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265A - 벤트개념을 이용한 난분해성 유해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및 및 이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벤트개념을 이용한 난분해성 유해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및 및 이의 운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3265A KR20170083265A KR1020160002504A KR20160002504A KR20170083265A KR 20170083265 A KR20170083265 A KR 20170083265A KR 1020160002504 A KR1020160002504 A KR 1020160002504A KR 20160002504 A KR20160002504 A KR 20160002504A KR 20170083265 A KR20170083265 A KR 201700832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ion system
- adsorption
- gas
- perfluorinated compound
- inert ga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8—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46—Dry cleaning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16—Other waste gases from CVD treatment 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groups H01L21/18 - H01L21/326 or H10D48/04 - H10D48/07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01L2021/60007—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involving a soldering or an alloying process
- H01L2021/60022—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involving a soldering or an alloying process using bump connectors, e.g. for flip chip mounting
- H01L2021/60097—Applying energy, e.g. for the soldering or alloying process
- H01L2021/60172—Applying energy, e.g. for the soldering or alloying process using static pressure
- H01L2021/60187—Isostatic pressure, e.g. degassing using vacuum or pressurised liqui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3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perfluorocarbons [PFC], hydrofluorocarbons [HFC] or sulfur hexafluoride [SF6]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의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활성가스의 흡착 시스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활성가스의 흡착 시스템을 통해 농축되는 과불화화합물의 유량변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인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활성가스의 흡착 시스템을 통해 농축되는 과불화화합물의 유량변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활성가스의 3탑식 흡착 시스템의 운전 절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인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활성가스의 일반적인 3탑식 흡착 시스템의 운전 절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활성가스의 상온 10bar 운전조건의 흡착 시스템이다.
2: 건식집진장치
3: 흡착장치
4: 연소기
5: 습식스크러버
100~103: 흡착탑
200: 유입배관
300: 제1배출관
400: 제2배출관
500: 진공펌프
600: 밸브
613, 616, 619: 진공밸브
614, 617, 620: 공급밸브
615, 618, 621: 제2탈착밸브
601, 605, 609: 회수밸브
602, 606, 610: 벤트밸브
603, 607, 611: 제1탈착밸브
604, 608, 612: 퍼지밸브
700: 과불화합물저장조
800: 불활성가스저장조
Claims (20)
-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활성가스를 상기 과불화화합물 선택성 흡착제가 충진된 복수의 흡착탑 중 어느 한 흡착탑으로 도입시켜 불활성가스를 배출시키면서 과불화화합물을 흡착시키는 흡착단계;
상기 흡착단계를 거친 상기 흡착탑의 공극에 존재하는 불활성가스를 감압을 통하여 배출하는 벤트단계;
상기 벤트단계가 완료된 상기 흡착탑의 압력을 병류감압하면서 얻어진 상기 불활성가스를 세정단계에 있는 흡착탑에 세정가스로 공급하는 퍼지공급 단계;
상기 퍼지공급 단계가 완료된 상기 흡착탑을 진공까지 향류감압하면서 흡착된 상기 과불화화합물가스를 탈착하는 탈착단계;
상기 탈착단계가 완료된 상기 흡착탑으로 퍼지공급 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불활성가스를 이용하여 흡착된 상기 과불화화합물가스를 추가로 탈착하는 세정단계; 및
상기 흡착단계에서 분리된 불활성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흡착탑을 가압하는 가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단계에서 배출된 불활성가스는 상기 농축분리 시스템 후단에 연계되는 스크러버의 습식세정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불화화합물은 조성 원소로서 C, N 및 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과불화화합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불화화합물은 CF4, NF3, C2F6, C3F6, SF6 및 CHF3 중 하나 또는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친수성 흡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흡착제는 활성탄소,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활성알루미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친수성 흡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단계의 압력은 1기압 내지 15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단계에서 상기 농축된 과불화화합물의 유량변화는 평균유량값의 1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단계의 압력은 0.01기압 내지 1기압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단계 및 세정단계를 거친 상기 농축된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세정가스는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후단에 연계된 스크러버의 소각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버의 소각장치는 세라믹다공체의 내부에 화염이 형성되어 상기 농축된 과불화화합물을 소각시키는 소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운전방법.
-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과불화화합물 선택성 흡착제가 충진되어 있으며 일련의 과불화화합물 분리하여 농축하는 과정을 서로 상이하게 수행하는 병렬로 연결된 2 이상의 흡착탑;
상기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활성가스를 과불화화합물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탑으로 이송하는 유입배관;
상기 과불화화합물이 흡착된 다음의 불활성가스를 벤트하여 상기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후단에 연계된 스크러버의 습식세정 영역에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
상기 탈착이 완료된 과불화화합물은 상기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후단에 연계된 스크러버의 소각장치에 투입되도록 하는 제2공급배관; 및
상기 각 흡착탑에 연결된 다수의 배관을 개폐하는 밸브로 이루어진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를 통하여 배출된 불활성가스는 상기 농축분리 시스템 후단에 연계되는 스크러버의 습식세정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불화화합물은 조성 원소로서 C, N 및 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과불화화합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불화화합물은 CF4, NF3, C2F6, C3F6, SF6 및 CHF3 중 하나 또는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친수성 흡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흡착제는 활성탄소,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활성알루미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친수성 흡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탑의 흡착압력은 1기압 내지 15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되는 상기 농축된 과불화화합물의 유량변화는 평균유량값의 15%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탑의 탈착압력은 0.01기압 내지 1기압 미만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을 거친 상기 농축된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세정가스는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의 후단에 연계된 스크러버의 소각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버의 소각장치는 세라믹다공체의 내부에 화염이 형성되어 상기 농축된 과불화화합물을 소각시키는 소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유해가스 소각처리를 위한 배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504A KR101843563B1 (ko) | 2016-01-08 | 2016-01-08 | 벤트개념을 이용한 난분해성 유해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및 및 이의 운전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504A KR101843563B1 (ko) | 2016-01-08 | 2016-01-08 | 벤트개념을 이용한 난분해성 유해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및 및 이의 운전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3265A true KR20170083265A (ko) | 2017-07-18 |
KR101843563B1 KR101843563B1 (ko) | 2018-04-03 |
Family
ID=5943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2504A Active KR101843563B1 (ko) | 2016-01-08 | 2016-01-08 | 벤트개념을 이용한 난분해성 유해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및 및 이의 운전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56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2794A (ko) | 2018-12-13 | 2020-06-2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습식 세정 장치 |
KR20210050648A (ko) | 2019-10-29 | 2021-05-10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단식 습식 오염물질 제거장치 |
KR20210075606A (ko) | 2019-12-13 | 2021-06-2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단 병렬식 세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17797B2 (ja) | 2007-09-05 | 2013-01-16 | エア・ウォーター株式会社 | パーフルオロカーボンガスの精製方法および装置 |
KR101494623B1 (ko) | 2013-11-12 | 2015-02-2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소각처리를 위한 연소 장치 및 그 연소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 |
-
2016
- 2016-01-08 KR KR1020160002504A patent/KR101843563B1/ko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2794A (ko) | 2018-12-13 | 2020-06-2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습식 세정 장치 |
KR20210050648A (ko) | 2019-10-29 | 2021-05-10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단식 습식 오염물질 제거장치 |
KR20210075606A (ko) | 2019-12-13 | 2021-06-2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단 병렬식 세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3563B1 (ko) | 2018-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52389B2 (ja) | 膜によるフルオロケミカルの分離回収方法 | |
US5976222A (en) | Recovery of perfluorinated compounds from the exhaust of semiconductor fabs using membrane and adsorption in series | |
RU2442636C2 (ru) | Система отдел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 |
US6030591A (en) | Process for removing and recovering halocarbons from effluent process streams | |
US8465570B2 (en) |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a gas containing CO2 | |
AU2008336265B2 (en) | A plant and process for recovering carbon dioxide | |
RU2432315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сероводорода в водород и серу | |
US2005010920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cover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concentration thereof | |
KR101843563B1 (ko) | 벤트개념을 이용한 난분해성 유해가스 농축분리 시스템 및 및 이의 운전방법 | |
JP2020119934A (ja) | 希ガス回収システムおよび希ガス回収方法 | |
CN110756003A (zh) | 一种采用膜吸收处理废气中四氢呋喃分离方法 | |
JPS5815165B2 (ja) | 可燃性で、フイルタ−に吸着可能な蒸気状又はガス状不純物の空気流又はガス流の精製法 | |
JP2001116450A (ja) | 透過によりキセノンおよび/またはクリプトンの流れからフルオロ化合物またはフルオロ硫化化合物を除去する方法 | |
TW442322B (en) | Process for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fluorochemicals from a gas stream containing a diluent gas and fluorochemicals | |
JP6084830B2 (ja) | パーフルオロコンパウンド系排ガスの除害処理装置および方法 | |
KR101420082B1 (ko) | 불화가스 분리 및 농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불화가스 분리 및 농축방법 | |
CN101862547A (zh) | 一种旋转式溶剂回收装置及方法 | |
WO2023145721A1 (ja) | Co2回収方法およびco2回収装置 | |
KR101596150B1 (ko) | 불소화합물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화합물의 처리장치 | |
JPS61230715A (ja) | Psa装置を使つたガス濃縮回収方法 | |
JP4683543B2 (ja) | ガス分離方法及びガス分離装置 | |
JPH01176416A (ja) | 燃焼排ガスの清浄化方法 | |
JP2000334249A (ja) | 膜と吸着を連続して用いる半導体製造における排ガスからのフッ素化合物の分離方法 | |
JP2000325732A (ja) | 真空ポンプ希釈剤をリサイクルしつつ半導体製造工程から出る排ガスからフッ素化化学薬品を分離回収する方法 | |
JPH0374208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