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594A - Lighting device - Google Patents
Ligh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9594A KR20170069594A KR1020150176998A KR20150176998A KR20170069594A KR 20170069594 A KR20170069594 A KR 20170069594A KR 1020150176998 A KR1020150176998 A KR 1020150176998A KR 20150176998 A KR20150176998 A KR 20150176998A KR 20170069594 A KR20170069594 A KR 201700695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lighting
- wireless communication
- light source
- illumin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5B37/0272—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 H05B37/0218—
-
- H05B37/0227—
-
- H05B37/0281—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내부에 상기 전원모듈이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상술한 조명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odul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a body having the power module disposed therein,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light source.
Further,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illumination device.
Description
실시예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구 또는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Generally, indoor or outdoor lighting is used as a lamp or a fluorescent lamp. In the case of such a bulb or fluorescent lamp, there is a problem that its lifetime is short and it is frequently exchanged. In addition, a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may deteriorate over time, and the illuminance may gradually decreas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환효율, 긴 수영,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light emitting diode (LED) capable of realizing excellent controllability, fast response speed, high electric light conversion efficiency, long swimming, low power consumption, Various types of lighting modules are being developed.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Light emitting diodes (LEDs) are a type of semiconductor devices that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The light emitting diode has advantages of low power consumption, semi-permanent lifetime, fast response speed, safe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mpared with conventional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nd incandescent lamps. Accordingly,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replace an existing light source with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emitting diode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 light source for lighting devices such as variou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electric sign boards, and street lamps used outside the room.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조명기기는 원격제어기기에 의해 다양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이 내장되게 된다.In order to perform various controls by a remote control device, a lighting device in which a light emitting diode is used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근래에 들어오면서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히 성장을 하고 있다. 이동통신 기술의 성장에 따라서, 개인이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비율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growing rapidly. With the growth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possessing mobile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통상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들은 각종 이동통신기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운용할 수 있다. 단말기기들이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h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이 있다.Generally, portable terminals carried by individuals can operat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ZigBee, Z-wave, Blueth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Beacon are examples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used by terminal devices.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기는 주파수 대역 및 신호 송출주기를 조절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낮아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can adjust the frequency ban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eriod, and by using a relatively small memory, the power consumption is low and the long life can be guarante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by adopting a simple hardware configur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실내에 위치한 조명기기들도 통신 단말기기에 의하여 쉽게 제어될 수 있다. 기존에 조명기기들은 실내의 조도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어온 측면이 있다. 기술발전에 따라, 조명기기들을 제어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생활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As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lighting devices located indoors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nventionally, lighting devices have been used only as a basic purpose of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a room. As technology advances,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living by individuals or groups by controlling lighting devices.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조명환경 및 음향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various illumination environments and acoustic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내부에 상기 전원모듈이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odul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a body having the power module disposed therein,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light source.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상술한 조명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illumination device.
실시예는 무선 통신모듈이 광원이 위치되는 몸체의 일면에 노출되어서, 몸체의 내부에 무선 통신모듈이 위치됨으로써 통신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원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무선 통신모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Embodiments relat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ex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where the light source is located so that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prevented from being degraded by plac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ide the body,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egradation.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움직임을 감지하여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주위의 조명기기의 조도 및 음향 환경을 제어하는 이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senses the motion and controls the illuminance and the sound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 l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또한, 실시예는 단말기의 일정거리 내에 위치한 조명기기들을 검색하여서, 사용자가 직관적 및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UI를 통해 표시하여서 사용자가 쉽게 검색된 조명기기를 인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mbodiments can search for lighting device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terminal, and display the UI through intuitive and visually perceptible UI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earched lighting device.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조명기기를 오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the lighting device can be turned off by a simple operation in which the user shakes or rotates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조명기기에서 배광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명기기의 음향 진행 경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apparatus of Fig. 1 with the light distribution cover remove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acoustic propagation path of th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llumin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diagrams showing the use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components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component, step, and / or step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nd / I never do tha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Further, the angles and direction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are based on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in the specification, reference points and positional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angles are not explicitly referred to, reference is made to the relevant drawing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1의 조명기기에서 배광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apparatus of Fig. 1 without the light distribution cover,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명기기(100)는 전원모듈(140), 몸체(180) 광원(110) 및 무선 통신모듈(190)을 포함한다.1 to 4, the
무선 통신모듈(190)은 외부의 단말기(200)(도 8 참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광원(110)에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에 조명기기(100)의 정보를 송신한다.이때,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지그비 송수신 모듈 및 비콘 송수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대응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모듈(190)은 50미터의 통신거리를 가지고, 단말기(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콘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The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내부에 무선 통신모듈(190)을 구비하며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해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광원(11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조명기기(100)와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을 위해, 무선 통신모듈(190)이 조명기기(100)의 내부에 실장되게 되는데, 무선 통신모듈이 전원모듈과 함께 조명기기(100)의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전원모듈(1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무선 통신모듈(190)의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The
또한, 조명기기(100)의 대부분은 천정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데, 조명기기(100)의 전원모듈(140)과 무선 통신모듈(190)이 천정의 내부에 매립되어서, 무선 통신모듈(190)과 단말기(200) 간의 통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조명기기(100)의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한편, 본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광원 결합부(120), 배광 커버(130), 차단 커버(160) 및 급전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The
광원(110)은 광을 발생시킨다. 이 때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The
광원(11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발광 소자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원(110)은 다양한 색을 방출하기 위해, 적어도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발광소자와,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발광소자와,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광원(110)은 급전 소자(111), 다수개의 급전 와이어(113)들, 다수개의 베이스 기판(115)들 및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을 포함한다.The
급전 소자(111)는 광원(110)에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급전 소자(111)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The
급전 와이어(113)들은 급전 소자(111)와 베이스 기판(115)들을 연결한다. 이 때 급전 와이어(113)들은 급전 소자(111)와 각각의 베이스 기판(115)을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는 급전 와이어(113)들은 급전 소자(111)와 베이스 기판(115)들 중 일부를 연결하고, 베이스 기판(115)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급전 와이어(113)들은 급전 소자(111)로부터 베이스 기판(115)들로 전력을 전달한다.The
베이스 기판(115)들은 광원(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때, 베이스 기판(115)들은 발광 다이오드들에 급전 소자(111)의 전력을 인가한다. 여기서, 베이스 기판(115)들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The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은 베이스 기판(115)들에 실장된다. The light emitting
구체적으로, 각각의 베이스 기판(115)에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소자(117)들이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은 베이스 기판(115)들에서 인가되는 전력에 따라 광을 발생시킨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광원 결합부(120)는 광원(110)에 결합되어, 광원(110)을 고정시킨다. 이 때, 광원 결합부(120)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홀(121)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The light
제 1 결합 홀(121)은 베이스 기판(115)들을 수용한다. 여기서, 광원 결합부(120)는 베이스 기판(115)들과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을 제 1 결합 홀(121)의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광원 결합부(120)는 제 1 결합 홀(121)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을 노출시킨다. The
또한 제 2 결합 홀(123)은 급전 소자(111)와 무선 통신모듈(190)을 수용한다. 게다가, 광원 결합부(120)는 제 2 결합 홀(123)을 통해 급전 소자(111)와 무선 통신모듈(190)을 노출시킨다. 여기서, 제 2 결합홀(123)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과시킨다. 즉 제 2 결합 홀(123)은 광원 결합부(120)를 경계로 양 방향으로 무선 통신모듈(190)을 돌출시킨다. 여기서, 광원 결합부(120)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배광 커버(130)는 광원 결합부(120)의 상부에서 광원(110)을 에워싼다. 여기서, 배광 커버(130)는 개구부가 형성된 벌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배광 커버(130)는 광원(110)을 보호하며, 광원(110)의 광을 방출한다.The
이 때, 배광 커버(130)는 조명기기(100)의 광축(Ax) 방향(도 2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광한다. 여기서, 배광 커버(130)는 글라스(glass), 플라스틱(plast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는, 배광 커버(130)는 내광성, 내열성, 충격 강도 특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광 커버(130)에서 광원(110)에 대향되는 내부면에, 유백색 도료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도료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재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전원모듈(140)은 조명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모듈(140)은 메인 기판과 다수 개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부품들은 메인 기판에 실장되어,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전원모듈(140)은 조명기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The
예를 들어, 전원모듈(140)은 110V~220V의 교류 전원을 입력 받고,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모듈(312)에 25V, 50V 및 100V 중 어느 하나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모듈(140)은 입력된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모듈(190)무선 통신모듈(190)로 3V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전원모듈(140)은 광원(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모듈(140)은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 PSU)일 수 있다. 이 때 전원모듈(140)은 무선 통신모듈(190)에서 수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모듈(140)은 급전 단자(141) 를 포함한다.The
급전 단자(141)는 광원(110)과 접속한다. 이러한 급전 단자(141)는 광원(110)의 급전 소자(111)와 접촉한다. 이때 급전 단자(141)는 전원모듈(140)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급전 단자(141)는 메인 기판에 결합되며, 메인 기판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급전 단자(141)는 급전 소자(111)에 대향된다.The
그리고 급전 단자(141)는 광원(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전원모듈(140)은 급전 소자(111)를 통해 광원(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급전 단자(141)는 광원(110)에 광원(110)을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전원모듈(140)은 무선 통신모듈(19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모듈(140)은 몸체(180)의 내부에 수용된다.The
몸체(150)는 전원모듈(140)을 수용한다. 이러한 몸체(150)에 수용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50)는 수용 홀(151)을 통해 전원모듈(140)을 수용한다. 이 때, 몸체(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50 receives the
몸체(180)는 전원모듈(140), 차단 커버(160)를 수용한다. 몸체(180)에는 수용 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 커버(16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써, 몸체(180)와 전원모듈(140)을 절연한다. 그리고 차단 커버(160)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16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161)은 제 2 결합 홀(123)과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관통 홀(161)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수용한다. 이 때 관통 홀(161)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과시킨다. The
여기서, 차단 커버(160)는 관통 홀(161)을 통해 급전 단자(141) 를 노출시킨다. 즉, 관통 홀(161)은 급전 소자(111)를 향하여 급전 단자(141)를 돌출시킨다. 또한 관통 홀(161)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돌출시킨다.Here, the blocking
또한, 몸체(180)는 광원(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시키고, 광원(110)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광원(110)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전원모듈(140)을 보호한다. The
몸체(180)의 일면(181)에는 광원(110)이 위치된다. 이러한 일면(181)은 배광 커버(130)와 결합된다. 일면(181)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광 커버(130)가 체결된다.A
일면(181)은 몸체(180)의 상부에 형성된 평평한 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면(181)은 배광각에 따라 아래 또는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일면(181)의 상부에는 광원(110)와 광원 결합부(120)가 장착된다. 이러한 일면(181)는 광원(110)와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일면(181)은 상부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일면(181)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홀(18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홀(183)은 제 2 결합 홀(123) 및 관통 홀(161)과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홀(183)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신홀(183)은 몸체(180)의 일면(181)을 관통하여 몸체(18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한다.At least one
통신홀(183)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수용한다. 이 때, 통신홀(183)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무선 통신모듈(190)은 통신홀(183)을 관통하여 몸체(180)의 외부에 노출된다.The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홀(183)은 상부에서 보아, 일면(181)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110)은 몸체(180)의 일면(181)에서 통신홀(183)을 감싸게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면(181)에 통신홀(183)이 형성되더라도, 효과적인 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통신홀(183)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통신홀(183)의 크기는 무선 통신모듈(190)이 통과하고, 무선 통신모듈(190)과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of the
몸체(180)의 하부에는 연결 단자(153)가 노출된다. 연결 단자(153)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몸체(180)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될 수록 그 직경이 줄어드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몸체(180)의 내부에는 음향 출력모듈(318)이 수용된다. 음향 출력모듈(318)은 조명기기(100) 또는/및 단말기(200)에 저장된 음향을 출력한다. 음향 출력모듈(318)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기(200) 또는/및 조명기기(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출력모듈(318)은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출력모듈(318)이 스피커(21)로 구현된다.The
음향 출력모듈(318)은 몸체(150)의 수용 홈(151)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모듈(318)은 하방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몸체(180)의 내부에는 음파의 전달을 차단하는 흡음벽(22)이 배치된다.The
흡음벽(22)은 몸체(180)의 내부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즉, 흡음벽(22)은 몸체(180)의 수용홈(151)을 덮도록 배치된다.The sound-absorbing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생성되는 음향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몸체(180)에는 사운드 홀(187)이 형성된다. 사운드 홀(187)은 몸체(180)가 관통된 홀로써, 몸체(180)의 내부에 위치된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생성된 음향이 통과된다.A
사운드 홀(187)은 몸체(150)의 타측에 형성된다. 몸체(150)의 타측은 몸체(150)의 일면(181)과 대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운드 홀(187)은 흡음벽(2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공간 중 하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게 형성된다. 흡음벽(22)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상부 공간에는 전원모듈(140)이 배치된다.
The
무선 통신모듈(190)은 조명기기(100)(상세하게는 광원(110))의 제어를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전원모듈(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모듈(190)은 전원모듈(140)에 결합된다.The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190)은 광원(110)에 이격되며, 광원 결합부(120), 몸체(180) 및 차단 커버(160)를 관통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모듈(190)은 안테나 소자(192)와, 안테나 소자(192)가 실장되는 구동기판(191)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구동기판(191)은 무선 통신모듈(190)에서 지지를 위해 제공된다. 이 때 구동기판(191)은 평판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구동 기판(21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The driving
또한, 구동기판(191)은 전원모듈(140)의 메인기판의 일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기판(191)과 메인기판의 연결방법은 제한이 없지만,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driving
구동기판(191)은 평판구조를 가지고, 전원모듈(140)의 메인기판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안테나 소자(192)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이를 구동기판(191)의 구동소자 등에 전달하게 된다. 안테나 소자(192)는 무선 통신모듈(190)에서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92)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92)는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impedance)에서 공진한다.The
구체적으로, 안테나 소자(192)는 패치(patch) 타입으로 형성된 다음, 구동기판(191)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소자(192)는 구동기판(191)에 도전성 잉크로 드로잉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소자(192)는 구동기판(191)에 패터닝(patterning)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192)는 바(bar) 타입, 미앤더(meander) 타입, 스파이럴(spiral) 타입, 스텝(step) 타입 또는 루프(loop)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그리고, 안테나 소자(192)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92)는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통신모듈(190)이 전원모듈(140)과 함께 조명기기의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전원모듈(1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무선 통신모듈(190)의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When the
또한, 조명기기의 대부분은 천정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데, 조명기기의 전원모듈(140)과 무선 통신모듈(190)이 천정의 내부에 매립되어서, 무선 통신모듈(190)과 단말기(200) 간의 통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The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의 무선 통신모듈(190)은 몸체(180)의 일면(181)에 노출된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무선 통신모듈(190)이 몸체(180)의 일면(181)에 노출되면, 일면(181)은 광원(110)이 위치되는 면으로, 천장 등에 매립 시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자연히 무선 통신모듈(190)도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무선 통신모듈(190)이 몸체(180)의 일면(181)에 노출되는 경우, 단말기(200)와 통신성능이 향상되고, 전원모듈(1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불량의 염려가 없고, 무선 통신모듈(190)의 방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예를 들면, 무선 통신모듈(190)의 일단은 전원모듈(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통신홀(183)을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기판(191)의 일단은 전원모듈(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통신홀(183)을 관통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무선 통신모듈(190)은 통신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몸체(180)의 일면(181) 보다 상부로 돌출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모듈(190)의 타단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평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The
무선 통신모듈(190)이 광원(110)이 위치되는 몸체(180)의 일면(181)으로 노출되는 경우, 몸체(180)의 일면(181)은 광원(110)이 위치되고, 광원(110)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발광영역이 줄어들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무선 통신모듈(190)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부에서 보아 평면적이 적은 면이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기판(191)이 판형상을 가지고, 면적이 넓은 면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면적이 가장 적은 면(구동기판(191)의 측면)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80)의 일면(181) 상에서, 무선 통신모듈(190)이 차지하는 면적이 줄게 되므로, 무선 통신모듈(190)에 의해 발광면적이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다만, 상술한 수평 또는 수직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에서 완전한 수평 또는 수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오차를 포함하는 범위의 수평을 의미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horizontal or vertical meaning does not mean complete horizontal or vertical in the mathematical sense, but means a horizontal range including an error.
무선 통신모듈(190)은 일부가 통신홀(183)에 수용되며, 다른 일부가 통신홀(183)을 관통하게 위치된다.The
무선 통신모듈(190)은 몸체(180)의 일면(181)의 중심에 위치되고, 광원(110)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서, 무선 통신모듈(190)이 위치되더라도 충분한 광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한편, 몸체(180)가 도전체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통신모듈(190)의 송수신 성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모듈(190)과 통신홀(183)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명기기의 음향 진행 경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acoustic path of th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100)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조명기기(100)는 지정된 공간을 조명한다. 이 때, 조명기기(100)에 설치된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지정된 공간에 집중될 필요성이 존재한다.The
따라서,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생성된 음향을 일 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일 방향으로 오픈된 형상으로 내부에 적어도 음향 출력모듈(318)이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지향성 음향 가이드(40)의 내부에는 음향 출력모듈(318) 및 광원(110)이 수용된다.Thus, the directional
물론,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광원(110)에서 생성된 빛을 일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내면은 반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은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Of course, the directional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반구 형상 또는 단면 상 반원 형상을 가진다.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아래로 오목한 반구 형태이다.The directional
더욱 구체적으로,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점거리 P인 포물선(y2 = 4px)을 형성한다. 이 때, 초점거리는 음향 출력모듈(318)과 지향성 음향 가이드(40)의 중심과의 직선거리로 정의된다. 즉, 음향 출력모듈(318)은 지향 성 음향 가이드가 형성하는 포물선의 초점에 위치된다.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에 위치된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생성된 음파는 지향성 음향 가이드(40)에 반사되어서 상방으로 평행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를 사용하면 타켓 영역에만 음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의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광원(110)에서 생성되는 빛을 상방으로 가이드하고, 조명기기(100)에서 생성된 음향을 상부로 가이드하여서, 각각의 조명기기사 설치된 영역 별로 다른 분위기의 밝기, 색상, 음향을 조절할 수 있다.6, the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바람직하게는, 초점거리(P)는 지향성 음향 가이드(40)의 높이(h) 보다 작고, 음향 출력모듈(318)은 상술한 흡음벽(22)에 의해 음향 출력모듈(318) 보다 하방으로 음향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출력되는 음파는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하방으로 방사형으로 퍼지게 되고, 그 방사각은 180˚ 보다 작다.Preferably, the focal length P is less than the height h of the directional
전원모듈(140)은 외부전원과 케이블(30)을 통해 연결된다. 물론, 케이블(30)은 조명기기(10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블(30)은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를 외부의 지지체에 고정할 수 있다.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읠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조명기기를 지지하는 서포터와, 광학커버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illumin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further includes a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illuminating device and an optical cover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서포터는 조명기기를 지면 또는 테이블에 지지한다. 예를 들면, 서포터는 조명기기에 연결된 아암(62)과 아암(62)이 고정되고,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지지판(61)을 포함한다.The supporter supports the lighting equipment on a floor or table. For example, the supporter includes a
이 때, 지지판(61)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명령 입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명령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명령 입력부를 통해 명령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정보에 대응되도록 조명기기(100)가 제어된다.At this time, the
명령 입력부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지지판(61)에 형성된 버튼(311a),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mmand input unit includes a mechanical input unit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에 명령정보를 입력하면(상세히는, 지지판(61)에 형성된 버튼을 클릭하면) 조명기기의 온/오프, 조명기기의 밝기, 조명기기의 색상 및 음향 출력모듈(318)의 온/오프 등이 제어된다.When the user inputs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and input unit (specifically, when the button formed on the
광학커버는 적어도 일영역이 오픈되고, 다른 일 영역은 조명기기를 차폐 또는 반차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커버는 위와 아래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광학커버는 광 투과율이 낮은 재료가 선택된다.
The optical cov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area is open and another area is shielded or semi-shielded. For example, the optical cover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open top and bottom. A material having a low light transmittance is selected as the optical cov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FIG. 8 illustrates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llustrates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복수 개의 조명기기(100a~100n)를 포함한다.8 to 10,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조명기기(100a~100n)들은 각각 광원(110)과, 무선 통신모듈(190)과, 음향 출력모듈(318)과, 조명 제어모듈(312)을 포함한다. 광원(110), 무선 통신모듈(190) 및 음향 출력모듈(318)은 특별히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같다.Each of the
복수 개의 조명기기(100a~100n)는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을 밝히거나, 해당 영역을 장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조명기기(100a~100n)는 다수의 공간(room)(R1-R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독립된 공간(room)(R1-R3)에 조명기기(100a~100n)가 단수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one or
조명기기(100a~100n)은 LED(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될 수 있다.An LED (Light Emitting Diode) may be applied to the
여기서, 다수의 LED가 모두 백색광을 발광하여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LED들을 조합하여 특정 색상의 조명 또는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조명은 조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나, LED는 인가되는 전류 양과 구동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LED의 조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 G, B 색상의 LED들이 조합되어 설치된 경우, 특정 공간에 특정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색 온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LEDs can emit white light to provide white illumination, and red, green, and blue LEDs can be combined to provide specific color illumination or white illumination . Conventional analog lighting has a limitation in precisely controlling the illuminance, but the LED can precisely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and the width of the driving pulse. In addition, when LEDs of R, G, and B colors are installed in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llumination of a specific color in a specific space, and to easily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일 예로서, LED를 구동 전류를 8비트로 조절하면, LED를 256 계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 G, B 색상의 LED들에 대한 색 온도의 조절도 선택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계조의 조절 및 색 온도 조절은 개별 LED 뿐만 아니라, 일정 개수의 LED들 단위 및 특정 공간에 설치된 전체 LED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이루질 수 있다.As an example, if the driving current of the LED is adjusted to 8 bits, the LED can be adjusted to 256 gradations. Also, the adjustment of the color temperature for the R, G, B color LEDs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This adjustment of the gray scale and the adjustment of the color temperature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not only for the individual LED but also for a certain number of LED units and for all LEDs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이를 통해, LED가 조명으로 적용된 공간에 높은 품질을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조명 제공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LED can provide a high quality illumination to the space where the illumination is applied, and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an be reduced.
조명 제어모듈(312)은 입력되는 명령정도 또는/및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조명기기(100a~100n)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의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어,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고, 조명기기(100a~100n)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의 조명 제어모듈(312)이 모든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조명 제어모듈(312)은 광원(110)의 밝기, 색상, 온/오프 시간 및 온/오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음향 출력모듈(318)을 제어한다.The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의 메인 제어부(21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조명기기(100a~100n)의 밝기, 색상, 온/오프 시간 및 온/오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이때,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된 동작정보를 기초로 조명기기(100a~1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조명기기(100a~100n)들은 조명기기(100a~100n)의 주변의 정보를 센싱하는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기기(100a~100n)는 조명 조도감지 센서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식센서를 더 포함한다.The illuminating
조명 조도감지 센서는 조명기기(100a~100n) 주변의 밝기, 온/오프 여부, 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서 조명 제어모듈(312)에 제공한다. 이러한 조명의 조도 정보는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해 메인 제어부(210)로 출력된다. 이러한 조명 상태 정보는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40)로 출력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intensity detection sensor senses information on the brightness and on / off status of the surroundings of the
인식센서는 조명기기(100a~100n)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서 조명 제어모듈(312)에 제공한다. 인식센서는 접근하는 사용자 또는/및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구성된다.The recognition sensor senses a user approaching to the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detection surface,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Examples of proximity sensors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의 통신모듈(23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The
무선 통신모듈(190)은 메인 제어부(210)의 제어신호를 통신모듈(230)로부터 수신하여 조명 제어모듈(312)로 출력할 수 있고, 조명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모듈(23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무선 통신모듈(190)은 상술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사용된다.The
조명 메모리(316)는 조명기기(100a~100n)의 제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The
구체적으로, 단말기(200)에 조명기기(100a~100n)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면, 단말기(200)가 조명기기(100a~100n)와 통신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 경우, 조명기기(100a~100n)가 작동을 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메모리(316)에는 조명기기(100a~100n)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서, 단말기(200)가 조명기기(100a~100n)에서 통신 가능한 거리 외에 존재하더라도, 설정된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 of the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 메모리(316)에는 조명기기(100a~100n)의 밝기, 온/오프 여부, 색상 및 온/오프 시간에 대한 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조명 메모리(316)에는 보안모듈(317)의 비밀번호가 저장될 수도 있다.Also, the password of the
단말기(200)는 조명 제어모듈(312)이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들이 조명기기(100a~100n)의 제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allow the
또한,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아 주변의 조명기기(100a~100n)를 검색하고, 조명기기(100a~100n)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며,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and searches for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단말기(200)는 휴대용기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단말기(200)는 조명기기(100a~100n)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9,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휴대용기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용 기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단말기(200)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기(200)는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bar-type portable device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bar-type portable device, and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ll types of portable device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yp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말기(200)는 빛을 감지하는 카메라(421a), 각종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240)는 레이어 구조로 중첩된 터치패널를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스피커(4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광감지장치(421a)는 카메라일 수 있다. 마이크(4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단말기(200)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는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는 통화, 마우스 포인트 이동이나 화면 스크롤,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portable device,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사용자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10 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단말기(2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240)와, 조명 제어모듈(312) 및 보안모듈(317)과 통신되는 통신모듈(230)과,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260) 및 조명 제어모듈(312)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제어부(210)와,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10,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includes a
또한, 단말기(200)는 전원부(280)에서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의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서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이를 실행하여서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200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The
디스플레이부(240)는 메인 제어부(2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시각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검색된 조명기기(100a~100n)들과 조명기기(100a~100n)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디스플레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조명기기(100a~100n)의 정보와 조명기기(100a~100n)의 제어정보를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화면이 구현되고,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a UI (USER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메인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메인 제어부(210)의 동작 중,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메인 메모리(220)에는 메인 제어부(210)와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메인 제어부(210)가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메인 메모리(220)가 저장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검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The
메인 메모리(220)에는 조명기기(100a~100n)를 동작시키는 방식에 관한 동작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동작정보는 조명기기(100a~100n)의 점등 여부, 점멸 방식 또는 색상 변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220)에는 기존에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조명 제어모듈(312)을 제어했던 방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26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다. 사용자의 제어명령은 메인 제어부(210)에서 제어신호로 생성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60)는 단말기(200)에 버튼 방식으로 구현된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통신모듈(230)은 조명 제어모듈(312) 및 보안모듈(317)과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230)은 메인 제어부(2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조명 제어모듈(312)과 보안모듈(317)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조명 제어모듈(312)과 보안모듈(317)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21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모듈(230)은 무선 통신모듈(190)와 통신을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통신모듈(23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통신모듈(230)은 비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또한, 모션 감지부(290)와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도감지 센서(295)는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고, 단말기(200)의 주변에 위치된 조명기기(100a~100n)의 조도가 측정되고 이를 단말기(200)의 주위의 조도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출력한다.The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의 가속도, 단말기(200)의 가속도의 방향, 단말기(200)의 움직인 시간을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메인 제어부(210)로 출력한다.Specifically, the
더욱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가 기설정된 가속도 값을 초과하게 움직이는 경우, 감지결과를 메인 제어부(210)에 제공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예를 들면, 모션 감지부(290)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및 중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42)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이로스코프에는 기계식 자이로스코프, 고리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다. 자이로센서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단말기(2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중력센서는 단말기(20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중력센서는 무게추를 가변저항에 연결하고 회전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현재 단말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거나, 중심부에 도전성 물체를 두고, 회전에 대응하여 도전성 물체가 접촉된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The
예를 들면,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 또는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구체적으로,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값에 대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210)에 제공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메인 제어부(210)는 모션 감지부(290)와, 조도감지 센서(295)의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단말기(200)(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멀티미디어 재생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메인 제어부(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메인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 감지와,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에 대응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메인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온 상태의 조명기기(100a~100n)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판단하고, 조명기기(100a~100n)를 오프(Off)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모듈(230)은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모듈(190)에 송신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모듈(190)은 조명 제어모듈(312)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를 입력 받은 조명 제어모듈(312)은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조명기기(100a~100n)를 온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식센서는 사용자가 접근에 대한 신호를 조명 제어모듈(312)에 출력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인식센서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조명기기(100a~100n)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지 판단하고, 조명기기(100a~100n)를 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사용자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100a)만을 온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음향 출력모듈(318)을 통해 미리 저장된 음향을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식센서는 사용자가 접근에 대한 신호를 조명 제어모듈(312)에 출력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인식센서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조명기기(100a~100n)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지 판단하고, 음향 출력모듈(318)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사용자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에서만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In another example, when the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서, 음향 출력모듈(318)을 통해 주위 조도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시간에 따라 조명기기(100a~100n)의 밝기 및 색상 또는/및 음향 출력모듈(318)의 음향의 종류 및 출력여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타이머의 시간에 따라 조명기기(100a~100n)의 밝기 및 색상 또는/및 음향 출력모듈(318)의 음향의 종류 및 출력여부를 제어한다.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제1감도 값)을 초과하는 조명기기(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기(200)와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 사이의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은, 실험적으로 단말기(200)와 조명기기(100a~100n) 사이의 거리가 대략 2 미터 내지 5 미터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에 근접한 조명기기(100a~100n)의 광원(110) 또는/및 음향 출력모듈(318)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예를 들면, 100a)를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100a)의 광원을 온(on)시키거나 색상을 제어한다. In another example, the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예를 들면, 100a)를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이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복수개의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동일한 음향 데이터의 동일한 프레임의 음향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들고 이동하더라도, 사용자 주변에 조명과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들고 이동하더라도, 연속된 음향을 들을 수 있다.The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 개의 조명기기(100a~100n) 중 기설정된 감도 값 미만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가지고 작동 중인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조명기기(예를 들면, 100a)를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 또는/및 광원(110)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The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의 음향 출력모듈(318)의 출력강도를 무선 통신 감도 값에 비례하여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을 초과하는 감도값을 가지는 조명기기(100a~100n)들을 판단하고, 이들 조명기기(100a~100n)들의 음 향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강도는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이 클수록 크게 제어된다. The
보안모듈(317)은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어 단말기(200)와의 보안 페어링(pairing)과정을 통해 제어권한이 있는 단말기(200)의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The
또한, 보안모듈(317)은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며, 보안모듈(317)과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단말기(200)에 대하여 보안 페어링을 실행할 수 있다. 보안모듈(317)은 별도의 통신부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무선 통신모듈(190)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구체적으로,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조명기기(100a~100n)의 무선 통신모듈(190)을 검색하면, 여러 개의 장치가 검색되게 된다. 일반 가정의 경우 조명기기(100a~100n) 이외에도 근접한 이웃집의 조명기기(미도시)가 검색될 수도 있다. 또한 근접통신 모듈이 장착된 모든 장치가 검색되므로, 보안 페어링이 필요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보안모듈(317)은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어 단말기(200)와의 보안 페어링(pairing)과정을 통해 제어권한이 있는 단말기(200)의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하게 된다.The
구체적으로, 보안 페어링을 위한 인증 버튼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오브젝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보안 페어링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an authentication button for security pairing may be implemented as an object on the
보안모듈(317)은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단말기(200)에 대하여 보안 페어링을 실행할 수 있다.The
다른 페어링 방법으로는 단말기(200)를 무선 통신모듈(190)에 근접시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일정레벨이상 강하게 인식되는 조명기기(100a~100n)가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부(260)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단말기(200)의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As another pairing method, the
이러한 비밀번호는 조명 메모리(316)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Such a password may be encrypted and stored in the
이러한 페어링 방법을 이용한 등록시에는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등록하고 제어권이 없는 다른 사람의 등록을 제한할 수 있다.At the time of registration using such a pairing method, a password can be transmitted and registered, and registration of another person having no control right can be restricted.
더욱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210)가 보안 페어링을 통해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획득한 경우, 조명 제어 메뉴(미도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권한을 획득한 경우, 메인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조명 제어 메뉴(630)를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고,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한 정보를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할 수 있다. The
따라서, 단말기(200)가 조명기기(100a~100n)에서 통신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거나,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경우에도,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이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되어서, 자동으로 조명기기(100a~100n)가 온(On)/오프(Off)될 수 있다. 부재 중에 가정에 사람이 존재한다고 주변에 인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Therefore, the on / off times of th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의 조명 제어 메뉴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입력부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모듈(230)은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모듈(190)에 송신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모듈(190)은 조명 제어모듈(312)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를 입력 받은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고,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한 정보를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through the illumination control menu of the
또한,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은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랜덤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기기(100a~100n)의 온/오프 뿐만 아니고, 밝기, 디밍, 색상의 변환이 설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n / off times of the
그리고,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된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Information on the on / off times o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to 14 are diagrams showing a use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와 연결된 조명기기(100a~100n)를 감지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이후,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와 조명기기(100a~100n)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근거로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한다.The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각각의 조명기기와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한다.(S210) Specifically, the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초과하는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221) 또는,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초과하지 않는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S222)The
이후, 조명 제어모듈(312)은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와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긴 감도값을 비교한다.(S230)Then, the
이후, 조명 제어모듈(312)은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의 음향 출력모듈(318)의 출력강도를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의 무선 통신 감도 값에 비례하여 제어한다.(S240) The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초과하는 조명기기(100a)의 광원(110)이 온되로록 제어한다.(S250) 따라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의 이동에 따라 주변의 조명이 제어되고, 단말기(200)의 주변으로 음향이 출력된다. The
예를 들면, 메인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온 상태의 조명기기(100a~100n)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가 유동되는지 판단한다.(S260) 구체적으로, 단말기(200)의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조명 제어모듈(312)에 출력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판단한다.The
도 14를 참조하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외부의 단말기(200)가 유동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200)의 주변의 조명기기(100)의 광원(110)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경우 단말기(200)가 유동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소정의 무선 통신 감도값을 가지는 조명기기(100a)의 광원(110)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14,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를 참조하면, 단말기(200)의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관리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실행된다(S10).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 management application (not shown) stored in the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조명기기(100a~100n)를 검색한다(S15). 구체적으로, 단말기(200)의 통신모듈(230)과 무선 통신모듈(190)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일정 레벨(제2감도 값(제1감도 값 보다 작은 값))을 초과하는 조명기기(100a~100n)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the terminal 200 searches for the
단말기(200)는 검색된 조명기기(100a~100n)에 대한 보안 페어링 과정을 통해 조명기기(100a~100n)에 대한 제어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S20). 구체적으로, 보안모듈(317)이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어 단말기(200)와의 보안 페어링(pairing)과정을 통해 제어권한이 있는 단말기(200)의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하게 된다.The terminal 200 can acquire the control right for the
더욱 구체적으로, 보안 페어링을 위한 인증 버튼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오브젝트로 구현될 수 있고,. 인증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비밀번호 입력창이 활성화 되고, 사용자 입력부(260)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단말기(200)의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n authentication button for security pairing may be implemented as an object on the
단말기(200)가 보안 페어링을 통해 조명 제어모듈(312)(조명 기기)에 대한 제어권한을 획득한 경우, 메인 제어부(210)는 조명 제어 메뉴(630)를 활성화할 수 있다(S30). 예를 들면, 제어권한을 획득한 경우, 메인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조명 제어 메뉴(630)의 오프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권한을 획득하지 못한 단말기(200)의 경우 조명 제어 메뉴(630)가 활성화되지 않아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The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조명 제어 메뉴(630)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S4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의 조명 제어 메뉴(630)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 밝기, 온/오프 여부, 및 색상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모듈(230)은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모듈(190)에 송신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모듈(190)는 조명 제어부(113,123,133)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를 입력 받은 조명 제어부(113,123,133)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이동 단말기의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이전에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조명 제어모듈(312)을 제어했던 방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S50).When the illumination control menu 630 is activated by the
또한, 조명 메모리(316)에는 조명기기(100a~100n)의 밝기, 온/오프 여부, 색상 및 온/오프 시간에 대한 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Claims (21)
내부에 상기 전원모듈이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명기기.A power modul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A body in which the power module is located;
A light sourc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to generate light;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of the light source.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노출되는 조명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ex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소자와,
상기 안테나 소자를 지지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기판을 포함하는 조명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 antenna ele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And a driving substrate for supporting the antenna element and supplying power.
상기 광원은,
적어도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발광소자와,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발광소자와,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includes:
A red light emitting element emitting at least red light,
A green light emitting element for emitting green light,
And a blue light emitting element for emitting blue light.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coustic output module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outputting sound.
상기 몸체에는 상기 음향 출력모듈에서 생성된 음향이 방출되는 사운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홀은 상기 몸체의 일면과 대향되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조명기기.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ody further includes a sound hole through which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output module is emitted,
Wherein the sound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body.
상기 음향 출력모듈에서 생성된 음향을 일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지향성 음향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directional acoustic guide for guid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output module in one direction.
상기 지향성 음향 가이드는 반구형인 조명기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rectional acoustic guide is hemispherical.
상기 지향성 음향 가이드는 단면 상에서 상기 음향 출력모듈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선의 일부를 형성하는 조명기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rectional acoustic guide forms a part of a parabola that focuses on the acoustic output module on a cross section.
상기 광원을 온/오프 시키거나 상기 광원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ing control module for turning on / off the light source 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light source.
상기 광원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기설정된 거리로 접근하는 것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원을 온시키는 조명기기.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 approaching the light source,
Wherein the lighting control module turns on the light source when the user is detected to approach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recognition sensor.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기설정된 거리로 접근하는 것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음향 출력모듈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조명기기.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n acoustic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sound,
Wherein the illumination control module outputs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when the user is detected to approach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recognition sensor.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타이머의 시간에 따라 상기 광원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조명기기.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timer for counting time,
Wherein the lighting control module controls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timer.
상기 광원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명 조도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조명 조도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을 온/오프 시키거나 상기 광원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조명기기.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nce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illuminance around the light source,
Wherein the illumination control module turns on / off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illumin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llumination intensity detection sensor, or controls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light source.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기의 무선 통신모듈과 상기 외부의 단말기는 무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기 중 상기 외부 단말기와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조명기기의 음향 출력모듈을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of the light source to / from an external terminal, an audio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sou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light source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including a lighting control module,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nd the external terminal are connected by a silent communication method,
Wherein the lighting control module controls the sound output module of the lighting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with the external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기 중 기설정된 감도값을 초과하는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가지는 조명기기의 음향 출력모듈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llumination control module comprises:
Wherein the sound output module of the lighting device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exceeding a predetermined sensitivity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기 중 기설정된 감도 값 미만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가지는 작동 중인 조명기기의 음향 출력모듈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llumination control module comprises:
And controls the sound output module of an operating lighting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less than a preset sensitivity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to be turned off.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기의 음향 출력모듈의 출력강도를 상기 무선 통신 감도 값에 비례하여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llumination control module comprises:
And controls an output intensity of an acoustic output module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in propor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기 중 상기 외부 단말기와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조명기기의 광원을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lighting control module controls a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with the external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기는 복수 개의 서로 독립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조명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lurality of illuminators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a plurality of mutually independent spaces.
상기 복수 개의 조명기기의 음향 출력모듈은 동일한 음향을 출력하는 조명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ound output modules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output the same sou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6998A KR20170069594A (en) | 2015-12-11 | 2015-12-11 | Ligh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6998A KR20170069594A (en) | 2015-12-11 | 2015-12-11 | Ligh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9594A true KR20170069594A (en) | 2017-06-21 |
Family
ID=5928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6998A Ceased KR20170069594A (en) | 2015-12-11 | 2015-12-11 | Ligh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69594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73656A (en) * | 2019-06-18 | 2019-08-27 | 莫介文 | LED lamp based on Bluetooth control and use method thereof |
-
2015
- 2015-12-11 KR KR1020150176998A patent/KR2017006959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73656A (en) * | 2019-06-18 | 2019-08-27 | 莫介文 | LED lamp based on Bluetooth control and use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97819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based on user manipulation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 |
US8872442B2 (en) | Illumination system | |
RU2663206C2 (en) | Lighting control via a mobile computing device | |
ES2651920T3 (en) | Lighting system with user interface with position knowledge | |
RU2707874C2 (en) | Lighting control based on proximity | |
JP634570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 |
US10772171B2 (en) | Directional lighting system and method | |
US9921557B2 (en) |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 |
EP2391189B1 (en) | Lighting remote control system | |
US9453615B2 (en) | Sensing type lighting device with electromagnetic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611842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 |
EP2506686A2 (en) | Illumination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 |
KR20140092616A (en) | Lighting apparatus | |
EP3222117B1 (en) |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KR100726420B1 (en) | Mobile Phones with Hidden Camera Detection | |
KR102014522B1 (en) | Smart lighting device | |
KR20170069593A (en) | Lighting device system | |
KR20170069594A (en) | Lighting device | |
KR20170076079A (en) | Lighting device | |
KR102077244B1 (en) | Light device for allowing to switch light emitting mode using gyro sensor | |
KR20150042023A (en) | Lamp control system | |
KR20150033984A (en) | Lamp control system | |
CN222230283U (en) | Height-adjustable lighting device | |
JP2017112070A (en) | Lighting fix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8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