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1462A - 선박의 생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생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462A
KR20170071462A KR1020170073277A KR20170073277A KR20170071462A KR 20170071462 A KR20170071462 A KR 20170071462A KR 1020170073277 A KR1020170073277 A KR 1020170073277A KR 20170073277 A KR20170073277 A KR 20170073277A KR 20170071462 A KR20170071462 A KR 2017007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survival
pipe assembly
ship
oxyg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윤
김순미
Original Assignee
정지윤
김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윤, 김순미 filed Critical 정지윤
Priority to KR102017007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462A/ko
Publication of KR2017007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46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 좌초 등의 비상상태 발생시 탑승자의 중, 장기간의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의 생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선박 내부에 설치되는 캡슐 형태의 생존실; 상기 생존실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산소공급부는 일단은 상기 생존실 내부 공간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선박의 선체 외부에 연결되는 산소공급관; 상기 산소공급관의 타단에는 평상시에는 릴에 감겨 있으며, 상기 선체가 침몰할 경우 상기 릴에서 풀리면서 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공급관조립체;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력에 의해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가 수면 위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부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생존 시스템{SYSTEM FOR SURVIVING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선박의 침몰, 좌초 등의 비상상태 발생시 탑승자의 중, 장기간의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의 생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해상에서 발생되는 각종 사고에 의해 좌초 또는 침몰하는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사고 발생시 구조작업이 행해지긴 하지만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라 순조롭게 진행되기가 어렵고 위험하다. 그래서 구조작업이 지연되어 많은 생명을 잃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종래에 비상사태시 선박으로부터 탈출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기는 하였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20970호가 그 예이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탑승자만이 비상시스템을 이용하여 탈출하기 쉬울 뿐, 노약자를 포함하여 장애를 가짐으로써 활동이 어려운 탑승자는 기존의 탈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력으로 탈출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몸이 불편한 사람들은 타인의 자발적 도움 없는 경우에 탈출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0970호 (2014.02.19.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상에서 침몰이나 좌초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 선박 내부의 탑승자가 구조가 이루어질 때까지 선박 내에 중,장기간 생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박의 생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은, 선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상시 미처 탈출 또는 구조되지 못한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는 캡슐 형태의 생존실; 상기 생존실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산소공급부는 일단은 상기 생존실 내부 공간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선박의 선체 외부에 연결되는 산소공급관; 상기 산소공급관의 타단에는 평상시에는 릴에 감겨 있으며, 상기 선체가 침몰할 경우 상기 릴에서 풀리면서 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공급관조립체;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력에 의해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가 수면 위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부상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존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생존실에는 간이침대, 좌변기, 배설물 저장탱크, 식수, 식량, 조명수단 및 체온유지수단이 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는 복수 개가 선미 또는 선수에 각각 분리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는 평상시 수밀캡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구조요원에 의해 수면 위에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생존실은 선체 내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생존실은 전부 또는 일부가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소통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소통관에는 차단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상수단은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에 고정되는 에어튜브; 상기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입부는 외부신호에 의해 토출구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에어튜브 내부에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는 압축공기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가 선박 내부에 구비되는 생존 캡슐 내에만 들어가 있게 되면 구조작업이 이루어질 때까지 생존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음으로써 해상에서의 선박사고시에도 인명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존실의 설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공급관조립체 및 부상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생존 시스템의 가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존실의 측단면 구성도이며, 도 7은 정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공급관조립체의 설치상태 및 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존실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캡슐 형태의 생존실(1)이 비상시 미처 탈출 또는 구조되지 못한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선체(S) 내부에 설치된다. 생존실(1)은 수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압구조로 되어 있으며 출입문을 가진다. 생존자는 사전 안내에 따라 또는 비치된 지침서에 따라 출입문(3)을 열고 생존실(1)로 들어가 구조를 기다릴 수 있다. 생존실(1)은 접근성이 좋은 곳에 설치되어야 하며 사용이 편리하여야 한다. 생존실(1)의 규모는 선박의 규모 및 용도에 따라 결정하기 나름이지만 2 ~ 10인 정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존실(1)은 접근성을 위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선체(S) 내부 여러 곳에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4곳에 설치되고 있다. 특히 선수 또는 선미 등 선박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설치된다.
생존실(1)에는 간이침대(5), 좌변기(7), 배설물저장탱크(9), 캐비닛(11), 조명수단(13) 및 체온유지수단이 비치되어 있다(도 6 내지 도 7 참조). 체온유지수단은 의류, 침구류, 석유나 가스히터 등이 될 수 있다. 식수, 식량, 의류, 침구류, 응급의료용품 등이 캐비닛(11)에 비치될 수 있다.
생존실(1) 내부 자체에는 산소호흡기(15)와 같은 임시 공기공급수단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에 의해서는 오랜 시간을 견딜 수 없으므로 외부에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산소공급부가 마련된다.
산소공급부는 생존실(1)에 연결되는 산소공급관(17)과 산소공급관(17)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장공급관조립체(19)를 포함할 수 있다. 산소공급관(17)의 일단은 생존실(1) 내부 공간에 연결되며, 타단은 선체의 외측부까지 연장된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평상시에는 릴(미도시됨)에 감겨 있으며, 선체가 침몰할 경우 상기 릴에서 풀리면서 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부상수단을 가진다. 부상수단은 연장공급관조립체(19)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부력에 의해 연장공급관조립체(19)의 단부가 수면 위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산소공급관(17)은 선체(S)의 각종 배관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설치된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호스와 같이 가요성으로 되어 있으며 갑판에 설치되는 것이 경제적일 것이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대형 선박의 닻과 같이 선체(S)의 측부를 통해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복수 개가 선미 또는 선수에 각각 분리 설치될 수 있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의 단부에는 힌지식으로 개방되는 수밀캡(21)이 설치된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평상시 수밀캡(21)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구조요원에 의해 수면 위에서 개방될 수 있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가 수면으로부터 떠오르지 못하더라도 이를 통해 물이 침입하지는 아니한다.
선체(S)는 어느 방향으로 전복될지 모르므로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선체(S)의 여러 방향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선체(S)의 전후좌우에 각각 1개씩 연장공급관조립체(19)가 설치된다. 산소공급관(17)은 이 연장공급관조립체(19)에 연결된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 내지 산소공급관(17)의 일부가 사고에 의해 파손될 경우에는 곳곳에 설치된 차단밸브(23)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차단됨으로써 물이 연장공급관조립체(19) 및 산소공급관(17)을 통해 생존실(1)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연장공급관조립체(19)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관(41)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주위에 각종 전선(42,43,44)이 배설될 수 있다(도 6, 도 7, 도 10 참조). 전선(42,43,44)은 생존실(1) 내부에 설치되는 전화기(62)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선(42), 생존실(1) 내부에 설치되는 CCTV카메라(63)와 연결되는 영상신호선(43), 생존실(1) 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선(44)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전선(42,43,44)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관(41)은 환기창(61)에 연결될 수 있다(도 10 참조).
연장공급관조립체(19)의 외피(45)는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강인한 소재가 사용되어야 하며 방수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공기관(41)과 각종 전선(42,43,44)의 단부에는 커넥터(41a,42a,43a,44a)가 설치되어 구호선박(S')에서 연장되는 구호관(53)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의 단부와 구호관의 단부에는 이 방수 커넥터(51,53)가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생존실(1) 내부의 온도는 급격히 떨어지게 될 것이고 따라서 난방수단이 필요하게 될 것인데, 전력공급선(44)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생존실(1)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존실(1)에는 전열 난방기구(6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공급선(44)은 조명수단 등 각종 전기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경우에 따라 공기관(41)과 더불어 식수관(46)이 더 포함될 수 있다(도 9,10 참조). 식수관(46)은 생존실(1)에 마련된 수도꼭지(66)를 통해 생존자에게 식수를 보급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생존실(1)에는 생존자의 호흡에 의해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등 호흡 부산물을 생존실(1) 외부로 배출해내기 위한 배기장치(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배기장치는 잠수부 또는 잠수함에서 이용되고 있는 원리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각 생존실(1)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생존실(1)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생존실(1)에는 모니터(67)가 설치되고, 이 모니터(67)는 연장공급관(19)에 부가 설치되는 신호선(47)을 통해 외부의 구조상황을 살펴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구조상황을 보게 함으로써 생존자의 심리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설명된 연장공급관조립체(19)는 산소공급관(17)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 산소공급관(17)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산소공급관(17)도 공기관, 통신선, 영상신호선, 전력공급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식수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생존실(1)은 전부 또는 일부가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소통관(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소통관(25)에도 차단밸브(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여러 개의 연장공급관조립체(19) 중 어느 하나의 연장공급관조립체(19')라도 선체(S)로부터 인출되어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면, 이를 통해 생존실(1) 모두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의 길이는 가능한 길게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연장공급관조립체(19)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부상수단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부상수단은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에 고정되는 에어튜브(27)와; 에어튜브(27)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한다. 공기주입부는 외부신호에 의해 토출구가 개방됨으로써 에어튜브(27) 내부에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는 압축공기탱크(29)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에어튜브(27)는 압착되어 부피가 작게 되어 있으며 비상시에만 팽창하여 수면에 부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생존실 3 : 출입문
5 : 간이침대 7 : 좌변기
11 : 캐비닛 13 : 조명수단
15 : 산소호흡기 17 : 산소공급관
19 : 연장공급관조립체 21 : 수밀캡
23 : 차단밸브 25 : 소통관
27 : 에어튜브 29 : 압축공기탱크
31 : 링(ring) 33 : 바닥프레임
41 : 공기관 42,43,44 : 전선
45 : 식수관 46 : 외피
S : 선체(재난선박) S' : 구호선박

Claims (2)

  1. 선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상시 미처 탈출 또는 구조되지 못한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는 캡슐 형태의 생존실; 상기 생존실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산소공급부는 일단은 상기 생존실 내부 공간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선박의 선체 외부에 연결되는 산소공급관;
    상기 산소공급관의 타단에는 평상시에는 릴에 감겨 있으며, 또한 수밀캡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선체가 침몰할 경우 상기 릴에서 풀리면서 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공급관조립체;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력에 의해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의 단부가 수면 위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부상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는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관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주위에 각종 전선이 배설되고 그 주위에 외피가 씌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나아가 상기 생존실 내부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상기 생존실 내부에 설치되는 CCTV카메라 또는 모니터와 연결되는 영상신호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와 산소공급관은 그의 일부가 사고에 의해 파손될 경우에는 곳곳에 설치된 차단밸브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차단됨으로써 물이 상기 연장공급관조립체 및 산소공급관을 통해 상기 생존실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생존실 내부의 전화기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선;
    상기 생존실 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존시스템.
KR1020170073277A 2017-06-12 2017-06-12 선박의 생존 시스템 Withdrawn KR20170071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77A KR20170071462A (ko) 2017-06-12 2017-06-12 선박의 생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77A KR20170071462A (ko) 2017-06-12 2017-06-12 선박의 생존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132 Division 2015-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462A true KR20170071462A (ko) 2017-06-23

Family

ID=5928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277A Withdrawn KR20170071462A (ko) 2017-06-12 2017-06-12 선박의 생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4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0088A (zh) * 2018-10-25 2019-01-01 南京北宇新通科技有限公司 一种北斗海洋船舶求救仪的应急开启机构
KR20230120208A (ko) * 2022-02-08 2023-08-17 에이치엘비이엔지 주식회사 극저온 구명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0088A (zh) * 2018-10-25 2019-01-01 南京北宇新通科技有限公司 一种北斗海洋船舶求救仪的应急开启机构
KR20230120208A (ko) * 2022-02-08 2023-08-17 에이치엘비이엔지 주식회사 극저온 구명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6851A (en) Underwater cruise device
RU2479463C1 (ru) Камера спасательная всплывающая
US4087980A (en) Safety submarine spherical air chamber
CN103085948A (zh) 救生舱
KR20170071462A (ko) 선박의 생존 시스템
CN104590509A (zh) 水中救生器
KR101478503B1 (ko) 문어발형 구명장치
KR20140001495A (ko) 개량형 개인 구명장치
KR101570488B1 (ko) 선박의 생존 시스템
KR101732496B1 (ko)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RU2657605C2 (ru) Средство спасания подвод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дъема на поверхность
CN210852843U (zh) 一种落水救援装置
CN214493294U (zh) 一种海上高气压脱险系统
CN103010142B (zh) 防水汽车的供氧装置及装有该装置的汽车
DE10235842A1 (de) Transportsystem für Taucher
CN204473102U (zh) 水中救生器
CN105083496B (zh) 一种水难逃生潜囊
JP2000318683A (ja) ライフジャケット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US10683071B2 (en) Submerged compartment fluid transfer system
CN115303457A (zh) 一种载人缓冲式水下逃生装置
CN104494552A (zh) 防水汽车的供氧装置及装有该装置的汽车
KR200471085Y1 (ko) 수중호흡장치가 설치된 보드
CN107097907A (zh) 带潜水舱的邮轮
US1019356A (en) Submarine life-saving and observation t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11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16613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