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87629A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629A
KR20170087629A KR1020160007430A KR20160007430A KR20170087629A KR 20170087629 A KR20170087629 A KR 20170087629A KR 1020160007430 A KR1020160007430 A KR 1020160007430A KR 20160007430 A KR20160007430 A KR 20160007430A KR 20170087629 A KR20170087629 A KR 20170087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ize
width
length
pulveriz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096B1 (ko
Inventor
김행범
Original Assignee
옥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윤선 filed Critical 옥윤선
Priority to KR102016000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0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0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가로 세로 1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폐스펀지를 가로 세로 0.5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폐종이를 가로 세로 1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폐플라스틱, 폐스펀지, 폐종이를 각각 50:3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재료와 물풀을 100: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배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합재료를 80cm*60cm*10cm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 성형틀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의 전체 표면에 1cm의 두께로 우레탄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성형물의 전면에 다수의 흡음홀을 형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폐자재를 재활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soundfroof using wasteplastic}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폐자재를 재활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에 따른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도로변 또는 건설현장이나 공장 등과 같은 소음원의 주변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새오할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하기 위해 상기 소음원의 주변으로 방음벽이 설치된다.
종래의 방음벽은 단순히 소음원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 및 반사시키는 판넬형 구조로 형성되어 소음원에서 발생되는 소음 특히 저주파 대역의 소음을 충분히 제거하는데 미흡하고, 소음을 반사시킴으로 인해 반대편의 소음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허공개 제2000-58103호, 특허등록 제412068호 등 방음벽에 음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다수의 기공을 형성한 형태의 방음벽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들은 방음벽의 구조가 복잡하고, 방음벽 1개당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폐자재를 재활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은,
폐플라스틱을 가로 세로 1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폐스펀지를 가로 세로 0.5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폐종이를 가로 세로 1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폐플라스틱, 폐스펀지, 폐종이를 각각 50:3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재료와 물풀을 100: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배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합재료를 80cm*60cm*10cm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 성형틀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의 전체 표면에 1cm의 두께로 우레탄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성형물의 전면에 다수의 흡음홀을 형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폐자재를 재활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은,
폐플라스틱을 가로 세로 1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폐스펀지를 가로 세로 0.5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폐종이를 가로 세로 1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폐플라스틱, 폐스펀지, 폐종이를 각각 50:3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재료와 물풀을 100: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배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합재료를 80cm*60cm*10cm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 성형틀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의 전체 표면에 1cm의 두께로 우레탄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성형물의 전면에 다수의 흡음홀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폐플라스틱은 방음판의 방흠효과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것으로 정육면체 형상으로 분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스펀지 및 상기 폐종이는 흡음효과의 증대를 위한것으로 상기 배합공정에 의해 상기 폐플라스틱과 결합된다.
상기 흡음홀은 소음원에서 발생된 소음이 방음판의 내부로 흡수되기 용이하도록 우레탄코팅층과 상기 성형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타면의 흡음홀에 간섭되지 않도록 그 깊이는 6cm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흡음홀은 음파의 증폭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면의 흡음홀과 타면의 흡음홀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1)

  1. 폐플라스틱을 가로 세로 1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폐스펀지를 가로 세로 0.5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폐종이를 가로 세로 1c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폐플라스틱, 폐스펀지, 폐종이를 각각 50:3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재료와 물풀을 100: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배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합재료를 80cm*60cm*10cm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 성형틀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의 전체 표면에 1cm의 두께로 우레탄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성형물의 전면에 다수의 흡음홀을 형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
KR1020160007430A 2016-01-21 2016-01-21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9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30A KR101793096B1 (ko) 2016-01-21 2016-01-21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30A KR101793096B1 (ko) 2016-01-21 2016-01-21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629A true KR20170087629A (ko) 2017-07-31
KR101793096B1 KR101793096B1 (ko) 2017-11-02

Family

ID=5941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4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3096B1 (ko) 2016-01-21 2016-01-21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59B1 (ko) * 2019-02-11 2020-08-28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폐자재를 이용한 흡차음 융복합 방음벽 및 그 제조방법
KR102486235B1 (ko) * 2022-05-26 2023-01-11 주식회사 대지이엔씨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방음성능이 향상된 흡음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40B1 (ko) 2006-12-07 2008-03-19 백태현 차음 효과를 갖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0873926B1 (ko) 2007-12-28 2008-12-12 (주)모성 폐자재를 이용한 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59B1 (ko) * 2019-02-11 2020-08-28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폐자재를 이용한 흡차음 융복합 방음벽 및 그 제조방법
KR102486235B1 (ko) * 2022-05-26 2023-01-11 주식회사 대지이엔씨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방음성능이 향상된 흡음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096B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Sound absorbing properties of perforated composite panels of recycled rubber, fiberboard sawdust,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KR20220148916A (ko) 패널 및 패널 제조 방법
US11542712B2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NL2029176B1 (en)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KR101793096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방음판 제조방법
CN202081977U (zh) 汽车发动机下隔音罩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102204332B1 (ko) 친환경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RU2011151655A (ru)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ая слоистая акустическая структура обивки кузова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72866Y1 (ko) 방음벽용 패널 흡음재
US20190013002A1 (en) Structural laminate sound barrier
KR200399170Y1 (ko) 소음차단제
KR101409611B1 (ko) 제지슬러지 성형체의 제조방법
KR20060097228A (ko) 복합방음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90033Y1 (ko) 고흡음성을 갖는 방음판
KR200376033Y1 (ko) 소음 방지재
KR100700640B1 (ko) 소음 방지재
CN106120587B (zh) 组合式自动调节声屏障
KR101565049B1 (ko) 차음용 층간 바닥재
KR101748231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CN204311645U (zh) 一种组合式隔音墙板
JP3259256B2 (ja) 高性能遮音材
KR20180063644A (ko) 목재 수피 방음 매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77798A (ko) 왕겨를 포함하는 능동 제어 흡음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20080042424A (ko) 건식 흡음재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61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