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64502A -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502A
KR20170064502A KR1020170052394A KR20170052394A KR20170064502A KR 20170064502 A KR20170064502 A KR 20170064502A KR 1020170052394 A KR1020170052394 A KR 1020170052394A KR 20170052394 A KR20170052394 A KR 20170052394A KR 20170064502 A KR20170064502 A KR 20170064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map
path
distance
pa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혁
한정훈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두컴스엔지니어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컴스엔지니어링코리아 filed Critical (주)두컴스엔지니어링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5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502A/ko
Publication of KR2017006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50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3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3D 경로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3D 지도 상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특정하는 지점 특정모듈,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여기서, N은 자연수)을 특정하는 경유점 특정모듈-여기서 제1 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은 상기 제1지점에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됨-,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및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의 총합을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길이로 산출하는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3 dimensional path distance}
본 발명은 3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3D 경로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D(2차원) 지도에서는 모든 지점이 동일한 2차원 평면 상에 존재하므로 2D 지도 상의 두 지점의 x, y 좌표만을 계측하면, 상기 2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평면 거리는 비교적 간단하게 산출할 수가 있다.
하지만, 3D 지도의 경우 상기 3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정확한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쉽지 않다. 3D 지도의 경우에는 상기 3D 지도에 상응하는 지역의 지형이 3차원으로 표현되므로 지도 상의 각 지점이 x, y좌표뿐만 아니라 z좌표를 가지며, 거리 측정의 대상이 되는 두 지점 사이의 경로가 단순한 직선이 아니라 수 많은 굴곡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3D 지도 상의 두 지점의 x, y, z좌표를 연결하는 단순한 직선 거리를 구하는 방법으로 3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거리를 계산할 경우, 이는 3D 지도 상의 상기 두 지점을 지표면을 따라 이동한 거리와는 매우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D 지도 상에서 지형을 고려한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3D 지도 상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특정하는 지점 특정모듈,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상기 3D 지도의 탑뷰(top view)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여기서, N은 자연수)을 특정하는 경유점 특정모듈-여기서 제1 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은 상기 제1지점에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됨-,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및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의 총합을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길이로 산출하는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지도는, 상기 3D 지도에 상응하는 지역의 지형을 복수의 폴리곤을 표현한 지도이며,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은,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과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가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교차하는 각 교차점을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지점을 상기 제1경유점 내지 상기 제N경유점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폴리곤의 각 꼭지점의 x, y, z 좌표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은,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교차하는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교차 변 각각의 양 끝점의 x, y 좌표와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의 x, y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 각각의 x, y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 3D 지도의 탑뷰는 x-y 평면임.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은, 상기 교차점의 x, y 좌표 및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교차 변의 양 끝 점의 x, y, z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x, y, z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고,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고(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고, 상기 제1지점,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고, 상기 제i경유점,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i+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고(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상기 제N경유점,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3D 지도 상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특정하는 지점 특정단계,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여기서, N은 자연수)을 특정하는 경유점 특정단계-여기서 제1 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은 상기 제1지점에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됨 및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의 총합을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길이로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지도는, 상기 3D 지도에 상응하는 지역의 지형을 복수의 폴리곤을 표현한 지도이며, 상기 경유점 특정단계는,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과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가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교차하는 각 교차점을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지점을 상기 제1경유점 내지 상기 제N경유점으로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은,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폴리곤의 각 꼭지점의 x, y, z 좌표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유점 특정단계는,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교차하는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교차 변 각각의 양 끝점의 x, y 좌표와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의 x, y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 각각의 x, y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 3D 지도의 탑뷰는 x-y 평면임.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유점 특정단계는, 상기 교차점의 x, y 좌표 및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교차 변의 양 끝 점의 x, y, z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x, y, z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지점,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i경유점,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i+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는 단계(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상기 제N경유점,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지도 상에서 지형을 고려한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소정의 대상 공간을 표현하는 3D 지형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지형도를 DEM에 의해 모델링된 TIN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도 1a의 3D 지형도와 도 1b의 매쉬를 결합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3D 지형도의 탑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매쉬 형태의 3D 도면의 탑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의 3D 지형도의 탑뷰와 도 2b의 매쉬를 결합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3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3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3D 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특정하는 경유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교차점 및 그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은 소정의 3D 지도(3차원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경로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3D 거리 경로 산출 시스템은 상기 3D 지도 상의 두 지점을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한 탑뷰 직선 경로를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상기 두 지점 간의 3D 경로의 길이인 3D 경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두 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와 3D 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소정의 대상 공간을 표현하는 3D 지형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지형도는 상기 대상 지역에 포함된 지형의 고도나 굴곡을 반영하여 상기 대상 지역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3D 지형도는 컴퓨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각종 디지털 시스템 상에서는 수치화된 모델의 형태로 구현이 되는데, 대표적인 3D 지도 모델링 방법으로 수치표고모델링(DEM; Digital Elevation Modeling)을 들 수 있다. DEM에 의해 모델링된 3D 지도는 부정삼각네트워크(TIN; Triangle Irregular Network)로 표현되는데, TIN은 지형의 굴곡을 곡면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삼각형(각 삼각형은 모두 평면)을 연결한 매쉬의 형태로 해당 지형을 표현하게 된다. 도 1a의 지형도를 DEM에 의해 모델링된 TIN 형태로 나타낸 것이 도 1b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a의 3D 지형도와 도 1b의 매쉬를 결합하여 표현한 것이 도 1c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매쉬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이 반드시 삼각형일 필요는 없으며, 모델링 방법에 따라서는 삼각형이 아닌 임의의 다각형(폴리곤)을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3D 지형도의 탑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지형도의 탑뷰는 상기 3D 지형도에 상응하는 지역을 위에서 바라본 지도이며, 상기 3D 지형도의 x-y 평면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3D 지형도 상의 특정 지점은 x, y, z 좌표에 의해 특정되지만, 도 2a에 도시된 탑뷰 상의 특정 지점은 x, y좌표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3D 지형도는 비록 3차원의 형태로 표현되지만 실제로는 굴곡의 형태를 가지거나 폴리곤의 연결로 표현되는 면이므로 도 2a에 도시된 탑뷰 상의 특정 지점 은 도 1a에 도시된 3D 지형도의 면 상의 특정 투영점으로 투영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투영점의 x, y 좌표는 상기 탑뷰 상의 특정 지점의 x, y좌표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매쉬 형태의 3D 도면의 탑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의 3D 지형도의 탑뷰와 도 2b의 매쉬를 결합하여 표현한 것이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3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라고 함은, 상기 3D 지도 상의 두 지점을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두 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두 지점 PS와 PE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c에 도시된 3D 지도 상의 두 지점 PS와 PE 를 도 2c에 도시된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한 PS와 PE 간의 탑뷰 직선 경로(1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3D 지도 상의 두 지점 간의 3D 경로라 함은 상기 두 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두 지점 간의 3D 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도 3에 도시된 PS와 PE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3D 지도 상에 투영한 3D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와 PE 간의 탑뷰 직선 경로(10)는 직선의 형태이지만, PS와 PE 간의 3D 경로(20)는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 상의 각 지점의 고저에 의한 굴곡을 가지는 경로가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4의 예시에서 3D 지도는 다수의 평면 삼각형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므로 PS와 PE 간의 3D 경로(20)는 마치 꺽은선 그래프와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3D 경로를 탑뷰에서 바라보는 경우 PS와 PE 간의 탑뷰 직선 경로(10)와 동일한 직선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거리 경로 산출 시스템은 PS와 PE 간의 3D 경로(20)의 길이인 3D 경로 거리를 두 지점 PS와 PE 간의 거리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은 지점 특정모듈(110), 경유점 특정모듈(120), 판단모듈(130), 산출모듈(140), 저장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은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지점 특정모듈(110), 경유점 특정모듈(120), 판단모듈(130), 산출모듈(140) 및/또는 저장모듈(150))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도 있는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지점 특정모듈(110), 경유점 특정모듈(120), 판단모듈(130), 산출모듈(140) 및/또는 저장모듈(15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지점 특정모듈(110), 경유점 특정모듈(120), 판단모듈(130), 산출모듈(140) 및/또는 저장모듈(150) 등 각각의 개별 모듈을 구성하는 세부요소들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세부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개별 모듈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지점 특정모듈(110)은 3D 지도 상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특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점 특정모듈(110)은 사용자가 지정한 두 지점을 제1지점 및 제2지점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점 특정모듈(110)은 사용자 단말에 도 1a 내지 도 1c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3D 지도 상의 두 지점을 지정하는 경우, 지정된 두 지점을 각각 제1지점 및 제2지점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점 특정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두 지점의 좌표를 입력 받아 입력된 좌표에 상응하는 3D 지도 상의 두 지점을 제1지점 및 제2지점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지점 특정모듈(110)이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특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상에 위치하는 N개의 경유점(제1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을 특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은 상기 제1지점에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이 특정하는 경유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면의 아이소메트릭뷰(isometric view)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1지점 PS와 제2지점 PE 간의 탑뷰 직선 경로(10), 제1지점 PS와 제2지점 PE 간의 3D 경로(20)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점 PS와 제2지점 PE 간의 3D 경로(20) 상에 위치하는 22개의 경유점 P1 내지 P22를 특정할 수 있다. 이때, 경유점 P1 내지 P22는 제1지점 PS에 가까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이 경유점을 특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30)은 제1지점 PS와 제2지점 PE 간의 3D 경로(20) 상의 몇 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경유점으로 특정할 수도 있으며, 각 지점 중 기울기의 변화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는 지점을 경유점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한편, 3D 지도가 도 1b 또는 도 1c와 같이 상기 3D 지도에 상응하는 지역의 지형을 복수의 폴리곤을 표현한 지도인 경우, 상기 저장모듈(150)은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폴리곤 각 꼭지점의 x, y, z 좌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상기 3D 지도를 구성하는 폴리곤 정보에 기초하여 경유점을 특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과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가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교차하는 교차점을 판단하고, 각 교차점을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지점을 상기 제1경유점 내지 상기 제N경유점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때, 경유점의 개수N은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과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가 만나는 지점의 개수가 될 것이다.
도 7은 상술한 교차점 및 그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이라고 함은 상기 경유점이 상기 특정 교차점을 3D 지도 상에 투영한 지점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a)는 폴리곤(특히, 삼각형)으로 구성된 3D 지도의 탑뷰의 일부 및 탑뷰 직선 경로(10)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교차점 중 일부(Pa 내지 Pg)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을 참조하면, 만약 제1지점 및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10) 상에 폴리곤 A 내지 F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폴리곤 A를 구성하는 변(La)과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가 교차하는 교차점(Pa), 폴리곤 A 또는 B를 구성하는 변(Lb)과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가 교차하는 교차점(Pb), 폴리곤 B 또는 C를 구성하는 변(Lc)과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가 교차하는 교차점(Pc), 폴리곤 C 또는 D를 구성하는 변(Ld)과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가 교차하는 교차점(Pd), 폴리곤 D 또는 E를 구성하는 변(Le)과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가 교차하는 교차점(Pe), 폴리곤 E 또는 F를 구성하는 변(Lf)과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가 교차하는 교차점(Pf), 폴리곤 F 를 구성하는 변(Lf)과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가 교차하는 교차점(Pf)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판단한 각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을 특정할 수 있다. 도 7(b)는 3D 지도의 아이소메트릭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a)에 도시된 교차점(Pa 내지 Pg) 각각에 상응하는 경유점(Qa 내지 Qg)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교차점(Pa 내지 Pg)는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지만, 3D 지도는 폴리곤의 기울기에 따라 굴곡 혹은 요철을 가지므로 각 교차점이 3D 지도 상에 투영됨으로써 특정되는 각 경유점은 그 고도(높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도 7(b)는 각 경유점의 고도 차이를 표현하고 있다. 한편, 탑뷰 상에 있는 특정 교차점에 상응하는 3D 지도 상의 경유점은 상기 특정 교차점을 3D 지도 상에 투영한 것이므로 상기 특정 교차점의 x, y좌표와 그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x, y 좌표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D 지도의 탑뷰는 x-y 평면이므로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교차하는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교차 변 각각의 양 끝점의 x, y 좌표와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의 x, y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 각각의 x, y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상기 제1지점의 x, y좌표 및 상기 제2지점의 x, y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를 표현하는 직선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뷰 직선 경로(10)와 교차하는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교차변(예를 들면, 도 7(a)의 교차변(La))의 양 끝점의 x, y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교차변(예를 들면, 도 7(a)의 교차변(La))를 표현하는 직선을 판단할 수 있으며, 두 직선의 교차점을 계산함으로써 교차점(예를 들면, 도 7(a)의 교차점(Pa))의 x, y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탑뷰 상에 있는 특정 교차점에 상응하는 3D 지도 상의 경유점은 상기 특정 교차점을 3D 지도 상에 투영한 것이므로 상기 특정 교차점의 x, y좌표와 그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x, y 좌표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각 교차점의 x, y좌표가 결정되면, 결정된 각 교차점의 x, y 좌표에 의해 그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x, y좌표 역시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각 경유점은 3D 지도 상의 지점이므로 각 경유점을 명확히 특정하기 위해서는 각 경유점의 z좌표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어느 한 교차점의 x, y 좌표 및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교차 변의 양 끝 점의 x, y, z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x, y, z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120)은 교차점(Pa)의 (x, y)좌표를 지나며 x-y 평면에 수직하는 3차원 공간 상의 직선을 판단하고, 상기 교차점(Pa)에 상응하는 교차 변(La)의 양 끝 점의 x, y, z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교차변(La)을 표현하는 3차원 공간 상의 직선을 판단할 수 있으며, 3차원 공간 상의 두 직선의 교차점을 계산함으로써 교차점(Pa)에 상응하는 경유점(Qa) x, y, z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판단모듈(130)은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예로 들면, 상기 판단모듈(130)은 제1지점(PS)와 제1경유점(P1) 간의 거리, 제1경유점(P1)과 제2경유점(P2) 간의 거리, 제2경유점(P2)과 제3경유점(P3) 간의 거리, …, 제21경유점(P11)과 제22경유점(P22) 간의 거리 및 제22경유점(P22)과 제2지점(PE)간의 거리를 모두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3D 지도가 도 1b 또는 도 1c와 같이 상기 3D 지도에 상응하는 지역의 지형을 복수의 폴리곤을 표현한 지도인 경우, 각 폴리곤은 굴곡이 없는 평면이므로 인접한 두 지점은 상기 3D 지도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모듈(130)은 인접한 두 지점 간의 직선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모듈(130)은 보다 실제 값에 가까운 결과를 얻기 위하여 보간법(interpolation)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모듈(130)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고,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고(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제1지점,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고, 상기 제i경유점,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i+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고(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상기 제N경유점,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모듈(130)이 위와 같이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를 판단하고 난 후, 상기 산출모듈(140)은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의 총합을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거리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3D 경로 거리 산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경로 거리 산출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3D 지도 상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특정하는 지점 특정모듈;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상기 3D 지도의 탑뷰(top view)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여기서, N은 자연수)을 특정하는 경유점 특정모듈-여기서 제1 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은 상기 제1지점에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됨;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제i경유점과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및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의 총합을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거리로 산출하는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3D 지도는, 상기 3D 지도에 상응하는 지역의 지형을 복수의 폴리곤을 표현한 지도이며,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은,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과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가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교차하는 각 교차점을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지점을 상기 제1경유점 내지 상기 제N경유점으로 특정하며(이때, N은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과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가 만나는 지점의 개수임),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폴리곤의 각 꼭지점의 x, y, z 좌표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유점 특정모듈은,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교차하는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교차 변 각각의 양 끝점의 x, y 좌표와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의 x, y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 각각의 x, y 좌표를 판단하며(여기서, 상기 3D 지도의 탑뷰는 x-y 평면임).
    상기 교차점 각각에 대하여, 상기 교차점의 x좌표 및 y좌표를 각각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x좌표 및 y좌표로 간주하고, 상기 교차점의 (x, y)좌표를 지나며 x-y 평면에 수직하는 3차원 공간 상의 직선과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교차 변을 표현하는 3차원 공간 상의 직선이 만나는 점의 z좌표를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z좌표라고 판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고,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고(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고,
    상기 제1지점,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고, 상기 제i경유점,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i+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고(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상기 제N경유점,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3.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3D 지도 상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을 특정하는 지점 특정단계;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직선으로 연결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를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여기서, N은 자연수)을 특정하는 경유점 특정단계-여기서 제1 경유점 내지 제N경유점은 상기 제1지점에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됨; 및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제i경유점과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의 총합을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3D 경로 길이로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방법으로서,
    상기 3D 지도는, 상기 3D 지도에 상응하는 지역의 지형을 복수의 폴리곤을 표현한 지도이며,
    상기 경유점 특정단계는,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과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간의 탑뷰 직선 경로가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교차하는 각 교차점을 상기 3D 지도 상에 투영한 지점을 상기 제1경유점 내지 상기 제N경유점으로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방법은,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폴리곤의 각 꼭지점의 x, y, z 좌표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유점 특정단계는,
    상기 3D 지도의 탑뷰 상에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교차하는 상기 복수의 폴리곤을 구성하는 교차 변 각각의 양 끝점의 x, y 좌표와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의 x, y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점 각각의 x, y 좌표를 판단하고(여기서, 상기 3D 지도의 탑뷰는 x-y 평면임),
    상기 교차점 각각에 대하여, 상기 교차점의 x좌표 및 y좌표를 각각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x좌표 및 y좌표로 간주하고, 상기 교차점의 (x, y)좌표를 지나며 x-y 평면에 수직하는 3차원 공간 상의 직선과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교차 변을 표현하는 3차원 공간 상의 직선이 만나는 점의 z좌표를 상기 교차점에 상응하는 경유점의 z좌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에 대한 보간을 수행하여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지점,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1지점과 제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i경유점,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i+1경유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상기 제i경유점과 상기 제i+1경유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는 단계(여기서, i는 1<=i<=N-1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 및
    상기 제N경유점, 상기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점 및 상기 제2지점을 차례로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제N경유점과 상기 제2지점 간의 거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방법.
  5.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이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KR1020170052394A 2017-04-24 2017-04-24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eased KR20170064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94A KR20170064502A (ko) 2017-04-24 2017-04-24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94A KR20170064502A (ko) 2017-04-24 2017-04-24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272A Division KR20160093369A (ko) 2015-01-29 2015-01-29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502A true KR20170064502A (ko) 2017-06-09

Family

ID=5922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394A Ceased KR20170064502A (ko) 2017-04-24 2017-04-24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5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7954B1 (en) Terrain modeling based on curved surface area
KR100520707B1 (ko) 3차원 지도에서의 다중레벨 텍스트데이터 표시방법
KR101994317B1 (ko) 네비게이션 장치, 고도 좌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
KR100506822B1 (ko) 3차원 다각형의 화면 표시방법
EP2530433A1 (en) Method of generating a database for a navigation device, method of outputting a three-dimensional map, and navigation device
US20150348318A1 (en) Graphical representation of roads and routes using hardware tessellation
US11361127B2 (en) Simulation device, simul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657937B1 (ko) 2차원 선형 데이터의 실시간 3차원 변환 방법 및 장치,그리고 이를 이용한 2차원 선형 데이터의 실시간 3차원시각화 방법 및 장치
CN110389992B (zh) 导航矢量数据的可视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1126245A2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map information
CN111047682B (zh) 一种三维车道模型生成方法及系统
US9250093B2 (en) Navigation device, method of predicting a visibility of a triangular face in an electronic map view,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atabase
KR20210049468A (ko) 구형 표면을 동일면적의 격자로 분할하는 방법
KR100634537B1 (ko) 3차원 영상의 삼각 분할 장치 및 방법과 그 장치를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 매체
KR102026154B1 (ko) 천수흐름에서 천해파의 수치모의 방법
US20100309227A1 (en) Map display device
CN108376423A (zh) 一种安全生产vr实训导航路径动态规划方法和系统
KR20160093369A (ko)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4502A (ko) 3d 경로 거리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0909B1 (ko) 이동 그리드를 이용한 유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5585802A (zh) 地图创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Applegate et al. A sketch-based system for highway design
CN114037798A (zh) 三维路口模型的生成方法及装置
JP4628160B2 (ja) 三次元モデル処理方法
KR100550127B1 (ko) 3차원 라인의 근사 클리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3차원영상의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12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1427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