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5442A -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442A
KR20170075442A KR1020150185096A KR20150185096A KR20170075442A KR 20170075442 A KR20170075442 A KR 20170075442A KR 1020150185096 A KR1020150185096 A KR 1020150185096A KR 20150185096 A KR20150185096 A KR 20150185096A KR 20170075442 A KR20170075442 A KR 20170075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module
moving
ois
displac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원
정종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442A/ko
Priority to US15/271,514 priority patent/US10178317B2/en
Priority to CN201611207588.3A priority patent/CN106911879B/zh
Publication of KR2017007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44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326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은, 제1 입사광이 입사되는 제1 광학계와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촬상 장치; 및 상기 제1 광학계를 통과한 제2 입사광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하는 제1 손떨림 보정 가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OIS 가동부에 의해 광 경로가 보정된 제3 입사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영상을 촬상 하기 위한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 중 이동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촬상 장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슬림화 경향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두께가 감소되는 추세이며, 촬상 장치가 모듈화되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 촬상 장치 모듈의 높이 또한 이동 단말기의 두께에 부합하도록 축소되어,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줌 기능, 망원 기능 등 다양한 화각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의 장착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의 높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개량된 촬상 장치 모듈,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은, 제1 입사광이 입사되는 제1 광학계와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촬상 장치; 및 상기 제1 광학계를 통과한 제2 입사광의 광축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을 따라 진퇴 운동하는 제1 손떨림 보정 가동부(이하, '제1 OIS 가동부'라 함);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OIS 가동부에 의해 광 경로가 보정된 제3 입사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1 센서부; 및 상기 제1 OIS 가동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OIS 구동부; 및 상기 제1 OIS 가동부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1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입사광의 광축 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 함) 과 수직하는 방향(이하, '제3 방향'이라 함)을 따라 진퇴 운동하는 제2 손떨림 보정 가동부(이하, '제2 OIS 가동부'라 함);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의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2 센서부; 상기 제2 OIS 가동부를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OIS 구동부; 및 상기 제2 OIS 가동부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진퇴운동하는 AF 가동부; 및 상기 AF 가동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AF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OIS 구동부와 상기 AF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계 또는 상기 제1 OIS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입사광 또는 상기 제2 입사광이 반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식 광학계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해 이동 가능한 렌즈 모듈이 구비된 촬상 장치; 및 상기 렌즈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을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AF 구동부; 상기 렌즈 모듈을 제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1 OIS 구동부; 및 상기 렌즈 모듈을 제3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2 OIS 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은, 제1 입사광이 입사되는 제1 광학계; 및 상기 제1 광학계를 통과한 제2 입사광의 초점을 조정하는 AF 가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의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1 센서부; 상기 촬상 장치의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2 센서부;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1 센서부;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계는 상기 제1 입사광이 반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식 광학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을 작동시키는 방법은, 손 떨림에 의한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제1 OIS 가동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AF 가동부를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F 가동부의 이동 변위는 상기 제1 OIS 가동부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합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손 떨림에 의한 상기 촬상 장치의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촬상 장치의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제2 OIS 가동부를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을 작동시키는 방법은, 손 떨림에 의한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촬상 장치의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와 상기 렌즈 모듈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렌즈 모듈을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는, 손 떨림 보정을 위한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와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모듈 사이의 손 떨림 보정 전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초점 조정 기능 및 손 떨림 보정 기능을 포함하고, 슬림화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촬상 장치 모듈 및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AF 가동부와 제1 OIS 가동부의 이동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AF 가동부의 이동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개시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하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단수형은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지적하지 않은 이상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여,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 장치(1)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PDA,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3), 입/출력 모듈(5) 및 촬상 장치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는 표시패널 및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5)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에 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달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버튼(5-1) 및 터치 패널(5-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장치 모듈(1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부재이다. 일 예로서, 촬상 장치 모듈(1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촬상 장치 모듈(10)은 사용자 단말 장치(1) 전면에 배치되고, 다른 촬상 장치 모듈(미도시)은 사용자 단말 장치(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촬상 장치 모듈(10)은 인접하게(예를 들어, 간격이 1 cm보다 크고, 8 cm 보다 작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 모듈(10)은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촬상 장치 모듈(10)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서술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1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100), 촬상 장치 모듈(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 및 센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입사광이 입사되는 복수 개의 렌즈부가 구비된 렌즈 모듈(105), 렌즈 모듈(105)에 구비된 각각의 렌즈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106) 및 이미지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5)은 제1 광학계(110), 줌 렌즈부(121), AF 가동부(131), 제1 OIS 가동부(151) 및 제2 OIS 가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계(110)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L1)의 광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광학계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광학계(110)가 반사식 광학계인 경우, 입사된 제1 입사광(L1)의 진행 경로가 제2 입사광(L2)으로 변화될 수 있는 접이식 광학(folded optics)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광학 구조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반사면(111)을 이용하여 광 경로를 길게 연장함으로써 촬상 장치(100)의 초점 거리와 관계 없이 촬상 장치(100)의 높이(제1 입사광(L1)의 광축 방향(Z)으로의 길이)를 크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학계(110)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L1)의 광 경로를 변화시키지 않는 광학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촬상 장치 모듈(10)은 적층식 광학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줌 렌즈부(121)는 줌 렌즈 프레임(123)에 고정된 채, 렌즈 경통부(1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 모듈(106)에 포함된 줌 렌즈 구동부(122)에 의해 제2 입사광(L2)의 광축 방향(Y: 이하 '제1 방향'이라 지칭함)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다른 광학계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줌 렌즈 모듈(120)은 주밍(zooming) 또는 망원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F 가동부(131)는 AF 프레임(132)에 고정된 채, 렌즈 경통부(10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AF 가동부(131)는 초점 조정 시에, 구동 모듈(106)에 포함된 AF 구동부(133)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구동되어 렌즈 경통부(101)의 길이 방향, 즉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F 가동부(131)는 다른 광학계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초점 조정을 위한 광학적 구조와 렌즈 구동 구조 및 줌 조정을 위한 광학적 구조와 렌즈 구동 구조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손 떨림 보정 가동부(151, 152)는 노출시간 동안 촬상 장치 모듈(10)이 흔들렸을 때 발생하는 화상의 흐려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정 장치로서, 디지털 손떨림 보정(Digital Image Stabilization, DIS) 방식, 전자식 손떨림 보정(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 EIS) 방식 및 광학식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방식의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미지 센서(140)로 입사되는 광로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 방식(OIS 방식)을 위주로 서술한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및 제2 손 떨림 보정 가동부(151, 152; 이하 '제1 OSI 가동부' 및 '제2 OSI 가동부'라 지칭함)는 제1 방향(Y)의 손 떨림 및 제1 방향(Y) 및 제2 방향(Z)과 수직하는 제3 방향(X)의 손 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OIS 가동부(151)는 제2 방향(Z)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반사면(1511)을 구비하는 반사식 광학계(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OIS 가동부(151)는 제1 OIS 프레임(1512)에 고정된 채, 렌즈 경통부(10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OIS 가동부(151)는 구동 모듈(106)에 구비된 제1 OIS 구동부(155)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구동되어 렌즈 경통부(101)의 길이 방향, 즉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방향(Y)의 손 떨림이 보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 사항은 아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제2 OIS 가동부(152)는 제3 방향(X)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2 OIS 렌즈(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OIS 렌즈(1520)는 제2 OIS 프레임(1521)에 고정된 채, 렌즈 경통부(10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OIS 렌즈(1520)는 제3 방향(X)에 대한 이동이 구속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OIS 렌즈(1520)는 구동 모듈(106)에 구비된 제2 OIS 구동부(156)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제3 방향(X)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OIS 렌즈(1520)가 제3 방향(X)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3 방향(X)에 대한 손 떨림이 보정될 수 있다. 이 때, 제2 OIS 렌즈(1520)의 제2 방향(Z)에 대한 이동은 구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촬상 장치 모듈(10)의 제2 방향(Z)에 대한 높이 또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이미지 센서(140)는 영상광을 받아서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 센서(140)는 씨씨디(CCD; 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며, 제1 광학계(110), AF 모듈(130) 및 OIS 모듈(150)를 통과하여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 센서(14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300)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이미지 센서(140)의 전기적 신호를 RGB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데이터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포함하는 YUV 신호와 같은 형태의 원시 데이터(raw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한 변환 과정은, 예를 들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140)의 구동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자동 이득 제어 회로(Automatic Gain Control 회로)에 의해 노이즈 저감 후의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와, A/D 변환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픽셀 결함 보정, 게인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보정, 감마 보정 등의 신호 처리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400)은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와 제1 및 제2 OIS 가동부(151, 152)의 이동 변위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이다. 예를 들어 제1-1 센서부(153)는 제1 방향(Y)에 대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이며, 제1-2 센서부(154)는 제3 방향(X)에 대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이다. 제1-1 및 제1-2 센서부(153, 154)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1 및 제2-2 센서부(157, 158)는 제1 및 제2 OIS 가동부(151, 152)의 이동 변위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이다. 일 예로서, 제2-1 센서부(157)는 제1 OIS 가동부(151)의 제1 방향(Y)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이며, 제2-2 센서부(157)는 제2 OIS 가동부(152)의 제3 방향(X)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이다. 제2-1 및 제2-2 센서부(157, 158)는, 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00)는 촬상 장치 모듈(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이다. 일 예로서, 제어부(300)는 RAM, ROM, CPU 및 버스(bus)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및 C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140)의 전기적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이미지를 구체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밍 기능, 피사체의 초점 조정 기능 및 손 떨림 보정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1-1 및 제1-2 센서부(153, 154)와, 제2-1 및 제2-2 센서부(157, 158)로부터 전달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줌 렌즈 모듈(120), AF 모듈(130), 제1 OIS 가동부(151) 및 제2 OIS 가동부(15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AF 가동부와 제1 OIS 가동부의 이동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AF 가동부의 이동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손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 제1-1 센서부(153)는 제1 방향(Y)에 대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1-2 센서부(154)는 제3 방향(X)에 대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학계(110)로부터 반사된 제2 입사광(L2)은 제1 OIS 가동부(151)에 구비된 반사식 광학계(1510)에 의해 반사될 수 있으며, 반사식 광학계(1510)에 의해 반사된 제3 입사광(L3)이 이미지 센서(140)로 입사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한 손 떨림에 의해 촬상 장치(100)가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140)로 입사되는 제3 입사광(L3)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제1-1 및 제1-2 센서부(153, 154)에 의해 감지된 촬상 장치(100)의 이동 정보을 이용하여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 OIS 구동부(155, 156)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OIS 구동부(155, 156)는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된 구동 신호에 의해 OIS 보정 광학계, 예를 들어 반사식 광학계(1510) 또는 제2 OIS 보정 렌즈(15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반사식 광학계(1510) 또는 제2 OIS 보정 렌즈(15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식 광학계(1510)는 제1 OIS 구동부(155)에 의하여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140)로 입사되는 제3 입사광(L3)의 위치가 보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OIS 구동부(155, 156)를 이용하여 반사식 광학계(1510) 또는 제2 OIS 보정 렌즈(1520)를 제1 방향(Y) 및 제3 방향(X)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손 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1 및 제2-2 센서부(157, 158)는 제1 및 제2 OIS 구동부(155, 156)에 의한 OIS 보정 광학계, 예를 들어 반사식 광학계(1510) 또는 제2 OIS 보정 렌즈(1520)의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1 및 제1-2 센서부(153, 154)에 의해 감지된 촬상 장치(100)의 이동 정보와 제2-1 및 제2-2 센서부(157, 158)에 의한 반사식 광학계(1510) 또는 제2 OIS 보정 렌즈(1520)의 이동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제1 및 제2 OIS 구동부(155, 156)에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14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흔들림이 실시간으로 보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OIS 보정 가동부(151, 152)에 의해 손 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는 것과 함께, AF 모듈(130)는 하나 이상의 AF 가동부(131)를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피사체에 대한 자동 초점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300)는 AF 구동부(133)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AF 구동부(133)는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AF 가동부(131)를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손 떨림 보정과 자동 초점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방향(Y)에 대한 초점 거리가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OIS 보정 가동부(151)에 의해 제1 방향(Y)에 대한 손 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OIS 보정 가동부(151)는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AF 모듈(130)에 포함된 AF 가동부(131) 또한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손 떨림 보정 과정에서 제1 OIS 보정 가동부(151)가 이동됨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AF 가동부(131)의 초점 거리가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OIS 보정 가동부(151)의 제1 방향(Y)에 대한 이동 변위(K1) 및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정을 위한 AF 가동부(131)의 이동 변위(Ka)를 합산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AF 가동부(131)의 최종 이동 변위(Kf)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산출된 AF 가동부(131)의 최종 이동 변위(Kf)에 따라 AF 구동부(133)에 대한 새로운 구동 신호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AF 구동부(133)에 대한 새로운 구동 신호에 따라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가동부(131)가 이동될 수 있다. 새로운 구동 신호에 따라 AF 가동부(131)가 이동됨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초점이 변화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 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10)은 입사광이 통과될 수 있는 렌즈 모듈(105')과 렌즈 모듈(105')을 통과한 입사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140')가 구비된 촬상 장치(100), 촬상 장치 모듈(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 및 렌즈 모듈(105')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동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5')은 제1 방향(Y)을 따라 연장된 렌즈 경통부(101), 외부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L1)의 광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제1 광학계(110'), 제1 방향(Y)을 따라 배열된 렌즈부로서,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는 줌 렌즈부(121') 및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AF 가동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광학계(110'), 줌 렌즈부(121') 및 AF 가동부(131')와 관련된 구체적 사항은,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이미지 센서(140')는 렌즈 모듈(105')로 입사된 영상광을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촬상 소자이다. 일 예시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140')는 제1 방향(Y)을 따라 렌즈 모듈(105')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렌즈 모듈(105')은 후술하게 될 구동 모듈(4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이미지 센서(140')에 대해 제2 방향(Z), 제1 방향(Y) 및 제3 방향(X)을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40')와 관련된 구체적 사항은,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제어부(300)는 렌즈 모듈(105'), 이미지 센서(140') 및 후술하게 될 구동 모듈(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이다. 제어부(300)와 관련된 구체적 사항은,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구동 모듈(400)은 렌즈 모듈(105')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는 구동부이다. 일 예로서, 구동 모듈(400)은 렌즈 모듈(105')을 제2 방향(Z)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OIS 모듈(410), 렌즈 모듈(105')을 제3 방향(X)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OIS 모듈(420) 및 렌즈 모듈(105')을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AF 구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모듈(410)은 제2 방향(Z)에 대한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광 경로 보정 장치이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OIS 모듈(410)은 제1 OIS 구동부(411), 제1-1 센서부(412) 및 제2-1 센서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OIS 구동부(411)는 렌즈 모듈(105')을 제2 방향(Z)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이다. 제1 OIS 구동부(411)에 의해 렌즈 모듈(105')은 제2 방향(Z)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105')과 이미지 센서(140')의 제2 방향(Z)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OIS 구동부(411)는 스테핑 모터, 피에조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1 센서부(412)는 손 떨림에 의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와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이다. 일 예로서, 제1-1 센서부(412)는 제1 방향(Y)에 대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로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Gyro Sensor)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1 센서부(413)는 제1 OIS 구동부(411)에 의한 렌즈 모듈(105')의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이다. 일 예로서, 제2-1 센서부(413)는 렌즈 모듈(105')의 제2 방향(Z)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이다. 일 예로서, 제2-1 센서부(413)는 홀 센서(hall Sensor)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OIS 모듈(420)은 제3 방향(X)에 대한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광 경로 보정 장치이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2 OIS 모듈(420)은 렌즈 모듈(105')을 제3 방향(X)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OIS 구동부(421), 제3 방향(X)에 대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2 센서부(422) 및 제3 방향(X)에 대한 렌즈 모듈(105')의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2 센서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OIS 구동부(421), 제1-2 센서부(422) 및 제2-2 센서부(423)와 관련된 구체적 사항은, 제1 OIS 모듈(410)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AF 구동부(430)는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일 예시에 따르면, AF 구동부(430)는 렌즈 모듈(105')을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105')과 이미지 센서(140')의 제1 방향(Y)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일 예로서, AF 구동부(430)는 스테핑 모터, 피에조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손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 제1-1 센서부(412)는 제1 방향(Y)에 대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1-2 센서부(422)는 제3 방향(X)에 대한 촬상 장치(100)의 이동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손 떨림에 의해 촬상 장치(100)가 제2 방향(Z)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거리(T)가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손 떨림 보정 전 거리(T1)로 줄어들 수 있으며, 또한 이미지 센서(140')로 입사되는 광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제1-1 및 제1-2 센서부(412, 422)에 의해 감지된 촬상 장치(100)의 이동 정보을 이용하여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 OIS 구동부(411, 421)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OIS 구동부(411, 421)는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된 구동 신호에 의해 렌즈 모듈(105')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렌즈 모듈(105')을 제2 방향(Z) 및 제3 방향(X)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105')은 제1 OIS 구동부(411)에 의하여 제2 방향(Z)을 따라 제1 OIS 구동부(411)에 의한 이동 변위(T2)만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거리(T)가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손 떨림 보정 전 거리(T1) 보다 제1 OIS 구동부(411)에 의한 이동 변위(T2)만큼 증가되고, 또한 이미지 센서(140')로 입사되는 광의 위치가 보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OIS 구동부(411, 421)를 이용하여 렌즈 모듈(105')을 제2 방향(Z) 및 제3 방향(X)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손 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1 및 제2-2 센서부(413, 423)는 렌즈 모듈(105')의 제2 방향(Z) 및 제3 방향(X)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제1-1 및 제1-2 센서부(412, 422)에 의해 감지된 촬상 장치(100)의 이동 정보와 제2-1 및 제2-2 센서부(413, 423)에 의한 렌즈 모듈(105')의 이동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제1 및 제2 OIS 구동부(411, 421)에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14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흔들림을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OIS 모듈(410, 420)에 의해 손 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는 것과 함께, AF 구동부(430)는 렌즈 모듈(105')을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피사체에 대한 자동 초점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300)는 AF 구동부(43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AF 구동부(430)는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렌즈 모듈(105')을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손 떨림 보정과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거리(T)가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OIS 모듈(410)에 의해 제2 방향(Z)에 대한 손 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렌즈 모듈(105')은 제2 방향(Z)을 따라 실시간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거리(T)가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AF 구동부(430)는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거리(T)에 따라 렌즈 모듈(105')을 제1 방향(Y)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조정할 수 있으나, 손 떨림 보정 과정에서 제1 OIS 모듈(410)에 의해 렌즈 모듈(105')이 제2 방향(Z)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거리(T)가 실시간으로 변화되어 피사체에 대한 초점 또한 실시간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손 떨림 보정 전 거리(T1)와 제1 OIS 모듈(410)에 의한 렌즈 모듈(105')의 제2 방향(Z)에 대한 이동 변위(T2)를 합산하여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최종 거리(Tf)를 결정할 수 있으며,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최종 거리(Tf)에 따라 AF 구동부(430)에 대한 새로운 구동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손 떨림 보정 전 거리(T1)와 제1 OIS 모듈(410)에 의한 렌즈 모듈(105')의 제2 방향(Z)에 대한 이동 변위(T2)를 합산하여 결정된 피사체(P)와 렌즈 모듈(105') 사이의 최종 거리(Tf)에 따라 AF 구동부(430)에 대한 새로운 구동 신호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AF 구동부(430)에 대한 새로운 구동 신호에 따라 렌즈 모듈(105')이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손 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시들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을 작동하는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1)

  1.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 장치가 구비된 촬상 장치 모듈로서,
    상기 촬상 장치는,
    제1 입사광이 입사되는 제1 광학계;
    상기 제1 광학계를 통과한 제2 입사광의 광축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지칭함)을 따라 진퇴 운동하는 제1 손떨림 보정 가동부(이하, '제1 OIS 가동부'라 지칭함);
    상기 제1 OIS 가동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OIS 구동부; 및
    상기 제1 OIS 가동부에 의해 광 경로가 보정된 제3 입사광이 입사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1 센서부; 및
    상기 제1 OIS 가동부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1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입사광의 광축 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 함) 과 수직하는 방향(이하, '제3 방향'이라 함)을 따라 진퇴 운동하는 제2 손떨림 보정 가동부(이하, '제2 OIS 가동부'라 함); 및
    상기 제2 OIS 가동부를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OIS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2 센서부; 및
    상기 제2 OIS 가동부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진퇴운동하는 AF 가동부; 및
    상기 AF 가동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AF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OIS 구동부와 상기 AF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계 또는 상기 제1 OIS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입사광 또는 상기 제2 입사광이 반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식 광학계인,
    촬상 장치 모듈.
  8.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해 이동 가능한 렌즈 모듈이 구비된 촬상 장치; 및
    상기 렌즈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을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AF 구동부;
    상기 렌즈 모듈을 제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1 OIS 구동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을 제3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2 OIS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제1 입사광이 입사되는 제1 광학계; 및
    상기 제1 광학계를 통과한 제2 입사광의 초점을 조정하는 AF 가동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1 센서부;
    상기 촬상 장치의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2 센서부;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1 센서부;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계는 상기 제1 입사광이 반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식 광학계인,
    촬상 장치 모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 항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손 떨림에 의한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제1 OIS 가동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AF 가동부를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F 가동부의 이동 변위는 상기 제1 OIS 가동부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합산하여 결정되는,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손 떨림에 의한 상기 촬상 장치의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촬상 장치의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제2 OIS 가동부를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19. 제 8 항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손 떨림에 의한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제1 방향 및 제3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촬상 장치의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피사체와 상기 렌즈 모듈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렌즈 모듈을 진퇴 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는, 손 떨림 보정을 위한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와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모듈 사이의 손 떨림 보정 전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KR1020150185096A 2015-12-23 2015-12-23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Ceased KR20170075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96A KR20170075442A (ko) 2015-12-23 2015-12-23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US15/271,514 US10178317B2 (en) 2015-12-23 2016-09-21 Imaging device module with image stabilization, user terminal apparatus including the imaging device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ing device module
CN201611207588.3A CN106911879B (zh) 2015-12-23 2016-12-23 成像装置模块及其操作方法、以及包括该模块的终端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96A KR20170075442A (ko) 2015-12-23 2015-12-23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442A true KR20170075442A (ko) 2017-07-03

Family

ID=5908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096A Ceased KR20170075442A (ko) 2015-12-23 2015-12-23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78317B2 (ko)
KR (1) KR20170075442A (ko)
CN (1) CN10691187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056A (ko) * 2018-10-17 2020-04-27 자화전자(주) 다극 마그네트 구조가 장착된 액추에이터
KR20200063240A (ko) * 2018-02-12 2020-06-04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갖는 폴디드 카메라
US10866430B2 (en) 2017-10-31 2020-12-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e stabilizing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9565B (zh) 2012-11-28 2023-05-19 核心光电有限公司 多孔径成像系统
CN109194849B (zh) 2013-06-13 2021-01-15 核心光电有限公司 双孔径变焦数字摄影机
JP2016523389A (ja) 2013-07-04 2016-08-08 コアフォトニクス リミテッド 小型望遠レンズアセンブリ
CN105917641B (zh) 2013-08-01 2018-10-19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自动聚焦的纤薄多孔径成像系统及其使用方法
US9392188B2 (en) 2014-08-10 2016-07-12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WO2016108093A1 (en) 2015-01-03 2016-07-07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module and a camera utilizing such a lens module
EP3696587B1 (en) 2015-04-16 2023-09-20 Corephotonics Ltd.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KR101911198B1 (ko) 2015-05-28 2018-10-24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이중-조리개 디지털 카메라의 광학식 손떨림 방지 및 자동-초점을 위한 양-방향성 강성
EP3335415B1 (en) 2015-08-13 2019-11-20 Corephotonics Ltd. Dual aperture zoom camera with video support and switching / non-switching dynamic control
EP4024842A3 (en) 2015-12-29 2022-08-31 Corephotonics Ltd. Dual-aperture zoom digital camera with automatic adjustable tele field of view
CN107925717B (zh) 2016-05-30 2020-10-27 核心光电有限公司 旋转滚珠引导音圈电动机
EP4020958B1 (en) 2016-06-19 2023-10-25 Corephotonics Ltd. Frame synchronization in a dual-aperture camera system
WO2018007951A1 (en) 2016-07-07 2018-01-11 Corephotonics Ltd. Dual-camera system with improved video smooth transition by image blending
WO2018007981A1 (en) 2016-07-07 2018-01-11 Corephotonics Ltd.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US11531209B2 (en) 2016-12-28 2022-12-20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 structure with an extended light-folding-element scanning range
EP4525469A3 (en) 2017-01-12 2025-05-21 Corephotonics Ltd. Compact folded camera
KR102770496B1 (ko) 2017-03-15 2025-02-1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파노라마 스캐닝 범위를 갖는 카메라
JP6997370B2 (ja) * 2017-05-25 2022-01-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9048904A1 (en) 2017-09-06 2019-03-14 Corephotonics Ltd. STEREOSCOPIC DEPTH CARTOGRAPHY AND COMBINED PHASE DETECTION IN A DOUBLE-OPENING CAMERA
US10951834B2 (en) 2017-10-03 2021-03-16 Corephotonics Ltd. Synthetically enlarged camera aperture
KR102424791B1 (ko) 2017-11-23 2022-07-22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구조
US10969652B2 (en) 2018-01-10 2021-04-06 Apple Inc. Camera with folded optics having moveable lens
US11029452B2 (en) * 2018-01-25 2021-06-08 Tdk Taiwan Corp. Vehicle and 3D object information capt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632902B1 (ko) 2018-01-26 2024-02-05 애플 인크. 광학기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갖는 접이식 카메라
CN110352371B (zh) * 2018-02-05 2022-05-13 核心光电有限公司 减少高度容余的折叠摄像装置
US11061213B2 (en) 2018-02-07 2021-07-13 Apple Inc. Folded camera
US10694168B2 (en) 2018-04-22 2020-06-23 Corephoton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or preventing eye damage from structured light IR/NIR projector systems
CN112367448B (zh) 2018-04-23 2022-04-19 核心光电有限公司 感测机构
US11314147B1 (en) 2018-05-31 2022-04-26 Apple Inc. Folded camera with actuator for moving optics
US11019242B2 (en) * 2018-06-14 2021-05-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both having a decorative member mounted on a shell and comprising a decorative ring and a flange
CN119919618A (zh) 2018-07-04 2025-05-02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汽车或监控应用具有扫描光路折叠元件的相机
WO2020031005A1 (en) 2018-08-04 2020-02-13 Corephotonics Ltd. Switchable continuous display information system above camera
US11635596B2 (en) 2018-08-22 2023-04-25 Corephotonics Ltd. Two-state zoom folded camera
CN113243103B (zh) * 2018-12-26 2022-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成像设备、稳像设备、成像方法和稳像方法
KR102681159B1 (ko) * 2019-01-03 2024-07-02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적어도 하나의 2 상태 줌 카메라를 갖는 멀티-애퍼처 카메라
KR102242437B1 (ko) 2019-01-07 2021-04-20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슬라이딩 조인트를 갖는 회전 메커니즘
EP4224841B1 (en) 2019-03-09 2025-06-25 Corephotonics Ltd. Method for dynamic stereoscopic calibration
KR20240027858A (ko) 2019-07-31 2024-03-04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카메라 패닝 또는 모션에서 배경 블러링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659135B2 (en) 2019-10-30 2023-05-23 Corephotonics Ltd. Slow or fast motion video using depth information
CN114641983A (zh) 2019-12-09 2022-06-17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获得智能全景图像的系统及方法
US11949976B2 (en) 2019-12-09 2024-04-02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mart panoramic image
EP4052176B1 (en) 2020-02-22 2025-04-30 Corephotonics Ltd. Split screen feature for macro photography
TWI730637B (zh) 2020-02-24 2021-06-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與電子裝置
CN114144898B (zh) 2020-04-26 2022-11-04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霍尔棒传感器校正的温度控制
EP4407976A3 (en) 2020-05-17 2024-10-09 Corephotonics Ltd. Image stitching in the presence of a full field of view reference image
WO2021245488A1 (en) 2020-05-30 2021-12-09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uper macro image
US11637977B2 (en) 2020-07-15 2023-04-25 Corephotonics Ltd. Image sensors and sensing methods to obtain time-of-flight and phase detection information
EP4202521B1 (en) 2020-07-15 2025-03-19 Corephotonics Ltd. Point of view aberrations correction in a scanning folded camera
KR20250037574A (ko) 2020-07-31 2025-03-17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큰 스트로크 선형 위치 감지를 위한 홀 센서-자석 구조
KR102480820B1 (ko) 2020-08-12 2022-12-22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스캐닝 폴디드 카메라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US11283978B1 (en) * 2020-10-15 2022-03-22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Aligning lens elements in a lens module relative to an image sensor
WO2022137213A1 (en) 2020-12-26 2022-06-30 Corephotonics Ltd. Video support in a multi-aperture mobile camera with a scanning zoom camera
TWI836372B (zh) 2021-03-11 2024-03-21 以色列商核心光電有限公司 彈出式照相機系統
EP4204885A4 (en) 2021-06-08 2024-03-06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cameras for tilting a focal plane of a super-macro image
EP4369072A4 (en) * 2021-11-12 202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770497B1 (ko) 2022-03-24 2025-02-1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슬림 컴팩트 렌즈 광학 이미지 안정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9666B2 (ja) * 1996-07-04 2006-07-19 株式会社ニコン 自動合焦撮影装置及び自動合焦装置
JP3861815B2 (ja) * 2003-01-17 2006-12-27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手振れ補正機能付きカメラ
JP2006330439A (ja) * 2005-05-27 2006-12-0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7206544A (ja) * 2006-02-03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ズームレンズ系、レンズ鏡筒、撮像装置及びカメラ
CN100580501C (zh) * 2007-06-28 2010-01-13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基于像清晰化原理的自适应光学星体目标成像系统
JP4661915B2 (ja) * 2008-07-23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装置及びカメラ装置
JP5072764B2 (ja) * 2008-08-01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13037326A (ja) * 2011-08-11 2013-02-21 Olympus Imaging Corp 防振ズームレンズ
KR101246578B1 (ko) 2011-08-25 2013-03-25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장치
CN105593758A (zh) * 2013-09-27 2016-05-18 夏普株式会社 摄像模块
US9316810B2 (en) 2014-03-07 2016-04-19 Apple Inc. Folded telephoto camera lens system
KR101725442B1 (ko) * 2014-03-07 2017-04-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US9557627B2 (en) 2014-03-07 2017-01-31 Apple Inc. Folded camera lens systems
JP6472176B2 (ja) * 2014-06-10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像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像振れ補正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6430B2 (en) 2017-10-31 2020-12-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e stabilizing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586051B2 (en) 2017-10-31 2023-02-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e stabilizing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063240A (ko) * 2018-02-12 2020-06-04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갖는 폴디드 카메라
KR20230019502A (ko) * 2018-02-12 2023-02-0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갖는 폴디드 카메라
KR20200043056A (ko) * 2018-10-17 2020-04-27 자화전자(주) 다극 마그네트 구조가 장착된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78317B2 (en) 2019-01-08
CN106911879A (zh) 2017-06-30
US20170187962A1 (en) 2017-06-29
CN106911879B (zh)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5442A (ko)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 방법
KR102421717B1 (ko)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US9019387B2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obtaining image
US7430366B2 (en) Image capture device
US20110051243A1 (en) Prism type lens structure
US20080152332A1 (en) Hand-shak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of camera module for use in mobile device
CN105049682B (zh) 数字照相系统及用于控制该数字照相系统的方法
US9699381B2 (en) Digital photographing motion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US10412306B1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7888821A (zh) 相机控制器、图像处理模块以及半导体系统
KR102606609B1 (ko) 카메라 모듈, 단말 디바이스, 촬상 방법 및 촬상 장치
JP2009210921A (ja)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装置及びカメラ装置
US898854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US20110142433A1 (en) Drop detection using lens position sensing of camera module
US8817127B2 (en) Image correction device for image capture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for image correction device
WO2014080682A1 (ja) 撮像装置及びその合焦方法と合焦制御プログラム
CN100437351C (zh) 立体取像数码相机模块
US20150168739A1 (en) Image stabilizer, camera system, and imaging method
US10298845B2 (en) Image-capture system
US20090279187A1 (en) Optical zoom system with voice coil motors
JP201214708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4149107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KR20140124431A (ko)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JP5696192B1 (ja) 撮像装置、撮像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40121617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122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205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