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9594A - 방수방식 필름 - Google Patents

방수방식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594A
KR20170079594A KR1020150190338A KR20150190338A KR20170079594A KR 20170079594 A KR20170079594 A KR 20170079594A KR 1020150190338 A KR1020150190338 A KR 1020150190338A KR 20150190338 A KR20150190338 A KR 20150190338A KR 20170079594 A KR20170079594 A KR 2017007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fluorine
layer
ozone
polytetrafluoroethyl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묵
박상민
윤재호
조진욱
정인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Priority to KR102015019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594A/ko
Priority to PCT/KR2016/000113 priority patent/WO2017115902A1/ko
Publication of KR2017007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59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7/00Polyvinylhalogenides
    • B32B2327/12Polyvinylhalogenides containing fluorine
    • B32B2327/18PTFE, i.e. polytetrafluoroethylen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방수방식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이 필름은 유리 직물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위치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0 내지 5,000,000인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방식 필름{WATERPROOF ANTICORROSION FILM}
본 발명은 방수방식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원지에서 취수한 물은 정수장에서 복수의 처리조에서 여러 단계를 거쳐 처리되어 1급수로 정수되어, 가정에 공급된다.
이때, 물의 처리 공정은 상기 처리조 중 오존 처리 탱크에서 공급되는 오존 및 염소로 소독 처리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오존이 오존 처리 탱크를 부식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존 처리 탱크에 내오존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 일 예로, 오존 처리 탱크에 상온 경화형 불소 페인트를 도포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이 결과 오존 주입량이 3ppm인 경우 수 개월만에 불소 페인트 코팅막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온 경화형 불소 페인트로는 원하는 수준의 내오존성을 얻을 수 없었다.
다른 예로, 내오존성이 우수한 물질인 내열도 328℃인 열경화성 불소 수지를 오존 처리 탱크에 도포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 열경화성 불소 수지를 녹여서 고온 상태로 오존 처리 탱크에 시공한 결과 오존 처리 탱크의 표면이 연소되고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방수방식 특성이 우수한 방수방식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유리 직물(glass fabric)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위치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0 내지 5,000,000인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방수방식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퍼플루오로알킬옥시(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ECTFE), 폴리클루오로 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M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플루오라이드(THV)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는 0.025mm 내지 0.40mm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0.05mm 내지 0.50mm 일 수 있다.
상기 방수방식 필름은 상기 불소계 수지층과 접하는 이형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방식 필름은 상기 불소계 수지층 및 상기 이형층 사이에 위치하며,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 및 점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수방식 필름은 우수한 방수방식 특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시설의 내벽을 보호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내오존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오존 처리가 필요한 정수 설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방수방식 필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오존 열화 실험 조건을 나타내 그래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유리 직물(glass fabric)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위치하는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방수방식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불소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000 내지 5,000,000인 것이 적절하며, 3,500,000 내지 4,000,000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이 방수방식 필름을 정수장의 처리조에 부착하여, 오존을 조사하는 정수 처리 실험에 대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용출실험을 실시한 결과, 중금속이 용출되지 않아, 정수장, 특히 음용수 정수장 처리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불소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내마모성이 증가되고, 용출 가능성도 저하되어 적절하지 않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퍼플루오로알킬옥시(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ECTFE), 폴리클루오로 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M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플루오라이드(THV)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내오존성 향상의 이유로 더욱 적절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난분해성으로 환경 및 생체 유독 성분인 퍼플루오로옥탄산(perfluoro octanic acid: PFOA)를 함유하지 않는 불소 수지가 적절하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는 0.025mm 내지 0.50mm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0.025mm 보다 얇은 경우, 내마모성이 약하여 쉽게 마모되어 사용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고, 0.50mm보다 두꺼운 경우,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수지층의 강직성이 증가되어 점착 코팅이 어렵고 정수조 곡면 부위에 부착하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생산성이 저하되며, 찢어지기 쉬워 적절하지 않다.
상기 기재로 유리 직물을 사용하는 경우, 고분자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강도가 높고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정수조 부착시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방수방식 필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0.05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이 기재의 두께가 0.05mm보다 얇은 경우, 방수방식 필름이 쉽게 찢어지거나 오존이 침투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0.50mm보다 두꺼운 경우, 방수방식 필름이 뻣뻣해져 굴곡부위에 부착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워지면 유리 직물 기재와 불소계 수지층과의 결합력이 약해져 불소계 수지가 유리 직물로부터 이탈할 수 있어, 적절하지 않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고, 양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처리를 더욱 실시하면, 불소가 갖는 이형성(release properties)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불소계 수지층 위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더욱 형성시키는 경우, 불소계 수지층과 점착층이 잘 결합되어, 점착제가 불소계 수지층으로부터 떨어지거나, 피착제에 전사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 방법은 물리적 에칭 또는 화학적 에칭 방법을 들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식용수 정수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물리적 에칭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에칭은 플라즈마(plasma) 표면 처리 방법일 수 있으며, 진공 상태에서 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를 형성시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진공 상태는 10-3 내지 10-4의 진공도일 수 있다. 상기 활성 가스로는 아르곤, 수소 또는 산소를 각각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활성 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비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에칭 방법은 상기 불소계 수지층을 식각제에 침지하는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식각제로는 염화철, 황산암모니아, 크롬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화학적 에칭 공정은 쉬트의 두께 및 요구 물성에 따라 침지 시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수방식 필름은,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상기 기재를 함침하거나, 양면 또는 단면에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코팅 공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그라비아 코팅(gavial coating), 콤마 코팅(comma coating), 다이 코팅(die coating) 등의 일반적인 코팅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수방식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은 당해 분야에 알려진 공정은 어떠한 공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방수방식 필름은 상기 불소계 수지층과 접하는 이형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방식 필름은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 및 상기 이형층 사이에 위치하며,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방수방식 필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 구현예에 따른 방수방식 필름(10)은 불소계 수지층(1), 점착층(3) 및 이형층(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실리콘계 점착제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실리콘계 점착제가 내구성 및 점착력이 우수하여, 보다 적절하다. 이러한 점착층은 수지층을 오존 처리조에 점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실리콘계 폴리머와 실리콘계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폴리머로는 메틸기 또는 페닐기를 포함하고, 양말단에 비닐기를 가지는 실리콘계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비닐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로는 MQ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Q 실리콘 수지는 (Ra 3SiO0.5)a로 표시되는 M 단위 및 (SiO2)b로 표시되는 Q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Ra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수소,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며, 구체적으로 CH3, CH3CH2CH3, C6H5, CH2=CH, 수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및 b는 0을 초과하는 정수를 나타내며, a/b의 비는 0.5 내지 1.5이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와 실리콘 수지의 혼합비는 30 : 70 내지 90 : 10 중량비일 수 있다. 실리콘 폴리머와 실리콘 수지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점착성능이 양호한 장점이 있을 수 있으나, 범위를 벗어나면 점착력 및 유지력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축합형 에폭시계, 부가형 에폭시계 또는 멜라민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0.075mm 내지 0.65 mm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형층으로는 불소이형처리가 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형층의 두께는 0.050mm 내지 0.07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은다. 상기 이형층은 방수방식 필름을 보관시 점착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내벽에 부착시 제거되어 내벽 구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재 및 상기 점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로는 실리콘계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리콘계 프라이머로는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하이드록시 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비닐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02mm 내지 0.003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수방식 필름은 방수방식이 필요한 부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불소계 수지층이 부착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고무는 오전 10ppm을 조사하면, 수초 내지 수시간만에 열화가 발생하는 반면,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수방식 필름은 오존 10ppm을 조사시, 장시간, 예를 들어 약 4주 후에도 균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시간 오존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수방식 필름은 오폐수 처리 시설, 선박하부 방오용, 콘크리트 구조물 중성화 방지용, 식품저장탱크 방식, 어류 양식장 내부 방식, 화학약품 저장 탱크 내부, 철재 배관 염해 방지 부식 방지용, 철재 철구조물 부식방지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00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60 중량% 및 증류수 40 중량%를 혼합하여, 불소계 수지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퍼플루오로옥탄산이 없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하였다.
0.05nm 두께를 갖는 유리 직물 기재를, 상기 불소계 수지층 조성물에 2분간 동안 함침하고, 이를 건조하여, 유리 직물 기재의 일면에 0.02nm 두께를 갖는 불소계 수지층이 형성된 방수방식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00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8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혼합하여, 불소계 수지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퍼플루오로옥탄산이 없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하였다
0.05nm 두께를 갖는 유리 직물 기재를, 상기 제조된 불소계 수지층 조성물에 2분 동안 함침하여, 유리 섬유 일면에 0.04nm 두께를 갖는 불소계 수지층이 형성된 방수방식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유리 섬유를 고형분 60 중량%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중량평균분자량 1,000,000) 수분산체로 코팅하여, PTFE가 코팅된 유리 섬유를 제조하였다.
고형분 60 중량%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분산체 및 수분산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코팅된 유리 섬유를 상기 혼합액에 함침하고, 이를 건조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0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60 중량% 및 증류수 40 중량%를 혼합하여, 불소계 수지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퍼플루오로옥탄산이 없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하였다
0.05nm 두께를 갖는 유리 직물 기재를, 상기 제조된 불소계 수지층 조성물에 2분 동안 함침하여, 유리 섬유 일면에 0.04nm 두께를 갖는 불소계 수지층이 형성된 방수방식 필름을 제조하였다.
* 오존 열화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방수방식 필름에 10ppm의 오존을 4주 동안 조사하여, 조사 전과 조사 후의 조성에 대한 함량을 성분분석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1 내지 3에서, 함량 중량%에서, 나머지는 미량 원소로,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하지 않았다.
실시예 1 원소 함량(중량%) 함량(원자%)
오존 조사 전 C 32.18 39.04
O 33.42 28.13
F 34.38 32.81
오존 조사 후 C 27.33 35.63
O 38.29 36.84
F 34.28 27.43
실시예 2 원소 함량(중량%) 함량(원자%)
오존 조사 전 C 31.20 37.15
O 29.44 28.12
F 39.33 34.70
오존 조사 후 C 30.03 32.77
O 28.37 30.56
F 41.52 36.59
비교예 2 원소 함량(중량%) 함량(원자%)
오존 조사 전 C 42.15 43.53
O 29.39 32.17
F 28.41 24.25
오존 조사 후 C 35.91 38.01
O 26.15 25.93
F 37.92 36.04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존 조사에 상관없이 거의 유사한 원소 구성을 가짐을 알 수 있기에, 실시예 1 및 2의 방수방식 필름은 오존에 노출되더라도, 그 성분 및 성질이 변형되지 않는, 즉 물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반면, 상기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예 1의 필름은 오존 조사에 따라 원소 구성이 현저하게 변화되므로, 오존에 노출시 물성을 유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 용출 실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방수방식 필름을 정수조에 부착하고, 오존 10ppm을 조사하는 정수 공정을 실시한 뒤, 수도용 자재 및 제품의 위생안전기준 공정시험 방법(환경부공고 제2009-47호)에 따라 용출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치 위생안전기준
비소 Mg/L 검출안됨 0.005
카드뮴 검출안됨 0.0005
6가 크롬 검출안됨 0.005
검출안됨 0.005
아연 검출안됨 0.3
수은 검출안됨 0.0001
페놀류 검출안됨 0.0005
2.4-톨루엔디아민 검출안됨 0.002
2.6-톨루엔디아민 검출안됨 0.001
포름알데히드 검출안됨 0.008
상기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방수방식 필름은 중금속 또는 발암 물질이 용출되지 않으므로, 음용수용 정수 시설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질량 감소, 접합 성능 및 내투수 성능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필름을 140mm * 60mm 크기로 자른 후, 여기에 트리메틸레이티드 실리카 함유 실리콘계 점착제(제조사: 다우코닝) 를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층에 불소 이형층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하여 오존 처리조용 방수방식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오존 처리조용 방수방식 필름에서 이형층을 제거하여 챔버 벽면에 부착하였다. 이어서, 챔버에 물을 채운 후, 오존으로 처리하였다. 오존 처리 조건은 RS-KCL-2010-0002 규정(한국상하수도 협회 SPS KWWA M 000215 규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오존수 내의 용존 오존 농도는 (10±1)mg/L를 유지하고, 챔버의 온도는 20℃에서 3시간 유지한 후, 1시간 동안 온도를 40℃로 상승시킨 뒤, 40℃에서 3시간을 유지한 후, 1시간에 걸쳐 20℃로 하강하는 조건으로 조절하였으며, 총 8시간을 1사이클로 하였다.
또한, 오존수의 수위를 1시간 만수위, 1시간 저수위로 하였다. 온도 및 수위의 사이클 조건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8시간의 처리를 1사이클로 하여, 총 84 사이클을 반복하였다. 사이클이 완료된 후, 챔버에서 필름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여 오존처리 후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오존처리 후의 필름의 질량을 소수점 3째자리까지 측정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오존처리 후 필름을 0℃ 챔버에서 24시간 이상 전조하여, 물을 모두 제거하고, 표준 조건(20℃)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질량을 소수점 3째자리까지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들로부터,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질량 감소량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실시예 1은 97 g/m2이, 실시예 2는 96 g/m2이 얻어졌으며, 비교예 1은 82 g/m2이 얻어졌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2는 오존 처리에 따른 질량 감소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으나, 비교예 1은 질량 감소가 심함을 알 수 있다.
[식 1]
질량감소량(g/m2) = [오존 처리 전 필름 질량(g)-오존 처리 후 필름 질량(g)]/필름 면적(m2)
또한, 접합 성능 실험 및 내투수성능을 하기 방법(국내 단체 표준: SPS-KWWA-M211-6246; 2015)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접합 성능 실험은 오존처리 후 필름을 2장 준비하고, 준비된 2장을 길이 방향으로 40㎛가 겹치도록 부착한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100mm/min으로 파단될 때까지 잡아당겨 최대 하중인 접합 강도를 측정하고, 오존처리 전 필름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접합 강도를 측정한 후, 오존처리 전 필름의 접합강도에 대한 오존처리 후 필름의 접합강도에 대한 %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방수방식 필름은 오존처리 분야에서 요구되는 90% 이상을 넘는, 95%가 얻어졌기에, 오존처리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의 필름은 83%가 얻어졌기에 오존처리 분야에 적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내투수성능 실험 방법은 시멘트 모르타르 판 위에 상기 실시예 1 및 2와, 상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필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시편을 제조하고, 이 시편을 물속에 넣고 압력 0.1N/mm2을 3시간 동안 가한 후, 꺼내서, 시편의 물기를 닦고, 반으로 쪼갠 뒤, 시트 밑의 모르타르 판에 물기가 어느 정도로 침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방수방식 필름은 0.1N/mm2 수압에서 투수되지 않은 결과가 얻어진 반면, 비교예 1의 필름은 0.1N/mm2 수압에서 투수되었다.
이 실험으로부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수방식 필름은 균열, 접합부 녹 발생 및 탈락이 없고, 질량 감소량이 10g/m2 이하, 0.1N/mm2 수압에서 투수되지 않으며, 접합 성능이 90% 이상인 내오존 성능 시험 조건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9)

  1. 유리 직물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위치하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0 내지 5,000,000인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방수방식 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퍼플루오로알킬옥시(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ECTFE), 폴리클루오로 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M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플루오라이드(THV)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수방식 쉬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방수방식 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는 0.025mm 내지 0.50mm인 방수방식 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두께는 0.05mm 내지 0.50mm인 방수방식 쉬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방식 필름은 상기 불소계 수지층과 접하는 이형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방수방식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방식 필름은 상기 불소계 수지층과 상기 이형층 사이에 위치하며,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방수방식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층 및 상기 접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방수방식 필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0.075mm 내지 0.65 mm인 방수방식 점착 쉬트.
KR1020150190338A 2015-12-30 2015-12-30 방수방식 필름 Ceased KR20170079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38A KR20170079594A (ko) 2015-12-30 2015-12-30 방수방식 필름
PCT/KR2016/000113 WO2017115902A1 (ko) 2015-12-30 2016-01-06 방수방식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38A KR20170079594A (ko) 2015-12-30 2015-12-30 방수방식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645A Division KR101943624B1 (ko) 2018-05-28 2018-05-28 방수방식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94A true KR20170079594A (ko) 2017-07-10

Family

ID=5922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338A Ceased KR20170079594A (ko) 2015-12-30 2015-12-30 방수방식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79594A (ko)
WO (1) WO2017115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2175A (zh) * 2017-10-27 2019-05-07 浙江省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乙烯三氟氯乙烯共聚物保护膜
CN108546326B (zh) * 2018-04-28 2020-12-04 苏州世华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氟环氧树脂和其制备的黑色疏水疏油组合物、防水疏油透气膜及结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0179B2 (ja) * 1993-03-05 2002-09-30 日本錬水株式会社 オゾン酸化処理装置及びオゾン酸化処理装置の保護膜の製造方法
KR101212572B1 (ko) * 2012-06-18 2012-12-14 (주)아해 내오존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도장공법
TWI492978B (zh) * 2013-07-24 2015-07-21 Grand Tek Advance Material Science Co Ltd 複合材料微粉、陶瓷塗料、保護塗層、與複合材料微粉的形成方法
KR101534223B1 (ko) * 2013-08-21 2015-07-07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내오존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콘코리트 구조물의 표면 도장공법
KR101532374B1 (ko) * 2014-08-11 2015-06-30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오존처리조 내부의 불소수지를 이용한 방식 방수 시공 방법, 그 시공 구조체 및 그 시공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5902A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58717A3 (en) Improved membranes with polydopamine coatings
JP3594884B2 (ja) 複合材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複合材
US7396499B2 (en) Multiple layered membrane with fluorine containing polymer layer
JP2010111439A (ja) 易腐食性の金属製対象物のための包装材料
WO2010124130A3 (en) Method for coating an elastomeric material with a layer of antitoxic material
KR20170079594A (ko) 방수방식 필름
JP6452134B2 (ja) 水生生物付着防止材
KR101943624B1 (ko) 방수방식 필름
KR102357437B1 (ko)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게이트 시일
CN108641109B (zh) 一种疏水、疏油性抗菌涂料及其应用
KR101818756B1 (ko) 방수방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필름
KR101564221B1 (ko) 수처리 구조물의 내오존성 부착식 방수방식보강재 시공방법
KR101734616B1 (ko) 열경화성 점착 조성물 및 점착 필름
JP2006130909A (ja) 多層被覆プロピレン樹脂製配管部材
KR20170046511A (ko) 오존 처리조용 방수방식 필름
JP2017089193A (ja) コンクリート剥落防止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1709339B1 (ko)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코로나 커플링 처리에 의해 계면접착력이 향상된 PVdF-PVC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91721B1 (ko) 불소수지 쉬트 노출 방수 방식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체
US20130319942A1 (en) Fluorine treatment of diffuser membranes used in wastewater aeration
US20140264969A1 (en) Single-layer membrane comprising polytetrafluoroethylene interspersed therein
JP4364315B2 (ja) 耐熱酸化劣化性および耐候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被覆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159837A1 (en) Rubber-laminated sealing valve
FI66789C (fi) Mot korrosion skyddande system
EP0765359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s
KR102429647B1 (ko) 굳은, 단구조 기질에 적용된 코팅층의 디래미네이션에 대한 저항성증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522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