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65183A -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 - Google Patents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183A
KR20170065183A KR1020150171304A KR20150171304A KR20170065183A KR 20170065183 A KR20170065183 A KR 20170065183A KR 1020150171304 A KR1020150171304 A KR 1020150171304A KR 20150171304 A KR20150171304 A KR 20150171304A KR 20170065183 A KR20170065183 A KR 20170065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weight
parts
natu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336B1 (ko
Inventor
신대호
Original Assignee
신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호 filed Critical 신대호
Priority to KR1020150171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3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3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배꼽 홈부에 끼어있는 각종 이물 및 냄새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동시에 배꼽 홈부의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Composite for cleaning umbilicus and method for cleaning umbilicus}
본 발명은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배꼽 홈부에 끼어있는 각종 이물 및 냄새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동시에 배꼽 홈부의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활을 하다 보면 주위의 사물이나 자연현상에 의해 각종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이 쉽게 되며, 피부에 닿은 이물질은 피부에서 배출되는 기름성분에 의해 녹아 피부에 들러붙음에 따라 간단히 털어내는 것으로는 제거되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다.
한편, 배꼽은 신생아기에 붙어 있던 탯줄이 떨어지면서 남은 흉터 부위로, 복부의 아랫쪽 중간에 위치한다. 형태 및 구조적으로 배꼽은 배꼽 유두와 배꼽테로 나눌 수 있다. 배꼽 유두는 내부에 약간 융기된 부분으로 지방이 없고 피하조직이 적어 움푹 들어간 상태이다. 배꼽테는 배꼽 유두 주변의 벽과 같은 구조로 이것이 좁아지지 않고 남아 있으면 배꼽탈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배꼽은 일종의 흔적 기관으로 수행하는 기능은 없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장과 같은 내부장기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형태 및 구조적으로 움푹 패어 있으며, 다른 부분의 피부조직과 다르게 배꼽 유두와 배꼽테 부분의 피부조직은 매우 연약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배꼽의 형태 및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배꼽의 홈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쉽게 쌓이고, 땀이나 분비물이 고이거나 뭉쳐 때가 생기기 쉬운 부분이다. 또한, 샤워나 목욕시 생기는 물이나 비눗물 등이 배꼽에 고이게 되는 경우가 흔함에 따라서 배꼽 위생에는 자칫 소홀하기 쉽다.
이에 따라 면봉, 손가락 등을 통해 배꼽의 이물을 제거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배꼽 내부의 피부가 매우 연하고 민감하여 손의 세균이나 자극에 반응하여 염증이 매우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제대염, 배꼽습저괴저 등의 병이 유발될 수 있고, 발열, 진물, 악취를 동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염증은 매우 인접하여 위치하는 내부 장기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배꼽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바디용 세정제 등을 이용할 경우 상기 세정제와 단순히 배꼽홈부의 접촉을 통해 이물을 제거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손가락 등을 통해 세정제를 배꼽 홈부의 피부에 문지르는 등의 세정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배꼽 홈부를 문지르는 행위는 상술한 것과 같은 배꼽 내부 피부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어서 배꼽 홈부의 이물을 제거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꼽에 자극을 주지 않고, 염증발생의 우려를 방지하는 동시에 배꼽에 있는 이물의 제거 및 악취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배꼽세정용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꼽에 자극을 주지 않고, 염증발생의 우려를 방지하는 동시에 배꼽에 있는 이물의 제거 및 악취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배꼽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배꼽세정용 조성물을 통하여 배꼽 홈부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이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성 식물 추출물 10 ~ 15 중량부 및 알코올 30 ~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오일은 피마자 오일, 동백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넛트 오일,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스위트아몬드 오일, 휫점 오일, 그레이프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살구씨 오일, 올리브 오일, 아몬드 오일 및 들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은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n-부틸 알코올, t-부틸 알코올 및 이소-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성 식물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자몽 추출물, 부추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목초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천연제올라이트계 광물 분말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 1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모오데나이트, 클리놉틸로라이트(clinoptilolite) 및 휼란다이트(heulandite) 중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평균입경이 0.9 ~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모오데나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클리놉틸로라이트를 20 ~ 3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모오데나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휼란다이트를 10 ~ 2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입경분포에 대한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분산계수가 10% 이하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라이신, 폴리아크릴릭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co-아크릴릭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이민, 키토산, 덱스트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을 40 ~ 8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본 발명에 따른 배꼽세정용 조성물을 배꼽의 홈부에 투입시키는 단계; (2) 상기 배꼽세정용 조성물에 포함된 알코올 성분의 기화 및 배꼽 홈부의 이물질 세정을 위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조성물을 방치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조성물을 배꼽홈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꼽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3) 단계는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분말상태로 고화된 조성물을 배꼽홈부에서 털어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배꼽세정용 조성물은 매우 우수하게 배꼽홈부의 이물질이나 각종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별도로 배꼽 홈부를 문지르는 등의 자극을 주지 않아도 됨에 따라서 배꼽 홈부의 세균감염에 의한 염증을 방지하여 배꼽 위생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세정용 조성물은 천연오일, 항균성 식물 추출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고,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천연오일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적인 세정제는 기름때를 계면활성제 등을 통해 제거하나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고, 특히 배꼽 내부 피부와 같이 매우 연약한 피부조직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배꼽 내부의 기름 때를 녹여낼 수 있는 오일성분, 그 중에서도 천연오일을 사용시에 피부 자극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오일은 통상적으로 인체용 세정제에 사용되고, 피부에 자극이 적은 동시에 기름때 등을 쉽게 녹여낼 수 있는 오일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오일은 피마자 오일, 동백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넛트 오일,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스위트아몬드 오일, 휫점 오일, 그레이프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살구씨 오일, 올리브 오일, 아몬드 오일 및 들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름때의 용해를 녹일 수 있도록 상기 천연오일은 올리브 오일, 아몬드 오일 및 들깨 오일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아몬드 오일 40 ~ 60 중량부 및 들깨 오일을 20 ~ 30 중량부로 혼합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혼합비율을 불만족할 경우 후술하는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과의 혼화성이 저해되어 광물분말의 기공에 오일이 담지되지 못하고 조성물이 오일과 광물분말의 상분리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꼽 세정용 조성물 중 항균성 식물 추출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항균성 식물 추출물은 만일하나 배꼽의 세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세균감염을 방지하고, 배꼽의 홈부의 피부조직에 서식할 수 있는 각종 유해 세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항균성 식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자몽 추출물, 부추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목초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어성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어성초추출물의 추출대상이 되는 어성초는 항균성과 살균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식물로써, 혈액순환 및 아토피에 좋다고 알려져 있어서 배꼽용 세정제에 사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다만, 상기 어성초는 비린내와 같은 냄새가 심해 사용 시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특유의 냄새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소수 1 ~ 4개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부탄올 추출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탄올 추출물을 12개월 이상 숙성시킨 부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어성초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만일 이를 불만족 시 어성초의 비린내가 목적하는 수준으로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균성 식물 추출물은 액상으로 조성물내 포함될 수 있으나, 조성물이 쉽게 배꼽홈부에서 분말상태로 고화될 수 있도록 추출물을 급속동결 등을 통해 분말화 시킨 고상으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알코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알코올은 상술한 천연오일의 조성물 내 분산성을 증가시키고, 더 포함될 수 있는 후술하는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과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배꼽 홈부 내부에 있는 세균을 살균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알코올은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n-부틸 알코올, t-부틸 알코올 및 이소-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오일, 항균성 식물 추출물 및 알코올은 조성물 내에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성 식물 추출물 10 ~ 15 중량부 및 알코올 30 ~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항균성 식물 추출물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에 배꼽의 세균 감염 우려가 있고, 또한 만일 항균성 식물 추출물이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항균성 식물 추출물이 액상인 경우 배꼽 홈부에 조성물 투입 후 조성물이 쉽게 분말상태인 고상으로 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조성물 내 천연오일의 함량이 줄어들어 목적하는 세정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이 3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천연오일의 조성물내 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특히 후술되는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광물분말과 천연오일의 혼화성이 감소하고, 광물분말의 기공에 천연오일이 담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이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배꼽에 조성물을 투입시 알코올의 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연장되어 배꼽용 조성물을 배꼽홈부에 장시간 놔둬야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세정용 조성물은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3차원 망상구조를 갖는 규산염 광물로서 결정구조 내부에 양이온이나 물분자를 포함할 수 있는 통로가 존재함에 따라 조성물에서 알코올에 분산 용해된 천연오일을 내부 통로로 인입시켜 담지할 수 있고, 또는 배꼽 내부의 기름때가 용해된 상태의 천연오일을 내부 통로로 인입시켜 담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배꼽 홈부의 악취 등에 있어서 소취, 탈취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배꼽세정용 조성물을 배꼽 피부와 물리적으로 마찰시키는 등의 통상적인 세정방법으로는 배꼽 피부의 자극, 염증발생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의 해결을 위하여 배꼽 세정용 조성물을 배꼽 홈부에 담지시키는 것 만으로도 쉽게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동시에, 배꼽 세정용 조성물을 배꼽 피부에 물리적 자극 없이 다시 쉽게 제거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조성물에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을 포함시에 슬러리와 같은 분산상의 조성물이 제조되며, 상기 조성물은 배꼽에 처리 후 고화시킬 경우 고상상태로 배꼽 홈부에서 떼어내거나 털어내기에 용이하여 배꼽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세정 작용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취를 통한 악취까지 제거할 수 있음 알게 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다만,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상술한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100 ~ 140 중량부로 포함됨이 바람직한데, 만일 1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에 배꼽홈부에 처리 후 조성물이 쉽게 고화상태로 되기 어렵고, 목적하는 수준의 세정력이나 악취제거효과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만일 1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조성물내 천연오일의 함량이 적어져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고, 천연오일이 알코올에 분산, 용해된 상태임에도 광물분말의 함량이 많아서 혼화가 어려움에 따라 목적하는 수준의 슬러리 상태를 만들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은 조성물을 배꼽 홈부에 처리시 광물분말에 의해 오히려 배꼽 홈부 피부조직의 물리적 자극, 상처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평균입경이 0.9 ~ 1.2㎛일 수 있으며, 만일 0.9㎛ 미만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분말을 사용시 피부에 오히려 달라붙어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1.2㎛를 초과시에 피부에 물리적 자극을 줌에 따라서 배꼽 홈부 피부조직의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경분포에 대한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분산계수가 10%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분산계수는 입도분포의 경향성을 보여주는 파라미터로, 분산계수가 작을수록 평균입경에 가까운 입경을 갖는 입자의 수가 늘어남을 의미한다. 만일 광물분말의 분산계수가 10%를 초과할 경우 천연오일과의 혼화성이 현저히 좋지 않아 결과적으로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보다 현저한 물성의 발현을 위하여 모오데나이트, 클리놉틸로라이트(clinoptilolite) 및 휼란다이트(heulandite) 중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배꼽의 악취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모오데나이트 및 클리놉틸로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모오데나이트, 클리놉틸로라이트(clinoptilolite) 및 휼란다이트(heulandite)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휼란다이트까지 더 포함할 경우 슬러리 상태의 조성물이 더욱 쉽게 고상으로 변할 수 있음에 따라서 세정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모오데나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클리놉틸로라이트를 20 ~ 3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휼란다이트를 10 ~ 2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클리놉틸로라이트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목적하는 소취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할 수 있고, 3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천연오일과 광물분말의 혼화성이 저해되고, 상대적으로 제한된 천연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에서의 모오데나이트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휼란다이트가 만일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에는 슬러리 상태의 조성물의 고화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고화시간의 단축효과가 미미하고, 상대적으로 제한된 천연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에서의 모오데나이트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은 배꼽세정용 조성물이 배꼽 홈부에 처리된 후 고화되어 분말상이 아닌 덩어리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해주며, 세정 후 고화된 조성물을 피부에서 쉽게 떼어내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라이신, 폴리아크릴릭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co-아크릴릭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이민, 키토산, 덱스트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을 통해 목적하는 효과를 더욱 잘 발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 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만일 4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배꼽 홈부에 처리된 배꼽용 세정제의 고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고, 만일 8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친수성 고분자화합물로 인해 배꼽의 이물질 세정이 오히려 방해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세정제에 많이 포함되는 향료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공지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다만, 인체에 자극이 적도록 친환경적인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세정용 조성물을 통하여 배꼽을 세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1) 단계로써, 상술한 배꼽세정용 조성물을 배꼽의 홈부에 투입시키는 단계; (2) 상기 배꼽세정용 조성물에 포함된 알코올 성분의 기화 및 배꼽 홈부의 이물질 세정을 위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조성물을 방치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조성물을 배꼽홈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1) 단계는 배꼽 홈부에 세정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로써 투입의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일예로, 만일 상기 세정용 조성물이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액상의 조성물임에 따라서 스포이드 등을 통해 배꼽의 홈부에 조성물을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조성물이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을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이 슬러리 상태임에 따라서 스틱이나 스푼 등을 통해 배꼽 홈부에 조성물을 투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 단계는 배꼽 홈부에 처리된 세정용 조성물을 일정시간 방치시키는 단계이다. 통상의 배꼽 세정방법은 상기 (2) 단계에서 물리적인 처리, 예를 들어 문지르는 등의 작업을 통해 이물을 제거시키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물리적 처리 없이 이물과 세정용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도 목적하는 수준의 세정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방치시간은 배꼽 홈부의 이물질이 충분히 세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만일 세정용 조성물이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을 포함할 경우 상기 슬러리 상태의 조성물이 고상으로 고화될 수 있는 시간을 동시에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치시간은 일예로 5 ~ 15분 정도 방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3) 단계로써,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조성물을 배꼽홈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조성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물로 제거시키는 방법 또는 슬러리상태의 조성물인 경우 분말상태로 고화된 조성물을 배꼽홈부에서 털어내거나 떼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만일 물로 제거시, 세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일정한 수압의 물을 직접 배꼽홈부에 분사시켜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천연오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올리브 오일 60중량%, 아몬드 오일 30중량% 및 들깨 오일을 10 중량%로 혼합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된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어성초 부탄올 추출물을 15개월 이상 숙성시킨 어성초 숙성추출물을 동결건조시킨 분말을 12중량부 혼합했고,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을 40중량부 혼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배꼽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조성물에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평균입경이 1.1㎛이고, 분산계수가 8%인 모오데나이트 분말을 90 중량부 혼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배꼽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1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물의 종류, 함량을 변경하여 하기 표 1, 표 2 또는 표 3과 같은 배꼽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알코올의 함량을 하기 표 3과 같이 변경시켜 하기 표 3과 같은 배꼽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배꼽세정용 조성물을 15일간 샤워를 하지 않은 남성 10명, 여성 10명 총 20명에 처리 후 10분간 방치하였고, 이후 세정제를 제거한 후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1. 배꼽 홈부의 이물질 및 냄새 제거효과
배꼽 홈부의 세정 전, 20명 각각의 배꼽 홈부의 청결상태에 대해 1차 평가하였고, 배꼽 홈부의 세정 후 20명 각각의 배꼽 홈부의 청결상태를 2차 평가하여 각 인원별 1차 평가결과와 2차 평가결과를 비교해 배꼽 홈부의 이물질 및 냄새 제거 효과를 판단했으며, 각 인원별 배꼽 홈부의 세정효과가 우수한 경우 10, 세정이 거의 되지 않은 경우를 0으로 하여 세정효과를 0 ~ 10으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합산하여 20명의 평균으로 표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세정과정에서 문지르거나 하는 등의 물리적 자극을 가하지 않았다.
2. 감염발생 여부
배꼽 세정 후 3일 경과했을 때 배꼽의 감염여부를 판단했고, 감염된 경우 ○, 감염되지 않았으나 피부조직이 붉은색을 나타낼 경우 △, 이상이 없는 경우는 ×로 나타냈으며, 각 결과별 인원수를 카운팅하여 표에 나타내었다.
3. 세정 조성물의 고화 정도 평가
세정 조성물을 배꼽 홈부에 처리 후 10분 경과시 조성물이 고화되어 덩어리 상태로 형성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10 분 경과 후 조성물이 덩어리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5, 그 정도가 낮을수록 4 ~ 0으로 표시하였다.
4. 세정 조성물의 제거력 평가
세정 조성물이 세정 후에 배꼽 홈부에 남아있는지를 관찰하여 배꼽 홈부에 세정 조성물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5, 남아 있는 정도가 심할수록 4 ~ 0으로 평가한 후 20인에 대한 평균을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천연오일
(종류/중량%)
올리브오일/60
아몬드오일/30
들깨오일/10
항균성 식물 추출물
(종류/중량부)
어성초숙성추출물/12
알코올(종류/중량부) 에탄올/40 에탄올/40 에탄올/40 에탄올/40 에탄올/40
광물분말
(종류/중량부)
- 모오데나이트/90 모오데나이트/110 모오데나이트/135 모오데나이트/150
- - - - -
- - - - -
광물분말 평균입경(㎛)
/분산계수(%)
- 1.1/8 1.1/8 1.1/8 1.1/8

세정 효과 4.2 7.1 8.0 8.1 7.8
감염발생여부 × × ×
세정제고화정도 0 2 2 2 3
세정제 제거력 5 2 2 2 3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천연오일
(종류/중량%)
올리브오일/60
아몬드오일/30
들깨오일/10
항균성 식물 추출물
(종류/중량부)
어성초숙성추출물/12
알코올(종류/중량부) 에탄올/40 에탄올/40 에탄올/40 에탄올/40 에탄올/40
광물분말
(종류/중량부)
모오데나이트/88 모오데나이트/96 - 모오데나이트/78 모오데나이트/78
클리놉틸로라이트/22 - 클리놉틸로라이트/69 클리놉틸로라이트/20 클리놉틸로라이트/20
- 휼란다이트/14 휼란다이트/41 휼란다이트/12 휼란다이트/12
광물분말 평균입경(㎛)
/분산계수(%)
1.1/7 1.0/8 1.1/7 1.1/8 1.1/8
친수성 고분자화합물
(종류/중량부)
- - - - PVA/35

세정 효과 9.0 7.3 5.4 9.1 9.1
감염발생여부 × × × × ×
세정제고화정도 2 3 5 3 4
세정제 제거력 2 3 5 3 4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비교예1 비교예2


천연오일
(종류/중량%)
올리브오일/60
아몬드오일/30
들깨오일/10
항균성 식물 추출물
(종류/중량부)
어성초숙성추출물/12
알코올
(종류/중량부)
에탄올/40 에탄올/40 에탄올/40 에탄올/28 에탄올/55
광물분말
(종류/중량부)
모오데나이트/78 모오데나이트/78 모오데나이트/78 모오데나이트/78 모오데나이트/78
클리놉틸로라이트/20 클리놉틸로라이트/20 클리놉틸로라이트/20 클리놉틸로라이트/20 클리놉틸로라이트/20
휼란다이트/12 휼란다이트/12 휼란다이트/12 휼란다이트/12 휼란다이트/12
광물분말 평균입경(㎛)
/분산계수(%)
1.1/8 1.1/8 1.1/8 1.1/8 1.1/8
친수성 고분자화합물
(종류/중량부)
PVA/50 PVA/75 PVA/85 - -

세정 효과 9.2 9.1 8.6 8.3 9.1
감염발생여부 × × × ×
세정제고화정도 5 5 5 3 1
세정제 제거력 5 5 5 3 2
상기 표 1내지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알코올의 함량이 적게 포함된 비교예 1은 조성물의 혼화성이 저하되어 실시예 9 보다 세정력이 저하되고, 광물분말에 의한 배꼽 홈부의 피부자극이 가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알코올 함량이 많게 포함됨에 따라서 세정조성물의 고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연장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제거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천연오일만 함유된 실시예 1보다 천연광물이 포함된 실시예 2 내지 13이 세정력이 우수했고, 이는 실시예 1의 세정조성물의 경우 물리적 자극을 통한 세척과정 없이는 세정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나 천연광물이 포함될 경우 물리적 자극 없이도 세정효과가 우수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며, 실시예 1에서는 상대적으로 천연광물을 통한 악취의 제거가 적어서 세정효과가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로 모오데나이트를 포함한 경우에도 함량이 적은 실시예 2는 세정효과에서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많게 포함된 실시예 5의 경우 배꼽 피부자극에 의한 감염이 확인되었고, 천연오일이나 알코올과의 혼화성이 다소 저하되어 세정력도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 ~ 9를 통해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로 클리놉틸로라이트를 포함한 경우 세정효과가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휼란다이트를 포함한 경우 세정조성물의 고화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다만, 모오데나이트 없이 클리놉틸로라이트 및 휼란다이트만으로는 목적하는 세정효과를 달성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고분자화합물로 폴리비닐알코올(PVA)를 포함하는 실시예 10 ~ 13을 통하여 PVA를 통해 세정조성물의 고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세정조성물의 제거가 더욱 용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PVA의 함량에 따라서 많이 포함될 경우 세정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음을 실시예 1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성 식물 추출물 10 ~ 15 중량부 및 알코올 30 ~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오일은 피마자 오일, 동백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넛트 오일,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스위트아몬드 오일, 휫점 오일, 그레이프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살구씨 오일, 올리브 오일, 아몬드 오일 및 들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n-부틸 알코올, t-부틸 알코올 및 이소-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식물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자몽 추출물, 부추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목초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천연제올라이트계 광물 분말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 1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모오데나이트, 클리놉틸로라이트(clinoptilolite) 및 휼란다이트(heulandite) 중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평균입경이 0.9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모오데나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클리놉틸로라이트를 20 ~ 3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모오데나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휼란다이트를 10 ~ 2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제올라이트계 광물분말은 입경분포에 대한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분산계수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수학식 1]
    Figure pat00003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천연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을 40 ~ 8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라이신, 폴리아크릴릭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co-아크릴릭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이민, 키토산, 덱스트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용 조성물.
  14. (1)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꼽세정용 조성물을 배꼽의 홈부에 투입시키는 단계;
    (2) 상기 배꼽세정용 조성물에 포함된 알코올 성분의 기화 및 배꼽 홈부의 이물질 세정을 위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조성물을 방치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조성물을 배꼽홈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꼽세정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분말상태로 고화된 조성물을 배꼽홈부에서 털어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세정방법.
KR1020150171304A 2015-12-03 2015-12-03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0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304A KR101804336B1 (ko) 2015-12-03 2015-12-03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304A KR101804336B1 (ko) 2015-12-03 2015-12-03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83A true KR20170065183A (ko) 2017-06-13
KR101804336B1 KR101804336B1 (ko) 2017-12-04

Family

ID=5921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3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4336B1 (ko) 2015-12-03 2015-12-03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97297A (zh) * 2020-05-13 2023-02-03 佩特尼克医药公司 泌尿生殖器清洁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2641B2 (ja) * 2004-08-06 2008-10-08 花王株式会社 身体凹部清浄剤
JP2007137832A (ja) 2005-11-21 2007-06-07 Kimi Kasei Kk 粒状入浴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103529B1 (ko) * 2011-09-02 2012-01-06 보화물산주식회사 유아용 기능성 비누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97297A (zh) * 2020-05-13 2023-02-03 佩特尼克医药公司 泌尿生殖器清洁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336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07559A (ja) リパーゼ抑制剤としてのポリアルコキシ共重合体及びそれらの組成物
WO2009008656A2 (en) A soap composition for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fermented extract of xanthium strumarium 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70010490A (ko) 해조 추출물이 첨가된 비누와 그의 제조방법.
KR101804336B1 (ko)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
CN112877153A (zh) 一种具有保湿杀菌功能的香皂及其制备方法
CN108498343B (zh) 一种去油污湿巾及其制备方法
KR20110128516A (ko) 천연생약성분과 죽염, 자일리톨, 천연계면활성제(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를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한방치약조성물
CN110638684A (zh) 一种可注射的胶原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637194B1 (ko) 한방 추출물과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890027B2 (ja) スキンケア用組成物
KR20180079959A (ko) 녹차 함유 구강세척제
KR101548188B1 (ko)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JP2006176552A (ja) 褐藻アカモク(学名Sargassumhorneri)よりフコイダンを含む粘状を帯びた抽出液を採集する方法。
JP7056903B2 (ja) デオドラント液状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10716B1 (ko) 녹차 함유 구강세척제
KR101008703B1 (ko)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62838B1 (ko) 다시마 추출물을 이용한 1종 주방세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1종 주방세제
KR102575807B1 (ko) 시금치, 녹차, 굴패각 및 송진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KR102776094B1 (ko) 업사이클링한 편백수와 편백오일을 활용한 미용비누 조성물
KR102811942B1 (ko) 여성 질환 개선을 위한 바이오 세정젤 제조장치
CN114948830B (zh) 功能型人体医用清洁湿巾液
KR102765272B1 (ko) 항균활성을 갖는 무방부제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1744419B1 (ko) 겨우살이 발효물과 머드스톤이 혼합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US8486424B1 (en) Method of preparing a skin treatment composition
JPH11158078A (ja) 皮膚のかぶれ又はかゆみ防止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