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65622A - 하우징 및 하우징을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 및 하우징을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622A
KR20170065622A KR1020177012039A KR20177012039A KR20170065622A KR 20170065622 A KR20170065622 A KR 20170065622A KR 1020177012039 A KR1020177012039 A KR 1020177012039A KR 20177012039 A KR20177012039 A KR 20177012039A KR 20170065622 A KR20170065622 A KR 20170065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housing
dose
housing
cartridge holder
faste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써니 폴 모리스
Original Assignee
사노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 filed Critical 사노피
Publication of KR2017006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62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35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e.g. blocking means, means preventing insufficient dosing, means allowing correction of overset dose
    • A61M5/31536Blocking means to immobilize a selected dose, e.g. to administer equal d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35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e.g. blocking means, means preventing insufficient dosing, means allowing correction of overset dose
    • A61M5/31541Means preventing setting of a dose beyond the amount remaining in the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8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 A61M5/3155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by rotational movement of dose setting member, e.g. during setting or filling of a syringe
    • A61M5/31553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by rotational movement of dose setting member, e.g. during setting or filling of a syringe without axial movement of dose set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9Dose expelling manners
    • A61M5/31593Multi-dose, i.e. individually set dose repeatedly administered from the same medicament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61M2005/2407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from the r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33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88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rotation, e.g. threads or bayo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92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61M2005/3126Specific display means related to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35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e.g. blocking means, means preventing insufficient dosing, means allowing correction of overset dose
    • A61M5/31536Blocking means to immobilize a selected dose, e.g. to administer equal doses
    • A61M2005/3154Blocking means to immobilize a selected dose, e.g. to administer equal doses limiting maximum permissible d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로 약제의 많은 수의 사용자 가변적 투여량을 선택하고 분배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은 원위 단부를 가지는 외부 하우징(10) 및 근위 단부를 가지는 카트릿지 홀더(20)를 포함하고, 그러한 근위 단부는, 카트릿지 홀더(20)가 외부 하우징(10)에 부착될 때, 외부 하우징(10)의 원위 단부 내로 삽입된다. 외부 하우징(10)은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60)을 외부 하우징(1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1 고정구(14)를 구비한다. 카트릿지 홀더(20)가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부착될 때, 카트릿지 홀더(20)의 근위 단부가 제1 고정구(14)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하우징 및 하우징을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HOUSING AND DRUG DELIVERY DEVICE HEREWITH}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하우징 및 그러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약제(medicament)의 많은 수의 사용자 가변적 투여량(dose)을 선택하고 분배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펜(pen) 유형의 약물 전달 장치는 정규 의료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에 의한 규칙적인 주입이 이루어지는 적용 분야를 갖는다. 이는 자가-치료가 환자로 하여금 그들의 질병의 효과적인 관리를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많이 일반화될 것이다. 사실상, 그러한 약물 전달 장치는 사용자가 약제의 많은 수의 사용자 가변적 투여량을 개별적으로 선택하고 분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설정 투여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없는, 미리 규정된 투여량의 분배만을 허용하는 소위 고정 투여량 장치에 관한 것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2가지 유형의 약물 전달 장치가 있다: 재설정이 가능한(즉, 재사용 가능한) 장치 및 재설정될 수 없는(즉, 일회용) 장치. 예를 들어, 일회용 펜 전달 장치는 독립적(self-contained) 장치로서 공급된다. 그러한 독립적 장치는 제거 가능한 미리-충진된 카트릿지를 가지지 않는다. 오히려, 장치 자체를 파괴하지 않고는, 미리-충진된 카트릿지가 이러한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없고 교체될 수 없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일회용 장치는 재설정 가능한 투여량 설정 메커니즘을 가질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장치의 재설정 및 카트릿지의 교환을 허용하는 재사용 가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장치의 재설정은 연장(원위) 위치 즉, 투여량 분배 이후의 위치로부터 더 후퇴된(근위) 위치 내로 피스톤 막대 또는 리드 스크류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확대된 만년필과 종종 유사하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된) 이러한 유형의 펜 전달 장치는 일반적으로 3개의 주요 요소를 포함한다: 하우징 또는 홀더 내에 종종 수용되는 카트릿지를 포함하는 카트릿지 섹션; 카트릿지 섹션의 일 단부에 연결된 바늘 조립체; 및 카트릿지 섹션의 타 단부에 연결된 투여 섹션. (종종 앰풀로서 지칭되는) 카트릿지는 약제(예를 들어, 인슐린)가 충진된 저장용기, 카트릿지 저장요기의 일 단부에 위치된 제거 가능한 고무 유형의 마개 또는 정지부, 및 종종 병목화되는(necked-down) 다른 단부에 위치되는 천공 가능 고무 밀봉부를 가지는 상단부를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고무 밀봉부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주름형 환형 금속 밴드가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카트릿지 하우징이 전형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카트릿지 저장용기는 역사적으로 유리로 제조되었다.
바늘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교체 가능한 이중-단부형 바늘 조립체이다. 주입 전에, 교체 가능한 이중-단부형 바늘 조립체가 카트릿지 조립체의 일 단부에 부착되고, 투여량이 설정되고, 이어서 설정된 투여량이 투여된다. 그러한 제거 가능한 바늘 조립체가 카트릿지 조립체의 천공 가능 밀봉부 단부 상으로 나사산 결합되거나 밀어 넣어질(즉, 스냅 결합될) 수 있다.
투여 섹션 또는 투여량 설정 메커니즘은 전형적으로, 투여량을 설정(선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펜 장치의 부분이다. 주입 중에, 투여량 설정 메커니즘 내에 수용된 스핀들 또는 피스톤 막대는 다시 카트릿지의 마개 또는 정지부에 대해서 가압된다. 이러한 힘은 카트릿지 내에 수용된 약제가 부착된 바늘 조립체를 통해서 주입되게 한다. 주입 이후에, 대부분의 약물 전달 장치 및/또는 바늘 조립체 제조자 및 공급자가 권장하는 바와 같이, 바늘 조립체가 제거되고 폐기된다.
약물 전달 장치 유형의 추가적인 차별화로서 구동 메커니즘을 언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입 버튼으로 힘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구동되는, 장치, 스프링 또는 기타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 및 이러한 2가지 개념을 조합한 장치, 즉 사용자가 주입력을 가하는 것을 여전히 요구하는 스프링 보조형 장치가 있다. 스프링-유형의 장치는 예비 부하형(preloaded) 스프링 및 투여량 선택 중에 사용자에 의해서 부하를 받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부 저장-에너지 장치는 스프링 예비 부하형 및, 예를 들어 투여량 설정 중에, 사용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부가적인 에너지의 조합을 이용한다.
미공개 특허출원 PCT/EP2014/056989에는, 투여량 설정 부재가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투여량 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가 투여량 설정 부재의 원위 단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카트릿지 홀더가 외부 하우징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다.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서 축방향 힘이 투여량 설정 부재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 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투여량 설정 부재 또는 임의의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이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약물 전달 장치 및 각각의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하우징 및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용 하우징은 원위 단부를 가지는 외부 하우징 및 근위 단부를 가지는 카트릿지 홀더를 포함하며, 카트릿지 홀더가 외부 하우징에 부착될 때,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는 외부 하우징의 원위 단부 내로 삽입된다. 외부 하우징은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 예를 들어 투여량 설정 부재를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1 고정구를 구비한다. 카트릿지 홀더가 외부 하우징에 부착될 때,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가 바람직하게 제1 고정구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가 제1 고정구 위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시예, 및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가 바람직하게 제1 고정구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바람직하게 못미쳐서, 즉 5mm 미만으로 종료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 및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은 이러한 2개의 구성요소 부분의 중첩을 허용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의 내향 이동 또는 변형을 불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이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은 바람직하게 투여량 설정 부재 및/또는, 예를 들어 설정된 투여량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그 외부 표면 상에 표시를 가지는, 숫자 슬리브(number sleeve)와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이다.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는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핑거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릿지 홀더가 외부 하우징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제1 고정구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전체 카트릿지 홀더가 제1 고정구까지 연장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카트릿지 홀더의 일부만이 제1 고정구를 향해서 연장되는 것으로 충분하다(그리고 일부 경우에 바람직하다).
제1 고정구는 바람직하게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과의 스냅 결합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제1 고정구가 외부 하우징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된 홈 또는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또는 비드가 외부 하우징의 내부 표면의 전체 원주 위에서 또는 단지 그 일부 위에서 연장되어, 예를 들어 별개의 램프(ramp)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트릿지 홀더가 외부 하우징에 부착될 때,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가 제1 고정구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이 카트릿지 홀더와 외부 하우징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하우징은 하우징 삽입체를 더 포함하고, 그러한 하우징 삽입체는 바람직하게 제1 고정구로부터 축방향으로 원위적인 및/또는 제1 고정구와 중첩되는 위치에서,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구속된다. 하우징 삽입체는 나사산, 스플라인, 안내 리브 또는 홈, 및/또는 스프링을 위한 베어링 또는 부착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결합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삽입체는 외부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별개의 구성요소 부분일 수 있거나, 내부 웨브 또는 플랜지와 같은, 외부 하우징의 단일-부분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카트릿지 홀더는 그러한 삽입체로부터 원위적으로 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제1 고정구 및/또는 그에 부착된 구성요소 부분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서,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삽입체를 통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삽입체는 아암들 사이의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를 위한 통로를 가지는 반경방향 연장 아암을 통해서 외부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삽입체 자체가 카트릿지 홀더의 근위 단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하우징은 하우징 삽입체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하우징 삽입체는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구속되고 제1 고정구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제1 고정구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스톤 막대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하우징의 일부이고, 삽입체는 구동 슬리브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플라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숫자 슬리브가 연장된 원위 테두리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카트릿지 홀더를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2 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제2 고정구는 예를 들어 제1 고정구로부터 축방향으로 원위적인 위치에서, 외부 하우징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외부 하우징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된 2개의 별개의 고정구가 있을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카트릿지 홀더를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별개의 제3 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 고정구는 길이방향 스플라인을 가지는 외부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원위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및 카트릿지 홀더의 외부 표면 상의 스플라인형 부분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캡을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및/또는 회전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별개의 제4 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캡은 캡이 외부 하우징에 부착될 때, 카트릿지 홀더 또는 그 일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4 고정구는 예를 들어 제1 고정구로부터 축방향으로 원위적인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제1 또는 제2 고정구의 축방향 위치에서, 외부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된다. 만약 제4 고정구가 축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고정구와 동일한 위치에서 또는 그 근접부 내에서 위치된다면, 외부 하우징을 부풀리는 경향을 가지는 제1 또는 제2 고정구 상으로 가해지는 힘이 제4 고정구에 의해서 반응될 수 있고, 그러한 제4 고정구는 외부 하우징의 벽 두께에 부가된 보강 재료와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또는 제2 고정구가 제4 고정구를 위한 보강부와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 캡 및 다른 한편으로 카트릿지 홀더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이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힘에 상호 반응할 수 있다.
약제의 많은 수의 사용자 가변적 투여량을 선택하고 분배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는 하우징,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 투여량 설정 및 투여량 분배 중에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투여량 설정 요소, 클러치를 통해서 투여량 설정 부재에 결합되는 구동 부재, 및 외부 하우징에 그리고 구동 부재에 결합된 피스톤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량 설정 부재는 바람직하게 외부 하우징의 제1 고정구,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고정구에 의해서 외부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구속된다. 제1 고정구는 바람직하게, 외부 하우징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된 홈 또는 비드 및 투여량 설정 부재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된 상응하는 비드 또는 홈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스냅 결합이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제공되어, 투여량 설정 부재를 외부 하우징에 부착시킨다. 바람직하게, 투여량 설정 부재와 외부 하우징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허용되는 한편 축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이러한 스냅 결합이 설계된다.
투여량 설정 부재는 바람직하게, 제1 고정구의 비드 또는 홈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원위적으로 연장되는 부분, 예를 들어 테두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의 길이는 특히 투여량 설정 부재가 제1 고정구의 비드 또는 돌출부와 결합되는 함몰된 홈을 포함하는 경우에, 투여량 설정 부재의 의도되지 않은 탈착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투여량 설정 부재의 원위적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함몰된 홈 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예를 들어, 원위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0.5 mm 내지 20 mm, 예를 들어 약 0.75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투여량 설정 부재의 부착을 더 강화하기 위해서, 카트릿지 홀더가 외부 하우징에 부착될 때, 적어도 카트릿지 홀더의 일부가 투여량 설정 부재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위치되고 투여량 설정 부재와 축방향으로 중첩된다. 다시 말해서, 카트릿지 홀더가 투여량 설정 부재의 내향 이동을 차단하도록, 투여량 설정 부재가 카트릿지 홀더와 외부 하우징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재된다. 그에 따라, 카트릿지 홀더가 외부 하우징에 완전히 부착되자 마자, 외부 하우징으로부터의 투여량 설정 부재의 축방향 탈착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에서, 투여량 설정 부재는 바람직하게, 투여량 설정 중에, 즉 투여량 증가 또는 감소 중에, 그리고 최소 투여량 위치와 최대 투여량 위치 사이의 투여량 분배 중에,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투여량 설정 중에, 슬립 클러치(slipping clutch)를 통해서 투여량 설정 부재에 회전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투여량 분배 중에 투여량 설정 부재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구속된다.
약물 전달 장치는 카트릿지가 빈 경우에 폐기되도록 의도된 일회용 장치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장치는 빈 카트릿지를 새로운 카트릿지로 교체할 때, 예를 들어 피스톤 막대의 재설정을 필요로 하는 재사용 가능 장치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하우징 삽입체는 바람직하게 투여량 설정 요소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재설정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재설정 요소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카트릿지 홀더가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에, 재설정 요소는 투여량 설정 요소가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구속되고 구동 부재가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위치 내로,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외부 하우징으로부터의 카트릿지 홀더의 탈착은 재설정 요소 및, 바람직하게, 투여량 설정 요소의 재설정 위치 내로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고, 그러한 재설정 위치에서 구동 부재가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그리고 투여량 설정 부재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외부 하우징과의 나사산형 계면 및 구동 부재와의 스플라인형 계면을 통해서, 피스톤 막대가 외부 하우징에 그리고 구동 부재에 결합된다면, 피스톤 막대의 재설정은 구동 부재의 자유 회전을 요구한다. 그에 따라, 카트릿지 홀더의 제거 이후에 피스톤 막대 또는 리드 스크류를 역으로 미는 것에 의해서, 약물 전달 장치의 재설정이 단순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추가적인 개선예에서, 투여량 설정 요소와 구동 부재 사이의 클러치는 구동 부재 상의 제1 클러치 치형부 및 클러치 판 상의 제2 클러치 치형부를 가지는 슬립 클러치이고, 클러치 판은 투여량 설정 및 투여량 분배 중에 투여량 설정 요소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구속된다.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클러치 치형부는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대면되는, 치형부의 링으로서 각각 분포될 수 있다. 클러치 특징부 및 상응하는 클러치 특징부는 각각, 서로에 대해서 너무 강하게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 서로의 위에서 활주될 수 있는, 일련의 치형부, 바람직하게 톱-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 및/또는 클러치 요소가 클러치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병진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서, 클러치 특징부가 클러치 스프링의 편향에 대항하여 오버홀(overhaul)될 수 있다. 이는 계속되는 분리 및 이어지는 다음 멈춤 위치(detented position) 내로의 재-결합으로 인해서, 슬리브 및/또는 클러치 요소의 진동적인(oscillating) 축방향 이동을 초래할 수 있다. 가청적 클릭이 이러한 재-결합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고, 요구되는 토크 입력의 변화에 의해서 촉각적 피드백이 주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구동 부재와 투여량 설정 요소 사이의 클러치는 설정 투여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투여량 설정 중에 양 방향으로 구동 부재와 투여량 설정 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는 슬립 클러치이다. 만약 그러한 장치가 스프링 구동형 장치라면, 상대적인 회전의 방향에 따라서 클러치를 극복하기 위한 상이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클러치 치형부가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각도가 더 작아서 투여량 증가 방향으로 더 작은 저항을 초래할 수 있고, 램프 각도가 더 커서 투여량 감소 방향으로 더 큰 저항을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는 스프링 구동형 장치이다. 구동 스프링, 바람직하게 비틀림 스프링이 하우징과 투여량 설정 요소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과 같은 탄성적 구동 부재를 제공할 때, 투여량 분배를 위해서 요구되는 힘 또는 토크를 생성하는 것은 투여량 분배를 위한 사용자 인가 힘을 감소시킨다. 이는 특히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유용하다. 또한, 요구되는 분배 행정의 결과인, 공지된 수동적으로 구동되는 장치의 다이얼 연장은, 탄성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생략될 수 있는데, 이는 탄성적 부재의 해제를 위해서 작은 격발 행정 만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동 스프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비-장전될 수 있고, 및/또는 투여량 설정 중에 사용자에 의해서 장전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장치는 외부 하우징과 투여량 설정 요소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재된 게이지 요소를 더 포함한다. 게이지 요소는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투여량 설정 요소와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외부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게이지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투여량 설정 요소가, 외부 표면 상에 표시를 포함하는 숫자 슬리브라면, 투여량 설정 및 투여량 분배 중에, 표시의 적어도 하나를 게이지 요소 내의 개구 및 외부 하우징 내의 개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개구라는 용어는 외부 하우징 또는 게이지 요소의 단순한 개구부 또는 투명 창 또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 내의 창은 '이중-샷(twin-shot)' 몰딩 기술을 이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하우징이 '제1 샷' 중에 투명 재료로 몰딩되고, 외부 하우징의 외부 커버가 '제2 샷' 중에 불투명 재료로 몰딩된다.
투여량 설정 요소의 회전이 게이지 요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게이지 요소가 외부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제 설정된 및/또는 분배된 투여량을 식별하기 위해서, 게이지 요소의 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게이지 부재의 상이한 섹션들의 색채들은 디스플레이 상의 숫자, 기호, 또는 기타를 판독하지 않고도, 설정된 및/또는 분배된 투여량을 식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게이지 요소가 투여량 설정 요소와 나사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투여량 설정 요소의 회전은 투여량 설정 요소에 대한 그리고 외부 하우징에 대한 게이지 요소의 축방향 변위를 유발한다. 게이지 요소는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부 또는 스트립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게이지 요소가 슬리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여량 설정 요소가 나선형 경로 상에 배열된 연속적인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된다. 투여량 설정 요소가 게이지 요소의 반경방향 내향에 위치는 경우에, 이는 투여량 설정 요소 상의 숫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개구 또는 창을 통해서 보여질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게이지 요소를 이용하여 투여량 설정 요소의 일부를 차폐 또는 커버할 수 있고 투여량 설정 요소의 제한된 부분 만을 관찰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게이지 요소 자체에 더하여, 실제 설정되는 및/또는 분배되는 투여량을 식별하거나 나타내는데 있어서 적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이지 요소 및 투여량 설정 요소의 개념은 구동 스프링이 있거나 없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투여량 설정 요소는 투여량 설정 중에, 외부 하우징 내에서 그리고 외부 하우징에 대해서 단순한 회전 운동만 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투여량 설정 요소는 투여량 설정 중에 병진운동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는 투여량 설정 요소가 외부 하우징에 감기는 것 또는 외부 하우징 내에서 투여량 설정 요소를 덮기 위해서 외부 하우징이 연장되어야 하는 것을 방지한다.
최소 투여량 위치 및 최대 투여량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서, 게이지 요소 및 투여량 설정 요소의 상대적인 이동이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최소 설정 가능 투여량은 영(0 IU의 인슐린 제제(formulation))이며, 그에 따라 제한기는 투여량 분배의 종료시에 장치를 중단시킨다. 여전히 상이한 투여량 크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범위의 환자에 적합하면서도, 과다 투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그리고 매우 많은 투여량을 분배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가적인 스프링 토크를 피하기 위해서, 최대 설정 가능 투여량, 예를 들어 60, 80 또는 120 IU의 인슐린 제제가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최소 투여량 및 최대 투여량에 대한 한계는 기계적 정지 특징부(hard stop feature)에 의해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게이지 요소는 최소 투여량 회전 정지부 및 최대 투여량 회전 정지부를 포함하고, 투여량 설정 요소는 최소 투여량 회전 계수기 정지부 및 최대 투여량 회전 계수기 정지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정지부 및 계수기 정지부의 접경은 게이지 요소와 투여량 설정 요소 사이의 추가적인 상대적 이동을 차단한다. 투여량 표시부가 투여량 설정 중에 그리고 투여량 분배 중에 게이지 요소에 대해서 회전됨에 따라, 이러한 2개의 구성요소가 신뢰 가능하고 강건한 제한기 메커니즘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장치는 분배 버튼 또는 격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은 바람직하게 구동 슬리브 및 클러치 요소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사용자 동작 가능 요소이다. 약물 전달 장치에서 사용될 때, 버튼이 장치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투여량 설정 중에 그 축방향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버튼은 바람직하게 사용자 동작 가능 투여량 선택기에 결합되고 숫자 슬리브 구성요소 및/또는 정지적인 하우징 구성요소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버튼이 투여량 설정 배열체의 일부일 수 있거나 투여량 설정 부재일 수 있다. 버튼이, 전술한 특징에 더하여 예를 들어 클리커 특징부를 가지는 다기능 요소일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카트릿지 내에 남아 있는 액체의 양을 초과하는 투여량의 설정을 방지하기 위한 마지막 투여량 보호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투여량 전달의 시작 전에 얼마나 많이 전달될 것인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또한, 과소 투여를 초래할 수 있는, 직경이 작은 카트릿지의 목 부분으로 마개가 진입하지 않고, 제어된 방식으로 투여량 전달이 중단되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 투여량 보호 메커니즘은 구동 부재와 투여량 설정 요소(숫자 슬리브) 또는 투여량 설정 및 투여량 분배 중에 회전되는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된 너트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투여량 설정 요소는 투여량 설정 중에 및 투여량 분배 중에 회전되는 반면, 구동 부재는 투여량 분배 중에만 투여량 설정 요소와 함께 회전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에서, 너트 부재는 단지 투여량 설정 중에 축방향으로 이동될 것이고 투여량 분배 중에는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정지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너트 부재가 구동 부재에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투여량 설정 부재에 스플라인식으로 연결된다. 대안으로서, 너트 부재가 투여량 설정 부재에 나사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구동 부재에 스플라인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너트 부재가 완전한 너트일 수 있거나 그 일부, 예를 들어 절반 너트일 수 있다.
주입 장치는 촉각적 및/또는 가청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리커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은 투여량 설정(투여량 증가 및/또는 감소), 투여량 분배, 및/또는 투여량 분배의 종료시에 생성될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약제를 포함하는 카트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약제"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를 의미하고.
일 실시예에서,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화합물은 1500 Da까지의 분자량을 가지고 및/또는 펩타이드, 단백질, 다당류, 백신, DNA, RNA, 효소, 항체 또는 그 단편, 호르몬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전술한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화합물의 혼합물이며,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화합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 망막 병증과 같은 당뇨병과 연관된 합병증, 심부 정맥 또는 폐 혈전 색전증과 같은 혈전 색전증 장애,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ACS), 협심증, 심근 경색증, 암, 황반 변성증, 염증, 꽃가루 알레르기, 죽상 동맥 경화증 및/또는 류마티스 성 관절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있어서 유용하며,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화합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 망막 병증과 같은 당뇨병과 연관된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약학적으로 활성적인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인간 인슐린 또는 인간 인슐린 유사체 또는 유도체,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GLP-1) 또는 그 유사체 또는 유도체, 또는 엑센딘-3 또는 엑센딘-4 또는 엑센딘-3 또는 엑센딘-4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인슐린 유사체는 예를 들어 Gly(A21), Arg(B31), Arg(B32) 인간 인슐린; Lys(B3), Glu(B29) 인간 인슐린; Lys(B28), Pro(B29) 인간 인슐린; Asp(B28) 인간 인슐린; B28 위치의 프롤린이 Asp, Lys, Leu, Val 또는 Ala로 치환되고, B29 위치에서 Lys가 Pro로 치환될 수 있는 인간 인슐린; Ala(B26) 인간 인슐린; 데스(B28-B30) 인간 인슐린; 데스(B27) 인간 인슐린 및 데스(B30) 인간 인슐린이다.
인슐린 유도체는 예를 들어 B29-N-미리스토일-데스(B30)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데스(B30) 인간 인슐린; B29-N-미리스토일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 인간 인슐린; B28-N-미리스토일 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28-N-팔미토일-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30-N-미리스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30-N-팔미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29-N-(N-팔미토일-Y-글루 타밀)-데스(B30) 인간 인슐린; B29-N-(N-리토콜릴-Y-글루타밀)-데스(B30) 인간 인슐린;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데스(B30) 인간 인슐린 및 B29-N-(ω- 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 인간 인슐린이다.
엑센딘-4는 예를 들어 엑센딘-4(1-39), 서열 H-His-Gly-Glu-Gly-Thr-Phe-Thr-Ser-Asp-Leu-Ser-Lys-Gln-Met-Glu-Glu-Glu-Ala-Val-Arg-Leu-Phe-Ile-Glu-Trp-Leu-Lys-Asn-Gly-Gly-Pro-Ser-Ser-Gly-Ala-Pro-Pro-Pro-Ser-NH2의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엑센딘-4 유도체는 예를 들어 이하의 화합물 목록으로부터 선택된다:
H-(Lys)4-데스 Pro36, 데스 Pro37 엑센딘-4(1-39)-NH2,
H-(Lys)5-데스 Pro36, 데스 Pro37 엑센딘-4(1-39)-NH2,
데스 Pro36 엑센딘-4(1-39),
데스 Pro36 [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Iso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Met(O)14, Iso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Met(O)14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또는
데스 Pro36 [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Iso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Met(O)14, Iso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
데스 Pro36 [Met(O)14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여기에서 Lys6-NH2-기가 엑센딘-4 유도체의 C-말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이하의 서열의 엑센딘-4 유도체
데스 Pro36 엑센딘-4(1-39)-Lys6-NH2 (AVE0010),
H-(Lys)6-데스 Pro36 [Asp28] 엑센딘-4(1-39)-Lys6-NH2,
데스 Asp28 Pro36, Pro37, Pro38엑센딘-4(1-39)-NH2,
H-(Lys)6-데스 Pro36, Pro38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데스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NH2,
데스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데스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데스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데스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데스 Asp28 Pro36, Pro37, Pro38 [Trp(O2)25] 엑센딘-4(1-39)-NH2,
H-(Lys)6-데스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데스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데스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데스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데스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데스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데스 Met(O)14 Asp28 Pro36, Pro37, Pro38 엑센딘-4(1-39)-NH2,
H-(Lys)6-데스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데스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데스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데스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 데스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데스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데스 Asp28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엑센딘-4(1-39)-NH2,
H-(Lys)6-데스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데스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데스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데스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S1-39)-(Lys)6-NH2,
H-Asn-(Glu)5-데스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또는 전술한 엑센딘-4 유도체 중 임의의 하나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 또는 용매 화합물.
호르몬은 예를 들어, 고나도트로핀(폴리트로핀, 루트로핀, 코리온고나도트로핀, 메노트로핀), 소마트로핀(Somatropine)(소마트로핀((Somatropin)), 데스모프레신, 텔립프레신, 고나도레린, 트립토레린, 루프로레린, 부세레린, 나파레린, 고세레린과 같이, Rote Liste, ed. 2008, Chapter 50에 나열된 바와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 또는 시상 하부 호르몬 또는 조절 활성 펩타이드 및 그들의 길항제이다.
다당류는 예를 들어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초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그 유도체, 또는 황산화 형태, 예를 들어 전술한 다당류의 폴리-황산화 형태, 및/또는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그 염이다. 폴리-황산화 저분자량 헤파린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의 예로서 에녹사파린 나트륨이 있다.
항체는 기본 구조를 공유하는 면역글로불린으로도 공지된 구형 혈장 단백질(~ 150 kDa)이다. 그들이 아미노산 잔기에 부가된 당 사슬을 가지기 때문에, 그들은 당 단백질이다. 각 항체의 기본 기능 단위는 면역글로불린(Ig) 단량체(단 하나의 Ig 단위를 포함)이고; 분비된 항체는 또한 IgA와 같은 2 개의 Ig 단위를 가지는 2량체, 경골어 IgM과 같은 4 개의 Ig 단위를 갖는 4량체, 또는 포유 동물 IgM과 같은 5 개의 Ig 단위를 갖는 5량체로 일 수 있다.
Ig 단량체는 4 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구성된 "Y"-형상의 분자이고; 2개의 동일한 중쇄 및 2개의 동일한 경쇄는 시스테인 잔기들 사이의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각 중쇄는 약 440 아미노산 길이이다; 각각의 경쇄는 약 220 아미노산 길이이다. 중쇄 및 경쇄는 각각 그 폴딩(folding)을 안정화시키는 체인내 디설파이드 결합을 포함한다. 각 체인은 Ig 도메인이라 불리는 구조적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메인은 약 70-110 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그 크기와 기능에 따라서 다른 범주(예를 들어, 변수 또는 V, 상수 또는 C)로 분류된다. 그들은 두 개의 β 시트가, 보존된 시스테인과 하전된 아미노산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샌드위치" 형상을 만드는 특징적인 면역글로불린 폴드를 갖는다.
α, δ, ε, γ 및 μ로 표시되는 다섯 가지 유형의 포유류 Ig 중쇄가 있다. 존재하는 중쇄의 유형은 항체의 동종형을 정의한다; 이러한 사슬은 IgA, IgD, IgE, IgG 및 IgM 항체에서 각각 발견된다.
구분되는 중쇄는 크기와 조성이 다르다; α와 γ는 약 450 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δ는 약 500 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한편, μ 및 ε은 약 550 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각 중쇄는 2 개의 영역, 즉 일정 영역(CH) 및 가변 영역(VH)을 갖는다. 하나의 종(species)에서, 일정 영역은 동일한 동종형의 모든 항체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상이한 동종형의 항체에서 상이하다. 중쇄 γ, α 및 δ는 3 개의 탠덤(tandem) Ig 도메인으로 구성되는 일정 영역, 및 부가된 가요성을 위한 경첩 영역을 갖는다; 중쇄 μ 및 ε는 4개의 면역글로불린 도메인으로 구성된 일정 영역을 갖는다. 중쇄의 가변 영역은 상이한 B 세포에 의해 생성된 항체에서 다르지만, 단일 B 세포 또는 B 세포 클론에 의해 생성된 모든 항체에서 동일하다. 각 중쇄의 가변 영역은 약 110개의 아미노산 길이이고 단일 Ig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포유류에는 λ와 κ로 표시되는 두 가지 유형의 면역글로불린 경쇄가 있다. 경쇄는 하나의 일정 도메인(CL)과 하나의 가변 도메인(VL)의 두 개의 연속적인 도메인을 갖는다. 경쇄의 대략적인 길이는 211개 내지 217개의 아미노산이다. 각 항체는 항상 동일한 두 개의 경쇄를 포함한다; 단지 하나의 유형의 경쇄, κ 또는 λ가 포유류의 항체 마다 존재한다.
모든 항체의 일반적인 구조가 매우 유사하지만, 주어진 항체의 고유한 특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V) 영역에 의해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경쇄(VL) 상의 3개의 그리고 중쇄(VH) 상의 3개의, 가변 루프는 항원에 대한 결합, 즉 그것의 항원 특이성을 담당한다. 이러한 루프를 상보성 결정 영역(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CDR)이라고 지칭한다. VH 및 VL 도메인 모두로부터의 CDR이 항원-결합 장소에 기여하기 때문에, 최종 항원 특이성을 결정하는 것은 중쇄 및 경쇄의 조합이며, 단독으로는 결정되지 않는다.
"항체 단편"은 앞서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고, 단편이 유도된 완전한 항체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특이성을 나타낸다. 파파인을 이용한 제한된 단백질 분해 소화는 Ig 프로토 타입을 3개의 단편으로 절단한다. 하나의 전체 L 사슬 및 약 절반의 H 사슬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동일한 아미노 말단 단편이 항원 결합 단편(Fab)이다. 크기가 비슷하지만 그들의 체인간 디설파이드 결합을 가지는 양 중쇄의 카르복실 말단 절반을 포함하는, 세 번째 단편은 결정화가 가능한 단편(Fc)이다. Fc는 탄수화물, 보체-결합 및 FcR-결합 장소를 포함한다. 제한된 펩신 소화는 양 Fab 부분을 포함하는 단일 F(ab')2 단편 및 H-H 사슬간 디설파이드 결합을 포함하는 경첩 영역을 생성한다. F(ab')2는 항원 결합을 위해 2가이다. F(ab')2의 디설파이드 결합은 Fab'를 얻기 위해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이 함께 융합되어 단일 사슬 가변 단편(scFv)을 형성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의 예를 들면 산 첨가 염 및 염기성 염이 있다. 산 첨가 염은 예를 들어 HCl 또는 HBr 염이다. 염기성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또는 알칼라인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 예를 들어 Na+, 또는 K+, 또는 Ca2+, 또는 암모늄 이온 N+(R1)(R2)(R3)(R4)을 가지는 염이고, 여기에서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기, 선택적으로 치환된 C2-C6-알케닐기, 선택적으로 치환된 C6-C10-아릴기,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C6-C10-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의 추가적인 예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 ed. Alfonso R. Gennaro (Ed.), Mar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U.S.A., 1985 및 Encyclop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에 설명되어 있다.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용매화물이 예를 들어 수화물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구성요소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장치의 숫자 슬리브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3의 장치의 카트릿지 홀더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주입 펜 형태의 약물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그러한 장치는 원위 단부(도 1의 좌측 단부) 및 근위 단부(도 1의 우측 단부)를 갖는다. 약물 전달 장치의 구성요소 부분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본체 또는 하우징(10), 카트릿지 홀더(20), 리드 스크류(피스톤 막대)(30), 구동 슬리브(40), 너트(50), 투여량 표시부(숫자 슬리브)(60), 버튼(70), 다이얼 파지부 또는 투여량 선택기(80), 비틀림 스프링(90), 카트릿지(100), 게이지 요소(110), 클러치 판(120), 클러치 스프링(130) 및 베어링(140)을 포함한다. 바늘 허브 및 바늘 덮개를 가지는 바늘 조립체(미도시)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교환될 수 있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모든 구성요소는 도 3에 도시된 메커니즘의 공통 주요 축(I)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위치된다.
하우징(10) 또는 본체는 확대된 직경을 가지는 근위 단부를 구비하는 대체로 관형인 요소이다. 하우징(10)은 액체 약제 카트릿지(100) 및 카트릿지 홀더(20), 숫자 슬리브(60) 및 게이지 요소(110) 상의 투여량 숫자를 관찰하기 위한 창(11a, 11b), 및 투여량 선택기(80)를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그 외부 표면 상의 특징부, 예를 들어 원주방향 홈을 위한 위치를 제공한다. 삽입체(12)는 피스톤 막대(30)와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게이지 요소(110)를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슬롯 또는 기타를 더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는 카트릿지 홀더(20)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축방향 연장 스트립(13)을 구비한다. 도면은 하우징(10)을 단일 하우징 구성요소로서 도시한다. 그러나, 하우징(10)은 장치의 조립 중에 서로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둘 이상의 하우징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 비드(14) 형태를 가지는, 숫자 슬리브(60)와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비드(14)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 상에서 하우징(10)의 원위 영역에 위치된다.
카트릿지 홀더(20)는 하우징(10)의 원위 측부에 위치되고 그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카트릿지 홀더는 카트릿지(100)를 수용하기 위한 관형인 투명 또는 반투명 구성요소일 수 있다. 카트릿지 홀더(20)의 원위 단부는 바늘 조립체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캡(미도시)이 카트릿지 홀더(20) 위에 끼워지도록 제공될 수 있고 하우징(10) 상의 클립 특징부를 통해서 유지될 수 있다. 카트릿지 홀더(20)는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핑거부(도 6) 형태의 연장부(21)를 갖는다.
피스톤 막대(30)는 스플라인형 계면을 통해서 구동 슬리브(40)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구속된다. 회전될 때, 피스톤 막대(30)는 하우징(10)의 삽입체(12)와의 그 나사산형 계면을 통해서, 구동 슬리브(4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는다. 리드 스크류(30)는 하우징(10)의 삽입체(12)의 상응하는 나사산과 결합되는 외부 나사산을 가지는 세장형 부재이다. 계면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홈 및 트랙 그리고 구동부(40)의 상응하는 돌출부 또는 스플라인을 포함한다. 그 원위 단부에서, 리드 스크류(30)는 베어링(140)의 클립 부착을 위한 계면을 구비한다.
구동 슬리브(40)는 리드 스크류(30)를 둘러싸고 숫자 슬리브(60) 내에 배열되는 중공형 부재이다. 구동 슬리브는 클러치 판(120)과의 계면으로부터 클러치 스프링(130)과의 접촉부까지 연장된다. 구동 슬리브(40)는 클러치 스프링(130)의 편향에 대항하여 원위 방향으로 그리고 클러치 스프링(130)의 편향하에서 반대되는 근위 방향으로, 하우징(10), 피스톤 막대(30) 및 숫자 슬리브(6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10)과의 스플라인형 치형부 계면은 투여량 설정 중에 구동 슬리브(40)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계면은 구동 슬리브(40)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치형부 및 하우징 구성요소(10)의 상응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치형부의 링을 포함한다. 버튼(70)이 눌렸을 때, 하우징(10) 스플라인 치형부에 대한 이러한 구동 슬리브(40)가 해제되어, 구동 슬리브(40)가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숫자 슬리브(60)와의 추가적인 스플라인형 치형부 계면은 다이얼링 중에 결합되지 않으나, 버튼(70)이 눌렸을 때 결합되어, 분배 중에 구동 슬리브(40)와 숫자 슬리브(6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계면은 숫자 슬리브(60)의 내부 표면 상의 플랜지 상의 내향 지향형 스플라인 및 구동 슬리브(40)의 반경방향 연장 외부 스플라인의 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응하는 스플라인들이 숫자 슬리브(60) 및 구동 슬리브(40) 상에 각각 위치되고, 그에 따라 (축방향으로 고정된) 숫자 슬리브(60)에 대한 구동 슬리브(40)의 축방향 이동은 스플라인들을 결합 또는 분리시켜 구동 슬리브(40) 및 숫자 슬리브(60)를 회전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킨다.
구동 슬리브(40)의 추가적인 계면은 구동 슬리브(40)의 근위 단부 면에 위치되는 래칫 치형부의 링 및 클러치 판(120) 상의 상응하는 래칫 치형부의 링을 포함한다.
구동부(40)는 너트(50)를 위한 나선형 트랙을 제공하는 나사산형 섹션을 갖는다. 또한, 나사산형 트랙의 단부 또는 바람직하게 너트(50)의 상응하는 마지막 투여량 정지부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회전식 기계적 정지부일 수 있는 마지막 투여량 접경부 또는 정지부가 제공되고, 그에 따라 구동부 나사산 상에서의 너트(50)의 이동을 제한한다. 구동부(40)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스플라인이 리드 스크류(30)의 상응하는 트랙과 결합된다.
마지막 투여량 너트(50)는 숫자 슬리브(60)와 구동 슬리브(40) 사이에 위치된다. 너트는 스플라인형 계면을 통해서, 숫자 슬리브(60)에 회전적으로 구속된다. 너트는 다이얼링 중에만 숫자 슬리브(60)와 구동 슬리브(4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될 때, 나사산형 계면을 통해서, 나선형 경로를 따라서 구동 슬리브(40)에 대해서 이동된다. 대안으로서, 너트(50)가 구동부(40)에 스플라인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숫자 슬리브(60)에 나사산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릿지(100) 내의 약제의 나머지 분배 가능량에 상응하여 투여량이 설정될 때, 마지막 투여량 정지부가 구동 슬리브(40)의 정지부와 결합되는 너트(50) 상에 제공된다.
투여량 표시부 또는 숫자 슬리브(60)는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요소이다. 숫자 슬리브(60)가 (투여량 선택기(80)를 통한) 투여량 설정 및 투여량 교정 중에 그리고 투여량 분배 중에 비틀림 스프링(90)에 의해서 회전된다. 게이지 요소(110)와 함께, 숫자 슬리브(60)는 영의 위치('휴지(at rest)') 및 최대 투여량 위치를 규정한다. 그에 따라, 숫자 슬리브(60)가 투여량 설정 부재로서 보여질 수 있다.
제조상의 이유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숫자 슬리브(60)는 숫자 슬리브(60)를 형성하기 위해서 조립 중에 숫자 슬리브 상부(60b)에 서로 이동되지 않게(rigidly) 고정되는 숫자 슬리브 하부(60a)를 포함한다. 단지 숫자 슬리브(60) 몰드 가공(tooling) 및 조립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숫자 슬리브 하부(60a) 및 숫자 슬리브 상부(60b)가 별개의 구성요소가 된다. 대안으로서, 숫자 슬리브(60)는 일체형 구성요소일 수 있다. 회전은 허용하나 병진 운동은 허용하지 않도록, 숫자 슬리브(60)가 스냅 결합에 의해서 하우징(10)에 대해서 구속된다. 숫자 슬리브(60)는 하우징(10)의 내부 표면 상의 상응하는 비드와 결합되는 환형 함몰부 또는 홈(61)을 그 원위 단부 근처에서 포함한다. 숫자 슬리브 하부(60a)에 연속적인 숫자가 표시되며, 그러한 숫자는 게이지 요소(110) 및 하우징(10) 내의 개구부(11a, 11b)를 통해서 보여져 약제의 다이얼링된 투여량을 나타낸다.
또한, 숫자 슬리브 하부(60a)는 게이지 요소(110)와 결합되는 외부 나사산을 가지는 부분을 갖는다. 단부 정지부가 나사산의 대향 단부들에 제공되어, 게이지 요소(11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한다.
투여량 설정 및 투여량 교정 중에 버튼(70)의 스플라인과의 결합을 위해서, 스플라인의 링의 형태를 갖는 클러치 특징부가 숫자 슬리브 상부(60b) 상에서 내향으로 지향되어 제공된다. 클리커 아암이 숫자 슬리브(60)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며, 이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구동 슬리브(40) 및 게이지 부재(110)와 상호 작용한다. 또한, 숫자 슬리브 하부(60a)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스플라인형 계면을 통해서, 너트(50)에 대해서 그리고 클러치 판(120)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구속된다. 또한, 숫자 슬리브 하부(60a)는 비틀림 스프링(90)의 부착을 위한 계면을 포함한다.
장치의 근위 단부를 형성하는 버튼(70)이 투여량 선택기(80)에 영구적으로 스플라인 연결된다. 중앙 줄기부가 버튼(70)의 근위 작동 면으로부터 원위적으로 연장된다. 줄기부는 숫자 슬리브 상부(60b)의 스플라인과의 결합을 위해서 스플라인을 수반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이는 또한, 버튼(70)이 눌리지 않았을 때, 스플라인을 통해서 숫자 슬리브 상부(60b)에 스플라인 연결되나, 버튼(70)이 눌렸을 때 이러한 스플라인 계면은 분리된다. 버튼(70)은 스플라인을 가지는 불연속적인 환형 스커트를 구비한다. 버튼(70)이 눌렸을 때, 버튼(70) 상의 스플라인이 하우징(10) 상의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분배 중의 버튼(70)의 (그리고 그에 따라 투여량 선택기(80)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플라인은 버튼(70)이 해제될 때 분리되어, 투여량이 다이얼링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래칫 치형부의 링이 클러치 판(120)과의 상호작용을 위해서 버튼 플랜지의 내부 측면 상에 제공된다.
투여량 선택기(80)는 하우징(1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구속된다. 투여량 선택기는 스플라인형 계면을 통해서, 버튼(70)에 회전적으로 구속된다. 버튼(70)의 환형 스커트에 의해서 형성된 스플라인 특징부와 상호작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이러한 스플라인형 계면은 투여량 버튼(70) 축방향 위치와 관계없이 결합되어 유지된다. 투여량 선택기(80) 또는 투여량 다이얼 파지부는 톱니형 외부 스커트를 가지는 슬리브-유사 구성요소이다.
비틀림 스프링(90)은 그 원위 단부에서 하우징(10)에 그리고 타 단부에서 숫자 슬리브(60)에 부착된다. 비틀림 스프링(90)은 숫자 슬리브(60) 내부에 위치되고 구동 슬리브(40)의 원위 부분을 둘러싼다. 비틀림 스프링(90)은 조립시에 미리-권선되고, 그에 따라 비틀림 스프링은 메커니즘이 영의 단위에서 다이얼링될 때, 숫자 슬리브(60)로 토크를 인가한다. 투여량을 설정하기 위해서 투여량 선택기(80)를 회전시키는 작용은 숫자 슬리브(60)를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시키고, 비틀림 스프링(90)을 더 장전시킨다.
카트릿지(100)가 카트릿지 홀더(20) 내에 수용된다. 카트릿지(100)는 그 근위 단부에서 이동 가능한 고무 마개를 가지는 유리 앰풀일 수 있다. 카트릿지(100)의 원위 단부는 주름잡힌 환형 금속 밴드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되는 천공 가능 고무 밀봉부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트릿지(100)는 표준형 1.5 ml 카트릿지이다. 장치가 일회용으로 설계되며, 이 경우에 카트릿지(100)는 사용자 또는 건강 관리 전문가에 의해서 교체될 수 없다. 그러나, 카트릿지 홀더(20)를 제거 가능하게 만들고 리드 스크류(30)의 역방향 감기 및 너트(50)의 재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장치의 재사용 가능 변형예가 제공될 수 있다.
게이지 요소(110)는 스플라인형 계면을 통해서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그러나 병진운동은 허용하도록, 구속된다. 게이지 요소(110)는 숫자 슬리브(60)의 회전이 게이지 요소(110)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유발하도록 숫자 슬리브(60) 내의 나선형 나사산 절개부와 결합되는 그 내부 표면 상의 나선형 특징부를 갖는다. 게이지 요소(110) 상의 이러한 나선형 특징부는 또한 숫자 슬리브(60) 내의 나선형 절개부의 단부에 대한 정지 접경부를 생성하여, 설정될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투여량을 제한한다.
게이지 요소(110)는 중앙 개구 또는 창 그리고 개구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2개의 플랜지를 가지는 대체로 판형인 또는 밴드형인 구성요소를 갖는다. 플랜지는 바람직하게 투명하지 않고 그에 따라 숫자 슬리브(60)를 차폐하거나 덮는 반면, 개구 또는 창은 숫자 슬리브 하부(60a)의 일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게이지 요소(110)는 투여량 분배의 종료시에 숫자 슬리브(60)의 클리커 아암과 상호작용하는 캠 및 함몰부를 갖는다.
클러치 판(120)은 링-유사 구성요소이다. 클러치 판(120)은 스플라인을 통해서 숫자 슬리브(60)에 스플라인 연결된다. 클러치 판은 또한, 래칫 계면을 통해서 구동 슬리브(40)에 결합된다. 래칫은 각각의 투여량 단위에 상응하는 숫자 슬리브(60)와 구동 슬리브(40) 사이의 멈춤 위치를 제공하고,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상대적인 회전 중에 상이한 램프형 치형부 각도들과 결합된다. 버튼(70)의 래칫 특징부와의 상호작용을 위해서, 클리커 아암이 클러치 판(120) 상에 제공된다.
클러치 스프링(130)은 압축 스프링이다. 구동 슬리브(40), 클러치 판(120) 및 버튼(70)의 축방향 위치는 근위 방향으로 구동 슬리브(40) 상으로 힘을 인가하는 클러치 스프링(130)의 작용에 의해서 규정된다. 이러한 스프링력은 구동 슬리브(40), 클러치 판(120), 및 버튼(70)을 통해서 반응되고, '휴지' 중일 때, 투여량 선택기(80)를 통해서 하우징(10)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반응된다. 스프링력은 구동 슬리브(40)와 클러치 판(120) 사이의 래칫 계면이 항상 결합되도록 보장한다. '휴지' 위치에서, 스프링력은 또한, 버튼 스플라인이 숫자 슬리브 스플라인과 결합되는 것, 그리고 구동 슬리브 치형부가 하우징(10)의 치형부와 결합되는 것을 보장한다.
베어링(140)은 피스톤 막대(3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구속되고 액체 약제 카트릿지 내에서 마개 상에 작용한다. 베어링은 리드 스크류(30)에 축방향으로 클립 연결되나, 자유롭게 회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지' 조건의 장치에서, 숫자 슬리브(60)는 게이지 요소(110)와의 그 영의 투여량 접경부에 대해서 배치되고, 버튼(70)은 눌려지지 않는다. 숫자 슬리브(60) 상의 투여량 표시 '0'이, 하우징(10)의 창(11b) 및 게이지 요소(110) 각각을 통해서 보여질 수 있다.
장치의 조립 중에 인가된 많은 수의 미리-권선된 회선을 가지는 비틀림 스프링(90)은 숫자 슬리브(60)로 토크를 인가하고 영의 투여량 접경부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된다.
사용자는 숫자 슬리브(60) 내에서 동일한 회전을 생성하는 투여량 선택기(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액체 약제의 가변적 투여량을 선택한다. 숫자 슬리브(60)의 회전은 비틀림 스프링(90)의 장전을 유발하여, 비틀림 스프링 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숫자 슬리브(60)가 회전됨에 따라, 게이지 요소(110)는 그 나사산형 결합으로 인해서 축방향으로 병진운동되고 그에 의해서 다이얼링된 투여량의 값을 보여준다. 게이지 요소(110)는 설정된 투여량 숫자만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게 보장하기 위해서, 다이얼링된 투여량에 인접한 숫자 슬리브(60) 상에 인쇄된 숫자를 덮는 창 지역의 양 측면의 플랜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부는 이러한 유형의 장치 상에서 전형적인 구분된 투여량 숫자 디스플레이에 더하여, 시각적인 피드백 특징부를 포함한다. 게이지 요소(110)의 원위 단부는 하우징(10) 내의 작은 창(11a)을 통한 활주 눈금을 생성한다. 대안으로서, 다른 나선형 트랙 상의 숫자 슬리브(60)와 결합된 별개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활주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투여량이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됨에 따라, 게이지 요소(110)는 설정된 투여량의 크기에 비례하는 이동 거리로 축방향으로 병진운동된다. 이러한 특징부는 설정된 투여량의 대략적인 크기와 관련하여 분명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자동-주입기 메커니즘의 분배 속력이 수동적 주입기 장치의 경우 보다 더 빠를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배 중에 수치적 투여량 디스플레이를 판독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게이지 특징부는 투여량 숫자 자체를 판독할 필요가 없이, 분배 진행과 관련하여 분배 중에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게이지 디스플레이가, 아래쪽의 대비되는 색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게이지 요소(110) 상의 불투명한 요소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더 정밀한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해 보여질 수 있는 요소가 성긴(coarse) 투여량 숫자 또는 다른 표시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게이지 디스플레이는 투여량 설정 및 분배 중에, 주사기 작용을 모사한다.
구동 슬리브의 스플라인형 치형부와 하우징(10)의 치형부의 결합으로 인해서, 투여량이 설정되고 숫자 슬리브(60)가 회전될 때, 구동 슬리브(4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래칫 계면을 통해서 클러치 판(120)과 구동 슬리브(40)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되어야 한다.
투여량 선택기(8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사용자 토크는 비틀림 스프링(90)을 권선하는데 필요한 토크와 래칫 계면을 오버홀시키는데 필요한 토크의 합계이다. 래칫 계면으로 축방향 힘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클러치 판(120)을 구동 슬리브(40) 상으로 편향시키도록, 클러치 스프링(130)이 설계된다. 이러한 축방향 부하는 클러치 판(120)과 구동 슬리브(40)의 래칫 치형부 결합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투여량 설정 방향으로 래칫을 오버홀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는 클러치 스프링(130)에 의해서 인가되는 축방향 부하, 래칫 치형부의 시계방향 램프 각도, 교합 표면들 사이의 마찰 계수 및 래칫 계면의 평균 반경의 함수이다.
사용자가 1의 증분 만큼 메커니즘을 증분시키기에 충분하게 투여량 선택기(80)를 회전시킴에 따라, 숫자 슬리브(60)는 1개의 래칫 치형부 만큼 구동 슬리브(40)에 대해서 회전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래칫 치형부가 다음 멈춤 위치 내로 재-결합된다. 가청적 클릭이 래칫 재-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촉각적 피드백은 필요한 토크 입력의 변화에 의해서 주어진다.
숫자 슬리브(60)와 구동 슬리브(40)의 상대적인 회전이 허용된다.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은 또한 마지막 투여량 너트(50)가 그 나사산형 경로를 따라서 구동 슬리브(40) 상의 그 마지막 투여량 접경부를 향해서 이동되게 한다.
투여량 선택기(80)로 사용자 토크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숫자 슬리브(60)는 이제, 단지 클러치 판(120)과 구동 슬리브(40) 사이의 래칫 계면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90)에 의해 인가되는 토크 하에서 역회전이 방지된다. 반-시계방향으로 래칫을 오버홀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는 클러치 스프링(130)에 의해서 인가되는 축방향 부하, 래칫의 반-시계방향 램프 각도, 교합 표면들 사이의 마찰 계수 및 래칫 특징부의 평균 반경의 함수이다. 래칫을 오버홀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는 비틀림 스프링(90)에 의해서 숫자 슬리브(60)(및 그에 따른 클러치 판(120))로 인가되는 토크 보다 커야 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것을 보장하는 한편 상향-다이얼(dial-up) 토크가 가능한 한 낮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래칫 램프 각도가 반-시계방향으로 증가된다.
이제 사용자는 투여량 선택기(80)를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선택 투여량을 증가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숫자 슬리브(60)와 구동 슬리브(40) 사이의 래칫 계면을 오버홀시키는 프로세스가 각각의 투여량 증분에 대해서 반복된다. 부가적인 에너지가 각각의 투여량 증분을 위해서 비틀림 스프링(90) 내에 저장되고, 래칫 치형부의 재-결합에 의해서 다이얼링된 각각의 증분에 대해서 가청적 및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된다. 비틀림 스프링(90)을 권선하는데 필요한 토크가 증가됨에 따라, 투여량 선택기(8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가 증가된다. 그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래칫을 오버홀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는 최대 투여량에 도달하였을 때 비틀림 스프링(90)에 의해서 숫자 슬리브(60)로 인가되는 토크 보다 커야 한다.
만약 최대 투여량 한계에 도달될 때까지 사용자가 선택 투여량을 계속 증가시킨다면, 숫자 슬리브(60)의 최대 투여량 접경부가 게이지 요소(110)의 최대 투여량 접경부와 결합된다. 이는 숫자 슬리브(60), 클러치 판(120) 및 투여량 선택기(80)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그러한 메커니즘에 의해서 얼마나 많은 증분이 이미 전달되었는지에 따라서, 투여량의 선택 중에, 마지막 투여량 너트(50)의 마지막 투여량 접경부가 구동 슬리브(40)의 정지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접경부는 숫자 슬리브(60)와 구동 슬리브(40) 사이의 추가적인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투여량을 제한한다. 마지막 투여량 너트(50)의 위치는 사용자가 투여량을 설정할 때마다 발생된, 숫자 슬리브(60)와 구동 슬리브(4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의 총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투여량이 선택된 상태의 메커니즘에서, 사용자는 이러한 투여량으로부터 임의 수의 증분을 선택 해제할 수 있다. 투여량을 선택 해제하는 것은 사용자가 투여량 선택기(8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사용자에 의해서 투여량 선택기(80)로 인가되는 토크는 비틀림 스프링(90)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와 조합될 때, 클러치 판(120)과 구동 슬리브(40) 사이의 래칫 계면을 반-시계방향으로 오버홀시키기에 충분하다. 래칫이 오버홀될 때, 반-시계방향 회전이 (클러치 판(120)을 통해서) 숫자 슬리브(60) 내에서 발생되고, 이는 숫자 슬리브(60)를 영의 투여량 위치를 향해서 회전시키고, 비틀림 스프링(90)을 푼다. 숫자 슬리브(60)와 구동 슬리브(4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은 마지막 투여량 너트(50)가 마지막 투여량 접경부로부터 멀리 그 나선형 경로를 따라서 복귀되게 한다.
투여량이 선택된 상태의 메커니즘에서, 사용자는 투여량의 전달을 시작하기 위해서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투여량의 전달은 축방향 원위 방향으로 버튼(70)을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서 개시된다.
버튼(70)이 눌렸을 때, 버튼(70)과 숫자 슬리브(60) 사이의 스플라인이 분리되어, 버튼(70) 및 투여량 선택기(80)를 전달 메커니즘으로부터, 즉 숫자 슬리브(60), 게이지 요소(110) 및 비틀림 스프링(90)으로부터 회전적으로 분리시킨다. 버튼(70) 상의 스플라인이 하우징(10) 상의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분배 중의 버튼(70)의 (그리고 그에 따라 투여량 선택기(80)의) 회전을 방지한다. 버튼(70)이 분배 중에 정지적임에 따라, 버튼이 분배 클리커 메커니즘에서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10) 내의 정지 특징부는 버튼(7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인가되는 임의의 축방향 과다(abuse) 부하에 반응하여, 내부 구성요소의 손상 위험을 감소시킨다.
클러치 판(120) 및 구동 슬리브(40)는 버튼(70)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결합은 구동 슬리브(40)와 숫자 슬리브(60) 사이의 스플라인형 치형부 계면과 결합되어, 분배 중에 구동 슬리브(40)와 숫자 슬리브(6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구동 슬리브(40)와 하우징(10) 사이의 스플라인형 치형부 계면이 분리되고, 그에 따라 구동 슬리브(40)는 이제 숫자 슬리브(60) 및 클러치 판(120)을 통해서 비틀림 스프링(90)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고 구동될 수 있다.
구동 슬리브(40)의 회전은 피스톤 막대(30)가 그들의 스플라인형 결합으로 인해서 회전되게 하고, 이어서 피스톤 막대(30)는 하우징(10)에 대한 그 나사산형 결합으로 인해서 앞으로 진행된다. 숫자 슬리브(60) 회전은 또한 게이지 요소(110)가 그 영의 위치까지 역으로 축방향을 따라 횡단하게 하며, 그에 의해서 영의 투여량 접경부가 메커니즘을 정지시킨다.
투여량 분배 중의 촉각적 피드백은 클러치 판(120) 내로 통합된 순응형 외팔보 클리커 아암(compliant cantilever clicker arm)을 통해 제공된다. 이러한 아암은 버튼(70)의 내부 표면 상의 래칫 특징부와 반경방향으로 계면을 형성하고, 그에 의해서 래칫 치형부 간격이 단일 증분 분배를 위해서 필요한 숫자 슬리브(60) 회전에 상응한다. 분배 중에, 숫자 슬리브(60)가 회전되고 버튼(70)이 하우징(10)에 회전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래칫 특징부가 클리커 아암과 결합되며, 그에 따라 전달되는 각각의 투여량 증분으로 가청적 클릭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버튼(70)을 계속 누르는 동안, 전술한 기계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투여량의 전달이 계속된다. 만약 사용자가 버튼(70)을 해제한다면, 클러치 스프링(130)이 구동 슬리브(40)를 (클러치 판(120) 및 버튼(70)과 함께) 그 '휴지' 위치로 복귀시켜, 구동 슬리브(40)와 하우징(10) 사이의 스플라인을 결합시키며, 그에 따라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고 투여량 전달을 중단시킨다.
투여량의 전달 중에, 구동 슬리브(40) 및 숫자 슬리브(60)가 함께 회전되고, 그에 따라 마지막 투여량 너트(50) 내의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마지막 투여량 너트(50)는 다이얼링 중에만 구동 슬리브(4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투여량의 전달이 일단 정지되면, 영의 투여량 접경부로 복귀되는 숫자 슬리브(60)에 의해서, 사용자는 버튼(70)을 해제할 수 있고, 이는 구동 슬리브(40)와 하우징(10) 사이의 스플라인 치형부를 재결합시킬 것이다. 메커니즘이 이제 '휴지' 조건으로 복귀된다.
투여량 분배의 종료시에, 부가적인 가청적 피드백이, 분배 중에 제공되는 '클릭'과 구분되는, '클릭' 형태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숫자 슬리브(60) 상의 클리커 아암과 구동 슬리브(40) 상의 램프 및 게이지 요소(110) 상의 캠 및 함몰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장치가 그 영의 위치로 복귀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러한 실시예는 투여량 전달의 종료시에만 피드백이 생성되게 하고, 장치가 역으로 영의 위치로 또는 영의 위치로부터 멀리 다이얼링되는 경우에는 생성되지 않게 한다.
이제, 카트릿지 홀더(20)를 외부 하우징(10)에 부착하는 것을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전체 장치의 단순화된 표상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버튼(70), 투여량 선택기(80), 클러치 판(120), 마지막 투여량 너트(50), 게이지(110), 구동 스프링(90), 피스톤 막대(30), 베어링(140), 카트릿지(100) 및 클러치 스프링(130)은 도시되지 않았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10)은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 샷이 반투명 재료이고, 제2 샷이 불투명 재료인, 이중 샷 몰딩; 그리고 조립 중에 외부 하우징(10)에 이동되지 않게 고정되는 별개의 부분인 하우징 삽입체(12). 대안으로서, 하우징 삽입체가 외부 하우징(10)의 몰딩과 조합될 수 있거나, 외부 하우징(10)의 반투명 또는 불투명 섹션이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우징 삽입체(12)의 조립 이후에, 숫자 슬리브(60)가 근위 단부로부터 외부 하우징(10) 내로 삽입된다. 그 원위 단부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위시키는 힘을 숫자 슬리브(60)의 원위 단부에 가하는 외부 하우징(10) 내의 클립 특징부인, 비드(14)와 접촉되며, 그에 따라 외부 하우징(10) 내의 비드(14)가 숫자 슬리브의 원위 단부 근처의 함몰부(61)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클립 특징부(14, 61)는 후속되는 조립 동작 중에 숫자 슬리브(60)를 유지하기에 충분하지만, 숫자 슬리브(60)의 가요성은 예를 들어 충격 중에, 숫자 슬리브가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카트릿지 홀더(20) 상의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1)는 유지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이용된다(도 4). 이러한 돌출부는 숫자 슬리브(60)의 단부와 축방향으로 중첩된다. 만약 숫자 슬리브(60)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위된다면, 숫자 슬리브는 카트릿지 홀더(20) 상의 돌출부(21)와 접촉되고, 이는 다시 외부 하우징(10) 내의 하우징 삽입체(12)와 접촉된다. 이는 허용 가능한 편위를 제한하여, 외부 하우징(10) 내의 클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외부 하우징(10) 내의 숫자 슬리브(60)의 유지 강도를 상당히 증가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카트릿지 홀더(20)를 연장시키는 대신에, 원위 방향으로 숫자 슬리브(60)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유지 강도가 증가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숫자 슬리브(60)는 함몰부(61)로부터 원위적으로 위치되는 테두리(62)를 포함한다. 이는 인쇄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숫자 슬리브(60)의 표면적 증가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강도를 증가시키는 특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계 및 기능을 가지는 장치로 제한되지 않고, 그리고 숫자 슬리브를 위한 유지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하다. 오히려, 카트릿지 홀더(20)를 이용하여, 내부로부터 (또는 심지어 외부로부터) 클립 부착부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임의의 구성요소 부분을, 예를 들어 외부 하우징(10)에 결속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숫자 슬리브 유지 특징부가 임의의 펜 주입기 내에 포함되어, 사용 및 충격 중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10 외부 하우징
11a 개구부
11b 개구부
12 삽입체
13 스트립
14 비드
20 카트릿지 홀더
21 돌출부
30 피스톤 막대(리드 스크류)
40 구동 슬리브
50 너트
60 투여량 설정 요소
60a 숫자 슬리브 하부
60b 숫자 슬리브 상부
61 함몰부
62 테두리
70 버튼
80 투여량 선택기
90 비틀림 스프링
100 카트릿지
110 게이지 요소
120 클러치 판
130 클러치 스프링
140 베어링
I 길이방향 축

Claims (15)

  1.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하우징으로서, 원위 단부를 가지는 외부 하우징(10) 및 근위 단부를 가지는 카트릿지 홀더(20)를 포함하며, 상기 근위 단부는 상기 카트릿지 홀더(20)가 외부 하우징(10)에 부착될 때, 외부 하우징(10)의 원위 단부 내로 삽입되고, 약물 전달 장치의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60)을 외부 하우징(1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1 고정구(14)를 상기 외부 하우징(10)이 구비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릿지 홀더(20)가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부착될 때, 상기 카트릿지 홀더(20)의 근위 단부가 상기 제1 고정구(14)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60)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릿지 홀더(20)의 근위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1)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카트릿지 홀더(20)가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고정구(14)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추가적인 구성요소 부분(60)과 중첩되는, 하우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14)는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된 홈 또는 비드(14)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릿지 홀더(20)가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부착될 때, 상기 카트릿지 홀더(20)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고정구(14)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위치되는, 하우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14)로부터 축방향으로 원위적인 및/또는 상기 제1 고정구(14)와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하우징 삽입체(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릿지 홀더(20)의 근위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삽입체(12)를 통해서 연장되는, 하우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삽입체(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삽입체는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구속되고 상기 제1 고정구(14)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고정구(14)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위치되는, 하우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대해서 상기 카트릿지 홀더(20)를 축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2 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상기 제1 고정구(14)로부터 축방향으로 원위적인 위치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되는, 하우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대해서 상기 카트릿지 홀더(20)를 회전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별개의 제3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구가, 길이방향 스플라인을 가지는 외부 하우징(10)의 적어도 하나의 원위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3) 및 상기 카트릿지 홀더(20)의 외부 표면 상의 스플라인형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대해서 캡을 축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한 별개의 제4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고정구가, 상기 제1 고정구(14)로부터 축방향으로 원위적인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고정구의 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되는, 하우징.
  11. 약제의 많은 수의 사용자 가변적 투여량을 선택 및 분배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이며:
    바람직하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투여량 설정 및 투여량 분배 중에 외부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투여량 설정 요소(60), 클러치(120)를 통해서 상기 투여량 설정 요소(60)에 결합된 구동 부재(40), 및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그리고 상기 구동 부재(40)에 결합된 피스톤 막대(30)를 포함하고,
    상기 투여량 설정 요소(60)는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제1 고정구(14, 61)에 의해서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약물 전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14, 61)는 상기 외부 하우징(10)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된 홈 또는 비드(14) 및 상기 투여량 설정 요소(60)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된 상응하는 비드 또는 홈(61)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 설정 요소(60)는 상기 제1 고정구(14, 61)의 비드 또는 홈(61)으로부터 축방향 원위적으로 연장되고 판독 가능 데이터를 가지는 표시된 부분(62)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릿지 홀더(20)가 상기 외부 하우징(10)에 부착될 때, 상기 카트릿지 홀더(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여량 설정 요소(60)의 반경방향 내향에 위치되고 상기 투여량 설정 요소(60)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약물 전달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를 포함하는 카트릿지(100)를 더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0177012039A 2014-10-09 2015-10-09 하우징 및 하우징을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 Withdrawn KR20170065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06592 2014-10-09
EP14306592.8 2014-10-09
PCT/EP2015/073430 WO2016055625A1 (en) 2014-10-09 2015-10-09 Housing and drug delivery device here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622A true KR20170065622A (ko) 2017-06-13

Family

ID=5179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039A Withdrawn KR20170065622A (ko) 2014-10-09 2015-10-09 하우징 및 하우징을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661016B2 (ko)
EP (1) EP3204086B1 (ko)
JP (1) JP7111467B2 (ko)
KR (1) KR20170065622A (ko)
CN (1) CN106794313A (ko)
AR (1) AR102195A1 (ko)
AU (1) AU2015329905A1 (ko)
BR (1) BR112017005836A2 (ko)
IL (1) IL250810A0 (ko)
MX (1) MX2017004546A (ko)
RU (1) RU2017115673A (ko)
TW (1) TW201625324A (ko)
WO (1) WO201605562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301A (ko) * 2017-12-08 2020-07-14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축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구동 리본을 갖는 의학적 전달 장치
KR20200112903A (ko) * 2018-02-22 2020-10-05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피감지 요소를 갖는 약물 전달 장치
KR20210119480A (ko) * 2019-02-27 2021-10-05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약제 전달 장치
US11642467B2 (en) 2016-03-21 2023-05-09 Eli Lilly And Company Drive assembly for moving piston within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1054A (zh) 2017-10-10 2020-05-26 诺和诺德股份有限公司 具有减小气隙的预装药物递送装置
EP3598990A1 (en) * 2018-07-23 2020-01-29 Sanofi Drug delivery device and assembly method for a drug delivery device
EP4327847A1 (de) 2022-08-25 2024-02-28 Ypsomed AG Verbesserter autoinjek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9586A (en) * 1992-02-04 1994-01-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usable medication delivery pen
US5582598A (en) 1994-09-19 1996-12-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tion delivery pen with variable increment dose scale
DK1656170T3 (en) 2003-08-12 2019-04-29 Lilly Co Eli Drug delivery device with three screw threads for mechanical advantage
DK2076303T3 (en) * 2006-09-15 2018-11-05 Tecpharma Licensing Ag Multiple coupling injection apparatus
DE102007026083A1 (de) 2007-05-25 2008-11-27 Haselmeier S.A.R.L. Injektionsgerät
DE102009048497A1 (de) 2009-09-26 2011-03-31 Haselmeier Gmbh Injektionsgerät
CN102946929B (zh) 2010-04-23 2016-02-24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具有共用紧固机构的筒组件和药物输送装置
EP2621561B1 (en) * 2010-09-30 2023-04-1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Flexible fastener for drug delivery device
BR112013008912A2 (pt) * 2010-10-13 2017-07-11 Sanofi Aventis Deutschland mecanismo de ajuste de dose e método de ajuste de dose
CA2813126A1 (en) 2010-10-13 2012-04-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ose setting mechanism and method of setting a dose
AR086255A1 (es) * 2011-05-06 2013-11-27 Sanofi Aventis Deutschland Conjunto para un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y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HUE028339T2 (en) * 2012-04-11 2016-12-28 Sanofi Aventis Deutschland Cartridge holder and pen injector
HUE061532T2 (hu) 2012-08-31 2023-07-28 Sanofi Aventis Deutschland Gyógyszerbejuttató eszköz
US9833578B2 (en) 2012-10-12 2017-12-05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8652100B1 (en) * 2013-03-08 2014-02-18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Re-useable injector device for syringe
EP2983755B1 (en) 2013-04-10 2020-02-12 Sanofi Injection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467B2 (en) 2016-03-21 2023-05-09 Eli Lilly And Company Drive assembly for moving piston within container
US12083324B2 (en) 2016-03-21 2024-09-10 Eli Lilly And Company Drive ribbon for moving piston within container
KR20200085301A (ko) * 2017-12-08 2020-07-14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축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구동 리본을 갖는 의학적 전달 장치
KR20220110593A (ko) * 2017-12-08 2022-08-08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축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구동 리본을 갖는 의학적 전달 장치
US11957882B2 (en) 2017-12-08 2024-04-16 Eli Lilly And Company Medical delivery device with axially expandable drive ribbon
KR20200112903A (ko) * 2018-02-22 2020-10-05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피감지 요소를 갖는 약물 전달 장치
KR20210119480A (ko) * 2019-02-27 2021-10-05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약제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25324A (zh) 2016-07-16
EP3204086A1 (en) 2017-08-16
JP7111467B2 (ja) 2022-08-02
EP3204086B1 (en) 2024-11-27
CN106794313A (zh) 2017-05-31
AR102195A1 (es) 2017-02-08
IL250810A0 (en) 2017-04-30
MX2017004546A (es) 2017-06-23
US10661016B2 (en) 2020-05-26
AU2015329905A1 (en) 2017-04-06
RU2017115673A (ru) 2018-11-13
WO2016055625A1 (en) 2016-04-14
US20170296750A1 (en) 2017-10-19
BR112017005836A2 (pt) 2017-12-19
EP3204086C0 (en) 2024-11-27
JP2017530798A (ja)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852B2 (en) Injection device
EP2983755B1 (en) Injection device
US10569026B2 (en) Resettable drug delivery device
EP2983760B1 (en) Injection device
US10661016B2 (en) Housing and drug delivery device herewith
EP2983767B1 (en) Injection device
US10695503B2 (en) Drive sleeve,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drug delivery device
US20180079119A1 (en) Housing and Drug Delivery Device herewith and Method for Producing a Housing
US10350360B2 (en) Drug injection device with resettable mechanism allowing piston rod retraction upon drug cartridge change
US10576214B2 (en) Display and drug delivery device
US20180050161A1 (en) Drug Delivery Device
US11000648B2 (en) Resettable drug delivery device
US10639428B2 (en) Insert and drug delivery device herewith
US10463801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drive spring and drug delivery device with a spring
US10426895B2 (en) Drive mechanism and drug delivery device 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