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917A -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with buoyancy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with buoyanc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1917A KR20170081917A KR1020160000944A KR20160000944A KR20170081917A KR 20170081917 A KR20170081917 A KR 20170081917A KR 1020160000944 A KR1020160000944 A KR 1020160000944A KR 20160000944 A KR20160000944 A KR 20160000944A KR 20170081917 A KR20170081917 A KR 201700819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lt
- buoyancy
- collecting
- elevating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04—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propulsive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2—Screw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7—Articles manipulated as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을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에 넓게 분포된 소금을 염전을 돌아다니면서 채취하되 염전에 소정 수위를 이루는 물에 부유된 상태에서 소금을 채취함으로써 소금이 상하지 않게 하고 염전 바닥도 손상시키지 않으며 종래보다 쉽고 빠르게 소금을 채취하게 되는 부력채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소금수집함체부 선단에 위치되어 염전 내의 소금을 중앙으로 모으는 채취가이드장치; 상기 채취가이드장치의 중앙으로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로 이송하는 소금승강장치; 상기 소금승강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소금이 담겨지는 함체인 소금수집함체부; 및 염전 바닥을 주행하는 부력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구동부의 주행으로 염전 내에서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while collecting salt widely distributed before the salt while floating in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water level before the sa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t basin which does not damage a salt floor and which is capable of collecting salt more easily and quickly than befor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lecting guide device which is located at the tip of a salt collecting body to collect the salt in the salt trough to the center; A salt elevatin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collected salt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collecting guide device to a salt collecting chamber; A salt collecting container body which is an enclosure in which the salt to be transferred from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contained; And a buoyancy driving unit that travels on the trough floor. The buoyancy driving unit travels in the trough to collect the sal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금을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에 넓게 분포된 소금을 염전을 돌아다니면서 채취하되 염전에 소정 수위를 이루는 물에 부유된 상태에서 소금을 채취함으로써 소금이 상하지 않게 하고 염전 바닥 장판이나 타일에 무게 중심이 쏠리는 바퀴의 중력을 분산시키는 부유탱크를 장착하여 소금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염전 바닥도 손상시키지 않으며 종래보다 쉽고 빠르게 소금을 채취하게 되는 부력채염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while collecting salt widely distributed before the salt while floating in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water level before the salt, A float tank for dispersing the gravity of a wheel whose center of gravity is centered on a float base plate or tile is attached to the buoyant float base so as not to damage the float floor by using the buoyancy of the brine float and to collect the salt more easily and quickly than before.
일반적으로 소금은 바닷물을 밭과 같은 형태의 염전의 결정지(바다물에서 소금으로 결정되도록 장판이나 타일을 바닥에 깔아 만든 염전)로 끌어들인 후, 햇빛에 소금물인 바닷물을 노출시킴으로서 소금이 결정으로 소금 알갱이로 형성되고 이를 채염하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salt draws sea water into a decision field of a tortoise (a sea salt made by spreading a plate or a tile on the floor so as to be determined as salt in the sea water), and then exposing the salt water to the sunlight, It is formed of salt granules and it becomes to be coated.
종래의 소금 채취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대파(소금을 모으는 도구)를 이용하여, 넓은 염전에 고루 결정으로 형성된 소금을 일일이 긁어모으고, 삽으로 운반차량에 소금을 퍼 담은 후 소금창고로 이동시켜 소금을 채취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소금채취 작업은 쉴 새 없이 계속 염전을 모두 돌아다니면서 모으고 퍼나르는 고된 중노동에 해당하여, 쉽게 작업하려들지 않았다.Conventional salt harvesting generally uses a large wave (a tool for collecting salt) to scrape off the salt formed by the crystals in a large salt bath, to transfer the salt to the shoveling vehicle, Respectively. This conventional salt-collecting work was not easy to work because it was a hard work of collecting, collecting and circulating all the tide continuously without a break.
근래 들어 개발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금 채취기술의 경우, 장치 본체는 염전 옆 염전뚝에 긴 길이의 쇠 파이프로 레일을 설치하고, 이러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에 소금을 담아 소금 창고로 손쉽게 이동하는 소금이동대차가 개발되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alt-collecting technology developed in the past,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rail with a long-length iron pipe on the side of a salty salt tank, and the salty cargo moving along the rail is easily moved to a salted storage A salt transfer truck was developed.
이러한 소금이동대차의 경우에도 넓은 염전 바닥을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소금을 대차가 있는 염전 가장자리로 모으기 때문에 넓은 염전에서 일단 소금을 모으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such a transfer truck, it is also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collect the salt in a wide salt bath because it collects the salt to the sea edge where the salt is carried while traveling around the wide salt floor.
또한 이처럼 대파를 이용하여 소금을 모으는 것도 염전의 결정지 지반이 연약하여 무거운 장치가 들어 갈 수 없어 일일이 사람이 힘으로 해야 하므로 시간도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상당한 노동력도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collecting salt using such a large wave can be difficult because the foundation of the tidal flat is weak and the heavy equipment can not enter. Therefore, it takes time and requires a considerable labor force.
일부 이러한 염전을 돌아다니며 모으는 장치가 있지만, 염전 바닥이 미끄럽고 갯벌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무거운 금속바퀴나 무거운 중량이 실려 이용하게 되며, 이런 경우 염전바닥에 설치된 장판이나 타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Some of these tiles are gathered around, but the troughs are slippery and tidal-flat, so heavy metal wheels or heavy weight are us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les and tile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ile are damaged.
또한 채취된 소금에도 염전 바닥이 파여진 이물질이 들어가기 때문에 상품으로써 가치도 떨어지게 되므로, 염전 바닥에서 소금을 모으는 장치가 실현되지 못하는 기술적 난제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a technical difficulty that the collected salt does not realize the device for collecting the salt on the salt floor because the salt floor has the foreign substance which is digested in the salt floor, and therefore the value as the commodity fall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면이 약한 염전 결정지에 소금을 만들기 위해 바닷물을 가두고 소금이 만들어지면 물을 빼지 않고 부력이 뛰어난 소금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소금 채염기가 그 소정 수위의 물 위로 떠서 수차와 컨베이어 날개와 회동 날개에서 발생한 추진력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염전에 넓게 분포된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염전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금 알갱이가 깨지거나 불순물이 섞이지 않아 양질의 소금을 채취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by using sea buoy to make salt in a weak salt crystal paper and to make buoyancy of salt water which is excellent in buoyancy without removing water when salt is made, It is used for collecting high-quality salt because it does not damage the salt tumbler and breaks the salt pellets and does not mix with the impurities because it is collected on the water and collects the widely distributed salt while moving by us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water turbine, the conveyor wing and the turning wing. .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전에서 물 위로 부유된 상태로 소금을 모으기 때문에 소금 채취에 힘들이지 않아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the salt in a floating state on the surface of the tide, so that it is not hard to collect the salt and can be easily collect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컨베이어날개로 끝 부분에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을 붙임으로써 염전 바닥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금을 모으면서 함께 물도 후방으로 밀어내는 추진력을 갖기 때문에 소금채취와 추진력 발생이 동시에 이루어져 편리하게 소금을 모을 수 있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salt and driving force simultaneously by collecting salt and pushing water backward by attaching a soft and flexible material to the end portion by means of a plurality of conveyor blades It is convenient to collect salt.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한 다음에 소금을 모으는 가이드 등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염전뚝을 이동하거나 모은 소금을 또 다른 채취기나 대차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llecting salt from one side of a tide and then moving the salt tile in a raised state with a guide for collecting the salt or collecting the collected salt in another direction of collection or transport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금수집함체부 선단에 위치되어 염전 내의 소금을 중앙으로 모으는 채취가이드장치; 상기 채취가이드장치의 중앙으로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로 이송하는 소금승강장치; 상기 소금승강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소금이 담겨지는 함체인 소금수집함체부; 및 염전 바닥을 주행하는 부력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구동부의 주행으로 염전 내에서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llecting guide device for collecting salt in a salt tank, A salt elevatin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collected salt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collecting guide device to a salt collecting chamber; A salt collecting container body which is an enclosure in which the salt to be transferred from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contained; And a buoyancy driving unit that travels on the trough floor, wherein the buoyancy driving unit travels in the trough to collect the salt while collecting the sal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채취가이드장치는, 부력채염기 선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회동부; 및 상기 가이드회동부에서 선단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외측으로 벌어지며 긴 길이를 이루는 소금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금가이드 저부에는 염전 바닥과 접하는 연질가이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회동부 상측에는 양측 소금가이드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벌림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vesting guide device comprises: a guide swinging part fixed to the tip of the buoyancy balancer; And a salt guide extending outwardl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ip direction in the guide pivot portion and having a long length, wherein a soft guide portion contacting the salt floo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alt guide, And a guide opening adjust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gu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금승강장치는, 상기 채취가이드장치 중앙의 염전 바닥에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로 이송하되, 다수의 컨베이어날개가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하면서 소금을 이송하는 승강컨베이어장치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컨베이어장치는, 다수 컨베이어날개의 이송으로 소금이 상승 중에 타고 이송되게 하는 이송가이드저판; 승강컨베이어장치 상측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구동모터의 회전으로 컨베이어벨트를 작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롤러; 승강컨베이어장치 아래에서 컨베이어벨트의 선단을 지지하면서 회동되게 하는 컨베이어선단롤러; 및 상기 컨베이어선단롤러의 후방에 위치되어 연속 이동하는 컨베이어벨트 및 컨베이어날개가 이송가이드저판과 나란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컨베이어장치의 이송가이드저판에 대해서, 소정 높이에 다수로 통공 또는 다공망을 이루는 배수영역을 형성하여 소금과 함께 이송되는 물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salt collected at the salt floor of the center of the collecting guide device to the salt collecting compartment and conveying the salt while the plurality of conveyor blades are moved by the conveyor belt Wherein the elevating conveyor apparatus comprises: a conveying guide bottom plate for conveying the plurality of conveyor wings during the elevation of the salt; A conveyor drive roller supported on the elevating conveyor apparatus and operating the conveyor belt by rotation of the conveyor drive motor; A conveyor leading roller that rotates while supporting a leading end of the conveyor belt under the elevating conveyor device; And a conveyor elevating guide roller which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conveyor front end roller and guides the continuously moving conveyor belt and the conveyor wing to move in parallel with the conveying guide bottom plat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in the drain hole and the wat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salt is drai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금승강장치는, 상기 채취가이드장치 중앙의 염전 바닥에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로 이송하되, 회전되는 스크류날개에 의해 소금을 이송하는 승강스크류장치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스크류장치는, 소금수집함체부 선단에 경사지게 설치된 스크류본체; 상기 스크류본체 내에서 회전되면서 소금을 상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날개; 및 상기 스크류본체 상측에 설치되어 스크류날개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스크류장치의 스크류본체에 대해서, 소정 높이에 다수로 통공 또는 다공망을 이루는 배수영역을 형성하여 소금과 함께 이송되는 물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screw device for transferring salt collected in the salt-collecting floor at the center of the collecting guide device to a salt collecting housing, The elevating screw apparatus includes a screw main body inclined at the tip of the salt collecting body; A screw blade which is rotated in the screw body to feed salt upward; And a screw moto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w body to rotate the screw vanes. A drainage area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screw body of the screw device, And the water is drai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동부는, 상기 소금수집함체부 선단 또는 후단에 위치되어 이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전진 또는 후진 회전하는 부력회동바퀴; 및 상기 부력회동바퀴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다수 개의 날개가 형성된 추진날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회동바퀴는 내부가 중공을 이루어 중공의 공기에 의한 부력으로 염전 바닥 물로부터 부력을 발생하고, 상기 부력회동바퀴 및 추진날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소금수집함체부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어져 구비되거나, 또는 좌측과 우측으로 좌구동부 및 우구동부로 분리되어 구비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구비된 상기 좌구동부와 우구동부는 연동회동되거나 또는 각각 독립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driving unit comprises: a buoyancy rotating wheel which is position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salt collecting body and rotat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ving motor; And a driving blade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oyancy rotating wheel and rotating together to form a plurality of blades; Wherein the buoyant rotating wheel is hollow and the buoyant force is generated from the buoyant bottom due to the buoyancy caused by the hollow air, and at least one of the buoyancy rotating wheel and the buoyant swinging wheel is used for collecting the salt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parts and the right and left driving parts separately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interlocked or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Wherein the buoyancy balancer is independently rota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금수집함체부 일측 저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소금을 배출하는 소금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금이송장치는, 일측 또는 중간 부분이 상기 소금수집함체부 아래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통형상의 이송스크류관; 상기 이송스크류관 내부에 위치되어 소금수집함체부로부터 유입되는 소금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alt transfer devic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alt collecting body for discharging salt to the outside, wherein the one or the middle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salt collecting container A tubular conveying screw pipe connected to the inside and the other side opened to the outside; And a conveying screw located inside the conveying screw tube for conveying the salt introduced from the salt collecting bod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력채염기의 저부에 결합되고 부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력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력탱크는, 소금수집함체부 아래 일측 및 소금승강장치 아래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부력탱크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횡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횡방향장방형상; 및 선후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선후방향장방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부력탱크의 평면 형상이 선후방향장방형상을 이루는 경우, 부력탱크가 소금수집함체부 양측 아래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tank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buoyancy tank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uoyancy balancer and having a buoyancy, wherein the buoyancy tank has at least one of the one below the salt collecting vessel body and the one below the salt elevation apparatus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buoyancy tank is a rectangular shape; Triangular phase; Polygonal phase; Circular shape; A transverse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backward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forward direction; Wherein the buoyancy tanks are located below both sides of the salt collecting body when the plane shape of the buoyancy tanks forms a rectangle in the forward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금수집함체부 선단 일측에 대해서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는 채염선단상승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염선단상승회동부는, 상기 소금승강장치 후방 상부가 부력채염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승회동축부; 및 상기 상승회동축부 앞쪽으로, 상기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승회동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올리는 회동승강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승강작동부는, 부력채염기 본체 후방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와이어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된 상승회동와이어작동부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리는 승강와이어에 의하여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들어올리는 와이어승하강구성; 및 부력채염기 본체 선단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지지되는 승강실린더의 유압력으로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유압승하강구성; 중 어느 한 승하강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lame front elevation swinging part for swinging at least one of the sampl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upwardly toward one end of the salt collecting hood part, Wherein the buoyancy elevator comprises: an upward pivot shaf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buoyancy basin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sampl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rvest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in front of the ascending tilting shaft portion so that the harvest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are rotated upward Wherein the pivotal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lifting wire wound or unwound by a lifting wire actuated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wire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 rear side of the buoyancy balancer main body, A wire lifting / lowering structure for lifting one or more of the lifting devices; And one or more of the sampl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lifted and lowered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elevating cylinder in which one side is supported on the tip end of the buoyancy balancer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sampl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Hydraulic up and down configuration; Wherein the buoyancy balancer comprises a buoyancy balanc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표면이 약한 염전바닥을 소정 수위의 물 위로 떠서 이동하면서 염전에 넓게 분포된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염전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금 알갱이가 깨지거나 불순물이 섞이지 않으며, 소금물에서 채염하기에 세척 기능까지 겸하여 양질의 소금의 채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ollects the salt widely distributed on the tide whil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tide floor where the surface is weak, so that it does not damage the tide and breaks the salt pellets and does not mix the impurities. In addition to the cleaning function described below, there is an effect that high quality salt can be collect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염전에서 물 위로 부유된 상태로 소금을 모으기 때문에 소금 채취에 힘들이지 않아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not difficult to collect the salt because it collects the salt in a floating state on the water before the salt, so that it can be easily collect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다수 컨베이어날개로 소금을 모으는 경우에는 소금을 모으면서 함께 물도 후방으로 밀어내는 추진력을 갖기 때문에 소금채취와 추진력 발생이 동시에 이루어져 편리하게 소금을 모을 수 있는 것이다.Further,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collecting salt with a plurality of conveyor blades, collecting salt and driving force of pushing water backward together also collects salt and generates propulsion forc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alt can be conveniently collecte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일측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한 다음에 소금을 모으는 가이드 등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염전뚝을 이동하거나 모은 소금을 또 다른 채취기나 대차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alt can be moved in the state of lifting up a guide for collecting salt after collecting the salt in one trough, or the collected salt can be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another collecting machine or the tank.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부력채염기의 양측에 선후방향으로 긴 길이의 부력탱크를 구비함으로써 부력채염기가 부력이 좋은 소금물의 염전 수상에 안정적으로 부유되도록 하면서, 선후방향으로 긴 길이로 이루어져 전방으로의 추진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oyancy tank having a long length in the forward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uoyancy ba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buoyancy balers can stably float on the saltwater salt water having good buoyancy, It is made up of long lengths to maintain forward propulsion.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부력채염기를 이동시키는 부력구동부의 회동바퀴가 부력을 갖도록 플라스틱 원통으로 제작하여 회동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추진날개에 의하여 더욱 쉽게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Furthermore,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uoyancy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uoyancy balancer is made of a plastic cylinder so as to have buoyancy and can be moved more easily by the driving wing rotated together with the turning whe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선후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가 구비되고 채염하는 상태에서의 측방향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선후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가 구비되고 소금승강장치로써 승강컨베이어장치의 작동을 보인 측방향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선후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가 구비되고 소금승강장치로써 승강컨베이어장치의 작동 중에 소금은 수집함으로 이송되고 소금물이 이송가이드저판에 형성된 배수영역으로 배수되는 상태를 보인 측방향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선후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가 구비되고 소금승강장치로써 승강컨베이어장치의 작동 중에 소금물이 이송가이드저판에 형성된 배수영역으로 배수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에서의 배수영역을 확대하여 보인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부력구동부의 부력회동바퀴와 추진날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선후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와 승강컨베이어장치로 구비된 소금승강장치가 포함된 부력채염기의 수평 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선후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와 승강스크류장치로 구비된 소금승강장치가 포함된 부력채염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방향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선후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와 승강스크류장치로 구비된 소금승강장치가 포함된 부력채염기의 수평 단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횡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와 승강스크류장치로 구비된 소금승강장치가 포함된 부력채염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방향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횡방향장방형상 실시예의 부력탱크와 승강스크류장치로 구비된 소금승강장치가 포함된 부력채염기에서 소금수집함체부의 함체버킷에 의해 소금이 소금이송장치로 모이도록 작동하는 상태를 보인 측방향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소금채취가이드장치와 소금승강장치에 더하여 채염선단상승회동부가 구비된 상태의 측방향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에 있어서 소금채취가이드장치와 소금승강장치의 선단 부분이 채염선단상승회동부에 의해 상향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보인 측방향 예시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buoyancy bal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buoyancy tank of a forward direction rectangular type embodiment is provided and is in a flushing state.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elevating conveyor apparatus as a salt eleva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uoyancy tank in a forward direction rectangular form embodiment of the buoyant bal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buoyancy bal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uoyancy tank of the forward direction rectangular type embodiment is provided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transported by collecting the sal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conveyor apparatus and discharging the brine into the drainage area formed on the conveying guide bottom plate.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FIG. 4 is a view showing a buoyancy bal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uoyancy tank of a forward direction rectangular type embodiment is provided, and a salt elevation device discharges the brine into a drainage area formed on a conveyance guide bottom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ion conveyor device, 3 is an enlarged view of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rainage area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uoyancy driving wheel and a propelling blade of the buoyancy driving unit in the buoyancy bal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oyant tank in a forward direction rectangular form embodiment and a buoyant float base including a salt floatation device provided with an elevation conveyor apparatus in the buoyant floa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buoyant tank in a buoyancy bal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buoyancy tank in a forward direction rectangular form embodiment and a buoyant float base including a salt elevator in an elevation screw apparatus.
8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buoyant tank of the buoyant flo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buoyant tank in a forward direction rectangular embodiment and a buoyant float including a salt elevator equipped with an elevation screw device.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buoyant tank of a lateral rectangular type embodiment and a buoyant float base including a salt elevator equipped with an elevating screw apparatus in the buoyant floc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buoyancy bal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uoyancy tank in a transverse rectangular form embodiment and a buoyant float base including a salt elevator equipped with an elevation screw apparatus are provided with a salt bucket,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t operates to converge; Fig.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buoyant bal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rising end of the cooking tip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salt collect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lt collecting guide device and the tip end portion of the salt elevating device are lifted upward by the flipping-edge ascending rotary part in the buoyant fl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 등에서와 같이, 약간의 수위를 갖도록 물이 있는 염전을 지나면서 염전 바닥에 결정으로 형성된 소금을 모으는 것이다. 따라서 염전을 지나다니면서 넓은 면적으로, 그리고 얇은 층으로 형성된 소금을 대면적으로 모아서, 별도의 염전뚝에 있는 대차로 손쉽게 옮기도록 하여 노동력을 줄이면서도 시간도 절약하는 것이다.That is, the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에서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소금수집함체부(40) 선단에 위치되어 염전 내의 소금을 중앙으로 모으는 채취가이드장치(20)가 마련된다.A
즉 이러한 채취가이드장치(20)는 운행하는 부력채염기(10)의 진행방향 선두에서 양옆으로 넓게 벌려 대면적으로 소금을 모으도록 마련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이러한 채취가이드장치(20)의 중앙으로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40)로 이송하는 소금승강장치(30)가 마련된다.A
아울러 이러한 상기 소금승강장치(30)로부터 이송되는 소금이 담겨지는 함체인 소금수집함체부(40)를 구비한 것이다.And a salt collecting body part (40), which is an enclosure in which the salt transferred from the salt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30) is contained.
이로써 단지 부력채염기(10)를 이동함에 의하더라도 전방에 넓게 퍼져 결정으로 형성된 소금을 쉽게 소금수집함체부(40)로 모을 수 있는 것이다.Thus, even if the
특히 이러한 염전은 소정의 낮은 수위를 형성한 물이 채워진 상태로써, 이러한 물은 염분이 포함된 소금물이라서 소금물 내에 포함된 소금이 태양광 등에 의해 소금결정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금결정은 서로 모아져서 염전 바닥에 넓게 소금 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 염전 바닥에 고른 상태로 소금층을 이루기 때문에, 결국 염전 전체로 형성된 소금을 돌아다니면서 채취하게 된다.In particular, such a salt is a state in which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low water level is filled, and such water is a salt water containing salt, so that the salt contained in the salt water forms a salt crystal by sunlight or the like. These salt crystals are gathered together to form a broad layer of salt on the salt floor. Therefore, since the salt layer is formed in an even state on the entire salt floor, the salt formed as a whole is eventually roamed and collected.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는 소정 수위를 갖는 물에 띄워진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전체 염전을 손쉽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이를 위해 부력채염기(10)의 소정 위치에는, 염전 바닥을 주행하는 부력구동부(50)를 포함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이처럼 부력구동부(50)에 의해 부력구동부(50)의 주행으로 염전 내에서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취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이에 상기 채취가이드장치(2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부력채염기 선단 양측에 고정되는 가이드회동부(21)가 마련된다.Referr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또한 양측 상기 가이드회동부(21)에서 선단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외측으로 벌어지며 긴 길이를 이루는 소금가이드(22)를 포함하는 것이다.And a salt guide (22)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guide pivot portion (21) and extending ou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ip direction and having a long length.
상기 가이드회동부(21) 상측에는 양측 소금가이드(22)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벌림조절부(24)가 구비되는 것이다.A guide opening adjustment part (24) for adjus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two side salt guides (22) is provided on the guide pivot part (21).
즉 도 6, 도 8 등에서처럼 부력채염기(10) 선단, 특히 소금수집함체부(40) 선단의 양측 가이드회부(21)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 방향으로 양측 소금가이드(22)가 소정 각도로 벌어지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가이드회동부(21) 후방으로는 양측 소금가이드(22)와 각각 후방으로 연결된 회동조절로드(222)가 소정 길이로 연장된 것이다. 이에 이러한 양측 가이드회동부(21)의 축은 대체로 수직방향을 종축방향을 이루는 것이며, 그리하여 회동조절로드(222) 및 가이드벌림조절부(24)에 의해 소금가이드(22)가 이동하는 것이 염전 바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6 and 8, the both side salt guides 22 are arranged at both sides of the axis of the
이러한 양측 회동조절로드(222) 사이를 잇도록 가이드벌림조절부(24)가 연결된다. 이러한 가이드벌림조절부(24)는 왼나사 및 오른나사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이 형성된 로드 형태를 갖는 것이며, 가이드벌림조절부(24) 일측으로는 수동형 벌림조절손잡이(241) 또는 자동형 모터(미도시됨)가 마련되어 가이드벌림조절부(24)를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벌림조절부(24)가 회동되는 방향에 따라서 양측 회동조절로드(222) 및 전방의 양측 소금가이드(22)가 벌어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것이다.And a guide
그리고 이러한 상기 소금가이드(22) 저부에는 염전 바닥과 접하는 연질가이드부(23)를 형성하여 염전 바닥이 손상됨을 방지하면서 연질가이드부(23)에 의해 모아지는 소금 알갱이가 깨지지 않도록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연질가이드부(23) 상부로는 모아지는 소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이 마련되는 것이다.The bottom of the
다음으로 상기 소금승강장치(30)는 상기 채취가이드장치(20) 중앙의 염전 바닥에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40)로 이송하는 것이다.Next, the salt elevating and lowering
이에 이러한 소금승강장치(30)의 일 실시 예로, 도 1 내지 도 8 등에서와 같이 다수의 컨베이어날개(311)가 컨베이어벨트(312)에 의해 이동하면서 소금을 이송하는 승강컨베이어장치(31)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1 to 8, the elevating
이러한 상기 승강컨베이어장치(31)의 상세 구성을 보면, 다수 컨베이어날개(311)의 이송으로 소금이 상승 중에 타고 이송되게 하는 이송가이드저판(313)이 마련된다.The conveying
또한 승강컨베이어장치(31) 상측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구동모터(315)의 회전으로 컨베이어벨트(312)를 작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롤러(316), 승강컨베이어장치(31) 아래에서 컨베이어벨트(312)의 선단을 지지하면서 회동되게 하는 컨베이어선단롤러(317),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선단롤러(317)의 후방에 위치되어 연속 이동하는 컨베이어벨트(312) 및 컨베이어날개(311)가 이송가이드저판(313)과 나란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318)를 포함하는 것이다.A
즉 컨베이어벨트(312)는 최 상부의 컨베이어구동롤러(316)에서, 제일 선두 아래인 염전 바닥과 근접한 컨베이어선단롤러(317)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컨베이어벨트(312)에 결합된 다수 컨베이어날개(311)는 위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컨베이어선단롤러(317)에서 후방의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318) 측으로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중에, 컨베이어선단롤러(317) 앞쪽에 모인 소금들을 잡듯이 모으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이후 컨베이어선단롤러(317)에서 후방에 있는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318)로 이동하게 된다.And then to the conveyor
이에 이러한 컨베이어벨트(312)에 결합된 다수의 컨베이어날개(311)는 컨베이어선단롤러(317)와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318) 사이에서, 후방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중에, 컨베이어선단롤러(317) 앞 부분에서 모은 소금들은 다수 컨베이어날개(311)에 의해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318) 측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 plurality of
그러면서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318)와 근접된 위치에 이송가이드저판(313)이 위치되므로, 결국 컨베이어벨트(312) 및 컨베이어날개(311)에 의해 이동하는 소금은 이송가이드저판(313) 아래로부터 유입되며, 이송가이드저판(313)을 따라 상측 컨베이어구동롤러(316)가 있는 곳까지 이송되는 것이다.The conveying guide
이후에는 이송가이드저판(313)의 상부에서 후방의 소금수집함체부(40)로 모이게 된다.And thereafter collec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guide
이처럼 컨베이어벨트(312) 및 다수의 컨베이어날개(311)에 의해 소금을 이송하는 중에, 컨베이어날개(311)가 컨베이어선단롤러(317)에서 후방의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318) 사이를 이동하는 위치에는, 염전에서 소정 수위를 이루는 물도 포함된 것이며, 따라서 컨베이어구동모터(315)에 의해 다수 컨베이어날개(311)를 이송하는 힘에 의해 물도 소금과 함께 후방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during conveyance of the salt by the
대체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는 물 위에 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이처럼 다수 컨베이어날개(311)에 의해 물을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서, 결국 부력채염기(10)는 다수 컨베이어날개(311)가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추진력으로 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e
따라서 사용자는 힘들이지 않고서도 손쉽게 부력채염기(10)를 이용하여 소금을 채취하는 것만으로도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중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염전에 넓게 분포된 소금을 부력채염기(10) 앞쪽에 모은 상태에서, 소금승강장치(30)의 승강컨베이어장치(31)에 의해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40)에 담는 것과 함께, 다수 컨베이어날개(311)에 의해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으로써 전방으로 이동하는 추진력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has a dual effect of easily moving the
다음으로 상기 소금승강장치(30)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회전되는 스크류날개(331)에 의해 소금을 이송하는 승강스크류장치(33)로 구비되는 것이다.Nex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러한 상기 승강스크류장치(33)의 세부 구성을 보면, 소금수집함체부(40) 선단에 경사지게 설치된 스크류본체(332)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본체(332) 내에서 회전되면서 소금을 상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날개(331), 그리고 상기 스크류본체(332) 상측에 설치되어 스크류날개(331)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333)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elevating
따라서 상부에 있는 스크류모터(333)의 작동으로 원통 형상인 스크류본체(332) 내에 있는 스크류날개(331)가 회동되면서, 소금채취가이드장치(20)에 의해 모여진 소금을 후방의 소금수집함체부(40)에 담게 된다.The
아울러 이러한 상기 승강컨베이어장치(31)의 이송가이드저판(313) 또는 승강스크류장치(33)의 스크류본체(332)에 대해서, 소정 높이에 다수로 통공 또는 다공망을 이루는 배수영역(35)을 형성하여 소금과 함께 이송되는 물이 배수되도록 구비한 것이다.A
특히 다수 컨베이어날개(311)에 의해 소금을 담는 경우에는, 소금과 함께 물도 다수 컨베이어날개(311)가 밀어내기 때문에 상당량의 물이 이송가이드저판(313)으로 소금과 어느 정도의 물도 함께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물은 중간 부분에 다공을 형성한 배수영역(35)에서 아래로 물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결국 소금수집함체부(40)에 소금만 담기도록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salt is carried by the plurality of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는 넓은 염전을 이리저리 다니면서 넓게 결정으로 형성된 소금을 모으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부력구동부(50)를 구비한 것이다. 즉 이러한 부력구동부(50)는 소정 수위를 갖는 염전에서 부력을 갖도록 하여 부력구동부(50) 및 부력채염기(10)가 뜨도록 하면서도 부력채염기(10)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부력구동부(50)의 상세 구성을 보면, 도 5, 도 6, 도 8 등에서와 같이 상기 소금수집함체부(40) 선단 또는 후단에 위치되어 이동모터(미도시됨)의 회전력으로 전진 또는 후진 회전하는 부력회동바퀴(51)를 포함한 것이다.5, 6, 8, and so on, the
특히 이러한 상기 부력회동바퀴(51)는 내부가 중공을 이루어 중공의 공기에 의한 부력으로 염전 바닥 물로부터 부력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소정 수위를 갖는 염전에서 부력으로 어느 정도 떠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이동에 대한 추진력이 적어도 염전을 돌아다닐 수 있게 하는 것이다.Particularly, the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부력회동바퀴(51)를 회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이동모터가 마련되지 않고, 사용자가 스스로 밀어 이동시키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력회동바퀴(51)가 부력을 있어 어느 정도 염전 물 위로 떠 있는 상태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리 큰 힘으로 밀지 않아도 손쉽게 부력채염기(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이동모터(미도시됨)가 마련된 경우에는 더욱 손쉽게 부력채염기(10)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a separate moving motor for rotating the
이와 함께 상기 부력구동부(50)에는, 도 5에서처럼 부력회동바퀴(51)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다수 개의 날개가 형성된 추진날개부(5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5, the
이러한 추진날개부(52)는 부력회동바퀴(51)와 동축을 이루어 회전되며, 횡단면 형상을 볼 때, 원형 중심인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날개가 넓게 마련된 것이다.The
따라서 부력회동바퀴(51)와 함께 추진날개부(52)가 회동되는 경우에는, 염전에 있는 물을 후방으로 밀게 되므로, 더욱 큰 추진력을 갖게 된다. 특히 염전 내에서 이리저리 다니는 중에 소금이 상당량 모인 상태라면 쉽게 전진하지 못할 수 있으나, 이러한 부력회동바퀴(51)와 함께 추진날개부(52) 등에 의한 추진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40)에 담는 일 실시 구성인 다수의 컨베이어날개(311)가 적용될 경우, 다수 컨베이어날개(311)에 의해 물을 후방으로 미는 힘, 부력회동바퀴(51)에 의한 회전 구동력, 그리고 부력회동바퀴(51)와 함께 회동되는 추진날개부(52)에 의해 물을 밀어내는 힘 등이 모아진 힘에 의해 더욱 큰 추진력으로 부력채염기(10)가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아울러 상기 부력회동바퀴(51) 및 추진날개부(5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소금수집함체부(40)의 선단 또는 후단에 마련되는 것이다.At least one of the
상기 부력회동바퀴(51)와 추진날개부(52) 등은, 소금수집함체부(40)의 선단 또는 후단에 마련되어지되, 각각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이어져 단일로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단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체가 함께 회동되어 추진력을 발생하게 된다. 물론 부력회동바퀴(51) 및 추진날개부(52) 등의 결합위치, 크기나 구체적인 개별 형상 등은 실시되는 양태에 알맞도록 실시될 것이다.The
또한 이러한 부력회동바퀴(51)와 추진날개부(52) 등은, 소금수집함체부(40)의 선단 또는 후단에 마련되어지되, 각각의 좌측과 우측으로 좌구동부(53) 및 우구동부(54)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이에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구비된 상기 좌구동부(53)와 우구동부(54)는 연동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구동 모터는 단일로 마련되더라도 양측 구동부를 중앙에서 이어줄 공간이 부족할 경우 연동축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양측에 각각 구동모터가 마련되더라도 동일하게 작동되게 마련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아울러 다른 실시로는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구비된 상기 좌구동부(53)와 우구동부(54)가 각각 독립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좌구동부(53)와 우구동부(54)를 각각 회동시키는 구동모도가 각자 마련되는 것이다. 특히 일측으로 회동할 경우 회동되는 안쪽 구동모터는 정지시키거나 천천히 돌게 하면 자연스럽게 회동되도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좀더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에는, 도 9 내지 도 11 등에서처럼 상기 소금수집함체부(40) 일측 저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소금을 배출하는 소금이송장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도 1 내지 도 8 등의 예에서는 소금수집함체부(40)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고, 양측 부력탱크(70)와 나란한 방향으로 소금이송장치(60)가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부력채염기(1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소금을 배출하게 된다. 물론 기타 실시예로 이러한 소금이송장치(60)는 소금수집함체부(40) 상부에서 크레인 구조로 이루어진 별도의 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후술에서는 선후방향으로 배출되거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예를 중점하여 설명한다.Next, the
또한 도 9, 도 10에서처럼 측방향으로 소금이 배출되도록 소금이송장치(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0에서처럼 소금이 담겨진 소금수집함체부(40)에는 내부의 소금이 소금이송장치(60)가 있는 쪽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함체버킷(4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소금이송장치(60)로 담겨진 소금을 모아 함께 배출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the
그리고 이러한 상기 소금이송장치(60)의 세부 구성을 보면, 일측 또는 중간 부분이 상기 소금수집함체부(40) 아래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통형상의 이송스크류관(61)이 마련되고, 이러한 상기 이송스크류관(61) 내부에 위치되어 소금수집함체부(40)로부터 유입되는 소금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62)를 포함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따라서 소금수집함체부(40) 내에 있는 소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Therefore, the salt contained in the salt
아울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소금채취장치(등록특허번호 제10-1491455호, 제10-1559979호) 측으로 배출하게 되면 소금채취장치에 의해 손쉽게 소금운반대차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를 이용하여 염전에 넓게 분포된 소금을 모으고, 선등록된 소금채취장치로 모은 소금을 운반대차로 담은 다음에, 운반대차를 염전뚝을 따라 이동하여 소금창고로 손쉽게 모음으로써 소금 채취가 손쉽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to a salt collecting apparatus (registered patent Nos. 10-1491455 and 10-1559979) fil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o the salt carrier by the salt collec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에 있어서, 부력채염기의 저부에 결합되고 부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력탱크(7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즉 염전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소금물로부터 소금을 채취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 염전 내에는 물이 소정 수위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물에 본 발명에 따른 부유채염기(10)를 뜨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앞서 설명한 것처럼 부력구동부(50)의 부력회동바퀴(51)도 부력을 형성하나, 좀더 큰 너비로 하여 부력이 크게 나타나도록 부력탱크(70)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Namel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alt is collected from the brin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forms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salt tank to some extent, the
이러한 상기 부력탱크(70)는, 부력채염기(10)의 본체에 지지되면서, 소금수집함체부(40) 아래 일측 및 소금승강장치(30) 아래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위치되는 것이다.The
이에 상기 부력탱크(7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횡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횡방향장방형상; 및 선후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선후방향장방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이루도록 실시될 수 있다.Thus, the
이에 상기 부력탱크(70)의 평면 형상이 선후방향장방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부력탱크(70)가 소금수집함체부(40) 양측 아래에 각각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이처럼 부력탱크(70)가 양측에서 선후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부력채염기(10)의 이동에 따른 저항을 덜 받게 되면서 물살을 가르면서 이동되어 추진작용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는, 도 11 및 도 12 등에서와 같이 상기 소금수집함체부(40) 선단 일측에 대해서 채취가이드장치(20) 및 소금승강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는 채염선단상승회동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채염선단상승회동부(80)에 의하여, 채취가이드장치(20), 소금승강장치(30) 등이 상향으로 들리게 되어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한다.The
즉 일측 염전에서 다른 염전으로 옮기거나 별도의 장소로 이동할 경우, 또는 소금이송장치(60) 등을 이용하여 소금을 다른 곳으로 이송하는 경우 등과 같이 필요한 경우 채염선단상승회동부(80)를 작동하여 채취가이드장치(20), 소금승강장치(30)를 들어올리게 된다.That is, when the salt is moved from one tide to another tide, or is moved to another place, or when the salt is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by using the
일부 실시예로써, 소금이송장치(60)가 소금수집함체부(40)의 소금을 채취가이드장치(20), 소금승강장치(30) 측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경우는, 이를 위해 채취가이드장치(20), 소금승강장치(30)를 들어올린 후, 부력채염기(10)를 앞서 설명한 선등록된 소금채취장치 측으로 이동시켜 배출하게 된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그리고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40)에서 비운 다음에 소금채취장치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채염선단상승회동부(80)를 반대로 작동시켜 채취가이드장치(20), 소금승강장치(30)를 염전 바닥으로 내려놓게 된다. 그런 다음에 부력구동부(50) 등을 작동하여 부력채염기(10)를 다시 염전을 돌아다니면서 소금을 채취하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salt is discharged from the salt
이와 같은 상기 채염선단상승회동부(80)에 대한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소금승강장치(30) 후방 상부가 부력채염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승회동축부(81)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6, the upwardly
그리고 이러한 상기 상승회동축부(81) 앞쪽으로, 상기 채취가이드장치(20) 및 소금승강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승회동축부(81)를 중심으로 하여 채취가이드장치(20) 및 소금승강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올리는 회동승강작동부(82)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picking
이에 상기 회동승강작동부(82)는, 부력채염기 본체 후방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와이어지지부(83)의 상부에 구비된 상승회동와이어작동부(84)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리는 승강와이어(85)에 의하여 채취가이드장치(20) 및 소금승강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들어올리는 와이어승하강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tating and elevating
즉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처럼 사용자가 위치되는 후방에 지지기둥인 와이어지지부(83)가 마련되어, 이러한 와이어지지부(83) 상측에 와이어 롤러나 와이어 권취모터나 롤러로 이루어진 상승회동와이어작동부(84)가 마련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처럼 권취모터나 권취롤러가 와이어지지부(83) 상부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바로 승강와이어(85)가 권취될 수 있으며, 권취모터나 권취롤러가 부력채염기(10) 본체인 아래에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지지부(83) 상부는 와이어가 지나는 롤러가 마련되도록 상승회동와이어작동부(84)가 마련될 수도 있다.A
따라서 상승회동와이어작동부(84)는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에 권취되거나 롤러를 지나는 와이어는 끝단이 채취가이드장치(20)나 소금승강장치(30)에 결합되는 것이므로, 상승회동와이어작동부(84)에 의한 권취 작동으로 승강와이어(85)가 당겨짐으로써 채취가이드장치(20)나 소금승강장치(30)가 회동하면서 들어올려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upwardly pivoting
이러한 회동승강작동부(82)의 다른 실시예로, 부력채염기 본체 선단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채취가이드장치(20) 및 소금승강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지지되는 승강실린더(미도시됨)의 유압력으로 채취가이드장치(20) 및 소금승강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유압승하강구성 중 어느 한 승하강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such a pivotal lifting and lowering
이에 유압작동을 위한 유압탱크, 유압펌프, 유압작동레버 등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실린더(미도시됨)에 의해 채취가이드장치(20), 소금승강장치(30)가 회동하면서 들어올려지는 것이다.The picking
그리하여 일측 염전에서의 수집이 완료되어 다른 염전으로 이동하거나 창고나 보관소 등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력채염기(10) 전방으로 소금수집함체부(40) 내의 소금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Thus, collection at one side of the torsion can be completed and moved to another torsion or to a warehouse or storage. And the salt i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채염기(10)를 염전 바닥의 물에 부유된 상태에서 쉽게 이동하면서 결정의 소금을 손쉽게 채취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대파로 사람이 일일이 소금을 모으지 않아 작업이 수월하고 작업시간도 단축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0 : 부력채염기
20 : 소금채취가이드장치
22 : 소금가이드
24 : 가이드벌림조절부
30 : 소금승강장치
31 : 승강컨베이어장치
40 : 소금수집함체부
50 : 부력구동부
51 : 부력회동바퀴
52 : 추진날개부
60 : 소금이송장치
70 : 부력탱크
80 : 채염선단상승회동부
81 : 상승회동축부10: Buoyant bucket 20: Salt picking guide device
22: Salt guide 24: Guide opening adjustment part
30: Salt elevating device 31: Elevating conveying device
40: Salt collecting body part 50: Buoyancy driving part
51: Buoyancy rotation wheel 52: Propeller blade
60: Salt transfer device 70: Buoyancy tank
80: Flip end elevating rotation part 81: Elevation rotation shaft part
Claims (8)
상기 채취가이드장치의 중앙으로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로 이송하는 소금승강장치;
상기 소금승강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소금이 담겨지는 함체인 소금수집함체부; 및
염전 바닥을 주행하는 부력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구동부의 주행으로 염전 내에서 이동하면서 소금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
A collecting guide device which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salt collecting body to collect the salt in the trough;
A salt elevatin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collected salt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collecting guide device to a salt collecting chamber;
A salt collecting container body which is an enclosure in which the salt to be transferred from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contained; And
And a buoyancy driving part for traveling on the float floor,
Wherein the buoyancy driving unit travels in the trough to collect the salt while traveling.
상기 채취가이드장치는,
부력채염기 선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회동부; 및
상기 가이드회동부에서 선단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외측으로 벌어지며 긴 길이를 이루는 소금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금가이드 저부에는 염전 바닥과 접하는 연질가이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회동부 상측에는 양측 소금가이드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벌림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mpling guide device comprises:
A guide pivot portion fixed to the tip of the buoyant bucket; And
And a salt guide extending outwardl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tip direction of the guide pivot portion and having a long length,
A soft guide portion contacting the salt floor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alt guide,
And a guide opening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angle of opening of the two side salt guides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turning unit.
상기 소금승강장치는, 상기 채취가이드장치 중앙의 염전 바닥에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로 이송하되, 다수의 컨베이어날개가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하면서 소금을 이송하는 승강컨베이어장치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컨베이어장치는,
다수 컨베이어날개의 이송으로 소금이 상승 중에 타고 이송되게 하는 이송가이드저판;
승강컨베이어장치 상측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구동모터의 회전으로 컨베이어벨트를 작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롤러;
승강컨베이어장치 아래에서 컨베이어벨트의 선단을 지지하면서 회동되게 하는 컨베이어선단롤러; 및
상기 컨베이어선단롤러의 후방에 위치되어 연속 이동하는 컨베이어벨트 및 컨베이어날개가 이송가이드저판과 나란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컨베이어승강안내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컨베이어장치의 이송가이드저판에 대해서, 소정 높이에 다수로 통공 또는 다공망을 이루는 배수영역을 형성하여 소금과 함께 이송되는 물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conveyor device for conveying salt collected at a salt trough bottom in the center of the collecting guide device to a salt collecting container section and conveying salt while a plurality of conveyor blades are moved by a conveyor belt,
The elevating conveyor apparatus includes:
A conveying guide bottom plate for conveying the plurality of conveyor wings so that the salt is transported while being raised;
A conveyor drive roller supported on the elevating conveyor apparatus and operating the conveyor belt by rotation of the conveyor drive motor;
A conveyor leading roller that rotates while supporting a leading end of the conveyor belt under the elevating conveyor device; And
And a conveyor elevating guide roller which is positioned behind the conveyor leading roller and continuously moves, and a conveyor elevating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conveyer wing to move in parallel with the conveying guide bottom plate,
Wherein a drainage area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guide bottom plate of the elevating conveyor apparatus to drain the wat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salt.
상기 소금승강장치는, 상기 채취가이드장치 중앙의 염전 바닥에 모인 소금을 소금수집함체부로 이송하되, 회전되는 스크류날개에 의해 소금을 이송하는 승강스크류장치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스크류장치는,
소금수집함체부 선단에 경사지게 설치된 스크류본체;
상기 스크류본체 내에서 회전되면서 소금을 상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날개; 및
상기 스크류본체 상측에 설치되어 스크류날개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스크류장치의 스크류본체에 대해서, 소정 높이에 다수로 통공 또는 다공망을 이루는 배수영역을 형성하여 소금과 함께 이송되는 물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lt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screw device for transferring salt collected at the salt trough bottom in the center of the collecting guide device to the salt collecting container and for conveying the salt by the rotated screw vane,
In the elevating screw device,
A screw main body inclined at the tip of the salt collector body;
A screw blade which is rotated in the screw body to feed salt upward; And
And a screw motor installed above the screw body to rotate the screw blade,
Wherein a water drainage area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screw main body of the lifting screw device to drain the wat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salt.
상기 부력구동부는,
상기 소금수집함체부 선단 또는 후단에 위치되어 이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전진 또는 후진 회전하는 부력회동바퀴; 및
상기 부력회동바퀴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다수 개의 날개가 형성된 추진날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회동바퀴는 내부가 중공을 이루어 중공의 공기에 의한 부력으로 염전 바닥 물로부터 부력을 발생하고,
상기 부력회동바퀴 및 추진날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소금수집함체부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어져 구비되거나, 또는
좌측과 우측으로 좌구동부 및 우구동부로 분리되어 구비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구비된 상기 좌구동부와 우구동부는 연동회동되거나 또는 각각 독립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ancy driving unit includes:
A buoyancy rotating wheel which is locat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salt collecting body and rotat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ving motor; And
A driving blade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oyant rotating wheel and rotated together to form a plurality of blades;
Or more,
The buoyant rotating wheel is hollowed to generate buoyancy from the bottom of the trough due to buoyancy by hollow ai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uoyancy rotating wheel and the pushing blade part is provid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salt collecting housing part,
From left to right, o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Wherein the left driving unit and the right driving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eft driving unit and the right driving unit are rotatably or independently rotated.
상기 소금수집함체부 일측 저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소금을 배출하는 소금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금이송장치는,
일측 또는 중간 부분이 상기 소금수집함체부 아래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통형상의 이송스크류관;
상기 이송스크류관 내부에 위치되어 소금수집함체부로부터 유입되는 소금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alt transfer device installed at a bottom of one side of the salt collecting body for discharging the salt to the outside,
The salt transfer device comprises:
A tubular conveying screw tube having one side or an intermediate portion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of the salt collecting container body and the other side opened to the outside;
And a conveying screw located inside the conveying screw tube for conveying the salt introduced from the salt collecting body.
부력채염기의 저부에 결합되고 부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력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력탱크는,
소금수집함체부 아래 일측 및 소금승강장치 아래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부력탱크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횡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횡방향장방형상; 및
선후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선후방향장방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부력탱크의 평면 형상이 선후방향장방형상을 이루는 경우, 부력탱크가 소금수집함체부 양측 아래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buoyancy tank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uoyancy basin and having buoyancy,
Wherein the buoyancy tank comprises:
Located below one side of the salt collecting vessel body and below the salt elevating apparatus,
Wherein the buoyancy tank has a planar shape,
Square shape;
Triangular phase;
Polygonal phase;
Circular shape;
A transverse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forward-facing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ike,
Wherein the buoyancy tanks are located below both sides of the salt collecting body when the plane shape of the buoyancy tanks forms a rectangle in the forward direction.
상기 소금수집함체부 선단 일측에 대해서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는 채염선단상승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염선단상승회동부는,
상기 소금승강장치 후방 상부가 부력채염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승회동축부; 및
상기 상승회동축부 앞쪽으로, 상기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승회동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상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올리는 회동승강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승강작동부는,
부력채염기 본체 후방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와이어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된 상승회동와이어작동부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리는 승강와이어에 의하여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들어올리는 와이어승하강구성; 및
부력채염기 본체 선단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지지되는 승강실린더의 유압력으로 채취가이드장치 및 소금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유압승하강구성;
중 어느 한 승하강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채염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laming end elevating rotation part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sampl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upwardly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salt collecting container body,
Wherein the flame-
An upward tilting shaf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buoyancy balancer main body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salt elevating apparatus;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pick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to raise the at least one of the pick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upwardly, And a turning up / down operation portion,
The rotating /
A wire lifting / lowering mechanism for lifting at least one of the pick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by a lifting wire wound or unwound by a lifting wire operat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a wire supporting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back of the buoyancy balancer main body ; And
A hydraulic guiding device for lifting one or both of the sampl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up and down with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lifting cylinder supported on one end of the buoyant flushing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supported by at least one of the sampling guide device and the salt elevating device, Up and down configuration;
Wherein the buoyancy balancer comprises a buoyant buoyant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944A KR20170081917A (en) | 2016-01-05 | 2016-01-05 |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with buoyanc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944A KR20170081917A (en) | 2016-01-05 | 2016-01-05 |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with buoyanc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1917A true KR20170081917A (en) | 2017-07-13 |
Family
ID=5935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0944A Ceased KR20170081917A (en) | 2016-01-05 | 2016-01-05 |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with buoyanc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81917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63641A (en) * | 2017-12-06 | 2018-04-27 | 新疆盐湖制盐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full-automatic multi-functional Salt miner |
CN108945575A (en) * | 2018-07-19 | 2018-12-07 | 李芳军 | A packaging machine for Ethiopian coffee beans |
KR20200020468A (en) * | 2018-08-17 | 2020-02-26 | 정순호 | Apparatus for automatic cockle collect |
KR102092699B1 (en) * | 2018-10-16 | 2020-03-24 | 신영구 | Suction device for saltern |
KR102644450B1 (en) * | 2023-01-31 | 2024-03-06 | 김항규 | Salt Collecting Multi Loader |
-
2016
- 2016-01-05 KR KR1020160000944A patent/KR2017008191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63641A (en) * | 2017-12-06 | 2018-04-27 | 新疆盐湖制盐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full-automatic multi-functional Salt miner |
CN107963641B (en) * | 2017-12-06 | 2019-09-20 | 新疆盐湖制盐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full-automatic multi-functional Salt miner |
CN108945575A (en) * | 2018-07-19 | 2018-12-07 | 李芳军 | A packaging machine for Ethiopian coffee beans |
KR20200020468A (en) * | 2018-08-17 | 2020-02-26 | 정순호 | Apparatus for automatic cockle collect |
KR102092699B1 (en) * | 2018-10-16 | 2020-03-24 | 신영구 | Suction device for saltern |
KR102644450B1 (en) * | 2023-01-31 | 2024-03-06 | 김항규 | Salt Collecting Multi Loader |
KR20240120633A (en) * | 2023-01-31 | 2024-08-07 | 김항규 | Salt Collecting Multi Loa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81917A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with buoyancy device | |
US5030363A (en) | Oil retriever with interchangeable collection tanks and method of use therefor | |
KR101055921B1 (en) | Float collector | |
KR101491455B1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salt | |
US4592155A (en) | Dredger with transport basin having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 |
US4145292A (en) | Surface skimmer | |
US3700107A (en) | Apparatus for recovery of floating substances | |
CN105164341A (en) | Device for collecting oil | |
KR20160015466A (en) | Device for taking away and loading sun-dried salt | |
KR20160113059A (en) | salt gethering machine and method using bit | |
US5743694A (en) | Oil recovery apparatus | |
US20050204589A1 (en) | Multi-purpose vessel and method for recovering, storing and/or offloading material in a dredging operation | |
US5399054A (en) | Oil recovery apparatus | |
GB2554415A (en) | Contaminant recovery apparatus | |
USRE30729E (en) | Floatage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 |
US7025553B1 (en) | Dredging vessel and method for recovering, transporting and off loading material | |
JPH09254874A (en) | Catamaran cleaning boat | |
WO2021230747A1 (en) | Sea mining system, method for mining in a sea and mining assembly for use in a sea mining system | |
WO2000006838A9 (en) | Dredging vessel and method for recovering, transporting and off-loading material | |
US2091279A (en) | Dredging apparatus | |
JP3702519B2 (en) | Seabed sediment recovery device | |
CN207828944U (en) | A kind of draining caisson | |
RU2265724C1 (en) | Subocean mining plant (variants) | |
JP3735747B2 (en) | Sediment scraping device | |
WO2020106141A2 (en) | Sea mining system and method for mining in a deep se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