을, 도어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저부철물(底部鐵物)의 볼록원호모양면을 형성한 부분을, 이 볼록원호모양면과 합치하는 오목원호모양면을 갖는 저부철물과 동일한 길이의 수지 플레이트(樹脂 plate)가 받침좌(receiving seat)로 되어, 도어체의 기단측(基端側)의 단부(端部)를 피벗지지(pivot支持)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실현하였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1∼도5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浮體式 flap gate)의 전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기단측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기립회전(起立回轉)의 피벗지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1∼도3에 있어서, 1은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이다. 이 부체식 플랩 게이트(1)는, 예를 들면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에 설치된 측부 도어스톱(側部 doorstop)(2)의 사이의 노면(路面)(rs)에, 통상은 도복(倒伏)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부체식 플랩 게이트(1)는, 부력 형성부(浮力 形成部)를 설치한 도어체(4)의 기단측의 단부(端部)(4a)를 지점으로 하여 선단측(先端側)의 단부(4b)를,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으로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수압(水壓)을 이용하여 무동력(無動力)으로 기립회전시켜서 상기 입구부분을 수밀상태(水密狀態)로 차단한다. 이하, 도어체(4)의 기단측의 단부(4a)를 기단부(基端部)(4a)라고 한다. 또한 선단측의 단부(4b)를 선단부(先端部)(4b)라고 한다.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1)는, 도어체(4)의 기단부(4a)에 설치되는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를,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5는 도어체(4)의 기단부(4a)에 있어서의 끝면(4aa)과, 도복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체(4)의 표면(4d)을 접하게 하여 수밀상태로 부착한 예를 들면 L자 모양의 저부철물(底部鐵物)이고, 도어체(4)의 폭방향 전역에 존재하도록 도어체(4)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저부철물(5)의 도어체(4)의 표면(4d)을 접하게 하는 부분을 도어체(4)의 선단부(4b)와 반대방향으로 돌출시키고, 돌출시킨 부분의 노면(rs)과 마주 대하는 측에 볼록원호모양면(5a)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볼록원호모양면(5a)을 형성한 상기 돌출시킨 부분을, 이하에서는 돌출부(5b)라고 한다.
6은 상기 저부철물(5)의 상기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수지 플레이트이고, 상기 저부철물(5)의 상기 볼록원호모양면(5a)과 마주 대하는 면을, 상기 볼록원호모양면(5a)과 합치하는 오목원호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하, 이 오목원호모양으로 형성한 면을 오목원호모양면(6a)이라고 한다.
도1∼도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복상태의 도어체(4)는, 도어체(4)의 이면(裏面)(4c)의 선단측과 기단측을, 도어체(4)의 폭방향(도1∼도3에 있어서 지면(紙面)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된 도어체 받침재(11)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다. 이 도어체 받침재(11)는, 도어체(4)의 받침면(11a)과, 이 받침면(11a)의 반대측에 설치된 나사축(1lb)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어체(4)의 기단측에 설치된 기대(基臺)(8)와 상기 도어체(4)의 선단측에 설치된 도어체 선단받침재(7)의 높이방향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수평재(水平材)(9)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암나사부재(10)에, 상기 나사축(1lb)을 나사결합하여 높이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복상태의 도어체(4)의 선단측과 접촉하고 있는 상기 도어체 선단받침재(7) 및 상기 도어체(4)의 기단측에 설치된 상기 기대(8)는, 도어체(4)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그런데 상기 수지 플레이트(6)는, 상기 수평재(9)에 배치된 수지 플레이트 받침재(12) 위에 재치(載置)되고, 도어체(4)가 도어체 받침재(11)에 의하여 지지된 도복상태에서는, 그 오목원호모양면(6a)과 상기 저부철물(5)의 볼록원호모양면(5a)과의 사이에 간극(s)을 갖고 있다(도3을 참조).
13은, 상기 저부철물(5) 및 상기 수지 플레이트(6)를 덮어서 상기 저부철물(5)과 수지 플레이트(6)의 상기 간극(s), 수지 플레이트(6)와 기대(8) 사이 등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저부철물(5)과 상기 수지 플레이트(6)의 표면(5c, 6b)에 배치된 지수막(止水膜)이다.
이 지수막(13)은, 상기 저부철물(5)을 덮은 부분에 제1가압판(第1加壓板)(14)을 배치하고, 이 제1가압판(14)과, 지수막(13) 및 상기 저부철물(5)을 예를 들면 볼트(15)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체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수막(13)에 있어서 상기 수지 플레이트(6)를 덮은 부분에 제2가압판(16)을 배치하고, 이 제2가압판(16)과, 지수막(13) 및 예를 들면 기대(8)를 볼트(15)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체결하고 있다.
이 제2가압판(16)은, 도어체(4)의 기립 시에 도어체(4)가 수압하중을 받아서 부상하였을 때에는, 상기 지수막(13)을 통하여 상기 저부철물(5)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가압판측의 단부(端部)(16a)가 상기 저부철물(5)의 돌출부(5b)의 상방에 도달하는 것과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1)에서는, 물의 유입에 의하여 도어체(4)가 기립된 경우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플레이트(6)의 오목원호모양면(6a)이 저부철물(5)의 돌출부(5b)의 받침좌로 되어, 화살표로 나타낸 위치에서 도어체(4)의 중량을 지탱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저부철물(5)과 지수막(13)이 힌지(hinge) 기능을 발휘한다.
한편 기립상태의 도어체(4)가 수압하중을 받아서 부상되면,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압하중을 받은 도어체(4)는 제2가압판(16)에 있어서 제1가압판측의 단부(16a)(화살표로 나타낸 위치)에서 지지되게 된다.
수압하중을 받은 도어체(4)의 이러한 지지상태에서는, 지수막(13)은 인장하중(引張荷重)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지수막(13)이 인장하중을 받았을 경우에 신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섬유가 포함된 지수막(1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수막(13)에는 인장하중과 함께 인발하중(引拔荷重)이 작용하기 때문에, 지수막(13)에 있어서 도어체(4)의 선단측 및 기단측의 단부(13a)를 중앙부분보다 두껍게 한 형상으로 하여 인발하중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도,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이면, 적절하게 실시형태를 변경하더라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지수막(13)은,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강도를 갖는 섬유막(13b)과, 지수성능을 갖는 고무막(13c)의 이중구조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1)를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1)는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조벽 또는 방파제의 개구부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1 : 부체식 플랩 게이트
4 : 도어체
4a : 기단부
4b : 선단부
4d : 표면
5 : 저부철물
5a : 볼록원호모양면
5b : 돌출부
5c : 표면
6 : 수지 플레이트
6a : 오목원호모양면
6b : 표면
8 : 기대
13 : 지수막
14 : 제1가압판
16 : 제2가압판
16a : 단부
rs : 노면
s : 간극
4 : 도어체
4a : 기단부
4b : 선단부
4d : 표면
5 : 저부철물
5a : 볼록원호모양면
5b : 돌출부
5c : 표면
6 : 수지 플레이트
6a : 오목원호모양면
6b : 표면
8 : 기대
13 : 지수막
14 : 제1가압판
16 : 제2가압판
16a : 단부
rs : 노면
s : 간극
Claims (3)
- 증수(增水) 시에 건물이나 지하공간의 입구부분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부분의 노면(路面)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물의 방향으로 높이방향의 평면 내에서, 도어체(door體)의 선단측(先端側)이 기단측(基端側)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기립회전(起立回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체식 플랩 게이트(浮體式 flap gate)로서,
상기 도어체의 기단측에 설치되는 기립회전의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를,
상기 도어체의 기단측의 단부(端部)에 부착되고, 도복상태(倒伏狀態)에 있는 상기 도어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모서리부에 볼록원호모양면을 형성한, 상기 도어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저부철물(底部鐵物)과,
이 저부철물의 상기 볼록원호모양면과 합치하는 오목원호모양면을 갖고, 도어체의 기립 시에 상기 볼록원호모양면을 형성한 부분의 받침좌(receiving seat)로 되어 도어체를 지탱하는, 상기 저부철물과 동일한 길이의 수지 플레이트(樹脂 plate)와,
상기 저부철물 및 수지 플레이트의 표면측에, 이들 저부철물 및 수지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된 지수막(止水膜)과,
이 지수막에 있어서 상기 저부철물을 덮는 부분을 상기 저부철물에 일체적으로 끼우도록, 상기 저부철물의 표면측에 부착되는 제1가압판(第1加壓板)과,
상기 지수막에 있어서 상기 수지 플레이트를 덮는 부분을 상기 수지 플레이트 또는 상기 도어체의 기단측에 배치된 기대(基臺)에 일체적으로 끼우도록, 상기 수지 플레이트의 표면측에 부착되는 제2가압판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
- 제1항에 있어서,
기립된 도어체가 수압하중(水壓荷重)에 의하여 부상되었을 때에, 상기 제2가압판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판측의 단부에서, 상기 지수막을 통하여 상기 도어체를 지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어체의 도복 시에 상기 저부철물의 볼록원호모양면과 상기 수지 플레이트의 오목원호모양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241559 | 2014-11-28 | ||
JP2014241559A JP6438282B2 (ja) | 2014-11-28 | 2014-11-28 |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
PCT/JP2015/073191 WO2016084433A1 (ja) | 2014-11-28 | 2015-08-19 |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8347A true KR20170088347A (ko) | 2017-08-01 |
Family
ID=5607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3651A Withdrawn KR20170088347A (ko) | 2014-11-28 | 2015-08-19 | 부체식 플랩 게이트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10458086B2 (ko) |
EP (1) | EP3225772A4 (ko) |
JP (1) | JP6438282B2 (ko) |
KR (1) | KR20170088347A (ko) |
CN (1) | CN107002453B (ko) |
AU (1) | AU2015351723B2 (ko) |
MY (1) | MY176264A (ko) |
PH (1) | PH12017500951A1 (ko) |
SG (1) | SG11201704208XA (ko) |
TW (1) | TWI673410B (ko) |
WO (1) | WO20160844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38707B2 (ja) | 2016-09-30 | 2020-08-12 | 日立造船株式会社 | 起伏ゲートの回転支承および起伏ゲート |
JP7116586B2 (ja) * | 2018-05-11 | 2022-08-10 | 日立造船株式会社 | 起伏ゲートの設置方法 |
JP6814318B1 (ja) * | 2019-11-13 | 2021-01-13 | コリ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オーシャン サイエンス テクノロジー | 自己回転式高潮及び波浪防護壁 |
CN115075202B (zh) * | 2022-07-07 | 2024-10-15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上下扉式挡潮闸门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148836A5 (ko) * | 1971-08-05 | 1973-03-23 | Aubert J | |
GB1415525A (en) * | 1972-09-11 | 1975-11-26 | Maunsell Partners Pty Ltd | Flap-type dock gate and a dock having such a gate |
JPS605739B2 (ja) | 1981-08-27 | 1985-02-13 | ハンド−ザ−工業株式会社 | 掘削機 |
US4787774A (en) * | 1987-07-01 | 1988-11-29 | Grove William M | Fluid control apparatus |
JP3605739B2 (ja) * | 1995-11-15 | 2004-12-22 | 豊国工業株式会社 | 防水扉の起立装置 |
JPH10121444A (ja) | 1996-10-18 | 1998-05-12 | Kaisei Kogyo Kk | 水路のゲート装置 |
JPH10252043A (ja) * | 1997-03-12 | 1998-09-22 | Kaisei Kogyo Kk | 逆流防止ゲート |
JP2000319858A (ja) * | 1999-05-06 | 2000-11-21 | Tsutomu Odawara | 浮力による止水板 |
US6514011B2 (en) * | 1999-12-22 | 2003-02-04 | Yasuhiro Nomura | Movable water-protection apparatus |
JP2001200524A (ja) | 2000-01-19 | 2001-07-27 | Kaisei Kogyo Kk | 水路用ゲート装置 |
CA2982972C (en) * | 2001-07-09 | 2019-01-29 | Henry K. Obermeyer | 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
DE10302744A1 (de) * | 2003-01-24 | 2004-07-29 | Reh, Karl-Heinz, Dipl.-Ing. | Hochwasserschutzwand |
CN2820957Y (zh) * | 2005-06-16 | 2006-09-27 |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 | 下卧式旋转浮体闸门 |
CN102086640A (zh) | 2009-12-08 | 2011-06-08 | 颜可仁 | 自动与水位高程同步防洪墙 |
JP5329452B2 (ja) | 2010-01-27 | 2013-10-30 | 日立造船株式会社 |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
JP5816950B2 (ja) | 2010-09-17 | 2015-11-18 | 日本エフ・アール・ピー株式会社 | 構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ティング防水扉の構造 |
JP5580785B2 (ja) * | 2011-06-21 | 2014-08-27 | 日立造船株式会社 |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
CN103243689A (zh) | 2013-05-07 | 2013-08-14 | 苏州正欣泰自动化系统有限公司 | 液压活动坝止水系统 |
-
2014
- 2014-11-28 JP JP2014241559A patent/JP6438282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8-19 WO PCT/JP2015/073191 patent/WO201608443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8-19 SG SG11201704208XA patent/SG11201704208XA/en unknown
- 2015-08-19 US US15/528,696 patent/US1045808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8-19 CN CN201580064233.0A patent/CN10700245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8-19 AU AU2015351723A patent/AU2015351723B2/en not_active Ceased
- 2015-08-19 EP EP15862542.6A patent/EP322577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5-08-19 MY MYPI2017701823A patent/MY176264A/en unknown
- 2015-08-19 KR KR1020177013651A patent/KR2017008834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5-11-09 TW TW104136785A patent/TWI673410B/zh active
-
2017
- 2017-05-24 PH PH12017500951A patent/PH12017500951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SG11201704208XA (en) | 2017-06-29 |
US10458086B2 (en) | 2019-10-29 |
TWI673410B (zh) | 2019-10-01 |
WO2016084433A1 (ja) | 2016-06-02 |
JP2016102344A (ja) | 2016-06-02 |
TW201619472A (zh) | 2016-06-01 |
PH12017500951A1 (en) | 2017-10-02 |
AU2015351723B2 (en) | 2020-02-27 |
EP3225772A4 (en) | 2018-07-18 |
AU2015351723A1 (en) | 2017-06-08 |
CN107002453A (zh) | 2017-08-01 |
EP3225772A1 (en) | 2017-10-04 |
JP6438282B2 (ja) | 2018-12-12 |
US20170292238A1 (en) | 2017-10-12 |
MY176264A (en) | 2020-07-24 |
CN107002453B (zh) | 2019-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88347A (ko) | 부체식 플랩 게이트 | |
US10337229B2 (en) | Hinge | |
CN107407115B (zh) | 门铰链组件 | |
ITTV20120105A1 (it) | Cerniera a scomparsa per ante di mobili e serramenti | |
KR20120002826U (ko) | 승강식 가동보 | |
CN103696621A (zh) | 静音扣盒 | |
CN102037205B (zh) | 具有手指防夹机构的全玻璃门结构设置 | |
EP3521513B1 (en) | Flap gate with rotation bearing | |
KR101117389B1 (ko) |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수문 | |
JP2016102344A5 (ko) | ||
JP2013238091A (ja) | 浮体式陸閘ゲート | |
KR101760566B1 (ko) |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 |
CN209891164U (zh) | 一种底横轴钢坝闸门的锁止机构 | |
KR200401338Y1 (ko) | 받침틀식 가동보 | |
CN215565240U (zh) | 一种隐藏式三轴可调节的偏心轴连接装置 | |
JP4115380B2 (ja) | ピアレス型ゲート | |
CN219809033U (zh) | 一种煤矿用井下风门 | |
CN217841484U (zh) | 分段门机头摆动连接件 | |
JP6687920B2 (ja) | 二軸ヒンジ、およびその二軸ヒンジを備えた止水扉、並びに二軸ヒンジを用いた扉の取り付け方法 | |
CN113338737B (zh) | 一种隐藏式三轴可调节的偏心轴连接装置 | |
CN216921768U (zh) | 一种抽屉式分体可调节的天地铰链组件 | |
CN211526495U (zh) | 燃气灶用安装支架、燃气灶底壳及燃气灶 | |
CN210827485U (zh) | 一种钢支撑伺服系统的快速更换装置 | |
CN209097823U (zh) | 辊定位结构 | |
CN106193126A (zh) | 地下室集水井检修用盖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5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