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3224A - Touch screen using 3d dome type touch pattern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using 3d dome type touch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224A
KR20170073224A KR1020150181886A KR20150181886A KR20170073224A KR 20170073224 A KR20170073224 A KR 20170073224A KR 1020150181886 A KR1020150181886 A KR 1020150181886A KR 20150181886 A KR20150181886 A KR 20150181886A KR 20170073224 A KR20170073224 A KR 20170073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haped
touch screen
pattern
dimensional do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순완
이수재
김홍채
이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to KR102015018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3224A/en
Priority to PCT/KR2015/013964 priority patent/WO2017104874A1/en
Publication of KR2017007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224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하는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싱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따른 성형에 의하여 구부러져, 구면 좌표 형태로 배치되는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포함하고,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은 기설정된 형상에 따라 설계되어 평면 터치스크린 필름에 배치되고, 외력에 따른 성형에 의하여 전방향으로 인장되는 센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The touch screen using the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bent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force appli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touch sensing area and arranged in a spherical coordinate form, The touch pattern includes a sensor channel which is desig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hape and is disposed on a plane touch screen film and is stretched in all directions by molding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Description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USING 3D DOME TYPE TOUCH PATTER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 type touch patter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 type touch pattern.

터치스크린을 화면상의 한 점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값을 기기로 전달하는 위치 감지기가 내장된 화면을 통칭한다. The touch screen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screen having a position sensor that transmits a coordinate value of the contact point to the device when a point on the screen is pressed by the user's finger.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는 범용화된 지 오래이고, 앞으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과 더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입체적 형태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The touch screen interface has been in general us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demand for stereoscopic touch screens applicable to flexible displays is expected to increase.

특히, 자동차 전장과 같이 디자인 요소가 매우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는 분야에서는, 이미 상당부분 입체적 형태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니즈가 있어 왔다. In particular, in areas where design factors are of great concern, such as automotive electronics,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need for stereoscopic touchscreens.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평면형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여 일부 구부리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왔는데, 스위치 또는 회전 버튼 등에 적용되는 돔형의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개발에 있어서 그 성형 과정에 있어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flexibl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been implemented in a bent manner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a flat touch screen. However, in the development of a dome type touch screen interface applied to a switch or a rotary button, .

즉, 일례로 평평한 터치 스크린 필름에 열을 충분히 가한 후, 금형 틀로 누르거나 공기를 불어 팽창을 시킨 후 성형을 하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필름이 늘어나는 연신에 따라 투과율이 투명 도전성 필름의 투과율이 변할 뿐 아니라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여, 초기 설계 단계에서 기획한 스펙과 상이한 양산이 발생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a flat touch screen film is sufficiently heated and then pressed with a mold or blown with air to perform molding,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hanges depending on stretching of the film There is a problem that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occurs, a mass production different from the specification designed in the initial design stage occurs, and the touch point of the user is not correctly recogniz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포함하여, 3차원 돔형 터치스크린을 제작하는 위한 성형 과정에 있어 터치 좌표의 왜곡을 방지하고, 연신에 따른 저항 및 위치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dome type touch pattern which prevents distortion of touch coordinates in a mold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hree- Dimensional dome-type touch pattern capable of preventing a change of the touch panel.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하는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싱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따른 성형에 의하여 구부러져, 구면 좌표 형태로 배치되는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포함하고,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은 기설정된 형상에 따라 설계되어 평면 터치스크린 필름에 배치되고, 외력에 따른 성형에 의하여 전방향으로 인장되는 센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ouch screen using the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bent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force appli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touch sensing area and arranged in a spherical coordinate form, The touch pattern includes a sensor channel that is desig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hape and is disposed on a plane touch screen film and is stretched in all directions by molding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은 돔형태의 터치 스크린 제작에 있어, 성형 시 그 돔형태의 중심측은 연신이 많이 발생하고, 가장 자리는 연신이 적게 발생하여 좌표축이 왜곡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면 좌표 형태로 센서를 배치하여 성형 후에도 터치 좌표의 왜곡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the touch screen using the three-dimensional dome-type touch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me-shaped touch screen is manufactured, the dome-shaped center portion of the dome-shaped touch screen is often elongated and the edge portion is distort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technique and arrange the sensor in spherical coordinate form so as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touch coordinates even after molding.

본 발명에 따르면, 기설정된 형상의 센서 채널을 구비하여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 제작을 위한 성형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연신에 의하여도 저항의 변화 및 위치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터치 입력 시 그 터치 지점을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hange in resistance and a change in position are minimized by stretching that is necessarily generated in a mold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dome-type touch screen by providing a sensor channe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touch point can be obtained accurately and reliably when the user touch input is perform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면 터치 센서의 좌표축 및 이를 이용하여 돔형 터치 스크린을 제작할 시 발생되는 연신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돔형 터치패턴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에 대한 구면 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φ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ordinate axis of a conventional planar touch sensor and a drawing phenomenon occurring when a dome-shaped touch screen i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2 is a view showing spherical coordinates of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phi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al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add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안된 배경 기술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평면 터치 센서의 좌표축 및 이를 이용하여 돔형 터치 스크린을 제작할 시 발생되는 연신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S. 1A and 1B are diagrams showing coordinate axes of a conventional planar touch sensor and elongation phenomena generated when the dome-type touch screen i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평면 터치 센서의 좌표축은 직교 방식 채널 형태로서, X축 센서 채널(X axis sensor channel) 및 Y축 센서 채널(Y axis sensor channel)이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1A, the coordinate axes of the planar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orthogonal channel types, and an X axis sensor channel and a Y axis sensor channel are disposed.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플렉서블 형태로 구현된다 할지라도, 이러한 평면형 터치 스크린을 일부 구부리는 방식을 차용하여 제작되어 왔다. Although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implemented in a flexible form, it has been manufactured by boring a method of partially bending such a flat touch screen.

또한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은 평평한 터치 스크린 필름에 열을 충분히 가한 후, 금형틀로 이를 누르거나 또는 공기 등으로 불어서 이를 팽창시킴으로써, 3차원 돔형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왔다. In addition, a three-dimensional dome-type touch screen has been propos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dome-like shape by applying heat to a flat touch screen film and then pressing it with a die or blowing it with air or the like to expand it.

그러나, 이러한 경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필름이 늘어나는 연신 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투명 도전성 필름에 연신이 발생하게 되면 투과율의 변화뿐 아니라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초기 설계 스펙과는 다른 경향을 가지게 된다. However, in such a case, as shown in Fig. 1B, inevitably, a stretching phenomenon in which the film stretches is inevitable. When stretching occurs i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as well as a change in transmittance occu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itial design specification.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특성 변화와 더불어,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 제작 시 좌표의 축이 변하게 되어(즉, 어긋나게 되어), 사용자 터치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long with this characteristic change,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s touch by changing the axis of the coordinate (i.e., shifting) in the produ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dome type touch screen.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터치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X축 및 Y축의 위치가 돔형으로 성형을 함에 따라서, 연신에 의하여 좌표 축 및 간격이 틀어지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 as the positions of the X axis and the Y axis, which are kept constant in the plane touch, are formed into a dome shape, the coordinate axes and intervals are distorted by the drawing.

이러한 경우, 인접하는 센서 채널 간의 상대적인 신호 크기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계산한다 하더라도, 실제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s touch position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signal size between the adjacent sensor channel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int where the actual touch is actually performed can not be accurately recogniz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은 중앙부가 터치 스크린의 상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이므로, 연신은 그 중앙부에서 보다 많이 발생하고, 그 중심을 기준으로 가장 자리로 갈수록 연신이 작게 발생하게 되는 바, 종래 기술에 따른 직교 방식 채널 형태의 경우 이러한 연신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screen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convex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elongation occurs more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distortion due to such elongation in the case of the orthogonal channel typ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서술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detailed description of FIG. 2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돔형 터치패턴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에 대한 구면 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spherical coordinates of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 좌표계 (r, θ, φ)의 r은 좌표계 원점으로부터 터치 인식 지점까지의 거리, θ는 z축을 기준으로 한 기울어진 각도, φ는 x, y 평면상에서 어느 쪽으로 기울어졌는지를 나타내는 방위각(azimuth)을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2, r in the spherical coordinate system (r,?,?) Is a distance from the origin of the coordinate system to the touch recognition point,? Is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z axis, (Azimuth) that indicates whether it is til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평한 터치 스크린 필름에 열 성형 등을 통하여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식에 있어서, 기인지된 성형의 중점 및 그러한 중점을 기준으로 구면 좌표 형태로 센서 채널을 배치함으로써, 성형에 따른 연신이 발생하더라도 저항의 변화 및 위치의 변화를 방지하고, 사용자 터치 지점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screen through thermoforming or the like on a flat touch screen film, a sensor channel is arranged in a spherical coordinate form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a change in resistance and a change in position even when elongation occurs due to molding, and to accurately recognize a user touch poi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θ 패턴은 사용자 터치를 인식하는 영역에 배치된 센서 채널(110, 120)을 구비하되, 각 센서 채널은 동일한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부 및 감지된 터치 지점을 인식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thetas; patter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nsor channels 110 and 120 arranged in an area for recognizing a user's touch, And an extension for recognizing the sensed touch poi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θ 패턴(100)은 그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 센서 채널(110)의 원형 중심부(111)와, 그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하며, 그 외곽으로 서로 인접한 센서 채널과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된 복수의 C자형 센서 채널(120) 및 그에 연결된 각 연장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θ patter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center portion 111 of the center sensor channel 110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extension portion 120 extending from one side thereof, A plurality of C-shaped sensor channels 120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djacent sensor channels and angular extension portions 122 connected thereto.

원형 중심부(111)를 가지는 중심 센서 채널(110) 및 그 외곽에 배치되는 C자형 센서 채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중심부 및 연장부가 서로 다른 센서 채널과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θ 패턴은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 제작을 위한 성형의 중점이 θ 패턴의 중심과 일치되는 경우, 연신 현상에 의하여도 저항의 변화나 위치의 변화가 적어지게 된다. The center sensor channel 110 having the circular central portion 111 and the C-shaped sensor channel 120 disposed 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re arrang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of each sensor channel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When the center of molding for the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screen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thetas; pattern, the change of the resistance and the change of the position are reduced by the stretching phenomen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φ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phi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φ 패턴(200)은 사용자 터치를 인식하는 영역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 채널(21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4, the? Pattern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channels 210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a region for recognizing a user's touch.

이 때,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 채널(210)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nsor channels 210 radially disposed are formed into a fan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φ 패턴(200)은 전술한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센서 채널의 중앙의 한점(220)을 기준으로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 제작을 위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연신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저항의 변화 또는 위치의 변화가 적어지게 되어, 사용자 터치의 지점을 정확히 신뢰성 있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φ pattern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dome-type touch screen based on a center point 220 of the center of a plurality of radially arranged sensor channels, The change of the resistance or the change of the position is reduced even when it occurs,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reliably recognize the point of the user's touch.

전술한 바와 같이, φ 패턴(200)의 경우에도 상호 인접한 센서 채널끼리의 겹쳐짐은 없도록 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 the case of the phi pattern 200, there is no overlapping of adjacent sensor channel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al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패턴(300)은 사용자 터치를 인식하는 영역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 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각 센서 채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립(strip) 형상으로 구현된다. The radial patter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channels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an area for recognizing the user's touch, and each sensor channel includes a strip strip.

이 때, 각 센서 채널은 그 중심부(310)가 스트립 형상으로 구현되고, 방사형 패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 옆으로 연장되어 트리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연장부(311)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each of the sensor channels has an extended portion 311,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rip of the center portion 310 and extends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adial pattern, .

이 때, 연장부(3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 패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그 중심부(310)를 기준으로 양 옆으로 번갈아가며 교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센서 채널에 대한 각각의 연장부(311)는 상호 인접한 다른 연장부와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5,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ding portions 311 are alternat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310 as they ar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radial pattern,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311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nother adjacent extension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패턴(300)은, 일반적인 방사형의 경우 중앙의 한 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각각의 영역이 외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바, 3차원 돔형 터치 스크린에 대한 가장 자리 영역 중 상이한 영역에 대한 터치 시, 그 실제 터치 지점이 상이하더라도 같은 센서 채널 내에서 인식되어 구별이 어려워 지는 바,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보다 정확한 지점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안된 트리형-방사형 센서 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radial patter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general radial pattern, as each area gets farther toward the outer side as the distance from a central point is increased, Even if the actual touch poi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recognized in the same sensor channel and becomes difficult to distinguish. In addition, since the proposed tri-radial sensor channel can be recognized at a more accurate point, .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θ 패턴 110: 중심 센서 채널
120: C자형 센서 채널 111, 211: 중심부
112, 122, 212: 연장부 200: φ 패턴
210: 센서 채널 300: 방사형 패턴
310: 중심부 311: 연장부
100:? Pattern 110: center sensor channel
120: C-shaped sensor channel 111, 211: center
112, 122, 212: extension part 200:? Pattern
210: sensor channel 300: radial pattern
310: center portion 311: extension portion

Claims (4)

터치 센싱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따른 성형에 의하여 구부러져, 구면 좌표 형태로 배치되는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은 기설정된 형상에 따라 설계되어 평면 터치스크린 필름에 배치되고, 상기 외력에 따른 성형에 의하여 전방향으로 인장되는 센서 채널을 포함하는 것
인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하는 터치 스크린.
And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bent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force applied based on a center of the touch sensing area and arranged in a spherical coordinate form,
The three-dimensional dome type touch pattern i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hape and is disposed on a flat touch screen film, and includes a sensor channel which is pulled in all directions by the molding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은, 원형 중심부 및 그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중심 센서 채널과, C자형 중심부 및 그 개방측을 기준으로 타측에 연결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심 센서 채널의 외곽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C자형 센서 채널을 포함하는 것
인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하는 터치 스크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includes a center sensor channel including a circular center portion and an extension extending from a portion of the center sensor channel, and a C-shaped center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an open side thereof, Including a plurality of C-shaped sensor channels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 채널을 포함하는 것
인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하는 터치 스크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channels formed in a fan shape and arranged radially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은,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 옆으로 연장되어 트리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센서 채널로 형성되는 것
인 3차원 돔형 터치 패턴을 이용하는 터치 스크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ensor channels including a center portion formed in a strip shape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both sides to form a tree-shaped patter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A touch screen using a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KR1020150181886A 2015-12-18 2015-12-18 Touch screen using 3d dome type touch pattern Abandoned KR2017007322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886A KR20170073224A (en) 2015-12-18 2015-12-18 Touch screen using 3d dome type touch pattern
PCT/KR2015/013964 WO2017104874A1 (en) 2015-12-18 2015-12-18 Touchscreen using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ouch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886A KR20170073224A (en) 2015-12-18 2015-12-18 Touch screen using 3d dome type touch patte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224A true KR20170073224A (en) 2017-06-28

Family

ID=5905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886A Abandoned KR20170073224A (en) 2015-12-18 2015-12-18 Touch screen using 3d dome type touch patter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73224A (en)
WO (1) WO2017104874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855A (en) * 2000-12-28 2002-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EP1351121A3 (en) * 2002-03-26 2009-10-21 Polymatech Co., Ltd. Input Device
DE102008057140A1 (en) * 2008-11-13 2010-05-2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ctronic component
US8808483B2 (en) * 2010-11-05 2014-08-19 Apple Inc. Method of making a curved touch panel
KR102224478B1 (en) * 2014-04-15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u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04874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45989A1 (en) Touch 3d-signal input equipment and multi-function touch panel
US9691315B2 (en) Touch-type input device
CN10530853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device action based on a detected gesture
US20150041299A1 (en)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US20160171675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US10120494B2 (en) Touch panel, touch point detec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EP3220242B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flexible display device
JP6339448B2 (en) Input device
KR20150118753A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u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30108B2 (en)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CN107390907B (en) Touch module, electronic equipment and pressure calibration method
CN104915134A (en) Vehicle operation apparatus
US20200225842A1 (en)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operation determining method
US20160196002A1 (en) Display device
US11334204B2 (en) Touch component, touch apparatus, and touch-control method
US20170050875A1 (en) Method for processing touch window glass for portable terminal
CN104407747A (en) Infrared touch screen, touch sen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10444912B2 (en) Sensing method of sensing device and stretchable sensor device
JP2017068350A (en) Operation input device
KR20170073224A (en) Touch screen using 3d dome type touch pattern
JP2013114336A (en)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385770B1 (en) User interfaces for single-handed mobile device control
JP6075255B2 (en) Input device, operation identification method
US20240248567A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input device,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US20200003559A1 (en) Ma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10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