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999A - Smart bottle - Google Patents
Smart bott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1999A KR20170071999A KR1020150180303A KR20150180303A KR20170071999A KR 20170071999 A KR20170071999 A KR 20170071999A KR 1020150180303 A KR1020150180303 A KR 1020150180303A KR 20150180303 A KR20150180303 A KR 20150180303A KR 20170071999 A KR20170071999 A KR 201700719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ntainer body
- unit
- measuring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6010034719 Personality chang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416 au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476 powde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881 Col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06 childbir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용기(10)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용기(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용기마개(110)가 구비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부(100)와;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10)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ntainer (10),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ontainer (10) capable of weigh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body (100) having a container stopper (110) on an upper portion and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nd a measuring unit (20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The measur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FIG.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ontainer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contents contained in a container.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함은, 스마트폰, PC, 자동차, 냉장고, 세탁기, 시계 등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Internet of Things means that everything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such as smartphones, PCs, car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and watches.
이 기술을 이용하면 각종 기기에 통신, 센서 기능을 장착해 스스로 데이터를 주고 받고 이를 처리해 자동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ith this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attaching communication and sensor functions to various devices, and to automatically process the data.
교통상황,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무인 주행이 가능한 자동차나 집 밖에서 스마트폰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가전제품이 대표적이다.This is a typical example of a car that can be used for unmanned driving by checking traffic conditions and surrounding conditions in real time, and home appliances that can be adjusted by a smart phone outside the home.
이미 삼성전자, LG전자, 구글, 아우디 등 세계 각 분야의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서비스 개발·상용화에 나섰다.Already companie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LG Electronics, Google, and Audi have started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Internet services for things.
구글은 스마트 온도조절기 업체인 네스트랩스를 인수해 스마트홈 시장에 뛰어든 데 이어 최근에는 무인차 개발에 나섰다고 밝혔다.Google acquired Nestlabs, a smart thermostat maker, to jump into the smart home market and recently announced that it is developing unmanned cars.
삼성전자·LG전자도 사물인터넷 기능이 들어간 생활가전 제품을 대거 개발해 시장에 선보였다.이를 통해 앞으로 터치 한 번, 말 한 마디면 모든 것을 조정할 수 있다.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have also developed a variety of household appliances that have Internet functions, so that they can adjust everything once in a while.
이와 같은 사물인터넷은, 스마트폰 등 무선통신기기 및 무선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홈 네트웍크, 운동 및 건강체크 등 인간의 생활에 상당히 많은 부분에 응용 내지 적용되고 있다.Such Internet of things has been applied and applied to a considerable part of human life such as home network, exercise and health check, a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ed.
한편, 여성의 사회활동의 증가, 맞벌이의 인구의 증가 등으로, 출산 후 아이를 키우는 일은, 즉 육아활동이 기존에 비하여 일상사 중 매우 힘들 일 중의 하나로서, 심하게는 출산율이 저하되는 사회문제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aising a child after childbirth, that is, childcare activity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in everyday life, due to an increase in social activities of women and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dual income, .
이에 육아 활동분야에서 사물인터넷이 적용되는 경우 기존 육아활동에 비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바 육아활동에 대한 사물인터넷의 적용 및 응용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tudy the application and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to child care activities because it can provide convenience compared to existing child care activities when the Internet of things is applied in the field of child care activitie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니즈를 인식하여, 분유 등 용기 내 내용물의 음용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음용량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용량 정보 등을 활용하여 건강을 체크하는 등 스마트기기와 같은 무선단말을 통한 정보 축적 및 분석이 가능한 스마트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cogniz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needs, to automatically measure a sound volume of contents in a container such as powdered milk, and to provide sound capacity information or the like so that a user checks health by utilizing sound capacity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에 용기마개(110)가 구비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부(100)와;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측정센서(3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측면 외주면과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결합부(210)를 구비하는 본체하우징(210)과;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며 지지된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게감지센서(400)와; 상기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500)로 무선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410)와; 상기 무선통신부(410)와 무게감지센서(400)를 제어하는 측정부제어부(420)와; 상기 측정부제어부(420), 무선통신부(410) 및 무게감지센서(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기준으로 복수의 측정지점들에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측정지점들은 정다각형을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무게감지센서(4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용기본체부(100), 측면결합부(210) 및 본체하우징(210)가 결합되는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214)가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하부하우징(213)과, 상기 하부하우징(213)로부터 상측을 연장되어 용기본체부(100)와 결합되는 측면하우징(212)과, 상기 하부하우징(213)을 복개하여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211)과, 상기 내부공간(S)을 밀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하폭은 상기 요홈부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one of the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상기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31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상기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외주면에 상기 측정부(200) 및 상기 용기본체부(100)에서 측정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는, 분유 등 용기 내 내용물의 음용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음용량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용량 정보 등을 활용하여 건강을 체크하는 등 사물인터넷의 하나로서 스마트기기와 같은 무선단말을 통한 정보 축적 및 분석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The smar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measures the sound capacity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such as powdered milk and provides the sound capacity information and the like to allow the user to check the health by utilizing the sound capacity information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and analyze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는, 용기본체부의 자세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사용 및 미사용시의 구분이 명확하게 구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mar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ttitud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using according to the attitude change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use and non-use distinction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측벙부에서 측정된 음용량 및 내용물에 관련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mar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capacity and contents measured at the side portion provided with the display portion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용기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용기에서 용기본체부 및 측정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스마트용기에서 용기본체부 및 측정부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측정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측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볼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스마트용기 및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단말과의 활용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mart container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body part and the measurement part in the smart container of FIG. 1;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the measurement portion in the smart container of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measurement section of Fig. 1; Fig.
Fig. 6 is a convex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unit of Fig. 1;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smart container of FIG. 1 and a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ng wirelessl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mar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용기마개(110)가 구비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부(100)와;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를 포함한다.1 to 7, the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상부에 용기마개(110)가 구비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구성으로서 내용물의 종류, 디자인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예로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후술하는 측정부(200)와 결합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부(130)와, 용기부(130)의 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마개(11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후술하는 측정부(200)에 의하여 무게측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 이외에 액상물질이 담기는 용기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10)는 젖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분유 등이 담기는 용기부(130)를 포함하며, 유아가 잡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그리고 상기 용기부(130)는 외부면에 유아의 손으로부터 용기부(13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lip prevention memb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용기부(130)는, 사용자, 예를 들면 유아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용기부(130)를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한편 상기 용기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마개(110)에 복개되며 내용물이 조금씩 나오는 젖꼭지부(1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젖꼭지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30)가 젖병으로 사용될 때 설치되는 구성으로, 용기부(130)의 용기입구에 결합되며 내용물이 조금씩 나오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젖꼭지부(120)는, 유아가 입에 물고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이 유아의 구강구조에 맞도록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젖꼭지부(120)는,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공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하고, 내부의 내용물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앓이방지부(121)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로서 상기 배앓이방지부(120)는, 외부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체크밸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용기마개(110)는, 용기부(130)의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용기부(130)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The
예로서, 상기 용기마개(110)는, 용기부(130)에 직접 결합되거나 젖꼭지부(120)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측정부(200)는,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예로서, 상기 측정부(200)는, 용기본체부(100)와 결합되는 본체하우징(210)과;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며 지지된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게감지센서(400)와;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어 무게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무선단말(20)로 무선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410)와; 무선통신부(410)와 무게감지센서(400)를 제어하는 측정부제어부(420)와; 측정부제어부(420), 무선통신부(410) 및 무게감지센서(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용기본체부(100)와 결합되며, 후술하는 무게감지센서(400),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무게감지센서(400), 무선통신부( 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복수의 부재(211, 212, 213)들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특히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액상의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등 누전의 위험성이 있는바 전기가 인가되는 전기부품들이 액상의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예로서,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하부하우징(213)과, 하부하우징(213)로부터 상측을 연장되어 용기본체부(100)와 결합되는 측면하우징(212)과, 하부하우징(213)을 복개하여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211)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여기서 상기 하부하우징(213), 측면하우징(212) 및 상부하우징(211)은, 액상의 물질이 내부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부재(214) 등을 이용하여 방수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가 측정부(200), 즉 본체하우징(210)과 결합될 때 그 결합력에 의하여 용기본체부(100)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따라서, 상기 측정부(200), 특히 본체하우징(210)은,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측면하우징(212)에 용기본체부(100)의 측면 외주면과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측정부(200), 특히 상기 본체하우징(210)이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The
예로서, 상기 결합구조는,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홈부에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ing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protrusions formed on one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구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부(131)와, 홈부(131)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하우징(21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212a)를 포함할 수 있다.4A, the coupling structure may include a
이때, 상기 돌기부(212a)는, 홈부(131)에 끼움결합되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돌기부(212a)의 상하폭(T1)이 홈부(131)의 상하폭(D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부(212a)는,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131)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The one or
그리고 상기 홈부(131)에 돌기부(212a)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홈부(131)의 하측에는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돌기부(212a)가 끼움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3)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A
다른 예로서, 상기 결합구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32)와, 돌출부(1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하우징(212)에 형성된 요홈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upling struc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이때, 상기 돌출부(132)는, 요홈부(212b)에 끼움결합되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132)의 상하폭(T2)가 요홈부(212b)의 상하폭(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요홈부(212b)는, 측면하우징(212)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측면하우징(21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212b may be a pair of protrusions inserted in the inner side of the
상기 무게감지센서(400)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며 지지된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예로서, 상기 무게감지센서(400)는,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으로 그 무게를 측정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압전소자는, 압력에 따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소자로서, 후술하는 측정부제어부(420)에 의하여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위차를 측정하여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element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pote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a pressure, and can measure the weight of the container
한편, 상기 압전소자는, 회로소자로서 후술하는 PCB(421)의 에 설치되며, 압전소자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mounted on a
특히 상기 압전소자는, 용기본체부(100)에 대한 정확한 무게측정을 위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부분에서 복수의 측정지점들에 대응되어 복수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piezoelectric device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ints at a portion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압전소자는, 용기본체부(100)의 저면 형상,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사각형 등) 등의 저면형상에 대응되어 용기본체부(100)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bottom surface shape of the contain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전소자가 설치되는 복수의 측정지점들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등 압전소자들의 수에 대응되는 정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20°의 각도로 3개로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points at which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may have a regular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iezoelectric elements such as an equilateral triangle, a square, and the like, and may be arranged at three angles, for example, at an angle of 120 degrees.
한편 상기 무게감지센서(400)는, 용기본체부(100)의 저면과 직접 접촉되거나, 무게감지센서(4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미도시)와 접촉됨으로써 용기본체부(100)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The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무게감지센서(4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개구부(211a)에 삽입되거나 상부하우징(2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재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horizontal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복수개 설치되는 상기 무게감지센서(400)가 실링될 수 있도록 복개하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late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to cover 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 무게감지센서(400)는, 용기본체부(100)의 저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노출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하여 본체하우징(210), 특히 상부하우징(211)은, 무게감지센서(400)가 설치된 위치, 즉 측정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무게감지센서(400)를 상측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11a)가 형성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무게감지센서(400)가 전기소자임을 고려하여 액상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부(211a)는, 실링부재(214)에 의하여 밀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실링부재(214)는, 무게감지센서(400)가 전기소자임을 고려하여 액상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부(211a)를 밀봉하는 부재로서 휨이 용이한 필름이 사용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ealing
한편, 상기 실링부재(214)는 상기 상부하우징(211)의 상부 전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aling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어 무게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무선단말(20)로 무선송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무선통신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상기 무선통신방식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포트, 기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도 가능하며, 하나의 방식만이 아닌 복수의 통신방식을 구비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ny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WIFI, Bluetooth, ZigBee, infrared port, and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hav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instead of only one method.
한편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압전소자가 설치된 PCB(421)에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는바 PCB(421)의 하부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측정부제어부(420)는, 무선통신부(410)와 무게감지센서(40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물리적 구성보다는 회로적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회로소자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예로서, 상기 압전소자가 설치된 PCB(421)의 저면에 CPU로서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t can be installed as a CPU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전원부(430)는, 측정부제어부(420), 무선통신부(410) 및 무게감지센서(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전원공급장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특히 상기 전원부(43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10)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바, 충전식 배터리, 건전지 등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한편 상기 무게감지센서(400),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는 전기부품으로서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예로서, 상기 무게감지센서(400),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는, 하나 이상의 PCB(421)에 설치되며, 전원부(430)는, PCB(421)의 하측에서 PCB(4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PCB(421)는, 무게감지센서(400),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가 회로소자로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PCB(421)는, 상면에 압전소자인 무게감지센서(400)가 설치되고, 저면에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기타 회로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PCB(421)는, 전원부(430)가 충전배터리가 사용될 때 충전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431)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충전단자(431)는, PCB(421)에 설치되고, 전원선(432)에 의하여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charging
상기 충전단자(431)는, 전원부(430)가 충전배터리가 사용될 때 충전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마이크로 USB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The charging
그리고 상기 충전단자(431)가 마이크로 USB단자 등 통신이 가능한 단자가 사용되는 경우, PCB(421)에 설치되어 측정부제어부(420) 를 구성하는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설치 프로그램(펌웨어 등)의 업그레이드 등을 위한 통신단자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When a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는,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측정센서(3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One of the
상기 자세측정센서(300)는,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예를 들면 기운정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자이로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자세측정센서(300)는,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예를 들면 기운정도 등을 측정하며,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감지에 따라서 앞서 설명한 측정부제어부(42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10)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31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
상기 온도측정센서(310)는,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용기본체부(10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용기본체부(100)의 온도 및 내용물의 온도의 상관관계를 실험 등을 통하여 미리 계산된 수식에 의하여 내용물의 온도로 환산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온도측정센서(310), 자세측정센서(300)등은, 용기본체부(100)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온도측정센서(310), 자세측정센서(300)등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 자세정보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측정부(200)의 측정부제어부(420)로 전달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측정부(200) 및 용기본체부(100)에서 측정된 정보, 예를 들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 환산된 내용물의 무게, 사용전 및 사용 후의 무게변화, 온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ny one of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측정부(200) 및 용기본체부(100)에서 측정된 정보, 예를 들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 환산된 내용물의 무게, 사용 전 및 사용 후의 무게변화, 온도 등을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LCD패널, OLED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마트용기(10)는, 액상물질인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부(100)와,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로 구성되고, 측정부(200)는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20)에 전송이 가능한바,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10) 및 무선단말(20)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20)은, 스마트폰, PC, 스마트패드 등 스마트용기(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면 어떠한 기기도 가능하다.The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20)은, 스마트용기(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용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핸들링하는 앱 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다.The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스마트용기(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용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핸들링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스마트용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핸들링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The application program is a program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상기 핸들링 알고리즘은, 스마트용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 구체적으로 스마트용기(10)의 용기본체부(100)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정보를 측정시간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handling algorithm may stor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그리고 상기 핸들링 알고리즘은, 스마트용기(10)의 사용 전의 시점 및 사용 후의 시점에서의 무게 차를 계산하여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저장 및 무선단말(20)의 출력부(21)에 표시할 수 있다.The handling algorithm can calculate th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before use and the time after use of the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20)의 출력부(21)에 표시할 때 음용시간을, 년월일시 등 다양한 시간형식으로, 표, 그래프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displaying on the
한편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스마트용기(10)의 상태에 따라서 작동될 필요가 있는바 스마트용기(10)의 사용여부에 대한 신호의 수신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program needs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이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세측정센서(300)가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예를 들면 기운정도 등을 측정하며,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감지에 따라서 측정부(200)의 측정부제어부(420)는, 스마트용기(10)의 사용이 개시되었음을 무선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자세측정센서(300)가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예를 들면 수직으로 세운 것으로 측정되면, 스마트용기(10)의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무선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이때 상기 무선단말(2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은, 스마트용기(10)의 사용 개시신호 및 사용종료신호를 기준으로 스마트용기(10)의 사용 전의 시점 및 사용 후의 시점에서의 무게 차를 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10)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스마트용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부(100)의 접촉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3,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상기 스위치부(330)는, 용기본체부(100)의 접촉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구성으로서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용기(10)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무게감지센서(400)인 압전소자에 전위차가 발생되며 그 전위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점을 스마트용기(10)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한편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유아의 분유의 음용량을 자동으로 저장하고 표,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는 육아일기로서 활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utilized as a childcare diary that automatically stores the sound capacity of infants' milk powder and displays them in tables, graphs, and the lik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마트용기
20: 무선통신부
100: 용기본체부
200: 측정부10: Smart container 20: Wireless communication part
100: container body part 200: measuring part
Claims (10)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A container body part 100 provided with a container stopper 110 at an upper part thereof and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nd a measuring unit (20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Wherein the measuring unit (200) is mov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측정센서(30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0 includes:
And an attitude measuring sensor (300) for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using according to a change in attitud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측면 외주면과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결합부(210)를 구비하는 본체하우징(210)과;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며 지지된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게감지센서(400)와;
상기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500)로 무선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410)와;
상기 무선통신부(410)와 무게감지센서(400)를 제어하는 측정부제어부(420)와;
상기 측정부제어부(420), 무선통신부(410) 및 무게감지센서(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ing unit 200 may measure,
A main body housing 210 having a side coupling part 210 which is vertically movably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At least one weight detection sensor (40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installed and supported on the body housing (21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installed in the main body housing 21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on sensor 400 to the user 500;
A measurement sub control unit 420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and the weight detection sensor 400;
And a power supply unit (43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easurement control unit (4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and the weight detection sensor (400).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기준으로 복수의 측정지점들에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측정지점들은 정다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body housing (210)
Is located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ints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and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points form a regular polygon.
상기 무게감지센서(4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eight sensing sensor (400) comprises at least one piezoelectric sensor mounted on the body housing (21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상기 용기본체부(100), 측면결합부(210) 및 본체하우징(210)가 결합되는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21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sealing member (214)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0), the side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body housing (210) are coupled.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하부하우징(213)과, 상기 하부하우징(213)로부터 상측을 연장되어 용기본체부(100)와 결합되는 측면하우징(212)과, 상기 하부하우징(213)을 복개하여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211)과, 상기 내부공간(S)을 밀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body housing (210)
A side housing 212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housing 213 to be coupled with the container main body 100 and an inner space 212 in which the lower housing 213 is covered, An upper housing (211) for forming an inner space (S), and at least one sealing member (214) for sealing the inner space (S).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하폭은 상기 요홈부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r mor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one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measuring unit 200 and the other may be formed with a groove formed therebetween and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protrusions may be larg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groove Wherein the container is formed in a small size.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상기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31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1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any one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0) and the measuring part (200) Vessel.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상기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측정부(200) 및 상기 용기본체부(100)에서 측정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2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 to 9,
The measuring unit 200 and the display unit 320 on which information measured in the container body unit 100 is displayed are additionally installed on either the container body 100 or the measuring unit 200 Smart container that featur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303A KR102561764B1 (en) | 2015-12-16 | 2015-12-16 | Smart bott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303A KR102561764B1 (en) | 2015-12-16 | 2015-12-16 | Smart bott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1999A true KR20170071999A (en) | 2017-06-26 |
KR102561764B1 KR102561764B1 (en) | 2023-07-31 |
Family
ID=5928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0303A Active KR102561764B1 (en) | 2015-12-16 | 2015-12-16 | Smart bott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1764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4421A (en) * | 2017-10-20 | 2019-04-30 | 이창현 | Nursing bottle having funcion to control temperature |
KR102044507B1 (en) * | 2018-10-16 | 2019-11-13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 tumbler cove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milk level and temperature of based on capacitive sensor and its driving control method |
DE102019004289A1 (en) * | 2019-06-11 | 2020-12-17 | Jana Canamares Navarro | Containers for loose goods such as luxury goods, food and spices |
KR20230067270A (en) | 2021-11-09 | 2023-05-16 | 리틀원주식회사 | Smart bottle and its control method |
KR20230067268A (en) | 2021-11-09 | 2023-05-16 | 리틀원주식회사 | Smart bottle for sterilization and its control metho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7607A (en) * | 2003-04-08 | 2004-10-14 | (학)창성학원 | A Nursing Device having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
KR20060083077A (en) * | 2005-01-15 | 2006-07-20 | 박상래 | Portable bottle warmer |
KR20130071004A (en) * | 2011-12-20 | 2013-06-28 | 장하다 | A baby bottle holder with lamp |
KR101462880B1 (en) * | 2014-03-25 | 2014-11-24 | (주)녹십자헬스케어 | Cup having function for measuring fluid intake, Method for measuring fluid intake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
CN204655534U (en) * | 2015-05-22 | 2015-09-23 | 崔彦青 | A kind of Intellectual feeding bottle |
-
2015
- 2015-12-16 KR KR1020150180303A patent/KR1025617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7607A (en) * | 2003-04-08 | 2004-10-14 | (학)창성학원 | A Nursing Device having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
KR20060083077A (en) * | 2005-01-15 | 2006-07-20 | 박상래 | Portable bottle warmer |
KR20130071004A (en) * | 2011-12-20 | 2013-06-28 | 장하다 | A baby bottle holder with lamp |
KR101462880B1 (en) * | 2014-03-25 | 2014-11-24 | (주)녹십자헬스케어 | Cup having function for measuring fluid intake, Method for measuring fluid intake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
CN204655534U (en) * | 2015-05-22 | 2015-09-23 | 崔彦青 | A kind of Intellectual feeding bottl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4421A (en) * | 2017-10-20 | 2019-04-30 | 이창현 | Nursing bottle having funcion to control temperature |
KR102044507B1 (en) * | 2018-10-16 | 2019-11-13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 tumbler cove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milk level and temperature of based on capacitive sensor and its driving control method |
DE102019004289A1 (en) * | 2019-06-11 | 2020-12-17 | Jana Canamares Navarro | Containers for loose goods such as luxury goods, food and spices |
KR20230067270A (en) | 2021-11-09 | 2023-05-16 | 리틀원주식회사 | Smart bottle and its control method |
KR20230067268A (en) | 2021-11-09 | 2023-05-16 | 리틀원주식회사 | Smart bottle for sterilization and its control method |
KR20240084527A (en) | 2021-11-09 | 2024-06-13 | 리틀원주식회사 | Smart bottle for sterilization and its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1764B1 (en) | 2023-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827258B1 (en) | Smart bottle | |
KR20170071999A (en) | Smart bottle | |
US9327960B2 (en) | Volume sensing beverage container cap system | |
US9320375B2 (en) | Activity and volume sensing beverage container cap system | |
RU2730376C2 (en) | Device for reminding and measuring level of substance inside container with substance | |
US9151605B1 (en) | Beverage container cap | |
US8907796B2 (en) | Valve and cap system for a beverage container | |
US20170238744A1 (en) | Activity and volume sensing beverage container cap system | |
US10750842B2 (en) | Bottle | |
US10638886B2 (en) | Powered blending container | |
US20140238985A1 (en) | Beverage container cap | |
US1156452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luid consumption | |
CN114680546A (en) | System for monitoring fluid intake of a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 |
CN108981843A (en) |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volume change of liquid contained in water bottle | |
CN204655534U (en) | A kind of Intellectual feeding bottle | |
US20220322860A1 (en) | Fluid intake monitoring | |
CN104161497A (en) | Isolated skin temperature collection device | |
JP2019080631A (en) | Device for measuring intake amount and system for measuring intake amount | |
US1087459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iquid consumption during infant feeding | |
CN203719776U (en) | Liquid temperature sensing device and liquid temperature processing system | |
JP7339533B2 (en) | Beverage container and stopper body for beverage container | |
KR20170077419A (en) | Smart cup | |
WO2017183994A1 (en) | Measurement device for detecting and measuring pain | |
KR20170054036A (en) | Cup capable of measuring drinking amount | |
CN104833427A (en) | Liquid temperatur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