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66191A - 다단식 텃밭 재배기 - Google Patents

다단식 텃밭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191A
KR20170066191A KR1020160046237A KR20160046237A KR20170066191A KR 20170066191 A KR20170066191 A KR 20170066191A KR 1020160046237 A KR1020160046237 A KR 1020160046237A KR 20160046237 A KR20160046237 A KR 20160046237A KR 20170066191 A KR20170066191 A KR 20170066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ltivation
stage
present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랑
Original Assignee
이해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랑 filed Critical 이해랑
Priority to KR102016004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6191A/ko
Publication of KR2017006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19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 텃밭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서 일측 하단부에 받침대가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와, 삼각기둥형상으로서 상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의 일측 하단부에 물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 측단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다수의 재배용기와, 상기 재배용기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다수의 재배용기를 지지대에 다단식으로 장착 고정하는 다수의 체결구와, 상기 재배용기의 상측에 위치하여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 방식으로 재배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단식 텃밭 재배기는 재배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하도록 하여, 협소한 공간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채소류나 화훼류의 종류나 크기 및 성장상태에 방해됨이 없이 용이하게 재배하여 많은 양을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생육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일체형이 아닌 조립형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에 따라 텃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텃밭에서 배출되는 물을 집수하여 직접 하수구로 배출하므로 실내 또는 베란다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물을 재활용 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다단식 텃밭 재배기{A multistage cultivator for vegetable garden}
본 발명은 도시의 협소한 공간에서 채소류나 화훼류 등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텃밭용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협소한 공간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채소류나 화훼류의 종류나 크기 및 성장상태에 방해됨이 없이 용이하게 재배하여 많은 양을 수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일체형이 아닌 조립형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다단식 텃밭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도시가 점차 고밀도로 개발되고 녹지 공간이 줄어들면서 도심 지역 내에 쾌적한 자연환경을 제공하는 자연녹지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녹지 조성을 위한 용지가 부족한 도심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가옥이나 건물의 옥상, 자투리땅 등에 일정 규모의 화단을 조성하여 최소한의 녹지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일반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자연적인 분위기의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각종 관상용 화훼류를 재배하거나, 아파트의 베란다에 작은 텃밭을 조성하여 채소류 또는 화훼류를 재배하여 왔으며, 이러한 채소류 또는 화훼류를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화분이나 채소류 또는 화훼류를 재배하는 재배용기 등이 개발되어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화분이나 채소류 또는 화훼류 재배용기 등은 대부분이 단일 층의 재배공간을 가지는 구조로서 한 종류의 식재 만을 담아서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각종 채소류 또는 화훼류를 재배하여서 자연적인 실내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에 역부족한 결점이 있었다.
상가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동일한 형상과 용적을 가지는 다수의 재배용기들과, 그 각각의 재배용기들의 사방을 고정하여서 지지하여 주는 지지대들과, 최하부에 안치된 급수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최상부의 재배용기에 용수를 공급하여 주는 급수관과, 각각의 재배용기 상호간을 연결하여서 최하부의 재배용기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으로서 구성된 채소류 또는 화훼류 재배용기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채소류 또는 화훼류 재배용기는 다단으로 적층된 재배용기들이 지지대로서 일체로 고정되는 조립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실내 공간에 맞추어서 임의의 높낮이로서 조립 설치할 수 있는 융통성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2835호, 2016년 02월 03일 공개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협소한 공간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단식 텃밭 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두 번째 목적은 채소류나 화훼류의 종류나 크기 및 성장상태에 방해됨이 없이 용이하게 재배하여 많은 양을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생육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텃밭 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세 번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일체형이 아닌 조립형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텃밭 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네 번째는 조립에 따라 텃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텃밭에서 배출되는 물을 집수하여 직접 하수구로 배출하므로 실내 또는 베란다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물을 재활용 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있는 다단식 텃밭 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서 일측 하단부에 받침대가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와, 삼각기둥형상으로서 상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의 일측 하단부에 물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 측단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다수의 재배용기와, 상기 재배용기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다수의 재배용기를 지지대에 다단식으로 장착 고정하는 다수의 체결구와, 상기 재배용기의 상측에 위치하여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 방식으로 재배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단식 텃밭 재배기는 재배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하도록 하여, 협소한 공간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채소류나 화훼류의 종류나 크기 및 성장상태에 방해됨이 없이 용이하게 재배하여 많은 양을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생육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일체형이 아닌 조립형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나아가, 조립에 따라 텃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텃밭에서 배출되는 물을 집수하여 직접 하수구로 배출하므로 실내 또는 베란다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물을 재활용 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단식 텃밭 재배기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단식 텃밭 재배기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단식 텃밭 재배기는 한 쌍의 지지대(100)와, 다수의 재배용기(200)와, 다수의 체결구(300)와, 물 저장탱크(4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기둥형상으로서 일측 하단부에 받침대(110)가 장착되며,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재배용기(200)는 삼각기둥형상으로서 상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공간(210)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210)의 일측 하단부에 물 관통공(220)이 형성되고 양 측단면에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재배용기(200)는 다단식으로 지지대에 장착되는데 허용공간의 넓이나 높이에 따라 여러 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텃밭 재배기를 설치할 공간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된다면 지지대(100)의 길이를 길게 하고 상기 재배용기를 다단으로 더 높이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구(300)는 상기 재배용기(200)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다수의 재배용기를 지지대에 다단식으로 장착한다.
상기 물 저장탱크(400)는 상기 재배용기(2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 방식으로 재배용기에 물을 공급한다.
특히 상기 재배용기(200)는 일측 하단부에 형성된 물 관통공(220)이 지그재그(zig zag) 방식이 되도록 다단으로 장착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300)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체결공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단식 텃밭 재배기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재배용기(200)의 식재공간(210)에 토양을 채우고 희망하는 채소류나 화훼류 등을 식재한 후 상기 물 저장탱크(400)에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물 저장탱크(400)로부터 공급된 물은 가장 윗단에 위치한 재배용기(200)의 일측에 자유낙하 하게 되고 상기 가장 윗단에 위치한 재배용기(200)의 내주면 저면을 따라 흐르다가 타측 하단부에 형성된 물 관통공(220)을 통해 바로 아래에 위치한 재배용기(200)의 일측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위로부터 두 번째 단의 일측 상부로 낙하된 물은 다시 내주면 저면을 따라 흐르다가 타측 하단부에 형성된 물 관통공(200)을 통해 세 번째 단의 일측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을 재활용할 수 있어 물을 낭비하지 않아 경제성이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단식 텃밭 재배기는 재배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함으로써 협소한 공간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채소류나 화훼류의 종류나 크기 및 성장상태에 방해됨이 없이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배용기의 상측은 넓고 하단부가 뾰족한 삼각형태로서 바로 아랫단에서 자라나는 작물이 바로 윗 단의 재배용기의 하단부에 가려지지 않으므로 생육에 지장이 없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일체형이 아닌 조립형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에 따라 텃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텃밭에서 배출되는 물을 집수하여 직접 하수구로 배출하므로 실내 또는 베란다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 지지대 200 : 재배용기
210 : 식재공간 220 : 물 관통공
300 : 체결구 400 : 물 저장탱크

Claims (3)

  1. 기둥형상으로서 일측 하단부에 받침대(110)가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100);와,
    삼각기둥형상으로서 상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공간(210)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210)의 일측 하단부에 물 관통공(220)이 형성되고 양 측단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다수의 재배용기(200);와,
    상기 재배용기(200)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다수의 재배용기를 지지대에 다단식으로 장착 고정하는 다수의 체결구(300);와,
    상기 재배용기(2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 방식으로 재배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탱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텃밭 재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200)는 일측 하단부에 형성된 물 관통공(220)이 지그재그(zig zag) 방식이 되도록 다단으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텃밭 재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00)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체결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텃밭 재배기.
KR1020160046237A 2016-04-15 2016-04-15 다단식 텃밭 재배기 Ceased KR20170066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37A KR20170066191A (ko) 2016-04-15 2016-04-15 다단식 텃밭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37A KR20170066191A (ko) 2016-04-15 2016-04-15 다단식 텃밭 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191A true KR20170066191A (ko) 2017-06-14

Family

ID=5921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37A Ceased KR20170066191A (ko) 2016-04-15 2016-04-15 다단식 텃밭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6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818A1 (ko) 2017-05-29 2018-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818A1 (ko) 2017-05-29 2018-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4021B2 (en) Vertical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US20230090123A1 (en) Vertical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US20210161088A1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JP5166285B2 (ja) モジュール容器装置
US20170359969A1 (en) Portable Suspended Trellis and Planter System
KR101035022B1 (ko) 조립식 화분장치
US6442895B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KR100404389B1 (ko) 가정용 수경재배기
AU2017239583A1 (en) Vertical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CN218353433U (zh) 模块化种植系统
US11452266B2 (en) Modular grow box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200402153Y1 (ko) 넝쿨식물 재배용 화분
KR20170066191A (ko) 다단식 텃밭 재배기
KR200470118Y1 (ko) 실내 텃밭용 재배용기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KR101218385B1 (ko)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화단
JP2010029096A (ja) 多段容器式栽培装置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200435434Y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0139530Y1 (ko) 재배장치
KR200375605Y1 (ko) 다양한 가지화분이 있는 기둥화분
KR20120056080A (ko) 적층식화분
KR200427180Y1 (ko) 원예작물의 실외 분화재배기
KR20240000031U (ko) 우수한 통풍성을 갖는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25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