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83686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686A
KR20170083686A KR1020160002739A KR20160002739A KR20170083686A KR 20170083686 A KR20170083686 A KR 20170083686A KR 1020160002739 A KR1020160002739 A KR 1020160002739A KR 20160002739 A KR20160002739 A KR 20160002739A KR 20170083686 A KR20170083686 A KR 20170083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disposed
display panel
bending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686A/ko
Priority to US15/237,487 priority patent/US20170202094A1/en
Publication of KR2017008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68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01L51/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shock resistance of the housing, e.g. by increasing the rig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밴딩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평탄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평탄부 하부에 배치된 평탄 완충부재, 상기 굴곡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굴곡 완충부재, 상기 평탄 완충부재 하부에 배치된 하드 코팅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영상 표시에 필요한 구동신호들을 표시패널에 제공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회로기판은 표시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며, 플렉서블 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해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을 표시패널의 배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표시패널 배면에 회로기판의 부착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눌림 자국이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 배면의 눌림 자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밴딩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평탄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평탄부 하부에 배치된 평탄 완충부재, 상기 굴곡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굴곡 완충부재, 상기 평탄 완충부재 하부에 배치된 하드 코팅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 코팅 부재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에 구동신호들을 제공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 코팅 부재는 상기 평탄부에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부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차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재의 일 부분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평탄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부재의 다른 부분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굴곡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부 및 상기 평탄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테이프는, 상면 및 배면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상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상기 배면에 배치된 제2 점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점착층은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 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굴곡부 및 상기 굴곡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 완충부재는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굴곡 완충부재는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 코팅 부재는 제3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3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 완충부재의 경도는 상기 굴곡 완충부재의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굴곡부는 상기 평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 완충부재는 상기 제1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제1 굴곡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제2 굴곡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밴딩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평탄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평탄부 하부에 배치된 평탄 완충부재,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굴곡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평탄 완충부재의 경도는 상기 굴곡 완충부재의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며, 상기 평탄부 및 상기 평탄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테이프는, 상면 및 배면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상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상기 배면에 배치된 제2 점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점착층은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며, 상기 제1 접착 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굴곡부 및 상기 굴곡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며, 상기 평탄 완충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하드 코팅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며, 상기 하드 코팅 부재는 상기 평탄부에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배면에 하드 코팅 부재를 포함한 커버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로기판을 표시패널의 배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하드 코팅 부재에 의해 표시패널 배면에 눌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표시패널 내부의 눌림 자국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재, 굴곡 완충부재, 및 하드 코팅 부재가 결합된 모듈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재, 굴곡 완충부재, 및 하드 코팅 부재가 결합된 모듈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 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적용된 예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휴대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장치(DD)는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장치(DD)는 부분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평탄부(FA)와 평탄부(FA)에 연결되어 굴곡된 굴곡부(BA1, BA2)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FA)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고, 평탄부(FA)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제3 방향(DR3)은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 방향이다. 그러나, 상기 방향들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굴곡부(BA1, BA2)는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는 제1 방향(DR1)으로 평탄부(F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이 2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장치(DD)는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평탄부(FA)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평탄부(FA)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이 이미지(IM)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200), 커버 부재(300), 및 케이스(400)을 포함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는 설명의 편의상 윈도우 부재(100)가 생략된 것으로 설명된다.
자세하게,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200), 및 커버 부재(300) 각각은 부분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200), 및 커버 부재(300) 각각은 평탄부와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200), 및 커버 부재(300) 각각의 평탄부는 표시장치(DD)의 평탄부(FA)에 대응하고,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200), 및 커버 부재(300) 각각의 굴곡부는 표시장치(DD)의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에 각각 대응한다. 즉, 평탄부(FA)와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은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200), 및 커버 부재(300), 각각의 평탄부와 굴곡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따르면, 각 도면에 표기된 평탄부(FA)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로 설명되며,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은 표시패널(200)의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로 설명된다.
윈도우 부재(100)는 표시패널(200)이 제공하는 영상(IM)을 투과시키는 표시 영역(100-DA)과 표시 영역(100-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100-NDA)을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100)는 표시패널(2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커버 윈도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0)은 표시 영역(200-DA) 및 비표시 영역(200-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200-DA)은 영상(IM)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윈도우 부재(100)의 표시 영역(100-DA)에 대응한다. 비표시 영역(200-NDA)은 표시 영역(200-DA)을 둘러싸며, 윈도우 부재(100)의 비표시 영역(100-NDA)에 대응한다.
표시패널(200)은 표시층(210), 유기 발광 소자(미도시), 및 봉지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표시층(210) 상에 배치된다. 봉지층(220)은 표시층(210) 상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로부터 밀봉한다.
자세하게, 표시층(210)은 어레이기판(211) 및 표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레이기판(211)은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소들 및 화소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을 포함한다. 일 예로, 신호 라인들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포함한다. 일 예로, 신호 라인들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은 각각 절연 교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이트 라인들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라인들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화소들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되는 매트릭스 형상(matrix shape)으로 배열된다. 화소들은 게이트 라인들 중 대응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들 중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에 각각 연결된다. 화소들은 대응되는 게이트 라인 및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표시부(212)는 어레이기판(211) 상에 배치된다. 표시부(212)는 표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모듈(200)은 다양한 표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소자는 액정 캐패시터, 유기발광소자, 전기영동소자, 또는 전기습윤소자일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에 따른 표시소자는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들(Organic Light Emetting Diode)인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일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극은 애노드 전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제2 전극은 음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은 정공을 생성하고, 제2 전극은 전자를 생성한다.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 내부로 주입된다.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는 정공과 전자가 결합된 엑시톤(exiton)이 형성되며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지면서 광을 방출한다.
표시패널(200)은 영상(IM1, IM2)을 표시하는 표시면과, 표시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표시면은 봉지층(220)의 상면이고, 배면은 표시층(210)의 배면으로 정의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장치(DD)는 터치 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윈도우 부재(100)와 표시패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예에 따라 터치패널은 표시패널(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300)는 표시패널(200)과 인쇄회로기판(PC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케이스(400)는 표시패널(200) 및 커버 부재(300)를 수납하도록 윈도우 부재(100)와 결합된다. 케이스(4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40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인쇄회로기판(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은 표시패널(200)과 인쇄회로기판(PCB)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일단은 봉지층(230)에 의해 노출된 표시층(210)의 일면 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쇄회로기판(PCB)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은 플렉시블하게 제공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300)의 하부로 밴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통해 표시패널(200)에 신호를 출력하거나 표시패널(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밴딩됨에 따라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30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커넥터(CB)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PCB)은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에 중첩하도록 커버 부재(3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CB)은 평탄부(FA)의 비표시 영역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의 일 부분에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PCB)이 평탄부(FA)의 표시 영역(DA)에 중첩된 영역은 배치 영역(PA)이라 정의되며, 평탄부(FA)의 표시 영역(DA)에 중첩되지 않은 영역은 비배치 영역(NPA)이라 정의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PCB)이 커버 부재(300)의 배면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PCB)이 제3 방향(DR3)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눌림 자국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눌림 자국은 표시패널(200)의 배면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소정 부분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부재(300)는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PCB)의 부착 시에 발생되는 눌림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부재(300)는 인쇄회로기판(PCB)이 부착되는 영역에 배치된 하드 코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코팅 부재를 포함한 커버 부재(300)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단면도는, 설명의 편의상 윈도우 부재(100) 및 케이스(400) 구성이 생략되고, 표시패널(200) 및 커버 부재(300)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자세하게,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부재(300)는 평탄 완충부재(310), 굴곡 완충부재(320), 하드 코팅 부재(330), 및 접착 테이프(340)를 포함한다.
평탄 완충부재(310)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와 중첩하도록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평탄 완충부재(310)는 평탄부(FA) 보다 작은 면적을 갖거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평탄 완충부재(310)는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평탄 완충부재(310)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 및 윈도우 부재(100, 도2 참조)의 평탄부 각각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즉, 평탄 완충부재(310)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와 윈도우 부재(100)의 평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평탄 완충부재(310)는 고분자 수지(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로 형성되거나, 고무액,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로 형성될 수 있다.
굴곡 완충부재(320)는 제1 굴곡 완충부재(32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322)를 포함하며, 평탄 완충부재(310)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 322)은 표시패널(200)의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과 각각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 322) 각각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 322) 각각은 고분자 수지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로 형성되거나, 고무액,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 322) 각각은 표시패널(200)의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과 윈도우 부재(100)의 굴곡부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즉, 굴곡 완충부재(320)는 표시패널(200)의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과 윈도우 부재(100)의 굴곡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1 굴곡 완충부재(32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322)는 평탄 완충부재(3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굴곡 완충부재(32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322)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굴곡 완충부재(321)는 표시패널(200)의 제1 굴곡부(BA1) 하부에 배치되며, 평탄 완충부재(310)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굴곡 완충부재(321)는 평탄 완충부재(310)에 연결되지 않으며 제1 굴곡부(BA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굴곡 완충부재(322)는 표시패널(200)의 제2 굴곡부(BA2) 하부에 배치되며, 평탄 완충부재(310)의 다른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굴곡 완충부재(322)는 평탄 완충부재(310)에 연결되지 않으며 제2 굴곡부(BA2)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평탄 완충부재(310)의 경도는 제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 322) 각각의 경도보다 높을 수 있다.
하드 코팅 부재(330)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에 중첩하도록 평탄 완충부재(3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팅 부재(330)는 평탄 완충부재(31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 코팅 부재(330)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PCB)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PCB)이 하드 코팅 부재(330)의 하부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제3 방향(DR3)을 따라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드 코팅 부재(330)에 의해, 제3 방향(DR3)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이의 압력이 전달되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드 코팅 부재(330)가 소정의 경도를 가지며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됨에 따라,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 코팅 부재(330)는 폴리이미드(PI), 폴리 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아릴레이트(PAR),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드 코팅 부재(330)은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 테이프(340)의 일 부분은 평탄 완충부재(310) 및 평탄부(FA) 사이에 배치되며, 평탄 완충부재(310) 및 평탄부(FA)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 테이프(340)의 다른 부분은 제1 굴곡 완충부재(321) 및 제1 굴곡부(BA1) 사이와, 제2 굴곡 완충부재(322) 및 제2 굴곡부(B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340)의 다른 부분은 제1 굴곡 완충부재(321) 및 제1 굴곡부(BA1)를 접착시키며, 제2 굴곡 완충부재(322) 및 제2 굴곡부(BA2)를 접착시킨다.
자세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340)는 기재층(341), 제1 점착층(341), 및 제2 점착층(342)을 포함한다.
기재층(341)은 제1 점착층(341)이 배치된 상면 및 제2 점착층(342)이 배치된 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층(341)은 표시패널(200) 및 기재층(341)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점착층(342)은 기재층(341) 및 커버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점착층(341)은 복수의 고분자 비드들(Polymer beads, B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분자 비드(Bd)는 실리카(silica)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emethacrylate)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고분자 비드(Bd)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비드(Bd)는 빛이 반사되는 것을 차단하며,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눌림 자국이 존재할 경우, 제1 점착층(341)에 포함된 복수의 고분자 비드들(Bd)에 의해 이러한 눌림 자국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하드 코팅 부재(330)가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드 코팅 부재(330)의 하부에 인쇄회로기판(PCB)이 부착될 시, 제3 방향(DR3)에 따른 표시패널(200)의 배면으로 소정의 압력이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PCB)의 부착 시, 표시패널(200)의 배면 방향으로 가압된 압력은 하드 코팅 부재(330)에 의해 표시패널(200)의 배면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패널(200) 배면의 눌림 자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340)는 고분자 비드(Bd)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눌림 자국이 존재할 경우에도, 고분자 비드(Bd)를 통해 표시패널(200) 배면의 눌림 자국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300)는 차광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재(350)의 일 부분은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와 평탄 완충부재(310) 사이에 배치된다. 차광부재(350)의 다른 부분은 표시패널(200)의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과 굴곡 완충부재(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재(350)는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부착되어 표시패널(200)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한다. 또한, 차광부재(350)는 입사된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광부재(350)는 커버 부재(3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즉, 앞서 상술된, 고분자 비드(Bd)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340)를 사용할 시, 차광부재(35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재, 굴곡 완충부재, 및 하드 코팅 부재가 결합된 모듈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재, 굴곡 완충부재, 및 하드 코팅 부재가 결합된 모듈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 코팅 부재(330)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 전 영역에 중첩하도록 평탄 완충부재(3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드 코팅 부재(330)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에 중첩되며, 제1 및 제2 굴곡부들(B1, B2)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 코팅 부재(330)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에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평탄부(FA)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중첩되는 배치 영역(PA)과, 인쇄회로기판(PCB)과 중첩되지 않는 비배치 영역(NP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코팅 부재(330)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중첩되는 배치 영역(P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드 코팅 부재(330)는 평탄부(FA)의 배치 영역(PA)에 중첩하도록, 평탄부(FA)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단면도는, 설명의 편의상 윈도우 부재(100) 및 케이스(400) 구성이 생략되고, 표시패널(200) 및 커버 부재(300)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자세하게, 도 8에 도시된 표시장치(DD)는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DD)와 비교하여, 커버 부재(300)의 구성이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자세하게,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부재(300a)는 평탄 완충부재(310a), 굴곡 완충부재(320a), 접착 테이프(340a), 및 차광 부재(350a)를 포함한다.
평탄 완충부재(310a)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와 중첩하도록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평탄 완충부재(310a)는 평탄부(FA) 보다 작은 면적을 갖거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평탄 완충부재(310a)는 제1 두께(T1a)를 가질 수 있다.
평탄 완충부재(310a)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 및 윈도우 부재(100, 도2 참조)의 평탄부 각각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즉, 평탄 완충부재(310a)는 표시패널(200)의 평탄부(FA)와 윈도우 부재(100)의 평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굴곡 완충부재(320a)는 제1 굴곡 완충부재(321a) 및 제2 굴곡 완충부재(322a)를 포함하며, 평탄 완충부재(310a)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a, 322a)은 표시패널(200)의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a, BA2a)과 각각 중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a, 322a) 각각은 제2 두께(T2a)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두께(T1a)는 제2 두께(T2a)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평탄 완충부재(310a)의 경도는 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a, 322a) 각각의 경도보다 높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평탄 완충부재(FA) 하부에 인쇄회로기판(PCB)이 부착되는 경우, 제3 방향(DR3)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이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탄 완충부재(FA)의 제1 두께(T1a)에 의해, 제3 방향(DR3)으로 가압된 인쇄회로기판(PCB) 압력이 표시패널(200)의 배면까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평탄 완충부재(FA)의 경도가 제1 및 제2 굴곡 완충부재들(321a, 322a) 각각의 경도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제3 방향(DR3)으로 가압된 인쇄회로기판(PCB)의 압력이 표시패널(200)의 배면까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에 도시된 하드 코팅 부재(330)가 평탄 완충부재(310a)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윈도우 부재
200: 표시패널
210: 표시층
220: 봉지층
300: 커버 부재
310: 평탄 완충부재
320: 굴곡 완충부재
330: 하드 코팅 부재
340: 접착 테이프
350: 차광 부재
400: 케이스

Claims (16)

  1.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밴딩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평탄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평탄부 하부에 배치된 평탄 완충부재;
    상기 굴곡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굴곡 완충부재; 및
    상기 평탄 완충부재 하부에 배치된 하드 코팅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 부재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에 구동신호들을 제공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 부재는 상기 평탄부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차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재의 일 부분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평탄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부재의 다른 부분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굴곡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 및 상기 평탄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테이프는,
    상면 및 배면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상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배면에 배치된 제2 점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점착층은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굴곡부 및 상기 굴곡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완충부재는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굴곡 완충부재는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 부재는 제3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3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완충부재의 경도는 상기 굴곡 완충부재의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평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 완충부재는 상기 제1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제1 굴곡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제2 굴곡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밴딩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평탄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평탄부 하부에 배치된 평탄 완충부재; 및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에 중첩되도록 상기 굴곡부 하부에 배치된 굴곡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평탄 완충부재의 경도는 상기 굴곡 완충부재의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 및 상기 평탄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테이프는,
    상면 및 배면을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상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배면에 배치된 제2 점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점착층은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굴곡부 및 상기 굴곡 완충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완충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하드 코팅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 부재는 상기 평탄부에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표시장치.
KR1020160002739A 2016-01-08 2016-01-08 표시장치 Withdrawn KR20170083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739A KR20170083686A (ko) 2016-01-08 2016-01-08 표시장치
US15/237,487 US20170202094A1 (en) 2016-01-08 2016-08-1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739A KR20170083686A (ko) 2016-01-08 2016-01-08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686A true KR20170083686A (ko) 2017-07-19

Family

ID=5927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739A Withdrawn KR20170083686A (ko) 2016-01-08 2016-01-0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02094A1 (ko)
KR (1) KR201700836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847A (ko) * 2017-09-12 2019-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21578A (ko) * 2018-08-20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20210083004A (ko) * 2019-12-26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5597S1 (en) * 2014-10-01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423038B2 (en) * 2016-04-08 2019-09-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formal light-emitting display assembly
KR102649632B1 (ko) * 2016-09-13 2024-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630860B (zh) * 2017-01-05 2018-07-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8958540B (zh) * 2018-06-28 2021-03-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触控模组及电子设备
CN109671863B (zh) * 2018-12-18 2020-06-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屏封装结构
CN210137340U (zh) * 2019-03-19 2020-03-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盖板、显示屏和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847A (ko) * 2017-09-12 2019-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21578A (ko) * 2018-08-20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20210083004A (ko) * 2019-12-26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2094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836B1 (ko) 표시 장치
US1211455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CN110277435B (zh) 一种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KR20170083686A (ko) 표시장치
KR102274142B1 (ko)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57723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US11353981B2 (en) Display devic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on a side surface
US10842033B2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20170242457A1 (en) Touch screen panel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9690329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365738B1 (ko)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20200048205A (ko) 플렉서블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180054965A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2245457B2 (en) Display device layer aligned with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3902007B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733586B1 (ko) 표시 장치
CN222482892U (zh) 显示装置
JP7389142B2 (ja) 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含む表示装置
CN222914179U (zh) 显示装置
KR20250063960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240144726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