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986A - 잔류 유체 제거가 가능한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잔류 유체 제거가 가능한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6986A KR20170076986A KR1020150186990A KR20150186990A KR20170076986A KR 20170076986 A KR20170076986 A KR 20170076986A KR 1020150186990 A KR1020150186990 A KR 1020150186990A KR 20150186990 A KR20150186990 A KR 20150186990A KR 20170076986 A KR20170076986 A KR 201700769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e
- pressure
- valve
- control valve
- flow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st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3/00—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 고온용 밸브의 PRESSURE LOCKING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부콘 상부 커버(94)가 상기 공압밸브(100)에 의해서 상승이 되어, 상기 하부콘 유로(96)가 개방되어 잔류 유체가 방출되고, 상기 상부콘(80)의 상기 상부콘 관통홀(82)으로 공급되는 공압을 통해 위 과정 간에 남아 있는 소량의 잔류 유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특징으로 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부콘 상부 커버(94)가 상기 공압밸브(100)에 의해서 상승이 되어, 상기 하부콘 유로(96)가 개방되어 잔류 유체가 방출되고, 상기 상부콘(80)의 상기 상부콘 관통홀(82)으로 공급되는 공압을 통해 위 과정 간에 남아 있는 소량의 잔류 유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특징으로 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압, 고온용 밸브의 PRESSURE LOCKING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공정의 자동화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압장치는 물, 증기, 공기 등의 작동 유체에 의해 작동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 유량조절용 밸브이다.
이러한 유량조절용 밸브에는 수동으로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고, 그 조절 정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밸런싱 밸브, 밸브 내부에 오리피스가 내장되어 밸브 전후에 발생하는 차압을 스프링이 흡수하고 스프링의 움직임에 따라 오리피스의 개구면적이 변화하면서 항상 일정한 유량이 흐르도록 제어하는 정유량자동조절 밸브, 다이아프램을 이용하여 회로에 발생하는 부하변동을 감지하여 조절해 놓은 유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자동유량조절 밸브, 부하기기의 리턴배관에 설치하여 부하기기의 적정차압을 유지시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차압유량조절 밸브 등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종래의 고온, 고압용 밸브의 경우 PRESSURE LOCKING 현상이 일어난다. 이 특이한 현상으 로 밸브가 손상되기도 하고 밸브의 OPEN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다. PRESSURE LOCKING은 그림 5-1 과 같이 밸브가 완전히 닫힐 때 밸브의 BODY 와 BONNET CAVITY 내에 물 등의 배관내의 증발성 유체가 잔류하게 되며, 그 후 외부에서의 입열로 인하여 잔류 유체가 증발하여 밸브 CAVITY 내의 압력이 설계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다. 즉 잔류 유체의 열팽창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PRESSURE LOCKING 으로 압력이 상승하여 궁극적으로 밸브의 PRESSURE RETAINING WALL의 파열이라고 하는 최악의 상태에 이를 정도로 대단히 위험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유량조절밸브의 상부콘과 하부콘에 공압이 드나드는 통로를 만들어 차단 시에 고여있는 잔류 유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부콘 상부 커버(94)가 상기 공압밸브(100)에 의해서 상승이 되어, 상기 하부콘 유로(96)가 개방되어 잔류 유체가 방출되고, 상기 상부콘(80)의 상기 상부콘 관통홀(82)으로 공급되는 공압을 통해 위 과정 간에 남아 있는 소량의 잔류 유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특징으로 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유량조절밸브의 상부콘과 하부콘에 공압이 드나드는 통로를 만들어 차단 시에 고여 있는 잔류 유체를 공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잔류 유체를 제거함으로써 설비의 부식방지 및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22 : 유로
70 : 바디
72 : 유량조절구
80 : 상부콘 82 : 상부콘 관통홀
90 : 유량제한밸브
92 : 하부콘 94 : 하부콘 상부 커버
96 : 하부콘 유로
100 : 공압밸브
70 : 바디
72 : 유량조절구
80 : 상부콘 82 : 상부콘 관통홀
90 : 유량제한밸브
92 : 하부콘 94 : 하부콘 상부 커버
96 : 하부콘 유로
100 : 공압밸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콘(80)과 상기 하부콘(92)은 밸브와 연결되어 있고, 밸브내부에 상기 유량조절구(7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콘(80)과 상기 하부콘(92)에 공압이 통과하는 통로가 있고, 하부콘(92)에는 하부콘 상부 커버(94)와 유체가 빠져나갈수 있는 유로(22)가 있다.
상기 상부콘(80)은 승강에 따라 유동하여 바디(70)의 유량조절구(72)의 개방 정도를 자동 제어하여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없음
Claims (1)
- 상기 바디(70)의 유량조절구(72)와 대응되게 다이어프램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유량조절구(72)의 개방 정도를 자동 제어하는 상부콘(80),
상기 바디(70)의 하단부에 유량조절구(72)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승강작동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구(72)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콘(9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6990A KR20170076986A (ko) | 2015-12-26 | 2015-12-26 | 잔류 유체 제거가 가능한 유량조절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6990A KR20170076986A (ko) | 2015-12-26 | 2015-12-26 | 잔류 유체 제거가 가능한 유량조절밸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6986A true KR20170076986A (ko) | 2017-07-05 |
Family
ID=5935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6990A Withdrawn KR20170076986A (ko) | 2015-12-26 | 2015-12-26 | 잔류 유체 제거가 가능한 유량조절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76986A (ko) |
-
2015
- 2015-12-26 KR KR1020150186990A patent/KR20170076986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49497B2 (en) | Balanced trim regulator | |
CN204459330U (zh) | 一种先导式溢流稳压阀 | |
KR100635107B1 (ko) | 차압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분배기 장치 | |
EP2898386B1 (en) | Balanced regulator with inlet pressure sensing tube | |
JP2012512488A5 (ko) | ||
MX2023004076A (es) | Aparato y metodo para aprovechar la energia de un pozo para realizar multiples funciones mientras se reducen las emisiones. | |
KR102189454B1 (ko) | 조절 가능한 디스크 가이드 구조를 가지는 캐비테이션 및 맥동 완화 감압 컨트롤밸브 | |
NO342394B1 (no) | Strømningsopprettende setering og reguleringsventil med strømningsopprettende setering. | |
KR101568221B1 (ko) | 차압 유량 조절 밸브 | |
US20210089061A1 (en) | Device and valve for flow force compensation | |
US20160224035A1 (en) | Mechanism and Method to Adjust Size of Balanced Valve | |
KR101131122B1 (ko) | 누설단속용 트림 및 밸브 | |
MY201330A (en) | A system of a control line pressure controlled safety valve equalization and a method thereof | |
CN205978750U (zh) | 致动器以及与流体控制设备一起使用的致动器 | |
KR20170076986A (ko) | 잔류 유체 제거가 가능한 유량조절밸브 | |
KR101437080B1 (ko) | 과압으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 | |
KR101994110B1 (ko) | 역압방지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밸브 | |
WO2017066219A2 (en) | Balanced regulator with targeted boost sensing tube | |
KR102024226B1 (ko) | 파일럿 작동형 안전밸브 시스템 | |
CN106286857A (zh) | 一种新型锅炉连续排污调节阀 | |
KR101574182B1 (ko) |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 |
KR100985763B1 (ko) | 파일럿 타입 안전밸브 및 그 개폐방법 | |
KR200383975Y1 (ko) | 감압 및 릴리프 밸브장치 | |
KR200482138Y1 (ko) | 릴리프 밸브 | |
KR101851560B1 (ko) | 자동 과압 해소 기능을 가지는 감압 밸브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