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0561A -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 Google Patents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561A
KR20170070561A KR1020150178230A KR20150178230A KR20170070561A KR 20170070561 A KR20170070561 A KR 20170070561A KR 1020150178230 A KR1020150178230 A KR 1020150178230A KR 20150178230 A KR20150178230 A KR 20150178230A KR 20170070561 A KR20170070561 A KR 20170070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fluid
heat exchanger
outl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철
이종준
임신영
송강섭
김용찬
백창현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5017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0561A/ko
Publication of KR2017007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5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00/00Prediction; Simulation; T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차측 입출구와, 2차측 입출구를 구비하는 판형 열교환기와; 일정 온도의 유체가 저장되고,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를 통해 순환시키는 1차측 설비부와; 일정 온도의 유체가 저장되고,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를 통해 순환시키는 2차측 설비부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출구에서 상기 2차측 설비부로 순환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쿨러와; 상기 2차측 설비부에 저장된 유체를 정밀 냉각시키는 칠러; 및 상기 1차측 설비부와 2차측 설비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난방을 모사하여 판형 열교환기의 성능을 실험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공하여 지역난방을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보다 원활하게 다양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고, 다양한 운전조건 하에서 실험을 진행하며 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운전조건 등을 연구함으로 인해서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EXPERIMENTAL APPARATUS OF PLATE-TYPE HEAT EXCHANGER FOR DISTRICT HEATING}
본 발명은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역난방을 모사하여 판형 열교환기의 성능을 실험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공하여 지역난방을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보다 원활하게 다양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고, 다양한 운전조건 하에서 실험을 진행하며 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운전조건 등을 연구함으로 인해서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하도록 하는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은 아파트, 주택, 상가, 사무실, 학교, 병원, 공장 등 각종건물이 개별난방 시설을 갖추는 대신 집중된 대규모 열원시설(열병합발전소, 열전용 보일러, 쓰레기 소각로 등)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이용하여 지역전체에 난방 및 급탕을 공급하며, 쾌적한 도시환경을 창조하고 에너지 절약과 환경공해 개선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난방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난방설비를 갖추는 개별난방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즉, 지역난방은 한 개의 도시 또는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주택, 상가, 사무실, 학교, 병원, 공장 등 각종 건물이 개별적으로 난방설비를 갖추지 않고, 대규모 열생산시설, 즉 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여 난방 및 급탕에 필요한 고온수(110℃ 이상)를 생산하여 고압(16bar)의 압력으로 열수송관을 통해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집단에너지 공급방식 중 하나이다.
한편, 이러한 지역난방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열병합 시스템이 필요한데, 열병합 시스템은 하나의 에너지원(연료)으로부터 두가지 이상의 유용한 에너지(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지역난방 시스템은 고온수(110℃ 이상)를 생산하는 보일러와, 열부하가 낮거나 전력판매가격이 높은 시간에 보일러에서 생산된 잉여 고온수를 저장하였다가 열부하가 높은 시간에 저장열을 방출함으로서 일일 첨두부하를 담당하는 고온수 저장 탱크인 축열조와, 보일러에서 생산되거나 축열조에 저장된 고온수를 전달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된 온수를 고압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순환펌프에는 사용자 열교환기를 통해 열공급 대상지역까지 열을 수송 및 회수하도록 2중 단열 보온관으로 이루어진 열공급관과 열배관으로 이루어진 열수송관이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난방 시스템이 에너지 효율측면의 우수함으로 인해 이를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지만 사용을 지속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효율저하, 부식 등과 같은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장치가 마땅치 않으며, 또한 이를 실제 지역난방이 이루어지는 시설에서 여러 가지 실험을 하기에는 가동중단에 따른 추가 비용, 장치 탈부착에 따른 추가 소요 발생, 열손실 발생 등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난방을 모사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공하여 지역난방을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보다 원활하게 다양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고, 다양한 운전조건 하에서 실험을 진행하며 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운전조건 등을 연구함으로 인해서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하도록 하는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1차측 입출구와, 2차측 입출구를 구비하는 판형 열교환기와; 일정 온도의 유체가 저장되고,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를 통해 순환시키는 1차측 설비부와; 일정 온도의 유체가 저장되고,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를 통해 순환시키는 2차측 설비부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출구에서 상기 2차측 설비부로 순환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쿨러와; 상기 2차측 설비부에 저장된 유체를 정밀 냉각시키는 칠러; 및 상기 1차측 설비부와 2차측 설비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1차측 설비부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1차 전원 공급수단과; 유체가 저장되는 1차 항온조와; 상기 1차 항온조의 유체를 가열시키는 1차 히터와; 상기 1차 항온조의 유체를 상기 1차 히터로 순환시키는 1차 순환 펌프와;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1차 항온조의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로 순환시키는 1차 인버터 펌프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1차 온도 센서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1차 압력계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의 유량을 각각 측정하는 1차 유량계; 및 상기 1차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1차 온도 센서, 1차 압력계 및 1차 유량계를 통해 유체의 온도,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해서 상기 1차 인버터 펌프와 1차 히터의 동작 제어를 통해 유체의 유량과 온도를 제어하는 1차 컨트롤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2차측 설비부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2차 전원 공급수단과; 유체가 저장되는 2차 항온조와; 상기 2차 항온조의 유체를 가열시키는 2차 히터와; 상기 2차 항온조의 유체를 상기 2차 히터로 순환시키는 2차 순환 펌프와;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2차 항온조의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로 순환시키는 2차 인버터 펌프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2차 온도 센서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2차 압력계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의 유량을 각각 측정하는 2차 유량계; 및 상기 2차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2차 온도 센서, 2차 압력계 및 2차 유량계를 통해 유체의 온도,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해서 상기 2차 인버터 펌프, 2차 히터, 쿨러 및 칠러의 동작을 제어하여 유체의 유량과 온도를 제어하는 2차 컨트롤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데이터 로거는 상기 1차 설비부의 1차 온도 센서, 1차 압력계, 1차 유량계 및 상기 2차 설비부의 2차 온도 센서와, 2차 압력계, 2차 유량계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1차 컨트롤러 및 2차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유체의 온도를 설정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에 따르면, 지역난방을 모사하여 판형 열교환기의 성능을 실험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공하여 지역난방을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보다 원활하게 다양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고, 다양한 운전조건 하에서 실험을 진행하며 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운전조건 등을 연구함으로 인해서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중 1차측 설비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중 2차측 설비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중 판형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중 1차측 설비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중 2차측 설비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중 판형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1)는, 판형 열교환기(10)와, 1차측 설비부(20)와, 2차측 설비부(30)와, 쿨러(40)와, 칠러(50) 및 데이터 로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판형 열교환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입출구(11, 12)와, 2차측 입출구(13, 14)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조건을 실험시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1차측 설비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전원 공급수단(21)과, 1차 항온조(22)와, 1차 히터(23)와, 1차 순환 펌프(24)와, 1차 인버터 펌프(25)와, 1차 온도 센서(26)와, 1차 압력계(27)와, 1차 유량계(28)와, 1차 컨트롤러(29)로 구성된다.
1차 전원 공급수단(21)은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각 구성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1차 항온조(22)는 유체(물)가 저장된다.
1차 히터(23)는 1차 항온조(22)의 유체를 가열시킨다.
1차 순환 펌프(24)는 1차 항온조(22)의 유체를 1차 히터(23)로 순환시켜 유체가 가열되도록 한다.
1차 인버터 펌프(25)는 1차 컨트롤러(29)의 제어에 따라 1차 항온조(22)의 유체를 판형 열교환기(10)의 1차측 입출구(11, 12)로 순환시킨다.
1차 온도 센서(26)는 판형 열교환기(10)의 1차측 입출구(11, 12)의 온도를 각각 측정한다.
1차 압력계(27)는 판형 열교환기(10)의 1차측 입출구(11, 12)의 압력을 각각 측정한다.
1차 유량계(28)는 판형 열교환기(10)의 1차측 입구(11) 또는 출구(12)의 유량을 측정한다. 도면중 1차 유량계(28)는 판형 열교환기(10)의 1차측 입구(11) 측에 도시하였다.
1차 컨트롤러(29)는 1차 히터(23)의 온도를 제어하고, 1차 온도 센서(26)와 1차 압력계(27) 및 1차 유량계(28)를 통해 유체의 온도,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여 1차 인버터 펌프(25)와 1차 히터(23)의 동작 제어를 통해 유체의 유량과 온도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1차 컨트롤러(29)는 사용자가 유체의 온도를 설정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차측 설비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원 공급수단(31)과, 2차 항온조(32)와, 2차 히터(33)와, 2차 순환 펌프(34)와, 2차 인버터 펌프(35)와, 2차 온도 센서(36)와, 2차 압력계(37)와, 2차 유량계(38)와, 2차 컨트롤러(39)로 구성된다.
2차 전원 공급수단(31)은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각 구성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2차 항온조(32)는 유체(물)가 저장된다.
2차 히터(33)는 2차 항온조(32)의 유체를 가열시킨다.
2차 순환 펌프(34)는 2차 항온조(32)의 유체를 2차 히터(33)로 순환시켜 유체가 가열되도록 한다.
2차 인버터 펌프(35)는 2차 컨트롤러(39)의 제어에 따라 2차 항온조(32)의 유체를 판형 열교환기(10)의 2차측 입출구(13, 14)로 순환시킨다.
2차 온도 센서(36)는 판형 열교환기(10)의 2차측 입출구(13, 14)의 온도를 각각 측정한다.
2차 압력계(37)는 판형 열교환기(10)의 2차측 입출구(13, 14)의 압력을 각각 측정한다.
2차 유량계(38)는 판형 열교환기(10)의 2차측 입구(13) 또는 출구(14)의 유량을 측정한다. 도면중 2차 유량계(38)는 판형 열교환기(10)의 2차측 입구(13) 측에 도시하였다.
2차 컨트롤러(39)는 2차 히터(33)의 온도를 제어하고, 2차 온도 센서(36), 2차 압력계(37) 및 2차 유량계(38)를 통해 유체의 온도,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여 2차 인버터 펌프(35), 2차 히터(33), 쿨러(40) 및 칠러(5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유체의 유량과 온도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2차 컨트롤러(39)는 사용자가 유체의 온도를 설정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쿨러(Cooler)(40)는 2차 설비부(30)의 2차 컨트롤러(39)의 제어에 따라 판형 열교환기(10)의 2차측 출구(14)에서 2차측 설비부(30)로 순환되는 유체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이어서, 칠러(chiller)(50)는 2차 설비부(30)의 2차 컨트롤러(39)의 제어에 따라 2차 항온조(32)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를 정밀하게 냉각하여 일정 온도로 유지시킨다.
한편, 데이터 로거(60)는 1차 설비부(20)의 1차 온도 센서(26), 1차 압력계(27), 1차 유량계(28) 및 2차 설비부(30)의 2차 온도 센서(36), 2차 압력계(37), 2차 유량계(38)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형 열교환기(10)와, 1차측 설비부(20), 2차측 설비부(30), 쿨러(40)와, 칠러(50) 및 데이터 로거(60)를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1차측 설비부(20)의 1차 항온조(22)와 2차측 설비부(30)의 2차 항온조(32)에 유체를 투입하여 일정 수위로 저장한다.
그리고, 각 구성부에 전원을 투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1차측 설비부(20)의 1차 항온조(22)와 2차측 설비부(30)의 2차 항온조(32)의 유체 온도를 설정하고,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그러면, 1차측 설비부(20)의 1차 항온조(22)의 유체가 1차 순환 펌프(24)를 통해 순환하면서 1차 히터(23)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고, 2차측 설비부(30)의 2차 항온조(32)의 유체가 2차 순환 펌프(34)를 통해 순환하면서 2차 히터(33)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그리하여, 유체가 설정 온도로 가열되면 1차 컨트롤러(29)와 2차 컨트롤러(39)는 1차 인버터 펌프(25)와 2차 인버터 펌프(35)를 각각 동작시켜 1차 항온조(22)의 유체가 판형 열교환기(10)의 1차측 입구(11)로 공급되어 1차측 출구(12)로 배출된 후 1차 항온조(22)로 순환되고, 2차 항온조(32)의 유체가 판형 열교환기(10)의 2차측 입구(13)로 공급되어 2차측 출구(14)로 배출된 후 2차 항온조(32)로 순환되도록 한다.
그러면, 판형 열교환기(10)의 1차측 입출구(11, 12)의 유체와 2차측 입출구(13, 14)의 유체가 열교환되어 1차측 유체는 온도가 낮아지고, 2차측 유체는 온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2차 항온조(32)로 유입되는 유체는 난방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것으로 모사하기 위해 쿨러(40)에서 1차 냉각되어 2차 항온조(32)로 유입되고, 다시 2차 항온조(32) 내에서 칠러(50)에 의해 정밀 냉각되어 일정 온도를 유지한다. 이때,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2차 히터(33)에 의해 가열된다.
한편, 1차 컨트롤러(29)는 1차 온도 센서(26), 1차 압력계(27) 및 1차 유량계(28)로부터 센싱되는 온도, 유량, 압력을 이용하여 1차 인버터 펌프(25)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고, 1차 히터(23)를 제어하여 유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2차 컨트롤러(39)는 2차 온도 센서(36), 2차 압력계(37) 및 2차 유량계(38)로부터 센싱되는 온도, 유량, 압력을 이용하여 1차 인버터 펌프(25)와 2차 인버터 펌프(35)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고, 2차 히터(33), 쿨러(40) 및 칠러(50)를 제어하여 유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데이터 로거(60)를 통해 1차 설비부(20)의 1차 온도 센서(26), 1차 압력계(27), 1차 유량계(28) 및 2차 설비부(30)의 2차 온도 센서(36), 2차 압력계(37), 2차 유량계(38)로부터 센싱된 데이터가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청시 해당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형 열교환기(10)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고, 지역난방을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판형 열교환기 20 : 1차측 설비부
30 : 2차측 설비부 40 : 쿨러
50 : 칠러 60 : 데이터 로거

Claims (5)

1차측 입출구와, 2차측 입출구를 구비하는 판형 열교환기와;
일정 온도의 유체가 저장되고,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를 통해 순환시키는 1차측 설비부와;
일정 온도의 유체가 저장되고,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를 통해 순환시키는 2차측 설비부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출구에서 상기 2차측 설비부로 순환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쿨러와;
상기 2차측 설비부에 저장된 유체를 정밀 냉각시키는 칠러; 및
상기 1차측 설비부와 2차측 설비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설비부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1차 전원 공급수단과;
유체가 저장되는 1차 항온조와;
상기 1차 항온조의 유체를 가열시키는 1차 히터와;
상기 1차 항온조의 유체를 상기 1차 히터로 순환시키는 1차 순환 펌프와;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1차 항온조의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로 순환시키는 1차 인버터 펌프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1차 온도 센서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출구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1차 압력계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1차측 입구 또는 출구의 유량을 측정하는 1차 유량계; 및
상기 1차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1차 온도 센서, 1차 압력계 및 1차 유량계를 통해 유체의 온도,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해서 1차 인버터 펌프와 1차 히터의 동작을 제어를 통해 유체의 유량과 온도를 제어하는 1차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설비부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2차 전원 공급수단과;
유체가 저장되는 2차 항온조와;
상기 2차 항온조의 유체를 가열시키는 2차 히터와;
상기 2차 항온조의 유체를 상기 2차 히터로 순환시키는 2차 순환 펌프와;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2차 항온조의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로 순환시키는 2차 인버터 펌프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2차 온도 센서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출구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2차 압력계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2차측 입구 또는 출구의 유량을 측정하는 2차 유량계 및
상기 2차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2차 온도 센서, 2차 압력계 및 2차 유량계를 통해 유체의 온도,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해서 2차 인버터 펌프, 2차 히터, 쿨러 및 칠러의 동작을 제어하여 유체의 유량과 온도를 제어하는 2차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는,
상기 1차 설비부의 1차 온도 센서, 1차 압력계, 1차 유량계 및 상기 2차 설비부의 2차 온도 센서, 2차 압력계, 2차 유량계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컨트롤러 및 2차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유체의 온도를 설정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KR1020150178230A 2015-12-14 2015-12-14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Ceased KR20170070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30A KR20170070561A (ko) 2015-12-14 2015-12-14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30A KR20170070561A (ko) 2015-12-14 2015-12-14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561A true KR20170070561A (ko) 2017-06-22

Family

ID=5928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30A Ceased KR20170070561A (ko) 2015-12-14 2015-12-14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05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0054A (zh) * 2022-08-12 2022-12-02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冷却水系统的开环控制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CN115597898A (zh) * 2022-10-11 2023-01-13 武汉港迪技术股份有限公司(Cn) 测试板式换热器换热系数的热负荷装置及其测试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0054A (zh) * 2022-08-12 2022-12-02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冷却水系统的开环控制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CN115597898A (zh) * 2022-10-11 2023-01-13 武汉港迪技术股份有限公司(Cn) 测试板式换热器换热系数的热负荷装置及其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6387B1 (en) Hybrid heating system
US7945146B2 (en) Tankless hot water heater with power modulation
JP5132813B2 (ja) 流体加熱システム及び流体加熱方法及び流体加熱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134687B1 (ko) 다세대 주택의 난방 제어 시스템
Kepplinger et al. State estimation of resistive domestic hot water heaters in arbitrary operation modes for demand side management
US20150103490A1 (en) Oil cooling device for server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101944815B1 (ko) 열효율을 극대화한 전극보일러를 사용한 난방 시스템
KR20170070561A (ko) 지역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모사 실험장치
CN105102897B (zh) 内嵌加热太阳能热储热集热器
KR100997340B1 (ko) 지역난방의 난방에너지 공급시스템 및 통합관리방법
CN203797763U (zh) 太阳能、电能、燃烧介质互补的采暖和生活热水供给装置
US9140503B2 (en) Energy measurement system for fluid systems
Der et al.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a tankless water heating combo system: Simultaneous space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operation
JP2009097770A (ja) ヒートポンプ式温水暖房装置の循環流量算出方法
KR20100025234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열전발전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09916210A (zh) 撬装式的熔盐储热系统
EP2570738B1 (en) Demand management for water heaters
RU2367855C2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тепловой насос для бытового отопления
Iturralde et al. Heat exchanger measurements in a mass flow controlled consumer substation connected to a ring network
US20150195954A1 (en) Distributed Computing And Combined Computation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GB2596245A (en) Domestic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Erdemir et al. Effect of thermal stratification on energy and exergy in vertical mantled heat exchanger
CN204730440U (zh) 一种多发热杯并联结构
RU148174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дным котлом
RU2449250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требления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отдельным потребителем при отоплении многоквартирного дома с однотрубной системой отопления и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