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821A - Toilet bowl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Toilet bowl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3821A KR20170083821A KR1020160003171A KR20160003171A KR20170083821A KR 20170083821 A KR20170083821 A KR 20170083821A KR 1020160003171 A KR1020160003171 A KR 1020160003171A KR 20160003171 A KR20160003171 A KR 20160003171A KR 20170083821 A KR20170083821 A KR 201700838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water
- water tank
- dehumidifier
- mois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000010 microbial pathogen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6—Realisations of and provisions for preventing "sweating" of cister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를 포함하되, 물탱크에 포함된 물을 사용하여 사람의 용변을 하수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양변기, 및 양변기와 연동되는 제습기를 포함하되, 제습기는, 습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입구와 습기가 제거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본체부내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장착되고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를 뽑아내어 물탱크로 제공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용 욕실은 물론이고 사우나, 목욕탕 화장실 등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양변기에 제습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 습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습기 제거를 통해 생성된 응축수를 양변기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에 의해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comprising a water tank, a toilet seat for moving a person's toilet to a sewer pipe us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and a dehumidifier interlocked with the toilet seat, ,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n inlet port for introducing air including moisture and an outlet port for discharging the moisture-depleted air, a moisture absorb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of the main body portion to extract moisture from the inlet port, And dehumidifying function is added to a toilet which is used in a humid place such as a sauna and a bathroom toilet as well as a home bathroom so that moisture can be removed in a space provided with a toilet and thus a pleasant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The use of condensate produced through removal to be used in a toilet can be used by a toilet It can save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를 포함하되, 물탱크에 포함된 물을 사용하여 사람의 용변을 하수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양변기, 및 양변기와 연동되는 제습기를 포함하되, 제습기는, 습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입구와 습기가 제거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본체부내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장착되고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를 뽑아내어 물탱크로 제공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bowl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including a water tank, a toilet seat for moving a person's toilet to a sewer pipe us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Wherein the dehumidifi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n inlet port for introducing air including moisture and an outlet port for discharging the dehumidified air, a filter portion mount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dehumidifying part for introducing the water into the water tank.
양변기가 위치한 환경은 물을 많이 사용하는 특성상 항상 습기가 존재한다. 특히 여름 장마철에는 곰팡이가 생기고 악취가 난다. 온수 사용이 많은 겨울철에도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수증기로 인해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양변기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으로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수질오염, 자원낭비의 주범이 되고 있다. 특히 수세식 변기의 1회 물 소비량은 8~15L정도로 하루에 5번 정도 사용할 때 한 사람이 50L의 물을 소비하게 된다. 실제로 한국인이 1년간 수세식 변기로 버리는 1급수 수돗물은 약 11억t 이상이라는 보고가 있다.The environment where the toilet is located is always in the presence of moisture due to the nature of water. Especially during the rainy season in summer there is mold and stinks. Even in the winter when hot water is used frequently, the air circulation is not smooth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due to water vapor. On the other hand, the toilet provides convenience with the best invention of mankind, but it is the main cause of water pollution and waste of resources. Especially, the water consumption of the flush toilet is about 8 ~ 15L, and when one uses 5 times a day, one person consumes 50L of water. In fact, there is a report that the first tap water that Korean people flush with a flush toilet for one year is more than 1.1 billion tons.
양변기의 물을 재활용하는 장치와 관련하여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2013-0000865(관련문헌1) 등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관련문헌1은 세면기의 물을 양변기에 재사용하는 것으로,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 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3-0000865 (related document 1) has been disclosed in relation to a device for recycling water in a toilet. However, in the related document 1, the water in the wash bowl is reused in the toilet, which limits the environment in the spac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이에, 본 발명자는 양변기가 사용되는 물기와 습기가 많은 공간에서의 환경 개선 및 양변기의 물 낭비 문제를 동시에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intends to propose a technique that makes it possible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oilet is used, the environment in a humid space, and the water waste of the toile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ll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가정용 욕실은 물론이고 사우나, 목욕탕 화장실 등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양변기에 제습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a toilet which is used in a humid place such as a sauna for a home, a toilet for a bathroom, and the like, there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space provided with the toilet.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습기 제거에 따라 곰팡이,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mold, odor,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removal of moisture in a space provided with a toilet seat.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며 생성된 응축수를 양변기에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moisture in the space in which the toilet is installed and to use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in the toile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chieve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물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물탱크에 포함된 물을 사용하여 사람의 용변을 하수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양변기; 및 상기 양변기와 연동되는 제습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습기는, 습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입구와 습기가 제거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를 뽑아내어 상기 물탱크로 제공하는 제습부; 를 포함하는 양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bowl including a water tank, including: a toilet seat for moving a person's toilet to a sewer pipe us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And a dehumidifier interlocked with the toilet bowl, wherein the dehumidifier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n inlet for introducing air containing moistur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dehumidified air; A dehumidifying unit mount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n the main body to extract moisture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provide the water to the water tank; Is provided.
본 발명은 가정용 욕실은 물론이고 사우나, 목욕탕 화장실 등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양변기에 제습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 습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dds a dehumidifying function to a toilet which is used in a humid place such as a sauna for a home, a toilet for a bathroom, etc., as well as a home-use bathroom, so that moisture can be removed in a space provided with a toilet.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습기 제거에 따라 곰팡이,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mold, odor,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removal of moisture in the space provided with the toilet bowl, thereby contributing to the health promot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며 생성된 응축수를 양변기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에 의해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moves moisture from the spac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and saves the water used by the toilet by allowing the generated condensate to be used in the toilet.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물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미끄러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isture in a space provided with a toilet can be removed, thereby preventing a slip accident of a user, which may occur due to moisture caused by mois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에서 제습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bowl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ilet bowl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humidifier in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는, 양변기(100), 및 제습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ilet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toilet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양변기(100)는 물탱크(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110)을 통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용변구(130)에 위치하는 사람의 용변이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The
그리고, 물탱크(200)는 용변을 처리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물탱크(200)는 고정부(140)에 의해 양변기(100)에 결합된다. The
또한, 물탱크(200)의 내부 공간에는 물탱크(200)로 물을 공급하여 주는 물공급구(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공급구(230)의 상단에는 물공급구(230)를 통한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가 결합된다. 그리고, 밸브의 구동 레버에는 일측단에 부레(240)가 결합된 결합봉의 타측단이 결합된다. 이때, 물탱크(200) 내부의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레(240)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며, 부레(240)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밸브가 개폐된다. 즉, 부레(240)의 위치가 상승하면 밸브가 폐쇄되도록 하며, 부레(240)의 위치가 하강하면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여 물탱크(20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 수위의 물이 저장되도록 한다.A
그리고, 물탱크(200)의 내부에는 양변기(100)의 배수관(110)을 폐쇄하는 배수커버(220)가 형성된다. 한편, 배수커버(220)는 배수관(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배수커버(220)의 일측은 힌지결합에 의해 물탱크(200) 내부의 하부면 또는 배수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배수커버(220)는 체인(25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지며, 체인(250)의 타측단은 물탱크(200) 외부 벽면에 결합된 작동레버(210)와 결합되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양변기(100)를 작동하기 위하여 작동레버(210)를 조작하면, 작동레버(210)와 연동하여 배수커버(220)가 개방되어 물탱크(2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110)을 통해 양변기(100)에 공급되며, 그에 따라 용변구(130)에 위치하는 용변은 물과 함께 하수관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물탱크(200)의 수위가 낮아지면 배수커버(220)는 자신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게 됨으로써 배수관(110)이 폐쇄되며, 물공급구(230)에 의해 다시 적정 수위가 되도록 물탱크(20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A
한편, 제습기(200)는 물탱크(200)의 상부 개방 영역을 덮는 본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부(310)가 물탱크(200)의 뚜껑 역할을 하도록, 본체부(310)의 하부면의 일정 영역이 물탱크(200) 상부면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310)에 의해 물탱크(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흐름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물탱크(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에서의 습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그리고, 본체부(310)의 내부에는 제습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습부(350)는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며,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습부(350)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뽑아낸 습기, 즉 응축수를 물탱크(20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A
또한, 본체부(310)에는 양변기(100)가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제습부(350)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20a)가 형성되며, 제습부(350)에서 습기가 제공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입구(320a)와 배출구(320b)는 양변기(100)가 설치된 공간과 대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양변기(100)가 형성된 공간은 제습에 의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습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양변기(100)에서 재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에 의해 소모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pace in which the
그리고, 본체부(310)에 디스플레이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 일 예로 양변기(100)가 설치된 공간 내의 습도 정보 등을 표시하여 줄 수 있다.The
또한, 본체부(310)에 전자기기용 거치대(3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단자(3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변기(100)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를 거치대(370)에 거치하거나, 충전 단자(380)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에서 제습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로, 도 2를 참조하면, 제습기(300)는, 습도검출부(331), 제어부(351), 제습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먼저, 습도검출부(331)는 양변기(100)가 설치된 공간 내의 습도를 검출한다.First, the
그리고, 제어부(351)는 습도검출부(331)에서 검출된 습도에 따라 제습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또한, 제습부(350)는 제어부(351)의 동작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며, 습기 제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양변기(100)의 물탱크(200)로 공급하여 준다.The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51)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준다.The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부(351)는 습도검출부(331)에서 검출되는 공간 내의 습도를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줄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그리고, 제어부(351)는 습도검출부(331)에서 검출되는 습도에 따라 제습부(3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51)는 습도 검출부(331)에서 검출되는 습도가 설정된 상한값 이상일 경우 제습부(350)를 동작하여 공간 내의 습도를 제거하며, 검출되는 습도가 설정된 하한값 이하일 경우에는 제습부(350)의 동작을 중단하여 제습기가 과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에서 제습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도 3을 참조하면, 제습기(300)의 본체부(310)는 물탱크(200)의 상부 영역을 덮는 뚜껑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물탱크(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310) 하부 영역에서 물탱크(200)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부분에 오링 등을 형성하여 물탱크(200)의 내부와 외부를 실링(sealing)할 수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그리고, 본체부(310)에는 양변기(100)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 습기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20a)와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0b)가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본체부(310)에는 흡입구(320a)와 배출구(320b) 사이의 공기 이송 경로 상에 제습부(3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습부(350)에서는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한다. 이때, 제습부(350)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이송 경로 상에는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송풍팬이 형성될 수 있다.A
또한, 본체부(310)의 공기 이송 경로 상에는 필터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36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하여 신선한 공기가 배출구(320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체부(310)의 하부에는 응축수저장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저장부(340)는 제습부(350)의 제습 운전으로 얻어진 응축수를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응축수저장부(340)의 하부면에는 밸브(345)가 결합된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구를 통해 응축수저장부(340)에 저장된 응축수는 물탱크(200)로 공급되어질 수 있다.A
일 예로, 제습기(300)는 물탱크(200) 내부의 물이 최하수위에서 상승할 경우 밸브(345)를 개방하여 응축수저장부(340)에 저장된 응축수가 물탱크(200)로 공급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물탱크(20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에 의한 양변기 사용에 의해 물탱크(200)의 수위는 낮아지게 되며, 최하수위에 도달하면 배수커버(220)가 닫혀 물이 양변기로 배수되는 것이 중단되고 물공급구(230)를 통해 물탱크로 물이 공급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더하여 응축수저장부(340)에 저장된 물을 물탱크(200)로 공급함으로써 그만큼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이때, 밸브(345)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한 밸브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물탱크(200) 내의 수위는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물탱크(200)의 최하수위 위치에 물검출 센서를 설치하여 수위를 검출하거나, 본체부(310)에 초음파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설치하여 물탱크 내부로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어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수위를 검출할 수도 있다.Then, the water level i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0: 양변기,
110: 배수관,
130: 용변구,
140: 고정부,
200: 물탱크,
210: 작동레버,
220: 배수커버,
230: 물공급구,
240: 부레,
250: 체인,
300: 제습기,
310: 본체부,
320a: 흡입구,
320b: 배출구,
330: 디스플레이부,
331: 습도검출부,
340: 응축수저장부,
345: 밸브,
350: 제습부,
351: 제어부,
360: 필터부,
370: 거치대,
380: 충전 단자100: a toilet, 110: a drain pipe,
130: Toilet bowl, 140: Fixed part,
200: Water tank, 210: Operation lever,
220: drain cover, 230: water supply hole,
240: boule, 250: chain,
300: dehumidifier, 310: main body,
320a: inlet port, 320b: outlet port,
330: display unit, 331: humidity detector,
340: condensate reservoir, 345: valve,
350: dehumidifying part, 351: control part,
360: filter unit, 370: cradle,
380: Charging terminal
Claims (8)
상기 양변기와 연동되는 제습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습기는,
습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입구와 습기가 제거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를 뽑아내어 상기 물탱크로 제공하는 제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양변기.A toilet seat including a water tank, wherein the toilet seat uses a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o move a person's toilet to the sewer; And
And a dehumidifier interlocked with the toilet bowl,
The dehumidifier,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n inlet for introducing air including moistur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dehumidified air;
A dehumidifying unit mount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n the main body to extract moisture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provide the water to the water tank;
.
상기 제습기는,
상기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값을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humidifier,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humidity value of the space in which the toilet is installed.
상기 제습기는,
상기 양변기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습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humidifier,
Wherein the dehumidifying portion is operated in response to a humidity value of a space in which the toilet is installed.
상기 제습기는,
상기 제습부에서 제습된 습기를 저장하는 응축수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가 최하 수위에서 상승할 경우, 상기 응축수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humidifier,
And a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oisture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And supplies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portion 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detected through the sensor rises at the lowest water level.
상기 제습기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humidifier,
Further comprising a cradl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radle allowing the electronic device to be mounted thereon.
상기 제습기는,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humidifier,
And a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습기는,
상기 본체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하거나 상기 흡입된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humidifier,
Further comprising a filter unit for steriliz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main body or for removing odors in the sucked air.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탱크의 상부 영역의 개방 영역을 덮는 것으로, 상기 물탱크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covers the open area of the upper region of the water tank to completely block the air flow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water ta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3171A KR20170083821A (en) | 2016-01-11 | 2016-01-11 | Toilet bowl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3171A KR20170083821A (en) | 2016-01-11 | 2016-01-11 | Toilet bowl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3821A true KR20170083821A (en) | 2017-07-19 |
Family
ID=5942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3171A Abandoned KR20170083821A (en) | 2016-01-11 | 2016-01-11 | Toilet bowl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8382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87289A (en) * | 2020-03-04 | 2020-06-16 | 佛山科学技术学院 | A toilet with an air moisture condensation collection device |
KR102146920B1 (en) * | 2019-09-26 | 2020-08-21 | 이상승 | Bathroom dehumidifier combined with toilet |
KR102425102B1 (en) | 2021-02-10 | 2022-07-27 | 최희자 | Dehumidification system for weak toilet |
-
2016
- 2016-01-11 KR KR1020160003171A patent/KR20170083821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6920B1 (en) * | 2019-09-26 | 2020-08-21 | 이상승 | Bathroom dehumidifier combined with toilet |
CN111287289A (en) * | 2020-03-04 | 2020-06-16 | 佛山科学技术学院 | A toilet with an air moisture condensation collection device |
KR102425102B1 (en) | 2021-02-10 | 2022-07-27 | 최희자 | Dehumidification system for weak toil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3357B1 (en) | Water-saving toilet | |
KR20170083821A (en) | Toilet bowl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 |
US6370703B1 (en) | Odorless toilet | |
JP3129164U (en) | Toilet deodorizer | |
KR101027852B1 (en) | Water-saving toilet seat | |
KR102130170B1 (en) | A odor dis charge equipment of toilet bowl | |
CN211948736U (en) | Negative pressure type deodorization device for intelligent closestool | |
CN201546285U (en) | Squatting toilet water tank with deodorizing device | |
KR102425102B1 (en) | Dehumidification system for weak toilet | |
KR101478111B1 (en) | Electronic toilet stool | |
KR200430599Y1 (en) | Toilet seat remover | |
CN213572231U (en) | Integrated exhaust system | |
CN203188329U (en) | Infrared induction type stink-discharging type closestool | |
KR101098291B1 (en) | The chamber pot for removing bad smell | |
KR200469658Y1 (en) | Apparatus for deodorizing of toilet bowl | |
KR20160115601A (en) | Interior fan type deodorizing Toilet Seat Features a Flush using excrete trap | |
CN205530445U (en) | Bathroom waste water cyclic utilization system | |
KR20150134799A (en) | Cleaning system of ceramic integrated bidet | |
JP5871476B2 (en) | Toilet equipment | |
KR20130064524A (en) | Urinal | |
CN201087458Y (en) | Floater type floor drain smell-blocking insect-resistant device | |
CN105926734A (en) | Closestool water tank with article storage frame | |
CN201180301Y (en) | Automatic water discharge, deodorization device of closet | |
KR102200979B1 (en) | Waste disposal apparatus using an ionizer | |
JP3011044U (en) | Water storage tank for flush toilet and water supply / drainage device for flush toilet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