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9946A -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 - Google Patents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946A
KR20170079946A KR1020150191036A KR20150191036A KR20170079946A KR 20170079946 A KR20170079946 A KR 20170079946A KR 1020150191036 A KR1020150191036 A KR 1020150191036A KR 20150191036 A KR20150191036 A KR 20150191036A KR 20170079946 A KR20170079946 A KR 20170079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ping
tapped hole
tap
tool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제이
Priority to KR1020150191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946A/ko
Publication of KR2017007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9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9/00Machining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particular metal objects or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or results on metal objects
    • B23H9/003Making screw-thread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4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2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r thei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공구를 탭 너트를 형성하기 위해 탭 구멍에 집어넣음에 따라 탭 공구가 자동으로 탭 구멍의 중심에 일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탭 공구를 이용하여 탭 너트를 태핑할 수 있게 한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공 대상물이 복잡한 형상이 이루어져서 통상의 방법으로 그 기준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거나 기준점을 찾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 대상물에 대해서도 이처럼 기준 위치를 찾지 않고 바로 탭 구멍에 탭 공구를 끼워서 태핑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탭 너트를 형성할 수 있게 한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탭 공구에 탭 구멍의 중심을 검출할 수 있게 설정 부분을 추가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태핑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중심 위치나 좌표를 계산하지 않고서도 신속하게 태핑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TAP TOOL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AND THE TAPP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전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탭 공구 끝에 가공 부분보다 가늘게 설정 부분을 형성하고, 이 설정 부분을 탭 구멍에 삽입하여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점을 이용하여 탭 공구가 탭 구멍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가공 대상물에 소수의 탭 너트를 형성하거나 형상이 복잡하여 중심 위치를 검출하기 어려운 가공 대상물의 경우, 그리고 탭 너트의 지름이 작은 경우에도 쉽고 신속하게 가공 위치를 검출하여 가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전 가공기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즉, 가공 대상물에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홈이나 구멍을 형성하는 슈퍼 드릴 방전 가공기와, 이처럼 슈퍼 드릴 방전 가공기로 가공한 구멍에 와이어를 끼워서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가공 대상물의 표면에 마치 무늬를 새기거나 탭 가공을 하는 등의 성형하는 성형 방전 가공기로 구분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는 이러한 방전 가공기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448470호
피 가공물에 구멍 또는 홈을 가공한 후에 내면에 나선 홈을 가공하는 방전가공형 드릴장치에서 탭 전극을 보조하는 탭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탭 전극의 탭 가공 수행시 정밀한 탭 가공과 더불어 탭 전극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고, 탭 구멍의 위치에 정확히 중심을 맞춰줄 수 있는 한편, 나사 피치 보정과 나사산 보정을 통해 전극 마모로 인한 정밀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이드 자체 또한 나사 피치 보정과 나사산 보정을 통해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보조 가이드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전극의 교체시기 연장, 가공시간 단축 등 가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탭 가공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전가공형 드릴장치의 탭 가이드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90887호
마 위상 황동 코팅된 EDM 와이어 전극은 특유의 형태로 기술할 수 있는 기하학적 파라미터들의 분포를 가지는 브리틀 감마 위상 합금의 뚜렷한(distinct) 미립자(particulate)를 생성하기 위하여 가공처리된다. 입자들의 분포는 최소 1.5μm의 단축을 갖는 입자들의 최소한의 갯수 및 큰 종횡비(장축 및 단축의 값의 몫(quotient)) 입자들의 높은 비율(proportion)을 포함하는 표준의 광학 금속공학 절차를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의 무작위 단면들을 분석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와이어 전극들은 종래기술의 전극들 보다 적은 잔해를 남기고, 종래 기술의 감마 와이어 보다 절삭 속도 수행능력의 저하 없이 청결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554837호
검출 홈을 형성한 블록을 이용하여 전극봉이 이 검출 홈 내에서 Z축의 높이를 달리함에 따라 다른 크기로 한정한 두 개의 XY 평면에서 각각 움직이면서 검출 홈과 3점 접촉함에 따라 세 점을 지나는 원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삼각 함수로 전극봉의 수직 상태를 보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형상의 블록을 이용하여 전극봉의 수직 상태를 보정할 수 있어 자동으로 편리하게 수직 보정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 대상물에 대한 방전 가공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한 슈퍼 드릴 방전 가공기용 전극봉 수직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555312호
와이어 방전 가공기용 가공품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 가공된 가공품의 표면을 세척하는 자동세척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직접 약액 및 물에 가공품을 담궈 진행하는 수작업을 자동으로 개선하는 것과 더불어 유해한 약액이 작업자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며, 세척부의 하부에 흘러들어온 유체를 각각의 탱크로 분기하는 액상 분기부를 구비하여 사용된 약액 및 물을 재활용하고, 정해진 온도의 열풍을 분사하는 건조부를 구비하여 가공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액상성분을 열풍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방전 가공기는 이처럼 홈이나 구멍 이외에도 미리 탭 구멍을 형성한 가공 대상물에 대해 태핑할 수 있게 구성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도 1]과 같은 탭 공구(1)를 사용한다.
탭 공구(1)는, [도 1]과 같이, 일부 구간이 수나사(2)가 형성된다. 이때, 수나사(2)는 가공 대상물(W)에 탭 너트를 형성하기 위해 미리 뚫어놓은 탭 구멍(H)에 끼워서 태핑 작업을 한다. 이때, 방전 가공을 위해서는 탭 구멍(H)과 수나사(2) 사이에 미리 정한 간격(G)을 유지해야 한다.
즉, 탭 공구(1)를 이용하여 방전을 이용하여 탭 구멍(H) 안을 태핑하여 탭 너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나사(2)의 바깥지름(O)이 탭 구멍(H)의 안지름(I)보다 작아야 한다. 이때 이들 지름의 차이는 방전 가공을 위해 탭 공구(1)와 가공 대상물(W) 사이에서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간격(G)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방식으로 탭 구멍(H)에 방전 가공을 통해 태핑 작업을 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에 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태핑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수나사(2)를 탭 구멍(H)에 끼운 다음 이 수나사(2)가 탭 구멍(H)의 내벽과 미리 정한 간격(G)을 유지한 상태에서 방전 가공이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이때, 상기 수나사(2)는 그 중심이 탭 구멍(H)의 중심과 일치해야만 탭 구멍(H)의 내벽에 골고루 탭 너트가 형성된다. 이때, 탭 구멍(H)은 미리 가공 대상물(W)에 드릴링해 놓는다.
(2) 하지만, 크기가 큰 가공 대상물에 몇 개의 탭을 형성하거나 가공 대상물의 형상이 복잡하여 그 기준점을 잡지 못할 때나 가공할 탭 너트의 지름이 작은 경우 탭 구멍(H)의 중심에 수나사(2)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3) 즉, 통상의 방전 가공기는 가공 대상물(W')의 형상이 [도 2(a)]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므로 방전가공하기 전에 미리 한쪽 모서리의 좌표를 읽어와서 기준점으로 삼는다.
(4) 하지만, [도 2(a)]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공 대상물(W')에 하나의 탭을 형성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기준점을 찾은 다음 탭 구멍(H)의 중심을 찾아야 한다. 이는, 기준점의 좌표를 얻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5) 이에,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눈대중으로 탭 구멍(H)의 중심에 수나사의 중심을 맞춰서 작업하고 있어 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중심이 맞지 않으면 같은 작업을 반복해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6) 한편, 이처럼 탭 구멍(H)의 중심에 수나사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작업은 [도 2(a])와 같은 사각형 형상의 가공 대상물(W')에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쉽게 찾을 수 있으나, [도 2(b)]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기준점을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7) 게다가 탭 너트의 지름이 5㎜이하와 같이 작은 경우 작업자가 눈으로 그 중심 위치를 맞추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448470호 (등록일 : 2010.04.07)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90887호 (공개일 : 2015.08.06) 한국등록특허 제1554837호 (등록일 : 2015.09.15) 한국등록특허 제1555312호 (등록일 : 2015.09.1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탭 공구를 탭 너트를 형성하기 위해 탭 구멍에 집어넣음에 따라 탭 공구가 자동으로 탭 구멍의 중심에 일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탭 공구를 이용하여 탭 너트를 태핑할 수 있게 한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공 대상물이 복잡한 형상이 이루어져서 통상의 방법으로 그 기준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거나 기준점을 찾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 대상물에 대해서도 이처럼 기준 위치를 찾지 않고 바로 탭 구멍에 탭 공구를 끼워서 태핑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탭 너트를 형성할 수 있게 한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탭 공구에 탭 구멍의 중심을 검출할 수 있게 설정 부분을 추가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태핑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중심 위치나 좌표를 계산하지 않고서도 신속하게 태핑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는, 방전가공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분(11)과 탭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분(12) 그리고 위치 설정을 위한 설정 부분(13)이 차례로 형성된 탭 공구(10)에 있어서, 상기 설정 부분(13)은 그 지름(D)이 가공 부분(12)의 지름(D')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설정 부분(13)과 가공 부분(12)의 지름 비율(D/D')은 0.1~0.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 부분(13)은, 원기둥 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원뿔 또는 정원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10)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포함하며, 그 방법은 공작물(W)에 형성한 탭 구멍(H)에 삽입하여 태핑하는 방전 가공기의 태핑 방법에 있어서, 설정 부분(13)을 탭 구멍(H)에 그 내벽과 접촉하지 않게 삽입하는 제1 단계; 탭 공구(10)를 움직이면서 설정 부분(13)이 탭 구멍(H)과 접하는 적어도 2개 지점의 XY 좌푯값을 얻는 제2 단계; 상기 XY 좌푯값을 이용하여 탭 구멍(H)의 중심점을 얻는 제3 단계; 및 상기 설정 부분(13)의 중심선이 이 탭 구멍(H)의 중심점 상에 오게 하여 탭 가공하게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단계는 2점에서 4점의 좌푯값을 얻고, 상기 제3 단계는 2점에서 4점을 지나는 원의 중심을 구하여 중심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기존 탭 공구에 이보다 얇은 지름을 가진 설정 부분을 추가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탭 구멍 안에서 그 중심 위치에 탭 공구가 놓이게 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기존 탭 공구를 가공하면서 이처럼 설정 부분만 추가 구성하므로, 간단한 설계 변경을 통해 쉽고 신속하게 본 발명에 따른 탭 공구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특히, 가공 대상물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잡하여 기준 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본 발명은 기준 위치를 설정하지 않고 탭 구멍을 기준으로 그 중심 위치를 설정하므로 정확하면서도 쉽게 중심 위치를 검출하여 태핑 작업을 할 수 있다.
(4) 이에, 이처럼 복잡한 가공 대상물이나 많지 않은 개수의 탭 구멍에 태핑 작업을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탭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 전체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지 않고 쉽고 신속하게 원하는 위치에 가공한 탭 구멍을 기준으로 태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은 작은 탭 구멍에 태핑할 때 유리하다. 즉, 탭 구멍이 작아서 탭 구멍과 수나사의 간격이 좁아서 그 중심이 벗어나면 탭 너트의 위치가 원하는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나, 본 발명은 탭 구멍이 작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태핑 작업을 할 수 있어 정밀도를 높이면서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태핑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탭 공구로 태핑 작업을 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태핑 작업하기 위한 가공 대상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탭 공구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탭 공구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탭 공구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탭 공구(10)는, [도 3]과 같이, 탭 공구(10)를 방전가공기에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고정 부분(11), 탭 구멍(H)에 끼워져서 실질적으로 탭 너트를 태핑하는 가공 부분(12), 그리고 이 탭 구멍(H) 안에서 그 중심점을 검출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설정 부분(13)이 차례로 형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 설정 부분(13)은 그 지름(D)이 가공 부분(12)의 지름(D')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이 설정 부분(13)이 가공 부분(12)보다 넓은 지름을 가진 탭 구멍(H) 안에서 편리하게 움직이면서 이 탭 구멍(H)의 중심점을 찾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W"는 방전가공을 하기 위한 가공 대상물을, "H"는 가공 대상물(W)에 탭 너트를 형성하기 위해 미리 뚫어놓은 탭 구멍을 나타낸다.
고정 부분(11)은, [도 3]과 같이, 미도시한 방전가공기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고정 부분(11)은 통상적으로 탭 공구(10)가 탭 너트를 형성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이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한다. 즉, 고정 부분(1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방전 가공기에 끼우거나 물리게 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고정 부분(11)은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탭 공구(10)의 장착 방향이나 회전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정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고정 부분(11)에 고정 홈 등을 형성하여 방전 가공기에 끼운 상태에서 빠지거나 회전하지 않게 고정할 수도 있다.
가공 부분(12)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고정 부분(11)의 한쪽에서 연장하여 형성한다. 이 가공 부분(12)은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탭 구멍(H)의 안쪽 면과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되면 이 안쪽 면에 탭 너트를 형성한다.
설정 부분(13)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가공 부분(12)의 한쪽에서 연장하여 형성한다. 이때, 설정 부분(13)은 고정 부분(11)과 가공 부분(12)과 같은 선 상에 위치하게 하여 이 설정 부분(13)을 통해 중심 위치를 설정함에 따라 탭 공구(10)의 중심선이 이 중 위치에 올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설정 부분(13)은 그 지름(D)이 상술한 가공 부분(12)의 지름(D')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설정 부분(13)이 먼저 탭 구멍(H)에 끼워져서 탭 구멍(H)의 중심 위치를 찾는 데 이용하므로, 가공 부분(12)보다 얇게 제작하여 설정 부분(13)이 탭 구멍(H)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작업 공간을 확보해 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작업 공간은 탭 구멍(H)의 지름, 즉 태핑하기 위해 가공 대상물(W)에 뚫어놓은 탭 구멍(H)의 지름이 작을수록 확보하기가 어렵다.
즉, 태핑 가공할 탭 너트의 지름이 작은 경우, 예를 들어서 태핑 가공할 탭 너트의 지름이 5㎜라고 하면 이 탭 너트를 방전가공하기 위해서는 탭 구멍(H)을 대략 4㎜ 정도로 뚫는다. 그리고, 가공 부분(12)은 대략 3~3.5㎜ 정도로 제작한 것을 사용하여 탭 구멍(H)과 가공 부분(12) 사이에 대략 0.5~1㎜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방전 가공을 통해 태핑 작업을 한다. 이 때문에 간격 차이가 거의 없는 가공 부분(12)을 직접 탭 구멍(H) 안에 집어넣고, 특히 정확하게 그 중심에 위치하게 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이 가공 부분(12)보다 얇은 설정 부분(13)을 탭 구멍(H)에 집어넣어 넓은 공간을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쉽고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탭 구멍(H)의 중심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중심 위치를 찾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부분(13)과 가공 부분(12)의 지름 비율(D/D')은 0.1~0.7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름 비율이 이보다 작으면 작업 공간이 넓어지나 설정 부분(13)이 상대적으로 너무 얇아질 우려가 있고, 이보다 크면 작업 공간이 줄어들어 그만큼 중심 위치를 찾는 데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부분(13)은, 고정 부분(11)과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원기둥 형상의 경우 탭 구멍(H)과 접촉할 때 접촉 면적이 넓으므로,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설정 부분(13)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설정 부분(13)은 정원뿔이나 정원뿔 기둥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원기둥 형상의 경우 그 길이 전체에 대해 접촉이 되나, 원뿔 형상의 경우 어느 한 지점만 접촉하게 하여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탭 공구(10)를 이용한 태핑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태핑 방법은 4단계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태핑 방법)
제1 단계는, [도 4]와 같이, 탭 공구(10)를 탭 구멍(H) 안에 놓이게 하는 단계이다. 이때, 탭 공구(10)는 설정 부분(13)이 탭 구멍(H) 안에 그 내벽과 접촉하지 않게 삽입한다. [도 4]에서 (a)는 삽입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를, (b)는 설정 부분(13)이 탭 구멍(H)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제2 단계는, [도 5]와 같이, 설정 부분(13)이 탭 구멍(H)과 접하는 적어도 2개의 XY 좌푯값을 얻는 단계이다. 이는, 탭 공구(10)를 XY 평면(즉, 가공 대상물(W)의 윗면) 위에서 움직임에 따라 설정 부분(13)이 탭 구멍(H)과 접촉한 지점의 XY 좌푯값을 얻는다.
이는, [도 5(a)]와 같이 처음 탭 구멍(H)에 삽입된 설정 부분(13)을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여서 [도 5(b)]와 같이 탭 구멍(H)의 내벽과 접촉하는 순간의 XY 좌푯값을 얻고, 다시 [도 5(c)]와 같이 설정 부분(13)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켜서 설정 부분(13)이 탭 구멍(H)의 내벽과 접촉하는 순간의 XY 좌푯값을 얻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XY 좌푯값은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2~4개의 XY 좌푯값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의 XY 좌푯값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점을 지나는 원이 여러 개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원을 얻을 수 있는 3점 또는 4점의 좌푯값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제3 단계는, [도 6]과 같이, 상술한 XY 좌푯값으로 탭 구멍(H)의 중심점을 얻는 단계이다. 이는, 탭 구멍(H)이 원 형태로 가공하기 때문에, 이 원을 지나는 점(XY 좌푯값)을 알고 있으므로, 2점 내지 4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중심점을 계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단계는, [도 6]과 같이, 제3 단계에서 얻은 중심점 위치로 탭 공구(10)를 이송하여 탭 가공하게 하는 단계이다. 이는, 설정 부분(13)의 중심이 탭 공구(H)의 중심과 일치하게 놓인 상태에서 탭 공구(10)를 탭 구멍(H) 안으로 들어가게 하면 가공 부분(12)이 탭 구멍(H) 안에 놓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방전 가공함에 따라 탭 너트가 성형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탭 공구에 설정 부분을 더 추가하는 간단한 설계 변경을 통해 기준 위치를 찾기 어려운 복잡한 형상의 가공 대상물이나, 지름이 작아서 수동으로 중심 위치를 찾기 어려운 탭 구멍에서 태핑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그리고 가공 대상물에 소수 개의 탭 너트를 태핑해야 할 때, 별도로 중심 위치를 잡지 않고서도 탭 공구만으로 바로 중심 위치를 찾아내어 태핑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10 : 탭 공구
11 : 고정 부분
12 : 가공 부분
13 : 설정 부분

Claims (5)

  1. 방전가공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분(11)과 탭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분(12) 그리고 위치 설정을 위한 설정 부분(13)이 차례로 형성된 탭 공구(10)에 있어서,
    상기 설정 부분(13)은 그 지름(D)이 가공 부분(12)의 지름(D')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부분(13)과 가공 부분(12)의 지름 비율(D/D')은 0.1~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부분(13)은,
    원기둥 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원뿔 또는 정원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10).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탭 공구(10)를 공작물(W)에 형성한 탭 구멍(H)에 삽입하여 태핑하는 방전 가공기의 태핑 방법에 있어서,
    설정 부분(13)을 탭 구멍(H)에 그 내벽과 접촉하지 않게 삽입하는 제1 단계;
    탭 공구(10)를 움직이면서 설정 부분(13)이 탭 구멍(H)과 접하는 적어도 2개 지점의 XY 좌푯값을 얻는 제2 단계;
    상기 XY 좌푯값을 이용하여 탭 구멍(H)의 중심점을 얻는 제3 단계; 및
    상기 설정 부분(13)의 중심선이 이 탭 구멍(H)의 중심점 상에 오게 하여 탭 가공하게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기의 태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2점에서 4점의 좌푯값을 얻고,
    상기 제3 단계는 2점에서 4점을 지나는 원의 중심을 구하여 중심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기의 태핑 방법.
KR1020150191036A 2015-12-31 2015-12-31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 Ceased KR20170079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036A KR20170079946A (ko) 2015-12-31 2015-12-31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036A KR20170079946A (ko) 2015-12-31 2015-12-31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946A true KR20170079946A (ko) 2017-07-10

Family

ID=5935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036A Ceased KR20170079946A (ko) 2015-12-31 2015-12-31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9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577B1 (ko) 2019-01-31 2019-06-26 전창복 방전가공기용 교환하는 탭 공구 정렬 방법
KR20220169637A (ko) 2021-06-21 2022-12-28 전창복 방전 탭의 정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577B1 (ko) 2019-01-31 2019-06-26 전창복 방전가공기용 교환하는 탭 공구 정렬 방법
KR20220169637A (ko) 2021-06-21 2022-12-28 전창복 방전 탭의 정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4876B (zh) 一种工具电极加工工艺及采用该工具电极加工微孔的方法
US7576295B2 (en) Method for detecting and compensating electrode wear of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KR101554837B1 (ko) 슈퍼 드릴 방전 가공기용 전극봉 수직 보정 방법
US10422620B2 (en) Contact-type 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0487464B (zh) 一种基于残余应力的变形轮廓测量方法
Qingfeng et al. Fabrication of micro rod electrode by electrical discharge grinding using two block electrodes
CN203726264U (zh) 一种机床冷却液喷嘴及其支撑支架
KR20130100307A (ko) 축공과 밀링평면 수직도의 검측공구
KR20170079946A (ko) 방전 가공기용 탭 공구와 이를 이용한 태핑 방법
CN105562924B (zh) 一种激光加工设备的辅助对焦方法
CN101658966B (zh) 圆角分段切割系统及方法
KR101730090B1 (ko) 성형 방전 가공용 탭
CN112108729B (zh) 一种异形难熔阳极加工方法
US20170129068A1 (en) Tools for lens processing
CN105328284A (zh) 一种用于加工内螺纹的电极
CN207556437U (zh) 一种凸轮轴信号盘角度检测机构
JPH09220685A (ja) レーザ加工機における被加工材の測定方法
CN104924192A (zh) 一种盲孔珩磨头
CN100420534C (zh) 基于线框电极进行电火花套料加工的方法
KR101843289B1 (ko) 방전 가공기의 전극봉의 가이드 이탈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JP2009208197A (ja) 袋穴加工電解加工装置および袋穴加工電解加工方法
CN215431642U (zh) 一种用于圆管外壁钻斜孔的定位工装
CN110722324B (zh) 顶杆孔的加工方法
CN113340250B (zh) 一种采用探头测量孔径的方法
KR102614929B1 (ko) 방전 탭의 정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112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90822

Appeal identifier: 2018101001028

Request date: 2018030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02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07

Effective date: 2019082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8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80307

Decision date: 20190822

Appeal identifier: 20181010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