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184A -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6184A KR20170076184A KR1020150186140A KR20150186140A KR20170076184A KR 20170076184 A KR20170076184 A KR 20170076184A KR 1020150186140 A KR1020150186140 A KR 1020150186140A KR 20150186140 A KR20150186140 A KR 20150186140A KR 20170076184 A KR20170076184 A KR 201700761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electrode
- common
- wiring
- metal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01L27/323—
-
- H01L27/3248—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차광층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차광층 상부에 배치되고, 액티브층,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을 제공하는데, 반투과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금속층의 차광층과 데이터배선 일부분과 제1 및 제2금속층의 데이터배선의 나머지 부분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노광 마스크 수가 감소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고, 단차부에 의한 액티브층의 절단이 방지되고 데이터배선의 저항이 감소된다. A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an active layer, a gate electrode,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disposed on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having a thickn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wiring, Wherein a light shielding layer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a portion of the data wiring and a remaining portion of the data wiring of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are simultaneously formed by using a transflective mask to reduce the number of exposure masks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are reduced, cutting of the active layer by the step is prevented, and resistance of the data wiring is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데이터배선 및 차광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ray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ata line and a light-shielding layer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등이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In view of the information age, the display field has also been rapidly developed.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PD) having the advantages of thinning,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ge, ),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cathode ray tube (CRT).
최근에는, 이러한 표시패널(display panel) 상에 터치패널(touch panel)을 부착한 터치 표시장치(또는 터치 스크린)가 각광받고 있다. Recently, a touch display device (or a touch screen) having a touch panel mounted on a display panel has been spotlighted.
터치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출력수단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표시된 영상의 특정부위를 터치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터치패널은 위치정보 검출방식에 따라 감압방식, 정전방식, 적외선방식, 초음파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touch display device is used as an output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is used as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by touch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ed image. The touch panel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Method, an infrared method, and an ultrasonic method.
즉, 사용자가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터치패널을 터치하면, 터치패널은 해당 부위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를 영상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while view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e touch panel can detec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and compare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to recognize the user's command.
터치 표시장치는 별도의 터치패널을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를 위해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전극 및 배선을 표시패널의 기판에 형성하여 일체화하는 형태의 인셀 타입(in-cell type) 터치 표시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mak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slimmer, electrodes and wiring constituting the touch panel are connected to the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in which the touch panel is formed and integrated with the touch panel.
이러한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uch an insensitive-type touch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은, 기판(20), 박막트랜지스터(T), 공통배선(44), 공통전극(48), 화소전극(50)을 포함한다. 1, the conventional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includes a
구체적으로, 기판(20) 상부의 각 화소영역에는 차광층(22)이 형성되고, 차광층(22) 상부의 기판(20) 전면에는 버퍼층(24)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a
차광층(22)에 대응되는 버퍼층(24) 상부에는 액티브층(26)이 형성되고, 액티브층(26) 상부의 기판(20) 전면에는 게이트절연층(28)이 형성된다.An
액티브층(26)에 대응되는 게이트절연층(28) 상부에는 게이트전극(30)이 형성되고, 게이트전극(30) 상부의 기판(20) 전면에는 층간절연층(32)이 형성되는데, 층간절연층(32) 및 게이트절연층(28)은 액티브층(26)의 양단부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다. A
액티브층(26)에 대응되는 층간절연층(32)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는 소스전극(34) 및 드레인전극(36)과 데이터배선(35)이 형성되는데, 소스전극(34) 및 드레인전극(36)은 각각 층간절연층(32) 및 게이트절연층(28)의 콘택홀을 통하여 액티브층(26)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데이터배선(35)은 소스전극(34)에 연결된다.A
여기서, 액티브층(26), 게이트전극(30), 소스전극(34) 및 드레인전극(36)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T)를 구성하고, 차광층(22)은 박막트랜지스터(T)의 액티브층(26)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소스전극(34) 및 드레인전극(36) 상부의 기판(20) 전면에는 제1보호층(38)이 형성되고, 제1보호층(38) 상부의 기판(20) 전면에는 평탄화층(40)이 형성되는데, 평탄화층(40)은 드레인전극(36) 상부의 제1보호층(38)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다.A
평탄화층(40) 상부의 기판(20) 전면에는 제2보호층(42)이 형성되고, 제2보호층(42) 상부에는 공통배선(44)이 형성되고, 공통배선(44) 상부의 기판(20) 전면에는 제3보호층(46)이 형성되는데, 제3보호층(46)은 공통배선(44)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다.A
제3보호층(46) 상부의 각 화소영역에는 공통전극(48)이 형성되는데, 공통전극(48)은 제3보호층(46)의 콘택홀을 통하여 공통배선(44)에 연결된다.A
공통전극(48) 상부의 기판(20) 전면에는 제4보호층(50)이 형성되는데, 제4보호층(50), 제3보호층(46), 제2보호층(42) 및 제1보호층(38)은 평탄화층(40)의 개구부 내에 드레인전극(36)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다.A fourth
제5보호층(50) 상부의 각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52)이 형성되는데, 화소전극(52)은 제4보호층(50), 제3보호층(46), 제2보호층(42) 및 제1보호층(38)의 콘택홀을 통하여 드레인전극(36)에 연결된다. A
여기서, 공통전극(48)은 특정 개수의 화소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블록 별로 패터닝 될 수 있으며, 각 터치블록의 공통전극(48)은 공통배선(44)을 통하여 구동부에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그리고, 화소전극(52)은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이러한 어레이기판을 포함하는 종래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는, 1프레임을 표시구간과 터치구간으로 나누어 동작할 수 있는데, 표시구간 동안에는 공통전극(48)에 공통전압을 인가하고 화소전극(52)에 데이터전압을 인가하여 공통전극(48) 및 화소전극(52) 사이에서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을 재배열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구간 동안에는 공통전극(48)에 터치전압을 인가한 후 터치전압에 따른 공통전극(48)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터치입력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A conventional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such an array substrate can operate by dividing one frame into a display period and a touch period. During the display period, a common voltage is applied to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서는, 동일한 터치블록의 공통배선(44) 및 공통전극(48)은 서로 연결되지만, 상이한 터치블록의 공통배선(44) 및 공통전극(48)은 서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므로, 공통배선(44) 및 공통전극(48)을 상이한 층으로 독립적으로 패터닝 하여 형성하여야 한다.In the conventional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the
그리고, 상이한 터치블록의 공통배선(44) 및 공통전극(48)이 커플링(coupling)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통배선(44) 및 공통전극(48) 사이에 제3보호층(46)을 형성하여야 하고, 상이한 층으로 형성되는 동일한 터치블록의 공통배선(44) 및 공통전극(48)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3보호층(46)을 패터닝 하여 콘택홀을 형성하여야 한다. In order to prevent the
또한, 해상도 증가에 따라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공통전극(48)과 화소전극(52) 사이의 유전층의 두께를 최소화 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단면적으로 하나의 절연층만을 사이에 두고 공통전극(48)과 화소전극(52)을 형성하여야 한다.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layer between the
이와 같은 제약에 의하여 종래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노광 마스크 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Such a limit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exposure masks used in the fabrication of the conventional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increases.
예를 들어, 종래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은 차광층(22)용 제1마스크, 액티브층(26)용 제2마스크, 게이트전극(30)용 제3마스크, 층간절연층(32) 및 게이트절연층(28)의 콘택홀용 제4마스크, 소스전극(34) 및 드레인전극(36)용 제5마스크, 평탄화층(40)의 개구부용 제6마스크, 공통배선(44)용 제7마스크, 제3보호층(46)의 콘택홀용 제8마스크, 공통전극(48)용 제9마스크, 제4보호층(50), 제3보호층(46), 제2보호층(42) 및 제1보호층(38)의 콘택홀용 제10마스크, 화소전극(52)용 제11마스크의 총 11개의 노광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단계가 증가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For example, in a conventional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 first mask for the ligh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데이터배선 및 차광층을 동시에 형성하고, 소스전극, 드레인전극 및 공통배선을 동일층, 동일물질로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노광 마스크 수가 감소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는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forming a data wiring and a light shielding layer simultaneously, and simultaneously forming a sourc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ray substrate for a touch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은, 반투과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금속층의 차광층과 데이터배선 일부분과 제1 및 제2금속층의 데이터배선의 나머지 부분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노광 마스크 수가 감소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고, 단차부에 의한 액티브층의 절단이 방지되고 데이터배선의 저항이 저감되는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shielding layer of the first metal layer, the data wiring part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data wiring of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are simultaneously formed by using the transflective mask, whereby the number of exposure masks is reduc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ray substrate for a touch display device in which breakage of an active layer due to a stepped portion is prevented and resistance of a data line is reduced.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차광층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차광층 상부에 배치되고, 액티브층,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light-shielding layer and a data wiring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from each other, and an active layer, a gate electrode, And a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a drain electrode.
그리고, 상기 차광층은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데이터배선 중 상기 액티브층에 중첩되는 제1부분은 상기 제1두께를 갖고, 상기 액티브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부분은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1두께보다 큰 제2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portion of the data line overlapping the active layer has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data line spaced apart from the active layer has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Lt; RTI ID = 0.0 > 1 < / RTI > thick.
또한, 상기 차광층은 제1금속물질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배선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금속물질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배선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금속물질의 제1금속층과 제2금속물질의 제2금속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ortion of the data wiring is made of a single layer of the first metal material,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data wiring is formed of a single layer of the first metal material, A first metal layer of a metal material and a second metal layer of a second metal material.
그리고, 상기 제1금속물질에 대한 상기 제2금속물질의 식각 선택비는 10:1 이상일 수 있다.The etch selectivity of the second metal material to the first metal material may be at least 10: 1.
또한, 상기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은,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과 이격되는 공통배선과,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공통배선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전극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 상부에 배치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배선을 노출하는 제1콘택홀을 포함하는 제1보호층과, 상기 제1보호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되는 연결패턴과, 상기 제1보호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전극에 연결되는 화소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rray substrate for a display includes a common wiring line spaced apart from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over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common wiring line and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drain electrode, A common electrode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a first protection layer disposed on the common electrode and including a first contact hole exposing the common wiring; and a second protection layer disposed on the first protection layer, And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the pixel electrode being disposed 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그리고,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과 상기 공통배선은 동일층,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패턴과 상기 화소전극은 동일층,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urce electrode, the drain electrode, and the common wiring may be formed of the same layer and the same material, and the connection pattern and the pixel electrode may be formed of the same layer and the same material.
그리고, 상기 제1보호층은 상기 공통전극을 노출하는 제2콘택홀과 상기 드레인전극을 노출하는 제3콘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패턴은 상기 제2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공통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제3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act hole exposing the common electrode and a third contact hole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and the connection pattern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through the second contact hole And the pixel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through the third contact hole.
또한,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은 상기 액티브층의 양단부에 측면 접촉하고, 상기 소스전극은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may be in sid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active layer, and the sourc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line.
한편, 본 발명은, 기판 상부에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차광층 및 데이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차광층 상부에 액티브층,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transistor, comprising: forming a light-shielding layer and a data line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n a substrate; forming a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an active layer, a gate electrode,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on the ligh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ray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부에 각각 제1 및 제2두께를 갖는 제1 및 제2금속물질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반투과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금속물질층 상부에,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 외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2금속물질층을 노출하고, 상기 액티브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데이터배선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제3두께를 갖고, 상기 액티브층 직하부의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3두께보다 작은 제4두께를 갖는 제1포토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포토레지스트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금속물질층 및 상기 제1금속물질층을 식각하여 차광층패턴 및 데이터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포토레지스트패턴을 애싱 하여, 상기 액티브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데이터배선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차광층패턴 및 상기 데이터배선패턴을 노출하고, 상기 액티브층 직하부의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제5두께를 갖는 제2포토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포토레지스트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차광층패턴 및 상기 데이터배선패턴을 식각하여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forming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line may include sequentially forming first and second metal material layers having first and second thicknesses on the substrate, The second metal material layer is exposed on the second metal material layer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wiring outside and a third thickness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ata wiring spaced apart from the active layer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having a fourth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rd thickness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line immediately below the active layer; Forming a light shielding layer pattern and a data wiring pattern by etching the second metal material layer and the first metal material layer using a mask as a mask, Shielding layer pattern and the data wiring pattern are ex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ata line spaced from the active layer, an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shielding layer and the data line immediately below the active layer,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having a fifth thickness by etching the light shielding layer pattern and the data wiring pattern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to form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wiring Step < / RTI >
또한, 상기 제1금속물질층에 대한 상기 제2금속물질층의 식각 선택비는 10:1 이상일 수 있다.Also, the etch selectivity of the second layer of metal material to the first layer of metal material may be at least 10: 1.
그리고, 상기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과 이격되는 공통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공통배선 상부에 상기 드레인전극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화층 상부에 공통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전극 상부에 상기 공통배선을 노출하는 제1콘택홀을 포함하는 제1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호층 상부에 상기 드레인전극에 연결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되는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rray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common wiring line spaced apart from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Forming a planarization layer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drain electrode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common wiring; forming a common electrode on the planarization layer; exposing the common wir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mon electrode; Forming a first passiv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contact hole,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To form a connection pattern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본 발명은, 데이터배선 및 차광층을 동시에 형성하고, 소스전극, 드레인전극 및 공통배선을 동일층, 동일물질로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노광 마스크 수가 감소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wiring and the light shielding layer are 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 source electrode, the drain electrode, and the common wiring are simultaneously formed of the same layer and the same material,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exposure masks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그리고, 본 발명은, 반투과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금속층의 차광층과 데이터배선 일부분과 제1 및 제2금속층의 데이터배선의 나머지 부분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노광 마스크 수가 감소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고, 단차부에 의한 액티브층의 절단이 방지되고 데이터배선의 저항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shielding layer of the first metal layer, the data wiring part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data wiring of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are simultaneously formed by using the transflective mask, whereby the number of exposure masks is reduced, The cutoff of the active layer due to the stepped portion is prevented, and the resistance of the data line is reduced.
도 1은 종래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단면도.
도 5a 내지 5m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2 is a sectional view of an array substrate for a self-capacitance type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self-capacitance type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an array substrate for a self-capacitance type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M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rray substrate for a self-capacitance type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데,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rray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aking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of the self-capacitance ty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self-capacitance)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은, 기판(120), 차광층(122), 데이터배선(124), 박막트랜지스터(T), 공통배선(140), 공통전극(146), 화소전극(150)을 포함하는데, 기판(120)은 액정패널을 구성하는 2개의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2, an array substrate for a self-capacitance type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구체적으로, 기판(120) 상부의 각 화소영역에는 차광층(122) 및 데이터배선(124)이 형성되고, 차광층(122) 및 데이터배선(124) 상부의 기판(120) 전면에는 버퍼층(126)이 형성된다. A
차광층(122)은 박막트랜지스터(T)의 액티브층(126)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불투명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데이터배선(124)은 박막트랜지스터(T)로 데이터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게이트배선(미도시)와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한다. The
차광층(122) 및 데이터배선(124)은 하나의 노광 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동일층,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
차광층(122)에 대응되는 버퍼층(126) 상부에는 액티브층(128)이 형성되고, 액티브층(128) 상부의 기판(120) 전면에는 게이트절연층(130)이 형성된다.An
액티브층(128)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과 같은 실리콘이나, 인듐 갈륨 징크 옥사이드(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징크 틴 옥사이드(zinc tin oxide: ZTO), 징크 인듐 옥사이드(zinc indium oxide: ZIO)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액티브층(128)에 대응되는 게이트절연층(130) 상부에는 게이트전극(132)이 형성되고, 게이트전극(132) 상부의 기판(120) 전면에는 층간절연층(134)이 형성되는데, 층간절연층(134), 게이트절연층(130), 액티브층(128) 및 버퍼층(126)은 데이터배선(124)과 버퍼층(126) 내부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다. A
액티브층(128)에 대응되는 층간절연층(134)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는 소스전극(136) 및 드레인전극(138)이 형성되고, 액티브층(128)과 이격되는 영역의 층간절연층(134) 상부에는 소스전극(136) 및 드레인전극(138)과 이격되는 공통배선(140)이 형성되는데, 소스전극(136)은 층간절연층(134), 게이트절연층(130), 액티브층(128) 및 버퍼층(126)의 콘택홀을 통하여 데이터배선(124)에 연결된다.A
이때, 소스전극(136) 및 드레인전극(138)은 각각 층간절연층(134), 게이트절연층(130), 액티브층(128) 및 버퍼층(126)의 콘택홀을 통하여 액티브층(128)의 양단부에 측면접촉(side contact) 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소스전극(136), 드레인전극(138) 및 공통배선(140)은 동일층,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티타늄(Ti), 네오디뮴(Nd)과 같은 금속도전물질의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여기서, 액티브층(128), 게이트전극(132), 소스전극(136) 및 드레인전극(138)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T)를 구성한다. Here, the
소스전극(136), 드레인전극(138) 및 공통배선(140) 상부의 기판(120) 전면에는 제1보호층(142)이 형성되고, 제1보호층(142) 상부의 기판(120) 전면에는 평탄화층(144)이 형성되는데, 평탄화층(144)은 드레인전극(138) 및 공통배선(140) 상부의 제1보호층(142)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다.A
제1보호층(142)은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탄화층(144)은 포토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1보호층(142)은 유기절연물질의 평탄화층(144)과 금속물질의 소스전극(136), 드레인전극(138) 및 공통배선(140)의 접촉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러한 접촉특성이 문제되지 않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보호층(142)을 생략할 수도 있다. The
평탄화층(144) 상부에는 공통전극(146)이 형성되고, 공통전극(146) 상부의 기판(120) 전면에는 제2보호층(148)이 형성되는데, 제2보호층(148)은 공통전극(146)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고, 제2보호층(148) 및 제1보호층(142)은 드레인전극(138) 및 공통배선(140)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다.A
공통전극(146)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보호층(148)은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드레인전극(138)에 대응되는 제2보호층(148) 상부에는 화소전극(150)이 형성되고, 공통전극(146) 및 공통배선(140)에 대응되는 제2보호층(148) 상부에는 연결패턴(152)이 형성되는데, 화소전극(150)은 제2보호층(148) 및 제1보호층(142)의 콘택홀을 통하여 드레인전극(138)에 연결되고, 연결패턴(152)은 제2보호층(148)의 콘택홀을 통하여 공통전극(146)에 연결되고 제2보호층(148) 및 제1보호층(142)의 콘택홀을 통하여 공통배선(140)에 연결된다. The
즉, 공통배선(140)과 공통전극(146)은 연결패턴(152)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at is, the
화소전극(150) 및 연결패턴(152)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여기서, 공통전극(146)은 특정 개수의 화소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블록 별로 패터닝 될 수 있으며, 각 터치블록의 공통전극(146)은 공통배선(140)을 통하여 구동부(도 2의 180)에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그리고, 화소전극(150)은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공통전압 및 데이터전압에 의하여 공통전극(146) 및 화소전극(150) 사이에는 수평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서는, 차광층(122)과 데이터배선(124)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하고, 소스전극(136) 및 드레인전극(138)과 공통배선(140)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하고, 화소전극(150)과 드레인전극(138)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과 연결패턴(152)과 공통전극(146) 및 공통배선(140)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노광 마스크의 총 개수를 종래의 11개에서 9개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of the self-capacitance ty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그런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서, 박막트랜지스터(T)가 다결정 실리콘의 액티브층(128)을 포함할 경우, 비정질 실리콘층을 증착한 후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데, 다결정 실리콘을 액티브층(128)으로 사용하는 박막트랜지스터(T)의 형성공정은 탈수소(dehydrogenation) 공정, 수소화(hydrogenation) 공정, 활성화(activation) 공정 등 다수의 고온 열처리 공정을 포함한다. However, in the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of the self-capacitance ty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n film transistor T includes the
이러한 고온 열처리 공정은 액티브층(128) 하부의 차광층(122) 및 데이터배선(124) 형성 후 진행되므로, 알루미늄(Al)과 같은 상대적으로 열에 약한 금속물질은 차광층(122) 및 데이터배선(124)의 재료로 사용할 수 없다.Since the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process proceeds after formation of the light-
이에 따라, 몰리브덴(Mo)과 같은 상대적으로 열에 강한 금속물질로 차광층(122) 및 데이터배선(124)을 형성하는데, 알루미늄(Al)에 비하여 몰리브덴(Mo)은 높은 저항을 가지므로, 데이터배선(124)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차광층(122) 및 데이터배선(124)을 형성하여야 하고, 그 결과 결정화 공정 이후 차광층(122) 및 데이터배선(124)의 단차부(S)에 대응되는 액티브층(128)이 절단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액티브층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티브층 하부의 차광층과 데이터배선은 제1금속층의 단일층으로 형성하고, 액티브층과 이격되는 데이터배선은 제1 및 제2금속층의 이중층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active layer, the light-shielding layer and the data wiring under the active layer are formed of a single layer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data wiring spaced apart from the active layer is formed of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It can be formed as a double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단면도로서, 버퍼층(226), 액티브층(228), 게이트절연층(230), 게이트전극(232), 층간절연층(234), 소스전극(236), 드레인전극(238), 공통배선(240), 제1보호층(242), 평탄화층(244), 공통전극(246), 제2보호층(248), 화소전극(250) 및 연결패턴(252)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3 is a plan view of a self-capacitance type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는 터치표시패널(210)과 구동부(280)를 포함한다.3, the self-capacitance type in-cell type touch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터치표시패널(210)은, 기판(도 4의 220) 상부의 각 터치블록에 배치되는 다수의 공통전극(246)과, 다수의 공통전극(246)과 구동부(280)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공통배선(240)을 포함하는데, 각 터치블록의 공통전극(246)은 각각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표시패널(210)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2개의 기판과, 2개의 기판 사이의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일 수 있으며, 다수의 공통전극(246)은 각각 2개의 기판 중 하나의 다수의 화소에 대응되어 터치블록 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표시패널(210)은 공통전압을 이용하여 표시동작을 수행하거나, 터치전압을 이용하여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구동부(280)는, 1프레임 중 표시구간 동안 터치표시패널(210)의 다수의 공통전극(246)에 공통전압을 인가하고 공통전극(240)과 화소전극(도 4의 250)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으로 액정층의 액정분자를 재배열하여 영상을 표시하거나, 1프레임 중 터치구간 동안 터치표시패널(210)의 다수의 공통전극(246)에 터치전압을 인가하고 인가된 터치전압에 따른 다수의 공통전극(246)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터치입력의 위치를 감지한다.The driving
이러한 구동부(280)는 표시동작을 위하여 터치표시패널(210)에 게이트전압 및 데이터전압을 더 공급할 수도 있다. The driving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은, 기판(220), 차광층(222), 데이터배선(224), 박막트랜지스터(T), 공통배선(240), 공통전극(246), 화소전극(250)을 포함하는데, 기판(220)은 액정패널을 구성하는 2개의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4, an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of the self-capacitance ty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구체적으로, 기판(220) 상부의 각 화소영역에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이 형성되고,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는 버퍼층(226)이 형성된다. A
차광층(222)은 박막트랜지스터(T)의 액티브층(226)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티타늄(Ti)과 같이 상대적으로 열에 강한 불투명한 제1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데이터배선(224)은 박막트랜지스터(T)로 데이터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게이트배선(미도시)와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제1두께(도 5a의 t1)를 갖는 제1금속물질의 제1금속층(224a)과, 제1금속층(224a) 상부에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큰 제2두께(도 5a의 t2)를 갖는 제2금속물질의 제2금속층(224b)을 포함하는데, 제2금속물질은 상대적으로 열에 강하고 제1금속물질에 대한 식각 선택비가 상대적으로 큰 물질일 수 있다. The
제1금속층(224a)은 데이터배선(224) 전체에 형성되는 반면, 제2금속층(224b)은 데이터배선(224) 일부에 형성되어 하부의 제1금속층(224a)을 노출하는데, 차광층(222)과 제2금속층(224b) 외부로 노출되는 제1금속층(224a)은 후속공정에서 형성되는 액티브층(228)의 직하부에 액티브층(228)과 중첩되어 배치되고, 제2금속층(224b)은 액티브층(228)의 직하부 이외의 영역에 액티브층(228)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즉, 액티브층(228) 직하부의 차광층(222)과 데이터배선(224)은 제1두께(t1)로 형성되고, 액티브층(228) 직하부 이외의 영역의 데이터배선(224)은 제1 및 제2두께(t1, t2)의 합에 해당하는 두께(t1+t2)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light-
이와 같이, 액티브층(228)과 중첩되는 차광층(222)과 데이터배선(224)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두께(t1)를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단차부(S)를 갖게 되고, 그 결과 액티브층(228)과 중첩되는 차광층(222)과 데이터배선(224)의 단차부(S)에 의한 결정화 공정 이후의 액티브층(228)의 절단이 방지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ght-
또한, 액티브층(228)으로부터 이격되는 데이터배선(224)은 상대적으로 큰 제1 및 제2두께(t1, t2)의 합에 해당하는 두께(t1+t2)를 가지므로, 데이터배선(224)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데이터배선(224)을 흐르는 신호의 전압강하 및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이러한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은 투과영역, 차단영역 및 반투과영역을 포함하는 반투과마스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배선(224)의 제1금속층(224a)과 차광층(222)은 동일층,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차광층(222)에 대응되는 버퍼층(226) 상부에는 액티브층(228)이 형성되고, 액티브층(228)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는 게이트절연층(230)이 형성된다.An
액티브층(228)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과 같은 실리콘이나, 인듐 갈륨 징크 옥사이드(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징크 틴 옥사이드(zinc tin oxide: ZTO), 징크 인듐 옥사이드(zinc indium oxide: ZIO)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특히, 액티브층(228)과 중첩되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두께(t1)로 형성되므로, 비정질 실리콘층을 증착한 후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결정화 공정 이후에도 액티브층(228)과 중첩되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의 단차부(S)에 의한 액티브층(228)의 절단이 방지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light-
액티브층(228)에 대응되는 게이트절연층(230) 상부에는 게이트전극(232)이 형성되고, 게이트전극(232) 상부의 기판(120) 전면에는 층간절연층(234)이 형성되고, 액티브층(228)에 대응되는 층간절연층(234)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는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이 형성되고, 액티브층(228)과 이격되는 영역의 층간절연층(234) 상부에는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과 이격되는 공통배선(240)이 형성된다. A
여기서, 소스전극(236)은 층간절연층(234), 게이트절연층(230), 액티브층(228) 및 버퍼층(226)의 콘택홀을 통하여 데이터배선(224)에 연결되고,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은 각각 층간절연층(234), 게이트절연층(230), 액티브층(228) 및 버퍼층(226)의 콘택홀을 통하여 액티브층(228)의 양단부에 측면접촉(side contact) 된다. Here, the
액티브층(228), 게이트전극(232),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T)를 구성한다. The
소스전극(236), 드레인전극(238) 및 공통배선(240)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는 제1보호층(242)이 형성되고, 제1보호층(242)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는 개구부를 갖는 평탄화층(244)이 형성되고, 평탄화층(244) 상부에는 공통전극(246)이 형성되고, 공통전극(246)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는 제2보호층(248)이 형성되고, 드레인전극(238)에 대응되는 제2보호층(248) 상부에는 화소전극(250)이 형성되고, 공통전극(246) 및 공통배선(240)에 대응되는 제2보호층(248) 상부에는 연결패턴(252)이 형성된다.A
여기서, 화소전극(250)은 제2보호층(248) 및 제1보호층(242)의 콘택홀을 통하여 드레인전극(238)에 연결되고, 연결패턴(252)은 제2보호층(248)의 콘택홀을 통하여 공통전극(246)에 연결되고 제2보호층(248) 및 제1보호층(242)의 콘택홀을 통하여 공통배선(24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공통배선(240)과 공통전극(246)은 연결패턴(252)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Her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서는, 차광층(222)과 데이터배선(224)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반투과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하고,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과 공통배선(240)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하고, 화소전극(250)과 드레인전극(238)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과 연결패턴(252)과 공통전극(246) 및 공통배선(240)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노광 마스크의 총 개수를 종래의 11개에서 9개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of the self-capacitance ty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액티브층(228)의 직하부에 액티브층(228)과 중첩하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두께(t1)로 형성하고 액티브층(228)의 직하부 이외의 영역에 액티브층(228)으로부터 이격되는 데이터배선(224)은 상대적으로 큰 제1 및 제2두께(t1, t2)의 합(t1+t2)으로 형성함으로써, 차광층(222) 액티브층(228)과 중첩하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의 단차부(S)에 의한 액티브층(228)의 절단을 방지하고 데이터배선(224)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rr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a 내지 5m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5A to 5M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rray substrate for a self-capacitance type Insel-type touch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금속물질을 이용하여 기판(220) 상부에 제1금속물질층(260) 및 제2금속물질층(262)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제2금속물질층(262) 상부에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층 상부에 제1마스크(미도시)를 배치한다. 5A, a first
제1금속물질층(260)은 티타늄(Ti)과 같이 상대적으로 열에 강한 불투명한 제1금속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두께(t1)를 갖고, 제2금속물질층(262)은 몰리브덴(Mo)과 같이 상대적으로 열에 강한 제2금속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두께(t1)보다 큰 제2두께(t2)를 갖는데, 제2금속물질의 식각률(etching rate)은 제1금속물질의 식각률보다 크고, 제1금속물질에 대한 제2금속물질의 식각 선택비(etching selectivity)는 상대적으로 크다. 예를 들어, 제1금속물질에 대한 제2금속물질의 식각 선택비는 약 10:1 이상일 수 있다. The first
이때, 제1마스크는, 자외선을 통과시키는 투과영역(A),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영역(C), 자외선에 대한 투과율이 차단영역보다 크고 투과영역보다 작은 반투과영역(B)을 포함하는 반투과마스크 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반투과마스크는 투과영역(A)이 차광층(도 4의 222) 및 데이터배선(도 4의 224)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대응되고, 차단영역(C)이 액티브층(228) 직하부 이외의 데이터배선(224)에 대응되고, 반투과영역(B)이 액티브층(228) 직하부의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에 대응되도록 포토레지스트층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ask includes a semi-transmissive region A including ultraviolet rays, a blocking region C blocking ultraviolet rays, and a semi-transmissive region B having a transmissivity with respect to ultraviolet rays larger than that of the transmissive region, And the transmissive mask may correspond to an area where the transmissive area A is not formed with the light shielding layer 222 (FIG. 4) and the data line (FIG. 4) 224, The
그리고, 반투과마스크를 통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하고, 노광된 포토레지스트층을 현상하여 제1포토레지스트패턴(270)을 형성하는데, 반투과마스크의 투과영역(A)에 대응되는 포토레지스트층은 완전히 제거되고, 반투과마스크의 차단영역(C)에 대응되는 포토레지스트층은 그대로 유지되어 제3두께(t3)를 갖고, 반투과마스크의 반투과영역(B)에 대응되는 포토레지스트층은 일부가 제거되고 일부는 잔존하여 제4두께(t4)를 갖는다.Then, the photoresist layer is expos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hrough the semi-transparent mask, and the exposed photoresist layer is developed to form the
따라서, 제1포토레지스트패턴(270)은 차광층(도 4의 222) 및 데이터배선(도 4의 224)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제2금속물질층(262)을 노출하고, 액티브층(228) 직하부 이외의 데이터배선(224)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3두께(t3)를 갖고, 액티브층(228) 직하부의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3두께(t3)보다 작은 제4두께(t4)를 갖는다.Accordingly, the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포토레지스트패턴(270)을 식각 마스크(etching mask)로 이용하여 제2금속물질층(262) 및 제1금속물질층(260)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차광층패턴(264) 및 데이터배선패턴(266)을 형성하는데, 차광층패턴(264)은 제1금속물질의 제1층(264a)과 제2금속물질의 제2층(264b)을 포함하고, 데이터배선패턴(266)은 제1금속물질의 제1층(266a)과 제2금속물질의 제2층(266b)을 포함한다.5B, the second
예를 들어, 제2금속물질층(262)을 습식식각(wet etching)으로 식각하고, 연속해서 제1금속물질층(260)을 건식식각(dry etching)으로 식각할 수 있는데, 제1금속물질에 대한 제2금속물질의 식각 선택비가 약 10:1 이상이므로, 습식식각 시 제1금속물질층(260)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2금속물질층(262)을 식각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포토레지스트패턴(270)을 애싱(ashing) 하여 제2포토레지스트패턴(272)을 형성하는데, 반투과마스크의 차단영역(C)에 대응되는 제3두께(t3)를 갖는 제1포토레지스트패턴(270)은 일부가 제거되고 일부가 잔존하여 제5두께(t5)가 되고, 반투과마스크의 반투과영역(B)에 대응되는 제4두께(t4)를 갖는 제1포토레지스트패턴(270)은 완전히 제거된다. The
따라서, 제2포토레지스트패턴(272)은 액티브층(228) 직하부의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에 대응되는 영역의 차광층패턴(264)의 제2층(264b)과 데이터배선패턴(266)의 제2층(266b)을 노출하고, 액티브층(228) 직하부 이외의 데이터배선(224)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3두께(t3)에서 제4두께(t4)를 뺀 값인 제5두께(t5)를 갖는다.The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포토레지스트패턴(272)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차광층패턴(264)의 제2층(264b) 및 데이터배선패턴(266)의 제2층(266b)을 식각하여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을 형성한다. The
예를 들어, 차광층패턴(264)의 제2층(264b) 및 데이터배선패턴(266)의 제2층(266b)을 습식식각 또는 건식식각으로 식각할 수 있는데, 제1금속물질에 대한 제2금속물질의 식각 선택비가 약 10:1 이상이므로, 습식식각 또는 건식식각 시 광층패턴(264)의 제1층(264a) 및 데이터배선패턴(266)의 제1층(266a)에 영향을 주지 않고 차광층패턴(264)의 제2층(264b) 및 데이터배선패턴(266)의 제2층(266b)을 식각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포토레지스트패턴(272)을 제거하여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을 완성한다. The
이상과 같이, 기판(220) 상부에 제1 및 제2금속물질층(260, 262)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후, 반투과마스크인 제1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두께(t1)의 차광층(222)과 액티브층(228) 직하부에서는 제1두께(t1)의 제1금속층(224a)만으로 이루어지고 액티브층(228) 직하부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1두께(t1)의 제1금속층(224a) 및 제2두께(t2)의 제2금속층(224b)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배선(224)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irst and second metal material layers 260 and 262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따라서, 노광 마스크 수 증가 없이 액티브층(228)과 중첩되는 차광층(222)과 데이터배선(224)의 상대적으로 작은 제1두께(t1)의 단차부(S)에 의하여 결정화 공정 이후의 액티브층(228)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제2두께(t2)에 의하여 데이터배선(224)을 흐르는 신호의 전압강하 및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tep difference S between the light-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 절연물질로 버퍼층(226)을 형성한 후, 실리콘이나 산화물 반도체물질 중 하나를 이용하여 버퍼층(226) 상부에 액티브물질층(미도시)을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의 노광, 현상과 액티브물질층의 식각을 포함하는 제2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차광층(222)에 대응되는 버퍼층(226) 상부에 액티브층(228)을 형성한다. A
이때, 액티브층(228)과 중첩되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두께(t1)로 형성되므로, 비정질 실리콘층을 증착한 후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결정화 공정 이후에도 액티브층(228)과 중첩되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의 단차부(S)에 의한 액티브층(228)의 절단이 방지된다. Since the light-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티브층(228)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 절연물질로 게이트절연층(230)을 형성한 후, 금속물질을 이용하여 게이트절연층(230) 상부에 게이트물질층(미도시)을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의 노광, 현상과 게이트물질층의 식각을 포함하는 제3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액티브층(228)에 대응되는 게이트절연층(230) 상부에 게이트전극(232)을 형성한다. A
도 5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232)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 절연물질로 층간절연층(234)을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의 노광, 현상과 층간절연층(234), 게이트절연층(230), 액티브층(228) 및 버퍼층(226)의 식각을 포함하는 제4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층간절연층(234), 게이트절연층(230), 액티브층(228) 및 버퍼층(226)에 데이터배선(224)과 버퍼층(226) 내부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형성한다.An interlayer insulating
도 5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물질을 이용하여 층간절연층(234) 상부에 금속물질층(미도시)을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의 노광, 현상과 금속물질층의 식각을 포함하는 제5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액티브층(228)에 대응되는 층간절연층(234) 상부에 서로 이격되는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을 형성하고, 액티브층(228)과 이격되는 영역의 층간절연층(234) 상부에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과 이격되는 공통배선(240)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I, a metal material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이때, 소스전극(236)은 층간절연층(234), 게이트절연층(230), 액티브층(228) 및 버퍼층(226)의 콘택홀을 통하여 데이터배선(224)에 연결되고,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은 각각 층간절연층(234), 게이트절연층(230), 액티브층(228) 및 버퍼층(226)의 콘택홀을 통하여 액티브층(228)의 양단부에 측면접촉(side contact) 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차광층(222)과 데이터배선(224)을 제1마스크 하나로 동시에 형성하고,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과 공통배선(240)을 제5마스크 하나로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노광 마스크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도 5j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기절연물질을 이용하여 소스전극(236), 드레인전극(238) 및 공통배선(240)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 제1보호층(242)을 형성한 후, 유기절연물질을 이용하여 제1보호층(242)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 평탄화층(244)을 형성하고, 평탄화층(244)의 노광, 현상을 포함하는 제6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평탄화층(244)에 드레인전극(238) 및 공통배선(240) 상부의 제1보호층(242)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A first
제2실시예에서는 평탄화층(244)이 감광성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감광성이 없는 유기절연물질의 평탄화층(244) 상부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제6마스크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 현상하고, 평탄화층(244)을 식각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도 5k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도전물질을 이용하여 평탄화층(244) 상부에 공통전극물질층(미도시)을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의 노광, 현상과 차광물질층의 식각을 포함하는 제7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평탄화층(244) 상부에 공통전극(246)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K, a common electrode material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도 5l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기절연물질을 이용하여 공통전극(246) 상부의 기판(220) 전면에 제2보호층(248)을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의 노광, 현상과 제2보호층(248)의 식각과 제2보호층(248) 및 제1보호층(242)의 식각을 포함하는 제8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제2보호층(248)에 공통전극(246)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형성하고, 제2보호층(248) 및 제1보호층(242)에 드레인전극(238) 및 공통배선(240)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형성한다.A second
도 5m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도전물질을 이용하여 제2보호층(248) 상부에 화소전극물질층(미도시)을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의 노광, 현상과 화소전극물질층의 식각을 포함하는 제9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드레인전극(238)에 대응되는 제2보호층(248) 상부에 화소전극(250)을 형성하고, 공통전극(246) 및 공통배선(240)에 대응되는 제2보호층(248) 상부에 연결패턴(252)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M, a pixel electrode material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이때, 화소전극(250)은 제2보호층(248) 및 제1보호층(242)의 콘택홀을 통하여 드레인전극(238)에 연결되고, 연결패턴(252)은 제2보호층(248)의 콘택홀을 통하여 공통전극(246)에 연결되고 제2보호층(248) 및 제1보호층(242)의 콘택홀을 통하여 공통배선(240)에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즉, 공통배선(240)과 공통전극(246)은 연결패턴(252)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공통배선(240)을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하고, 공통전극(246)과 공통배선(240)이 화소전극(250)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는 연결패턴(25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화소전극(250)과 드레인전극(238)의 연결을 위한 제2보호층(248) 및 제1보호층(242)의 콘택홀과, 연결패턴(252)과 공통전극(246)의 연결을 위한 제2보호층(248)의 콘택홀과, 연결패턴(252)과 공통배선(240)의 연결을 위한 제2보호층(248) 및 제1보호층(242)의 콘택홀을 제7마스크 하나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노광 마스크 수를 감소시켜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The
한편, 이러한 버퍼층(226) 하부의 데이터배선(224)은 터치표시패널(210)에서 차광층(222)을 필요로 하는 부분, 예를 들어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에 적용할 수 있으며, 차광층(222)이 불필요한 부분, 예를 들어 게이트-인-패널(gate-in-panel: GIP) 또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 MUX)와 같은 회로부를 포함하는 비표시영역에서는 소스전극(236), 드레인전극(238) 및 공통배선(240)과 동일한 층으로 데이터배선을 구성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서는, 차광층(222)과 데이터배선(224)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반투과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하고, 소스전극(236) 및 드레인전극(238)과 공통배선(240)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하고, 화소전극(250)과 드레인전극(238)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과 연결패턴(252)과 공통전극(246) 및 공통배선(240)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을 하나의 노광 마스크로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노광 마스크의 총 개수를 종래의 11개에서 9개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rray substrate for a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of the self-capacitance ty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데이터배선(224)을 버퍼층(226) 하부에 형성하므로, 공통전극(246)과 데이터배선(224) 사이의 절연층의 두께가 증가하여 공통전극(246)과 데이터배선(224) 사이의 기생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평탄화층(244)의 두께를 감소시켜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또한, 액티브층(228)의 직하부에 액티브층(228)과 중첩하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두께(t1)로 형성하고 액티브층(228)의 직하부 이외의 영역에 액티브층(228)으로부터 이격되는 데이터배선(224)은 상대적으로 큰 제1 및 제2두께(t1, t2)의 합(t1+t2)으로 형성함으로써, 차광층(222) 액티브층(228)과 중첩하는 차광층(222) 및 데이터배선(224)의 단차부(S)에 의한 액티브층(228)의 절단을 방지하고 데이터배선(224)의 저항을 감소시켜 신호의 전압강하 및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상이한 두께를 가지면서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데이터배선 및 차광층을 인셀 타입 터치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 적용한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투과마스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되고 액티브층과 중첩되는 부분은 얇은 두께를 갖고 액티브층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은 두꺼운 두께를 갖는 데이터배선 및 차광층은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데이터배선 및 차광층의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에 의하여 결정화 공정 이후의 액티브층의 절단을 방지하고, 데이터배선 및 차광층의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분에 의하여 배선 저항을 감소시켜 신호의 전압강하 및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data wiring and the light shielding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applied to the array substrate for the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However, The data wiring and the light shielding layer having a thin thickness and the portion not overlapped with the active layer overlapping with the layer can be applied to an array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array substrate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he cutting of the active layer after the crystallization process is prevented by the portion having a thin thickness of the data wiring and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wiring resistance is reduced by the portion having the thick thickness of the data wiring and the light shielding layer, Delay can be preven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10: 터치표시패널
120: 기판
222: 차광층
224: 데이터배선
T: 박막트랜지스터
140: 공통배선
144: 평탄화층
146: 공통전극
150: 화소전극110: touch display panel 120: substrate
222: shielding layer 224: data wiring
T: thin film transistor 140: common wiring
144: planarization layer 146: common electrode
150: pixel electrode
Claims (12)
상기 기판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차광층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차광층 상부에 배치되고, 액티브층,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Claims [1]
A light-shielding layer and a data lin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 thin film transistor arranged on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including an active layer, a gate electrode,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상기 차광층은 제1두께를 갖고,
상기 데이터배선 중 상기 액티브층에 중첩되는 제1부분은 상기 제1두께를 갖고, 상기 액티브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부분은 상기 제1두께와 상기 제1두께보다 큰 제2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shielding layer has a first thickness,
Wherein a first portion of the data line overlapping the active layer has the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active layer corresponds to a sum of the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thickness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And a thickness of the first substrate.
상기 차광층은 제1금속물질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배선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금속물질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배선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금속물질의 제1금속층과 제2금속물질의 제2금속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shielding layer comprises a single layer of a first metal material,
Wherein the first portion of the data line comprises a single layer of the first metal material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data line comprises a first metal layer of the first metal material and a second layer of a second metal layer of the second metal material, And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상기 제1금속물질에 대한 상기 제2금속물질의 식각 선택비는 10:1 이상인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tch selectivity of the second metal material to the first metal material is at least 10: 1.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과 이격되는 공통배선과;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공통배선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전극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 상부에 배치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배선을 노출하는 제1콘택홀을 포함하는 제1보호층과;
상기 제1보호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되는 연결패턴과;
상기 제1보호층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전극에 연결되는 화소전극
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mon wiring line spaced apart from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common wiring and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drain electrode;
A common electrode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A first protection layer disposed on the common electrode and including a first contact hole exposing the common wiring;
A connection pattern disposed on the first protection layer and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common wiring through the first contact hole;
A pixel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Further comprising: a substrate;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과 상기 공통배선은 동일층,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패턴과 상기 화소전극은 동일층,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ource electrode, the drain electrode, and the common wiring are formed of the same layer and the same material,
Wherein the connection pattern and the pixel electrode are made of the same layer and the same material.
상기 제1보호층은 상기 공통전극을 노출하는 제2콘택홀과 상기 드레인전극을 노출하는 제3콘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패턴은 상기 제2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공통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제3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전극에 연결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protective layer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tact hole exposing the common electrode and a third contact hole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The connection pattern is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through the second contact hole,
And the pixel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through the third contact hole.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은 상기 액티브층의 양단부에 측면 접촉하고,
상기 소스전극은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re in sid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active layer,
And the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상기 차광층 상부에 액티브층,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Forming light-shielding layers and data lin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n the substrate;
Forming a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an active layer, a gate electrode,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on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a step of forming an array substrate.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부에 각각 제1 및 제2두께를 갖는 제1 및 제2금속물질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반투과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금속물질층 상부에,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 외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2금속물질층을 노출하고, 상기 액티브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데이터배선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제3두께를 갖고, 상기 액티브층 직하부의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3두께보다 작은 제4두께를 갖는 제1포토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포토레지스트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금속물질층 및 상기 제1금속물질층을 식각하여 차광층패턴 및 데이터배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포토레지스트패턴을 애싱 하여, 상기 액티브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데이터배선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차광층패턴 및 상기 데이터배선패턴을 노출하고, 상기 액티브층 직하부의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제5두께를 갖는 제2포토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포토레지스트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차광층패턴 및 상기 데이터배선패턴을 식각하여 상기 차광층 및 상기 데이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light-shielding layer and the data wiring comprises:
Sequentially forming first and second metallic material layers having first and second thicknesses on the substrate, respectively;
The second metal material layer is exposed on the second metal material layer using a transflective mask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wiring outside,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having a third thickness in the region and a fourth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rd thickness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line immediately below the active layer;
Forming a light shielding layer pattern and a data wiring pattern by etching the second metal material layer and the first metal material layer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is ashed to expose the light shielding layer pattern and the data wiring pattern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ata wiring spaced apart from the active layer, and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wiring Forming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having a fifth thickness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Forming the light shielding layer and the data wiring by etching the light shielding layer pattern and the data wiring pattern us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a step of forming an array substrate.
상기 제1금속물질층에 대한 상기 제2금속물질층의 식각 선택비는 10:1 이상인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tch selectivity of the second metal material layer to the first metal material layer is at least 10: 1.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과 이격되는 공통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공통배선 상부에 상기 드레인전극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화층 상부에 공통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전극 상부에 상기 공통배선을 노출하는 제1콘택홀을 포함하는 제1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호층 상부에 상기 드레인전극에 연결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되는 연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Forming a common wiring line spaced apart from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Forming a planarization layer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drain electrode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common wiring;
Forming a common electrode on the planarization layer;
Forming a first protective layer on the common electrode, the first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first contact hole exposing the common wiring;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a connec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through the first contact hole,
And form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on the array substr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6140A KR20170076184A (en) | 2015-12-24 | 2015-12-24 |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6140A KR20170076184A (en) | 2015-12-24 | 2015-12-24 |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6184A true KR20170076184A (en) | 2017-07-04 |
Family
ID=5935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6140A Withdrawn KR20170076184A (en) | 2015-12-24 | 2015-12-24 |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76184A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3907A (en) * | 2017-11-30 | 2019-06-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CN110391343A (en) * | 2018-04-19 | 2019-10-29 | 乐金显示有限公司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0444564A (en) * | 2018-05-04 | 2019-11-12 | 三星显示有限公司 |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200072615A (en) * | 2018-12-12 | 2020-06-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00144162A (en) * | 2019-06-17 | 2020-12-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haratus |
US11164896B2 (en) * | 2018-04-28 | 2021-11-02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
US20220140032A1 (en) * | 2020-11-04 | 2022-05-0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20230090817A1 (en) * | 2021-09-17 | 2023-03-2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
WO2025076658A1 (en) * | 2023-10-09 | 2025-04-1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
-
2015
- 2015-12-24 KR KR1020150186140A patent/KR20170076184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3907A (en) * | 2017-11-30 | 2019-06-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CN110391343A (en) * | 2018-04-19 | 2019-10-29 | 乐金显示有限公司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90122073A (en) * | 2018-04-19 | 2019-10-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11205685B2 (en) | 2018-04-19 | 2021-12-21 | Lg Display Co., Ltd.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11164896B2 (en) * | 2018-04-28 | 2021-11-02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
US10916617B2 (en) | 2018-05-04 | 2021-02-0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CN110444564A (en) * | 2018-05-04 | 2019-11-12 | 三星显示有限公司 |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200072615A (en) * | 2018-12-12 | 2020-06-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00144162A (en) * | 2019-06-17 | 2020-12-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haratus |
US20220140032A1 (en) * | 2020-11-04 | 2022-05-0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2075665B2 (en) * | 2020-11-04 | 2024-08-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20230090817A1 (en) * | 2021-09-17 | 2023-03-2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
US12185604B2 (en) * | 2021-09-17 | 2024-12-3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
WO2025076658A1 (en) * | 2023-10-09 | 2025-04-1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76184A (en) |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10739918B2 (en) |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20200319491A1 (en) | Display device | |
KR101307962B1 (en) |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ing func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936773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1725893B1 (en) |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9201533B2 (en) | Substrate for in-cell type touch sens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8659710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2241442B1 (en) |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9710086B2 (en) |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10964790B1 (en) | TFT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WO2019233267A1 (en) |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 |
KR101942982B1 (en) |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CN104201152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 |
KR20120119368A (en) | Touch sensor in-cell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WO2016061940A1 (en) |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 |
WO2016145769A1 (en) |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 |
CN110660813A (en) | OLED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80060603A (en) | Array Substrate For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690600B1 (en) |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426498B1 (en) | Array Substrate For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CN106024705A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TFT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 |
KR20180079599A (en) |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CN110600507A (en) | OLED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426497B1 (en) | Array Substrate For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