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234A - 골판지 상자,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 및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골판지 상자,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 및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7234A KR20170077234A KR1020177015174A KR20177015174A KR20170077234A KR 20170077234 A KR20170077234 A KR 20170077234A KR 1020177015174 A KR1020177015174 A KR 1020177015174A KR 20177015174 A KR20177015174 A KR 20177015174A KR 20170077234 A KR20170077234 A KR 201700772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led
- ruled line
- ring
- line
- corrugated cardbo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11111 cardboar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960 car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stap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31B1/2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 B31B2201/2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골판지 상자의 위쪽 플랩(11)과 주벽(31) 사이에, 위쪽 플랩(11)이 주벽(31)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통상 괘선(15)을 형성한다. 통상 괘선(15)에 대하여 위쪽 플랩(11)쪽에,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위쪽 플랩(11)이 주벽(31)의 외측으로 접히도록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역괘선(16)을 형성한다. 역괘선(16)을 사이에 두고 통상 괘선(15)의 반대측에, 역괘선(16)과 평행하게,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약괘선(24)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블랭크의 위쪽 플랩과 측판 사이의 통상 괘선 및 역괘선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블랭크를 조립하여, 위쪽 플랩을 접기 전의 상태인 골판지 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위쪽 플랩을 주벽의 외측으로 접고, 골판지 상자에 상품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위쪽 플랩을 주벽의 내측으로 접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위쪽 플랩으로 주벽의 상단 개구를 폐쇄하고, 골판지 상자를 봉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Ⅷ-Ⅷ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블랭크를 형성하는 골판지 시트의 제조에 적합한 코러게이트 머신의 슬리터 스코어러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역괘선 링과 통상 괘선 링의 축 방향의 상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슬리터 스코어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내는 역괘선 링과 통상 괘선 링의 위치 관계를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교체했을 때의 역괘선 링과 통상 괘선 링의 축 방향의 상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시험에서 이용한 통상 괘선 링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내는 역괘선 링과 통상 괘선 링을 일체화한 특수 괘선 링을 이용한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특수 괘선 링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매엽의 골판지 시트를 소정의 폭 치수로 재단하는 재단기의 일부로서 괘선 형성 장치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3의 약괘선 및 약역괘선이 없고, 통상 괘선 및 역괘선만을 형성한 비교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Claims (10)
- 외측 라이너(1)와, 내측 라이너(2)와, 상기 외측 라이너(1)와 상기 내측 라이너(2) 사이에 형성된 중심(中芯)(3)을 갖는 골판지를, 상기 내측 라이너(2)가 내측이 되도록 통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주벽(周壁)(31)과,
상기 주벽(31)의 일단에 연속 형성된 플랩(11, 12, 13, 14)
을 갖는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 플랩(11, 12, 13, 14)과 상기 주벽(31) 사이에, 상기 플랩(11, 12, 13, 14)이 상기 주벽(31)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통상 괘선(通常罫線)(15)이 형성되고,
상기 통상 괘선(15)에 대하여 상기 플랩(11, 12, 13, 14)측에,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플랩(11, 12, 13, 14)이 상기 주벽(31)의 외측으로 접히도록,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역괘선(16)이 형성되고,
상기 역괘선(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통상 괘선(15)의 반대측에, 상기 역괘선(16)과 평행하게,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약괘선(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괘선(1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역괘선(16)의 반대측에,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약역괘선(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골판지 상자.
- 외측 라이너(1)와, 내측 라이너(2)와, 상기 외측 라이너(1)와 상기 내측 라이너(2) 사이에 형성된 중심(3; 中芯)을 갖는 골판지 시트(43)에,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통상 괘선(15)과,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역괘선(16)과, 상기 역괘선(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통상 괘선(15)의 반대측에, 상기 역괘선(16)과 평행하게,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약괘선(24)을 형성하는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골판지 시트를 끼워 넣는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과, 이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는 한 쌍의 역괘선 링(63, 64)을 사용하고,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통상 괘선 링(53)의 외주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부(55)와, 이 볼록부(55)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오목부(56)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통상 괘선 링(54)의 외주에는, 상기 볼록부(55)에 마주 향하는 홈부(57)와, 이 홈부(57)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어깨부(58)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역괘선 링(64)의 외주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부(65)와, 이 볼록부(65)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오목부(66)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역괘선 링(63)의 외주에는, 상기 볼록부(65)에 마주 향하는 홈부(67)와, 이 홈부(67)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어깨부(68)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 및 상기 한 쌍의 역괘선 링(63, 64)은,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통상 괘선 링(53)의 볼록부(55)의 위치가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역괘선 링(63)의 한쪽의 홈 어깨부(68)의 위치에 대응하며, 또한,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역괘선 링(64)의 볼록부(65)의 위치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통상 괘선 링(54)의 한쪽의 홈 어깨부(58)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통상 괘선 링(53)의 볼록부(55)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통상 괘선 링(54)의 홈부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통상 괘선(15)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역괘선 링(63)의 홈부(67)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역괘선 링(64)의 볼록부(65)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역괘선(16)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역괘선 링(63)의 홈 어깨부(68)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역괘선 링(64)의 오목부(66)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약괘선(24)을 형성하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통상 괘선 링(53)의 오목부(56)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통상 괘선 링(54)의 홈 어깨부(58)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약역괘선(25)을 형성하고, 이 약역괘선(25)은, 상기 통상 괘선(1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역괘선(16)의 반대측에,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약괘선인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
- 외측 라이너(1)와, 내측 라이너(2)와, 상기 외측 라이너(1)와 상기 내측 라이너(2) 사이에 형성된 중심(3; 中芯)을 갖는 골판지 시트(43)에,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통상 괘선(15)과,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역괘선(16)과, 상기 역괘선(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통상 괘선(15)의 반대측에, 상기 역괘선(16)과 평행하게,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약괘선(24)과, 상기 통상 괘선(1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역괘선(16)의 반대측에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약역괘선(25)을 형성하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골판지 시트의 내측 라이너(2)측과 외측 라이너(1)측에 배치된 한 쌍의 특수 괘선 링(88, 89)을 사용하고, 이 한 쌍의 특수 괘선 링(88, 89)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통상 괘선(15), 상기 역괘선(16), 상기 약괘선(24), 및 상기 약역괘선(25)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 - 외측 라이너(1)와, 내측 라이너(2)와, 상기 외측 라이너(1)와 상기 내측 라이너(2) 사이에 형성된 중심(3; 中芯)을 갖는 골판지 시트(43)에,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통상 괘선(15)과,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역괘선(16)과, 상기 역괘선(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통상 괘선(15)의 반대측에, 상기 역괘선(16)과 평행하게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약괘선(24)을 형성하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로서,
상기 골판지 시트를 끼워 넣는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과, 이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는 한 쌍의 역괘선 링(63, 64)을 갖고,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통상 괘선 링(53)의 외주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부(55)와, 이 볼록부(55)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오목부(56)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통상 괘선 링(54)의 외주에는, 상기 볼록부(55)에 마주 향하는 홈부(57)와, 이 홈부(57)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어깨부(58)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역괘선 링(64)의 외주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부(65)와, 이 볼록부(65)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오목부(66)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역괘선 링(63)의 외주에는, 상기 볼록부(65)에 마주 향하는 홈부(67)와, 이 홈부(67)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어깨부(68)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 및 상기 한 쌍의 역괘선 링(63, 64)은,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통상 괘선 링(53)의 볼록부(55)의 위치가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역괘선 링(63)의 한쪽의 홈 어깨부(68)의 위치에 대응하며, 또한,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역괘선 링(64)의 볼록부(65)의 위치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통상 괘선 링(54)의 한쪽의 홈 어깨부(58)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은,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통상 괘선 링(53)의 볼록부(55)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통상 괘선 링(54)의 홈부(57)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통상 괘선(15)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역괘선 링(63, 64)은,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역괘선 링(63)의 홈부(67)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역괘선 링(64)의 볼록부(65)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역괘선(16)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역괘선 링(63)의 홈 어깨부(68)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역괘선 링(64)의 오목부(66)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약괘선(24)을 형성하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은,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의 통상 괘선 링(53)의 오목부(56)와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의 통상 괘선 링(54)의 홈 어깨부(58)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약역괘선(25)을 형성하고, 이 약역괘선(25)은, 상기 통상 괘선(1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역괘선(16)의 반대측에,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약괘선인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 및 상기 한 쌍의 역괘선 링(63, 64)은, 코러게이트 머신의 중간에서 띠 형상으로 연속하는 골판지 시트(43)에 상기 통상 괘선(15)을 형성하는 스코어러(41)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상 괘선 링(53, 54) 및 상기 한 쌍의 역괘선 링(63, 64)은, 매엽(枚葉)의 골판지 시트(43)를 사전에 정해진 폭 치수로 재단하는 재단기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 외측 라이너(1)와, 내측 라이너(2)와, 상기 외측 라이너(1)와 상기 내측 라이너(2) 사이에 형성된 중심(3; 中芯)을 갖는 골판지 시트(43)에,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통상 괘선(15)과,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역괘선(16)과, 상기 역괘선(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통상 괘선(15)의 반대측에, 상기 역괘선(16)과 평행하게, 상기 내측 라이너(2)측이 움푹 패인 약괘선(24)과, 상기 통상 괘선(1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역괘선(16)의 반대측에, 상기 통상 괘선(15)과 평행하게 상기 외측 라이너(1)측이 움푹 패인 약역괘선(25)을 형성하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로서,
상기 골판지 시트의 내측 라이너(2)측과 외측 라이너(1)측에 배치된 한 쌍의 특수 괘선 링(88, 89)을 갖고, 이 한 쌍의 특수 괘선 링(88, 89)은, 상기 골판지 시트(43)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통상 괘선(15), 상기 역괘선(16), 상기 약괘선(24), 및 상기 약역괘선(25)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인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29047 | 2015-06-26 | ||
JPJP-P-2015-129047 | 2015-06-26 | ||
JP2016071907A JP6076529B2 (ja) | 2015-06-26 | 2016-03-31 | 段ボール箱、段ボールシートの罫線形成方法、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の罫線形成装置 |
JPJP-P-2016-071907 | 2016-03-31 | ||
PCT/JP2016/066611 WO2016208363A1 (ja) | 2015-06-26 | 2016-06-03 | 段ボール箱、段ボールシートの罫線形成方法、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の罫線形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7234A true KR20170077234A (ko) | 2017-07-05 |
KR101923333B1 KR101923333B1 (ko) | 2018-11-28 |
Family
ID=5782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51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3333B1 (ko) | 2015-06-26 | 2016-06-03 | 골판지 상자,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 및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76529B2 (ko) |
KR (1) | KR101923333B1 (ko) |
CN (1) | CN107428108B (ko) |
SG (1) | SG11201703652V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143U (ko) | 2020-11-13 | 2022-05-20 | 강석창 |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76498A (ja) * | 2017-04-07 | 2018-11-15 | 合同容器株式会社 | 段ボールシートの罫線加工方法 |
JP6185685B1 (ja) * | 2017-04-17 | 2017-08-23 | ダイナパック株式会社 | 梱包箱 |
JP2019104509A (ja) * | 2017-12-11 | 2019-06-27 | レンゴー株式会社 | 包装箱 |
JP7214480B2 (ja) * | 2019-01-08 | 2023-01-30 | レンゴー株式会社 | 包装箱および包装箱の折り畳み方法 |
KR102022928B1 (ko) * | 2019-05-16 | 2019-09-20 | (주)예인디자인팩 | 골판지 박스의 틈막이 구조 |
KR102145128B1 (ko) | 2019-09-06 | 2020-08-18 | 김승호 | 골판지 원단의 복합처리장치 |
CN112758462A (zh) * | 2019-11-05 | 2021-05-07 | 青岛联合包装有限公司 | 一种瓦楞纸箱及其制造方法 |
CN111348292A (zh) * | 2020-03-18 | 2020-06-30 | 湖南华望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高强度超薄蜂窝纸箱 |
CN111348289A (zh) * | 2020-03-18 | 2020-06-30 | 湖南华望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片烟存储用蜂窝纸箱 |
CN111348290A (zh) * | 2020-03-18 | 2020-06-30 | 湖南华望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耐抗压的蜂窝纸板及由其组成的蜂窝纸箱 |
CN111348291A (zh) * | 2020-03-18 | 2020-06-30 | 湖南华望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便于回收利用的折叠式纸板 |
CN111232357A (zh) * | 2020-03-18 | 2020-06-05 | 湖南华望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可循环的蜂窝成品烟箱 |
US20240359418A1 (en) * | 2021-08-23 | 2024-10-31 | Bobst Lyon | Convert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system |
KR102797503B1 (ko) | 2022-10-31 | 2025-04-22 | 밥스트코리아 주식회사 | 골판지상자 제조용 슬로타 크리저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23072A (en) * | 1985-04-18 | 1986-11-18 | Macmillan Bloedel Limited | Corrugated container with foldable flaps |
JP2891584B2 (ja) * | 1992-01-22 | 1999-05-1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スリッタスコアラ |
CN1097164A (zh) * | 1993-07-05 | 1995-01-11 | 刘洪涛 | 叠粘式全封闭瓦楞纸箱的制造方法 |
US5690601A (en) * | 1996-06-10 | 1997-11-25 | Marquip,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slitting and scoring corrugated paperboard sheets for folding |
SE9904206L (sv) * | 1999-11-22 | 2001-05-23 |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 Förpackningsämne med längsgående materialförsvagningar |
JP3492323B2 (ja) * | 2001-02-08 | 2004-02-03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段ボールシートの罫入れ装置及び罫入れ装置用罫線ロール |
JP2012201398A (ja) * | 2011-03-25 | 2012-10-22 | Fuji Xerox Co Ltd | 箱体組立用段ボール板及び段ボール箱 |
US8864017B2 (en) * | 2011-10-13 | 2014-10-21 | Orbis Corporation | Plastic corrugated container with improved fold lin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
CN203033043U (zh) * | 2012-12-25 | 2013-07-03 |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防止胶膜折痕的新型包装纸箱 |
-
2016
- 2016-03-31 JP JP2016071907A patent/JP6076529B2/ja active Active
- 2016-06-03 SG SG11201703652VA patent/SG11201703652VA/en unknown
- 2016-06-03 CN CN201680012886.9A patent/CN107428108B/zh active Active
- 2016-06-03 KR KR1020177015174A patent/KR10192333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143U (ko) | 2020-11-13 | 2022-05-20 | 강석창 |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3333B1 (ko) | 2018-11-28 |
JP2017013897A (ja) | 2017-01-19 |
SG11201703652VA (en) | 2017-06-29 |
CN107428108A (zh) | 2017-12-01 |
JP6076529B2 (ja) | 2017-02-08 |
CN107428108B (zh) | 2019-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3333B1 (ko) | 골판지 상자,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 및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 | |
KR101958586B1 (ko) | 골판지 상자, 골판지 시트의 절취선 형성 방법, 및 골판지 시트의 절취선 형성 장치, 및 절취선 형성 유닛 | |
JP6050432B1 (ja) | 段ボール箱 | |
JP6295336B2 (ja) | ブランクの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ブランクの供給方法 | |
US20190001606A1 (en) | Releasable pair of dual nested corrugated sheets and method of forming same | |
JP7128722B2 (ja) | 胴部分割用ミシン目入り段ボール箱、および段ボール分割用のミシン目形成方法 | |
EP1986933B1 (en) | Improved hinge-lid container and blank | |
WO2016208363A1 (ja) | 段ボール箱、段ボールシートの罫線形成方法、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の罫線形成装置 | |
JP7044302B2 (ja) | 包装箱およびブランクの製造方法 | |
JP2019026359A (ja) | 包装箱 | |
JP2018015993A (ja) | 罫線入り段ボールシート製造方法 | |
JP2019085167A (ja) | 折り畳み段ボールケース | |
JP2017100762A (ja) | 段ボール箱、段ボールシートのミシン目形成方法、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のミシン目形成装置 | |
US20200254571A1 (en) | Curved pane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JP7214480B2 (ja) | 包装箱および包装箱の折り畳み方法 | |
JP6109996B1 (ja) | 伸び代部を設け、2本のクリーズ罫線の間隔の幅を両面段ボールシートの段山ピッチの間隔と等しい間隔とする打ち抜き方法 | |
JP7409183B2 (ja) | 包装箱の製造方法 | |
JP3241288U (ja) | 箱用シートおよび罫線形成装置 | |
JP6729733B1 (ja) | ブランクシートの製造方法 | |
US20240101302A1 (en) | Skip slot box blanks, box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 |
JP6050530B1 (ja) | 段ボール箱、段ボールシートのミシン目形成方法、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のミシン目形成装置 | |
EP3357834B1 (en) | Box | |
JP2018015971A (ja) | 罫線入り段ボールシート製造方法および罫線リングセット | |
JP2002067191A (ja) | ダンボール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