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049A - Application auto activ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lication auto activ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8049A KR20170068049A KR1020150174779A KR20150174779A KR20170068049A KR 20170068049 A KR20170068049 A KR 20170068049A KR 1020150174779 A KR1020150174779 A KR 1020150174779A KR 20150174779 A KR20150174779 A KR 20150174779A KR 20170068049 A KR20170068049 A KR 201700680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ger
- application
- shape
- terminal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6F9/442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 G06K9/000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모양을 인식하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모양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11)와; 등록된 손가락모양에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1:1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매칭부(12)와; 단말기(1)에 근접하게 손가락이 위치하였는지를 인식하고 손가락모양을 확인하는 손가락모양 인식부(13)와; 손가락모양 인식부(13)에서 단말기(1)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모양이 확인되면 확인된 손가락모양에 매칭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와;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에 의해서 확인된 손가락의 모양에 일치되는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기(1)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automatic driv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gistering an application by recognizing the shape of a finger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f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comprising: a finger image management unit (11) for register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finger of a user; An application matching unit 12 for matching and storing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terminal 1 in a registered finger shape at a ratio of 1: 1; A finger recognition unit (13) for recognizing whether a finger is positioned close to the terminal (1) and confirming the finger shape; A matching application checking unit 14 for confirming the application matched to the identified finger shape when the finger shape recognizing unit 13 confirms the shape of a finger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1; And an application driving unit (15) for executing a registered application matching the shape of the finger identified by the matching application checking unit (14) and displaying the registered application on the terminal (1).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모양을 인식하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automatic driv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gistering an application by recognizing the shape of a finger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스마트위치, 태블릿 등의 단말기가 보편화되어 있으며, 단말기에는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smart locations, and tablets are popularized, and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are installed in the terminals.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아이콘 등을 선택하면 구동되어 각종 정보를 보여주게 된다. 특히 단말기에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가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수 존재한다.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is driven when the user selects an icon or the like, and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applications downloaded and installed by the user.
일반적인 단말기들은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 표시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어 슬리핑 상태로 변경하게 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단말기를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로 이동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필수로 거치게 된다.In general, even if an application is displayed on a screen, general terminals are automatically turned off to be in a sleeping state if the user does not continuously touch the screen. To operate the application, the user sequentially operates the terminal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application The process is essential.
그러나, 급히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을 찾아가는 과정이 복잡하면 구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rive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run in a hurry, if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application is complica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모양을 인식하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lication automatic driv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gistering an application by recognizing a shape of a finger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모양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재(11)와; 등록된 손가락모양에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1:1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매칭부(12)와; 단말기(1)에 근접하게 손가락이 위치하였는지를 인식하고 손가락모양을 확인하는 손가락모양 인식부(13)와; 손가락모양 인식부(13)에서 단말기(1)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모양이 확인되면 확인된 손가락모양에 매칭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와;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에 의해서 확인된 손가락의 모양에 일치되는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기(1)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f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comprising: a finger image management member (11) for register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finger of a user; An
바람직하게, 단말기에서 손가락모양이 인식되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자동구동 설정부(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바람직하게, 손가락모양은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nger shape includes a moving direction of the finger shape.
바람직하게,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11)는 저장되는 손가락모양을 표준 손가락모양을 등록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손가락모양을 등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nger
바람직하게, 단말기에는 근접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손가락모양 인식부(13)는 단말기(1)에 내장된 근접센서(2)를 통해서 단말기(1)에 근접하게 손가락이 위치하였는지를 인식하고 손가락모양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erminal includes a proximity sensor, and the
바람직하게, 손가락모양 인식부(13)는 단말기(1)에 내장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손가락모양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nger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는 단말기를 터치하지 않으면서 단말기의 전방에 손가락을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activating a registered application by simply placing a finger in front of the terminal without touching the terminal.
또한, 단말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따라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gistered application can be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nger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로 손가락모양을 인식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 과정의 흐름도.1 is a schematic view of an automatic application apparatus for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application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ample of recognition of a finger shape by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ving direction of a finger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n automatic application driv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n automatic appl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10)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PC 등의 단말기(1)에 설치되면서 단말기(1)의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을 인식하고, 손가락에 대응되게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는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2)는 세로 및 가로로 다수개가 디스플레이화면의 후면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화면의 인접한 부근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다. 단말기(1)는 근접센서(2)를 이용하여 단말기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을 확인하거나 또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손가락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10)는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11), 어플리케이션 매칭부(12), 손가락모양 인식부(13),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 자동구동 설정부(16)를 포함한다. 단말기(1)의 전방에 근접하는 손가락을 확인하기 위하여 근접센서(2; Proximity Sensor)가 내장된다. 2, the application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11)는 사용자의 손가락모양 또는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에 정보를 등록받아 손가락모양DB(11-1)에 저장한다. 이때, 등록되는 손가락모양은 표준 손가락모양을 등록받거나 또는 손가락모양 인식부(13)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직접 손가락모양을 등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은 세로방향, 가로방향, 대각방향 등을 포함한다. 이때, 손가락모양의 이동은 손가락모양이 인식된 후에 이동하여 다른 위치에서 인식되면 손가락이 이동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finger
어플리케이션 매칭부(12)는 등록된 손가락모양에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1:1로 매칭시켜 손가락모양-어플리케이션DB(12-1)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모양이 검지의 1개 손가락모양인 경우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키고, 이러한 검지와 중지의 2개 손가락모양인 경우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키고, 중지, 약지, 소지의 3개 손가락모양인 경우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키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모양인 경우에 쿠폰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키고, 5개의 손가락 모양인 경우에 교통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검지가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손가락모양은 왼손, 오른손을 구별하고,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손가락모양을 조합할 수 있다. 손가락모양을 조합하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다수개 존재하더라도 모두 매칭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손가락모양 인식부(13)는 단말기(1)에 근접하게 손가락이 위치하였는지를 인식하고 손가락모양을 확인한다. 손가락모양 인식부(13)는 단말기(1)에 내장된 근접센서(2)를 통해서 단말기(1)에 근접하게 손가락이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단말기(1)에 내장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손가락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The finger
이때, 단말기(1)에 내장된 근접센서(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배열로 배치된 근접센서(2)에서 단말기(1)에 근접한 손가락모양에 따라 변화되는 교류자계의 변화, 정자계의 변화 등을 확인하여 근접한 모양을 확인할 수 있고, 근접한 모양을 기등록된 손가락모양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손가락모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또한, 단말기(1)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손가락모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전방에 손가락이 위치하면 단말기의 근접센서에서 손가락모양을 인식하게 된다(예를 들면, 2초 동안 손가락모양이 유지되는 경우에만 손가락모양으로 인식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전방에서 손가락모양이 인식된 후에 기준시간 이내에 이동하면 손가락이 이동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손가락모양의 인식된 이후 1초 이내에 다른 위치에서 인식되면 손가락이 이동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는 손가락모양 인식부(13)에서 단말기(1)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모양이 확인되면 손가락모양-어플리케이션DB(12-1)를 검색하여 확인된 손가락모양에 매칭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When the shape of the finger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1 is confirmed in the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는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에 의해서 확인된 손가락의 모양에 일치되는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기(1)에 표시한다.The
자동구동 설정부(16)는 단말기에서 손가락모양이 인식되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자동구동 설정부(16)를 통해서 ON으로 설정되면 손가락모양을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고, OFF로 설정되면 손가락모양을 인식하지 않아 일반 단말기(1)로 사용하게 된다.The automatic
이에 따라 단말기(1)를 터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단말기(1) 전방의 손가락 동작으로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검지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이러한 검지손가락으로 매칭된 인터넷 프로그램이 실행되며, 인터넷 프로그램이 출력되는 동안에 검지와 중지의 V자 형상이 인식되면 검지와 중지의 V자 형상으로 등록된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된다. 이때, 단말기에서 이미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에도 최근에 인식된 손가락모양에 매칭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1 can be executed by a finger operation in front of the terminal 1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 is not touched. For example, when the index finger is positioned, the Internet program matched with the index finger is executed, and when the V shape of the detection and stop is recognized while the Internet program is being output, the music application registered in the V- Is execu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application matching the recently recognized finger shape is displayed on the screen even when another application is already executed in the terminal.
이하,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automatic application driv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먼저,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1)에 설치되면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11)는 손가락모양에 정보를 등록받아 손가락모양DB(11-1)에 저장한다(단계 S101). 이때, 등록되는 손가락모양은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가 단말기(1)에 설치되는 경우에 표준 손가락모양으로 함께 제공되거나 손가락모양 인식부(13)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가락모양을 등록받을 수도 있다. First, when the application automatic driving device is installed in a terminal 1 such as a smart phone, the finger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1)에 인터넷 실행, 달력 등의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교통 어플리케이션, 쿠폰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매칭부(12)를 통해서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손가락모양 또는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에 매칭시켜 손가락모양-어플리케이션DB에 저장한다(단계 S102). 이때, 어플리케이션이 매칭되는 손가락모양은 왼손, 오른손을 구별하고,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손가락모양을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n Internet application, a calendar application, a music application, a traffic application, and a coupon management application 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1 of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the user inputs the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11)는 사용자의 손가락모양 또는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에 정보를 등록받아 손가락모양DB(11-1)에 저장한다. 이때, 등록되는 손가락모양은 표준 손가락모양을 등록받거나 또는 손가락모양 인식부(13)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직접 손가락모양을 등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은 세로방향, 가로방향, 대각방향 등을 포함하고, 손가락모양의 이동은 손가락모양이 인식된 후에 기준시간 이내에 이동하여 다른 위치에서 손가락모양이 인식되면 손가락이 이동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2초 손가락모양의 인식된 이후 1초 이내에 다른 위치에서 인식되면 손가락이 이동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finger
이와 같이 단말기(1)에 설치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손가락모양에 매칭된 상태에서 단말기(1)에 내장된 근접센서(2)를 통해서 단말기(1)의 전방에 위치하는 모양 중에서 손가락모양을 확인한다(단계 S103). 이때, 근접센서(2)의 작동은 단말기(1)가 전원버튼 또는 홈버튼이 눌러져 슬리핑상태에서 해제된 경우에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손가락모양은 근접센서(2)에서 교류자계의 변화, 정자계의 변화 등을 확인하여 손가락모양인지를 확인하게 된다.In this way, each of the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terminal 1 is matched to the finger shape, and the finger shape is confirmed from the shape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1 through the
근접센서(2)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가락모양이 확인되면 손가락모양 또는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치되는 기 등록된 손가락 모양 또는 손가락모양의 이동방향을 확인하고(단계 S104), 일치되는 기 등록된 손가락모양이 확인되면, 손가락모양-어플리케이션DB(12-1)를 검색하여 매칭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단계 S105).When the shape of the user's finger is confirmed through the
그리고, 확인결과 확인된 손가락모양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확인되면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단계 S106).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1)에 표시되게 된다(단계 S107).Then, when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finger shape is confirmed, the identified application is executed (step S106). And the executed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1 (step S107).
이에 따라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경우에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있게 있다. 예를 들면, 음식점에서 쿠폰을 확인하기 위해서 쿠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단말기(1) 전방에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모양을 위치시키면 표 1과 같이 매칭된 쿠폰 어플리케이션이 즉시 실행되게 되고, 검지의 1개 손가락모양을 위치시키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즉시 실행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1 is activated, the user can easily display the screen on the screen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equentially moving the application to the location of the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a coupon application is executed in order to check a coupon at a restaurant, if the four finger shapes of the index finger, the stop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and finger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terminal 1, And placing the index finger on the index finger, the Internet application is immediately execu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단말기
2 : 근접센서
3 : 카메라
11 :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
12 : 어플리케이션 매칭부
13 : 손가락모양 인식부
14 :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
15 :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16 : 자동구동 설정부1: terminal 2: proximity sensor
3: camera 11: finger image management unit
12: application matching unit 13: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4: matching application checking unit 15: application driving unit
16: Automatic drive setting unit
Claims (7)
사용자의 손가락모양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손가락 이미지 관리부(11)와;
등록된 손가락모양에 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1:1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매칭부(12)와;
단말기(1)에 근접하게 손가락이 위치하였는지를 인식하고 손가락모양을 확인하는 손가락모양 인식부(13)와;
손가락모양 인식부(13)에서 단말기(1) 전방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모양이 확인되면 확인된 손가락모양에 매칭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와;
매칭어플리케이션 확인부(14)에 의해서 확인된 손가락의 모양에 일치되는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기(1)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자동구동장치.
1. An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f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A finger image management unit 11 for register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 the shape of a user's finger;
An application matching unit 12 for matching and storing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terminal 1 in a registered finger shape at a ratio of 1: 1;
A finger recognition unit (13) for recognizing whether a finger is positioned close to the terminal (1) and confirming the finger shape;
A matching application checking unit 14 for confirming the application matched to the identified finger shape when the finger shape recognizing unit 13 confirms the shape of a finger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1;
And an application driving unit (15) for executing the registered application matching the shape of the finger identified by the matching application checking unit (14) and displaying the registered application on the terminal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driving setting unit (16) for setting a registered application to be executed or not to be executed when a finger shape is recognized in the terminal.
The application automatic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shape includes a finger-like moving direction.
The automatic application devic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finger image management unit (11) registers the finger shape stored in the standard finger shape or registers the finger shape directly from the user.
The finger recognition unit 13 recognizes whether the finger is positioned close to the terminal 1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2 built in the terminal 1, And the shape is checked.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3) confirms a change in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a change in the static magnetic field, and the like which ar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finger in proximity to the terminal (1) And the shape is check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4779A KR20170068049A (en) | 2015-12-09 | 2015-12-09 | Application auto activating apparatus |
PCT/KR2016/004966 WO2017099311A1 (en) | 2015-12-09 | 2016-05-12 | Automated application execu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4779A KR20170068049A (en) | 2015-12-09 | 2015-12-09 | Application auto activ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8049A true KR20170068049A (en) | 2017-06-19 |
Family
ID=5901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4779A Ceased KR20170068049A (en) | 2015-12-09 | 2015-12-09 | Application auto activ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68049A (en) |
WO (1) | WO2017099311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8977A (en) * | 2003-09-19 | 2004-03-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nterface device |
KR100617976B1 (en) * | 2004-11-15 | 2006-08-31 | 한국과학기술원 | Hand-shaped database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Hand-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
KR100687690B1 (en) * | 2006-01-24 | 2007-02-27 | 엠텍비젼 주식회사 | Digital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data input using camera and its input method |
CA2868276A1 (en) * | 2011-03-23 | 2013-09-27 | Mgestyk Technologies Inc. |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facing with comput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gestures by using depth sensing and methods of use |
KR101514168B1 (en) * | 2011-04-28 | 2015-04-21 |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2015
- 2015-12-09 KR KR1020150174779A patent/KR20170068049A/en not_active Ceased
-
2016
- 2016-05-12 WO PCT/KR2016/004966 patent/WO201709931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99311A1 (en) | 2017-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21161A1 (en) |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 |
KR102496531B1 (en) | Method for providing fingerprint recogni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KR10183634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touch button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terminal device | |
WO2016206279A1 (en) |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for | |
EP3035283A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 |
EP2947553A1 (en) | Touch input control method and device | |
TW201502837A (en) | Electronic device switchable to a user-interface unlocked mode based upon a pattern of input motions and related methods | |
CN105159446A (en) | One-hand operation method and device for a terminal | |
US9785863B2 (en) | Fingerprint authentication | |
CN106445242A (en) | Pressure touch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CN108463798A (en) | The dimension adjustable icon of touch screen on electronic equipment | |
US1036572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variable data capture process | |
CN106371724A (en) |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 |
CN105677788B (en) | File searching method and user terminal | |
CN106843672A (en) | A kind of terminal screen locking operation device and method | |
CN104216969B (en) | Read flag method and device | |
US20150253932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US20150088833A1 (en) | Method for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regarding retrieval pla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CN110050254A (en) | Control display methods and devic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 |
CN106775305A (en) | A kind of terminal quick calling apparatus and method | |
EP279345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focusing in device having camera | |
KR20170068049A (en) | Application auto activating apparatus | |
CN104035578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apacitance touch screen terminal | |
WO2023142990A1 (en) | Code-scanning recognition | |
CN106845187A (en) |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application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