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60154A - 순응 구조부를 구비한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순응 구조부를 구비한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154A
KR20170060154A KR1020177012090A KR20177012090A KR20170060154A KR 20170060154 A KR20170060154 A KR 20170060154A KR 1020177012090 A KR1020177012090 A KR 1020177012090A KR 20177012090 A KR20177012090 A KR 20177012090A KR 20170060154 A KR20170060154 A KR 2017006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
layer
absorbent article
absorbent
fluid inta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826B1 (ko
Inventor
수잔느 마리 스모커
하이디 바우어라인 홉킨스
소현 에스. 박
크리스토퍼 피터 올슨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6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8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longitudinal raised end, e.g. cup-shaped gluteal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13/581Tab fastener elements combining adhesive and mechanical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three-dimensional; with split absorbent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 용품은 상면시트, 배면시트, 배면시트와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조립체를 갖는다. 흡수 용품은 흡수 조립체와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유체 흡입층을 포함한다. 유체 흡입층은 유체 흡입층의 뒷 부분에 위치한 후방 대향 아치를 갖는다. 유체 흡입층은 구멍을 갖는다. 흡수 용품은 유체 흡입층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방향 보강재 및 제2 측방향 보강재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제1 굴곡부, 제2 굴곡부, 제3 굴곡부를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 포함한다.

Description

순응 구조부를 구비한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forming structure}
본 발명은 순응 구조부를 구비한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은 착용하기에 편안하면서도 체액을 흡수하도록 설계되었지만 향상된 누출 방지 및 증가된 편안함은 지속적인 목표이다. 착용자의 윤곽과 움직임에 따라 패드가 잘 맞지 않고 최적하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목표는 착용자의 활동 증가와 결합될 때 더욱 어려워진다. 특히, 착용자의 둔부 틈에 근접한 패드의 후방은 착용감 개선이 요구되는 한 영역이다. 이전의 일부 흡수 용품은 착용자의 둔부 틈에 보다 잘 순응하기 위한 노력으로 후방 보호 특징부를 포함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부들은 걷거나 달리는 동안 번짐, 비틀림 및/또는 꼬임의 몇몇 경험을 줄이지는 못했다. 따라서 신체에 순응하고 활동 증가 동안 번짐, 비틀림 및/또는 꼬임이 감소된 둔부 틈에 밀착되어 유지되는 흡수 용품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면시트, 배면시트, 상기 배면시트와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조립체, 및 상기 흡수 조립체와 상기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유체 흡입층을 갖는 흡수 용품을 제공한다. 유체 흡입층은 길이방향으로 유체 흡입층 길이를 정의하고, 흡수 용품은 길이방향으로 흡수 용품 길이를 정의한다. 유체 흡입층 길이는 흡수 용품 길이의 30-60%이다. 유체 흡입층은 또한 외측 둘레부를 정의한다. 외측 둘레부는 유체 흡입층의 뒷 부분에 위치한 후방 대향 아치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방향 보강재,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방향 보강재, 및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 제1 굴곡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굴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 제1 굴곡부를 포함하고,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제1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 제2 굴곡부를 포함한다. 제2 굴곡부는 제2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흡수 용품의 제1 측면 부분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 제3 굴곡부를 포함한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대향하고 있다. 제3 굴곡부는 제3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흡수 용품의 제2 측면 부분을 정의한다. 제2 및 제3 굴곡부는 그들 사이에 흡수 용품의 중앙 부분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제1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1 체결기구 및 제2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2 체결기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의 중앙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체결기구가 없다.
선택적으로, 제2 굴곡부 및 제3 굴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후방으로 갈라진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 제2 굴곡부 및 제3 굴곡부는 유체 흡입층의 후방 대향 아치에 근접한 전방 지점에서 종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 제2 굴곡부 및 제3 굴곡부는 흡수 조립체에서의 엠보싱이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는 제1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이고, 제2 체결기구는 제2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이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는 제1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접착제이고, 제2 체결기구는 제2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접착제이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은 이성분 섬유 및 펄프 섬유를 갖는 에어레이드 재료로 제조되고 후방 대향 아치는 7-15mm의 길이방향 길이 치수를 정의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면시트, 배면시트, 상기 배면시트와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조립체를 갖는 흡수 용품을 제공한다. 흡수 조립체는 상부 흡수층과 하부 흡수층을 포함한다. 하부 흡수층은 상부 흡수층과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한다. 유체 흡입층은 상부 흡수층과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다. 유체 흡입층은 외측 둘레부를 정의한다. 외측 둘레부는 유체 흡입층의 뒷 부분에 위치한 후방 대향 아치를 갖는다. 유체 흡입층은 구멍을 갖는다. 구멍은 내측 둘레부를 정의한다. 상기 구멍은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정의하고 유체 흡입층은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정의하며, 여기서 상기 구멍 길이는 유체 흡입층 길이의 25-75%이다. 흡수 용품은 상부 흡수층에서의 엠보싱이며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방향 보강재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상부 흡수층에서의 엠보싱이며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방향 보강재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상부 흡수층에서의 엠보싱이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이며 제1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제2 굴곡부를 포함한다. 제2 굴곡부는 제2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흡수 용품의 제1 측면 부분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이며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제3 굴곡부를 포함한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대향하고 있다. 제3 굴곡부는 제3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흡수 용품의 제2 측면 부분을 정의한다. 제2 굴곡부 및 제3 굴곡부는 그들 사이에 흡수 용품의 중앙 부분을 정의한다. 제1 체결기구는 제1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되고 제2 체결기구는 제2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다.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은 중앙 부분에 실질적으로 체결기구가 없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는 제1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이고, 제2 체결기구는 제2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이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는 제1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적용되고, 제2 체결기구는 제2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적용된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은 흡수 용품 길이의 25 내지 50%인 길이방향으로 유체 흡입층 길이를 정의하고 구멍은 유체 흡입층 길이의 40 내지 75%인 길이방향으로 구멍 길이를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은 측 방향으로의 유체 흡입층 폭을 정의하고, 상기 상부 흡수층은 길이방향의 상부 흡수층 길이와 측 방향으로의 상부 흡수층 폭을 정의하고, 상기 하부 흡수층은 길이방향의 하부 흡수층 길이와 측 방향으로의 하부 흡수층 폭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상부 흡수층 폭은 하부 흡수층 폭보다 크고, 상부 흡수층 폭은 유체 흡입층 폭보다 크고, 상부 흡수층 길이는 유체 흡입층 길이보다 크고, 상부 흡수층 길이는 하부 흡수층 길이보다 크고, 유체 흡입층 길이는 하부 흡수층 길이보다 작고, 그리고/또는 유체 흡입층 폭은 하부 흡수층 폭보다 작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면시트, 배면시트, 상기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조립체를 갖는 흡수 용품을 제공한다. 흡수 조립체는 상부 흡수층과 하부 흡수층을 포함한다. 하부 흡수층은 상부 흡수층과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한다. 흡수 용품은 상부 흡수층과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유체 흡입층을 포함한다. 유체 흡입층은 흡수 용품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외측 둘레부를 정의한다. 외측 둘레부는 유체 흡입층의 뒷 부분에 위치한 후방 대향 아치를 갖는다. 후방 대향 아치는 7-10mm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정의한다. 유체 흡입층은 구멍을 가지되, 상기 구멍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정의하고 유체 흡입층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정의하고, 여기서 구멍 길이는 유체 흡입층 길이의 25-75%이다. 상부 흡수층에서의 제1 엠보싱은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1 측면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상부 흡수층에서의 제2 엠보싱은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2 측면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제1 굴곡부는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이며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굴곡부는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이며 제1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다. 제2 굴곡부는 제2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흡수 용품의 제1 측면 부분을 정의한다. 제2 굴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후방으로 갈라진다. 제3 굴곡부는 상부 흡수층의 후방 부분에서의 엠보싱이며 제1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대향하고 있다. 제3 굴곡부는 제1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흡수 용품의 제2 측면 부분을 정의한다. 제3 굴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후방으로 갈라진다. 제2 및 제3 굴곡부는 그들 사이에 중앙 부분을 정의한다. 체결 시스템이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다. 체결 시스템은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의 전방 부분의 대부분을 덮는다. 체결 시스템은 제1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1 체결기구 및 제2 측면 부분에서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2 체결기구를 포함한다.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의 중앙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체결기구가 없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 및 제2 체결기구는 전방 부분으로부터, 중앙 부분을 통해서, 후방 부분으로 연장되는 연속 후크 재료이다.
선택적으로, 제2 굴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제1 각도로 후방으로 수렴하는 제1 복귀 부분을 포함하고 제3 굴곡부는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제2 각도로 후방으로 수렴하는 제2 복귀 부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 제2 굴곡부, 제3 굴곡부는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이며 유체 흡입층 아래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은 측방향 측면 에지를 정의하며 흡수 용품은 측방향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부착 날개를 포함한다. 제1 굴곡부, 제2 굴곡부, 제3 굴곡부는 집합해서 길이방향의 전방 지점을 정의한다. 날개는 길이방향에서 후방 날개 위치를 정의한다. 후방 날개 위치는 상기 집합적 전방 지점보다 흡수 용품의 전방에 더 가깝다.
도 1은 하부 구조를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절단된 부분을 가진 본 발명의 예시적인 흡수 용품의 신체 대향면의 상방 평면도이다.
도 2는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제거된 요소들과 절단된 부분을 가진 도 1의 용품의 상방 평면도이다.
도 3도 1의 흡수 용품의 "분해된" 사시도이며, 세부 사항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요소들이 확장되어 있다.
도 4는 선 4-4를 따라 취한 도 1의 흡수 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5도 1의 흡수 용품의 의복 대향면의 상방 평면도이다.
도 6은 점선 사각형(6)으로 경계가 지어진 도 1의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점선 사각형(7)으로 경계가 지어진 도 2의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텐트 형 구성의 도 1의 흡수 용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번짐, 비틀림 및 꼬임을 최소화하면서도 착용자의 둔부의 틈에 밀착되어 유지되는 것을 돕는 흡수 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은 착용자가 움직일 때 용품의 후방에서 상승된 텐트 형상을 취하고 유지함으로써 신체에 순응하도록 구성된다. 상승된 텐트 형상은 둔부의 갈라진 틈에 순응하고 다리의 번갈아 움직이는 움직임에 반응하여 움직임으로써, 다리의 움직임으로부터 패드의 중앙 영역과 전방 영역을 격리하는 것을 돕고 이 영역들이 누출 방지와 편안함을 위해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돕게 된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흡수 용품(10)이 다양한 관점과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절단된 부분을 가진 흡수 용품(10)의 신체 대향면(12)의 상방 평면도이다. 도 2는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절단된 부분을 가진 도 1 의 흡수 용품(10)의 상방 평면도이다. 도 3도 1의 흡수 용품(10)의 "분해된" 사시도이며, 세부 사항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요소들이 확장되어 있다. 도 4는 선 4-4를 따라 취한 도 1의 흡수 용품(10)의 단면도이다. 도 5도 1의 흡수 용품(10)의 의복 대향면(14)의 상방 평면도이다. 도 6은 세부 사항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점선 사각형(6)으로 경계가 지어진 도 1의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세부 사항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점선 사각형(7)으로 경계가 지어진 도 2의 영역의 확대도이다.
흡수 용품(10)도 3에서 보듯이 상면시트(16), 배면시트(18), 및 상면시트(16)와 배면시트(18) 사이에 위치한 흡수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상면시트(16)와 배면시트(18)는 모두 흡수 조립체(20)를 넘어 연장될 수 있고, 도 1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접합 기술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둘레부 주위로 함께 접합되어서 밀봉된 둘레 영역(2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시트(16)와 배면시트(18)는 접착제 접합, 초음파 접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접합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도 있다.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24), 측 방향(26), 두께 방향(28) (Z 방향이라고도 함), 길이방향 중심선(30), 및 측방향 중심선(31)을 정의한다. 흡수 용품(10)은 전방 부분(32), 후방 부분(34), 및 전방 부분 (32) 와 후방 부분(34) 사이에 연장되는 중앙 부분(36)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10)은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24)으로 흡수 용품 길이(38),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 방향(26)으로 흡수 용품 폭(40),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28)으로 흡수 용품 두께(42)를 정의한다. 흡수 용품은 제1 측면 에지(44), 제2 측면 에지(46), 전방 부분(32) 내의 전방 에지(48), 후방 부분(34) 내의 후방 에지(5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품의 전방 부분(32)는 착용자의 전방을 향해 착용되도록 되어있고, 중앙 부분(36)는 착용자의 가랑이 근방에서 착용되도록 되어있고, 후방 부분(34)는 착용자의 후방을 향해 착용되도록 되어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 길이(38)는 200 내지 320mm, 210 내지 280mm, 또는 220 내지 240mm이다. 선택적으로, 측방향 중심선(31)에서 측정된, 흡수 용품 폭(40)은 날개 달린 흡수 용품의 경우 130 내지 160mm, 135 내지 155mm, 또는 140 내지 150mm이다. 선택적으로, 측방향 중심선(31)에서 측정된, 흡수 용품 폭(40)은 날개가 없는 흡수 용품의 경우 50 내지 90mm, 60 내지 80mm, 또는 65 내지 75mm이다. 선택적으로, 전방 부분(32)는 흡수 용품 길이(38)의 앞쪽 1/3로 정의되고, 중앙 부분(36)는 흡수 용품 길이(38)의 중앙 1/3로 정의되고, 후방 부분(34)는 흡수 용품 길이 (38)의 뒤쪽 1/3로 정의된다.
상면시트층(16)은 흡수 용품(10)의 신체 대향면(12)을 정의하고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신체 삼출물을 수용하도록 액체 투과성이다. 상면시트층(16)은 바람직하게는 편안함과 순응성을 위해 제공되며, 그 자체의 구조를 통해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그리고 흡수 조립체(20)를 향해서, 신체 삼출물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면시트층(16)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구조에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아서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피부 옆에 비교적 편안하고 건조하고, 자극시키지 않는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면시트층(16)은 단일 층 물질로 되거나, 대안적으로, 함께 적층된 다층으로 될 수 있다. 상면시트층(16)은, 임의의 물질, 예컨대, 하나 이상의 직조 시트, 하나 이상의 섬유상 부직포 시트, 하나 이상의 필름 시트, 예컨대, 자체로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는 블로운 필름 또는 압출된 필름, 하나 이상의 폼(foam) 시트, 예컨대, 망상형, 개방 셀 또는 폐쇄된 셀 폼, 코팅된 부직포 시트, 또는 이러한 물질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단일화된 평면 시트 구조에 접착제에 의해, 열에 의해, 또는 초음파에 의해 적층되어서 상면시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16)은 다양한 부직포 웹, 예컨대,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드 웹, 수력엉킴 스펀레이스 웹 또는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상면시트층 물질의 예는 천연 섬유 웹(예컨대, 면), 레이온, 수력엉킴 웹,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다른 열-접합가능 섬유(예, 이성분 섬유)의 본디드 카디드 웹,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지방족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하게 천공된 필름 및 그물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물질의 적층체 또는 조합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16)은 신체 삼출물이 흡수 조립체(20) 내로 더욱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천공(도시하지 않음)을 함유할 수도 있다. 천공들은 상면시트 전체에 무작위로 또는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천공들의 크기, 형상, 직경 및 수는 다양한 요구를 맞추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면시트(16)는 약 5, 10, 15, 20 또는 25gsm 내지 약 50, 100, 120, 125 또는 15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상면시트(16)는 약 15gsm 내지 약 100gsm 범위의 평량을 갖는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면시트층(16)은 약 20gsm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갖는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 예컨대 부직포 물질 제조자로부터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면시트층(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16)의 일부분은 친수성일 수 있고 상면시트층(16)의 일부분은 소수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소수성일 수 있는 상면시트층(16)의 부분은 본질적으로 소수성 물질이거나 소수성 코팅으로 처리된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16)은 상이한 물질이 흡수 용품(10)의 가로 방향(미도시함)으로 별도의 위치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상이한 부직포 또는 필름 재료를 갖는 것과 같은 다성분 상면시트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시트층(16)은, 이층 또는 흡수 용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에 걸쳐 위치한 중앙 부분을 가지는 다성분 물질일 수 있고, 이때, 측방향 측면 부분들은 중앙 부분의 각 측면 에지에 측면 배치되고 접합된다. 중앙 부분은 제1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측면 부분은 중앙 부분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중앙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일 수도 있고 측면 부분은 본래 소수성이거나 소수성 코팅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다성분 상면시트층의 구성의 예는 일반적으로 Coe의 미국 특허 제5,961,505호, Kirby의 제5,415,640호, 및 Sugahara의 제6,117,523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 각각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또한, 흡수 용품(10)도 3에서 보듯이, 상면시트층(16)과 흡수 조립체(20) 사이에 Z 방향(28)으로 위치한 액체 투과성 유체 흡입층(52)을 포함한다. 길이방향(24)과 측 방향(26)에서의 유체 흡입층(52)의 상대 위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도 1의 흡수 용품(10)이지만 하부 구조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상면시트층(16)이 제거된 상태이다. 추가적으로, 유체 흡입층(52)의 세부 사항은 점선 사각형(7)으로 경계가 지어진 도 2의 영역을 확대한 도 7에서 볼 수 있다. 유체 흡입층(52)은 부분적으로, 측방향 중심선(31)에 의해 정의되는, 전방 부분(54)와 후방 부분(56)을 포함한다. 유체 흡입층(52)의 전방 부분(54)은 흡수 용품(10)의 측방향 중심선(31)과 전방 에지(48) 사이에 위치한다. 유체 흡입층(52)의 후방 부분56은 흡수 용품(10)의 측방향 중심선(31)과 후방 에지(50) 사이에 위치한다.
유체 흡입층(52)은 제1 측면 에지(58), 제2 측면 에지60, 전방 말단 에지62 및 후방 말단 에지64를 정의한다. 제1 측면 에지(58), 제2 측면 에지(60), 전방 말단 에지(62) 및 후방 말단 에지(64)는 집합해서 유체 흡입층 둘레부(66)를 정의한다. 유체 흡입층(52)은 상면시트층(16)에 전달되는 신체 삼출물을 Z-방향(28)으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체 흡입층(52)은 일반적으로 요망되는 어떠한 형상 및/또는 크기든지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 흡입층(52)은 상기 흡수 용품의 전체 길이(38) (도 1)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길이(68) (도 7) 및 상기 흡수 용품(10)의 폭(40) 보다 작은 폭(70) (도 4)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 흡입층(52)은 약 70 내지 120mm, 80 내지 110mm, 또는 90 내지 100mm의 길이(68), 및 상기 측방향 중심선(31)에서 약 20 내지 40mm, 25 내지 35mm 또는 30 내지 35mm의 폭(70) (도 7)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 길이(68)는 흡수 용품 길이(38)의 25 내지 60%, 25 내지 50%, 또는 25 내지 40%이다. 선택적으로, Z 방향(28)에서의 유체 흡입층(52) 두께(72)는 약 0.5mm 내지 약 3mm이다.
다양한 상이한 물질들 중 어느 것이든지 상기 언급된 기능을 이루기 위한 유체 흡입층(52)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질은 합성, 셀룰로오스, 또는 합성과 셀룰로오스 물질의 조합일 수 있다. 유체 흡입층(52)은 임의의 직조 또는 부직포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흡입층(52)은 에어레이드 또는 TABCW 물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레이드 셀룰로오스 섬유가 유체 흡입층에 사용하기에 적당할 수 있다. 에어레이드 셀룰로오스 섬유는 약 10 또는 100gsm 내지 약 250 또는 30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에어레이드 셀룰로오스 섬유는 경질목 및/또는 연질목 섬유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에어레이드 셀룰로오스 섬유 물질은 미세한 포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특히 생리혈에 대해 우수한 심지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52)은 에어레이드 물질로 적층된 TABCW 재료일 수 있으며, 여기서 TABCW/에어레이드 적층체는 평량이 125gsm 내지 168gsm, 두께가 1.7mm 내지 2.8mm, 밀도가 약 0.06g/cc이다. 이 적층체의 TABCW 부분은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적층체의 에어레이드 부분은 플러프 펄프 섬유 및 약 15-20 중량%의 이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52)은 157 내지 202gsm의 평량, 2.2 내지 2.6mm의 두께, 및 약 0.08g/cc의 밀도를 갖는 코폼 재료일 수 있다. 이 코폼 재료는 플러프 펄프 섬유 및 약 31 중량%의 이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성분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일 수 있다. 이 코폼 재료는 스펀본드 캐리어 시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52)은 약 125 내지 160gsm의 평량, 2.25 내지 2.75mm의 두께, 및 약 0.06g/cc의 밀도를 갖는 열 접합된 웹일 수 있다. 이 열 접합된 재료는 플러프 펄프 섬유 및 약 21 중량%의 이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성분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신체 삼출물을 Z 방향(28)으로 상면시트층(16)으로부터 흡수 용품(10)의 임의의 하부 층들을 향하여 전달하는 흡수 용품(10)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유체 흡입층의 휘어지는 능력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맞추는 유체 흡입층(52)의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유체 흡입층(52)도 2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구멍(74)을 가질 수 있다. 구멍(74)은, 달걀형,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의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흡입층(52) 내의 구멍(74)은 세장형일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24)으로 배향될 수 있다. 유체 흡입층(52) 내의 구멍(74)은 유체 흡입층(52)의 내부 에지(78)를 형성할 수 있는 둘레부(76)에 의해 경계 지어질 수 있다.
구멍(74)은, 신체 삼출물 흡입의 주요 위치 또는 흡수 용품(10)이 사용될 목적에 의존하여 유체 흡입층(52)의 길이방향(24)과 측 방향(26)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흡입층(52) 및 유체 흡입층(52) 내의 구멍(74)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중심선(30) 및 측방향 중심선(31)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는 구멍(74)이 신체 삼출물 방출의 주요 지점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그리고 흡수 용품(10)을 위한 주요 신체 삼출물 수용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중심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유체 흡입층(52) 및 유체 흡입층(52)의 구멍(74)의 중앙 집중형 위치 설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신체 삼출물 흡입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치에 따라, 유체 흡입층(52) 및 유체 흡입층(52)의 구멍(74)이 길이방향 중심선(30)하고만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흡입층(52) 내의 구멍(74)은 선택적으로 약 40 내지 70mm, 50 내지 60mm, 또는 53 내지 57mm의 길이방향 길이(80)를 가질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약 15 내지 30mm, 20 내지 25 mm 또는 21 내지 23mm의 측방향 폭(82)을 가질 수 있다. 유체 흡입층(52) 내의 구멍(74)은 둘레부(76)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52)의 전체 길이방향 길이(68)의 약 15, 20 또는 25% 내지 약 70, 75 또는 80%인 길이(80)를 가질 수 있다. 유체 흡입층(52) 내의 구멍(74)은 둘레부(76)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52)의 폭(70)의 약 20, 25 또는 30% 내지 약 70, 75 또는 80%일 수 있는 폭(82)을 가질 수 있다. 유체 흡입층(52) 내의 구멍(74)은 신체 삼출물을 상면시트층(16)으로부터 그리고 깊이(Z) 방향(28)으로 흡수 용품(10)의 하부 층들을 향해 흐르게 하고 유도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유체 흡입층(52) 내의 구멍(74)은, 신체 삼출물을 보유하고 신체 삼출물이 흡수 용품(10)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흡수 용품(10)의 에지를 향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컵 또는 우물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체 흡입층(52)은 유체 흡입층(52)의 후방 말단 에지(64)를 따라 위치되는 후방 대향 아치(84)를 갖는다. 후방 대향 아치(84)는 흡수 용품(10)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방 부분(34)에서의 상 방향으로 텐트 구성을 형성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후방 대향 아치(84)는 또한 그것의 휘어지는 능력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순응하는 유체 흡입층(52)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후방 대향 아치(84)는 길이방향(24)에서 최대 길이(86)를 정의한다. 최대 길이(86)는 선택적으로 5 내지 40mm, 6 내지 30mm, 7 내지 20mm, 또는 8 내지 10mm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후방 대향 아치(84)의 최대 길이(8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심선(31)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후방 대향 아치(84)의 최대 길이(86)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굴곡부와 대체로 정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52)은 하나 이상의 헌치(haunch, 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헌치(182)는 유체 흡입층(52)을 엠보싱, 천공, 접합, 스코어링 또는 다르게 조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헌치(182)는 신체 순응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헌치(182)는 후방 부분(34)에서 상승된 텐트 구성을 개시 및/또는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흡수 용품(10)의 다른 구조와 연계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헌치(182)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굴곡부와 대체로 정렬될 수 있다.
흡수 조립체(20)는 상면시트층(16)과 배면시트층(1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흡수 조립체(20)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의 Z 방향(28)으로 유체 흡입층(52)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조립체(20)는 일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압축성, 순응성, 액체 및 기타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임의의 단일층 구조 또는 다층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또한, 흡수 조립체(20)는 생리혈과 같은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하기 위해 추가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조립체는 서로 다른 다양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개수의 원하는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조립체(20)는 셀룰로오스 섬유들(예를 들어, 목재 펄프 섬유들), 기타 천연 섬유들, 합성 섬유들, 직조 또는 부직포 시트, 스크림 편직(scrim netting)이나 기타 안정화 구조, 초흡수성 물질, 바인더 재료,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및 친수성 재료들, 안료, 로션, 냄새 억제제 등, 및 이들의 조합의 흡수성 웹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예를 들어, 2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웹 재료는,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플러프는 목재 펄프 플러프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 펄프 플러프의 한 가지 예는, Weyerhaeuser Corp.에서 입수가능한 NB 416이라는 상표로 식별되며, 주로 연목재 섬유들을 함유하는 표백된 고 흡수성 목재 펄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요하다면, 흡수 조립체(20)는 선택 사항인 초흡수성 물질들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물질들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와 α-올레핀을 갖는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모폴리논), 폴리(비닐 알콜), 및 이들의 염과 공중합체가 있다. 다른 초흡수성 물질들로는, 미개질된 천연 중합체와 개질된 천연 중합체, 예컨대,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된 녹말, 아크릴산 그래프트된 녹말,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천연 검, 예컨대, 알지네이트, 잔탄 검, 로커스 빈 검 등이 있다. 천연 초흡수성 중합체와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합성 초흡수성 물질의 혼합물도 유용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흡수 조립체(20)에 존재할 수 있다.
흡수 조립체(20)에 사용되는 흡수성 재료들의 조합에 상관없이, 흡수성 재료들은, 종래의 다양한 방법들과 기술들을 채택함으로써 웹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웹은, 건식 형성 기술, 공기 형성 기술, 습식 형성 기술, 폼 형성 기술 등 및 이들의 조합과 같지만,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코폼 부직포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흡수 조립체(20)의 형상은, 필요시 가변될 수 있고, 삼각형, 직사각형, 개뼈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조립체(20)는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10)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조립체(20)의 치수는 흡수 용품(10)의 치수와 사실상 유사할 수 있지만, 흡수 조립체의 치수는 유사하지만, 내부에 적절하게 포함되도록 전체 흡수 용품(10)의 치수보다 종종 작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흡수 조립체(20)에 적합한 재료 및/또는 구조는 Weisman 등의 미국 특허 제4,610,678호, Yahiaoui 등의 제6,060,636호, Latimer 등의 제6,610,903호, Krueger 등의 제7,358,282호 및 Di Luccio 등의 미국 특허 출원공개 제2010/017426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조립체(20)는 단일 층 구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플러프 및 초흡수성 물질의 매트릭스(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조립체(20)는 예를 들어 상부 흡수층(88) 및 하부 흡수층(90)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물질 층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흡수층(88)은 하부 흡수층(90)과 유체 흡입층(52) 사이에 위치한다. 하부 흡수층(90)은 상부 흡수층(88)과 배면시트((18) 사이에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미도시함).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층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2개의 층은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상이한 흡수 특성을 흡수 용품(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조립체(20)의 상부 흡수층(88)은 에어레이드 물질로 구성 될 수 있고 흡수 조립체(20)의 하부 흡수층(90)은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은 약 40 내지 약 20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고,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는 티슈 캐리어(tissue carrier)로 둘러싸이고 약 40 내지 약 400gsm의 평량을 갖는 셀룰로오스 펄프 및 SAP의 조합일 수 있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기반 물질일 수 있다.
흡수 조립체(20)는 길이방향(24)의 흡수 조립체 길이(92) (도 2), 측 방향(26)의 흡수 조립체 폭(94) (도 4) 및 Z 방향(28)의 흡수 조립체 두께96 (도 4)를 정의한다. 상부 흡수층(88)은 길이방향(24) 의 상부 흡수층 길이(98)(도 2), 측 방향(26)의 상부 흡수층 폭(100) (도 4) 및 Z 방향(28)의 상부 흡수층 두께를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상부 흡수층 길이(98)는 180 내지 300mm, 190 내지 260mm 또는 200 내지 230mm이다. 선택적으로, 측 방향 중심선(31)에서 측정된 상부 흡수층 폭(100)은 40 내지 80mm, 50 내지 70mm 또는 60 내지 65mm이다.
하부 흡수층(90)은 길이방향(24)의 하부 흡수층 길이(104) (도 2), 측 방향(26)의 하부 흡수층 폭(100) (도 4) 및 Z 방향(28)의 하부 흡수층 두께를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하부 흡수층 길이(104)는 140 내지 250mm, 150 내지 225mm 또는 170 내지 190mm이다. 선택적으로, 측 방향 중심선(31)에서 하부 흡수층 폭(106)은 30 내지 70mm, 40 내지 60mm 또는 40 내지 50mm이다.
선택적으로, 상부 흡수층 폭(100)은 하부 흡수층 폭(106)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부 흡수층 폭(100)은 유체 흡입층 폭(70)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부 흡수층 길이(98)는 유체 흡입층 길이(68)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부 흡수층 길이(98)는 하부 흡수층 길이(104)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 길이(68)는 하부 흡수층 길이(104)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유체 흡입층 폭(70)은 하부 흡수층 폭(106)보다 작다.
배면시트층(18)은 일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고 착용자의 의복을 대면하고 흡수 용품(10)의 의복 대향면(14)을 정의하는 흡수 용품(10)의 부분이다. 배면시트층(18)은 액체의 통과는 여전히 차단하면서 흡수 용품(10)을 벗어나는 공기 또는 증기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이용하여 배면시트층(18)을 형성할 수 있다. 배면시트층(18)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층 자체는 유사한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을 포함한다. 이용될 수 있는 적합한 물질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폴리올레핀 필름, 부직포 및 부직포 적층체 및 필름/부직포 적층체 같은, 미세다공성 중합체 필름일 수 있다. 배면시트층(18)의 구체적인 구조와 조성은 알려져 있는 다양한 필름들 및/또는 직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때, 구체적인 물질은, 액체 장벽, 강도, 내마모성, 촉각성, 심미성 등의 원하는 수준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0.2 내지 0.5 밀 내지 약 3.0 또는 5.0 밀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배면시트층의 예는, 미국 일리노이주 샴버그의 Pliant Corporation에서 구입가능한 것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탄산칼슘 충전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면시트층(18)은 부직포 적층체 같은 수분 장벽 특성을 갖는 소수성 부직포 재료일 수 있으며, 그 예는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4층 적층체일 수 있다. 따라서, 배면시트층(18)은 다중 필름층 또는 필름의 적층체 및 부직포 섬유상 층의 구성과 같은 단일 또는 다층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적합한 배면시트층(18)은 Whitehead 등의 미국 특허 제4,578,069호, Tusim 등의 미국 특허 제4,376,799호, Shawver 등의 미국 특허 제5,695,849호, McCormack 등의 미국 특허 제6,075,179호, 및 Cheung 등의 미국 특허 제6,376,095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하나 이상의 측방향 보강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방향 보강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흡입층(52)의 측면 에지(58, 60)를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유체 흡입층(52)의 측면 에지(58, 60)를 따라 위치한 측방향 보강재(110)는 흡수 용품(10)의 중앙 부분(36)에서 다리에 의해 가해지는 압축력을 텐팅(tenting) 및/또는 휨이 요구되는 흡수 용품(10)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방향 보강재(110)는 중앙 부분(36)에서 다리에 의해 가해지는 압축력을 착용자 신체에 대한 동적 순응이 요구되는 흡수 용품(10)의 후방 부분(34)으로 전달할 수 있다.
측방향 보강재(110)는 강성 재료 첨가, 엠보싱, 접힘, 주름 잡기, 접합 등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방향 보강재(110)는 흡수 조립체(20)와 같은 흡수 용품(10)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엠보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측방향 보강재(110)는 고온 용융 접착제 라인 또는 플라스틱 스트립을 적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측방향 보강재(110)는 라이너 및/또는 배면시트(18)와 같이, 흡수 용품(10)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접음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후크 및 루프 체결기구 스트립과 같은, 강성 부착 수단이, 측방향 보강재로서 작용할 수 있거나, 측방향 보강재(110)에 대한 강성을 추가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은 유체 흡입층(52)의 제1 측면 에지(58)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방향 보강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은 유체 흡입층(52)의 제2 측면 에지(60)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방향 보강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방향 보강재(112) 및/또는 제2 측방향 보강재(114)는 흡수 용품(10)에 강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방향 보강재(112) 및/또는 제2 측방향 보강재(114)는 흡수 조립체(20)의 엠보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방향 보강재(112) 및/또는 제2 측방향 보강재(1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의 흡수 조립체(20)의 상부 흡수층(88)의 엠보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방향 보강재(112) 및/또는 제2 측방향 보강재(114)는 상부 흡수층(88) 및 하부 흡수층(90) (미도시됨) 모두의 엠보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방향 보강재(112)는 유체 흡입층(52) 제1 측면 에지(58)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방향 보강재(114)는 유체 흡입층(52) 제2 측면 에지(60)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방향 보강재(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흡입층(52)의 제1 측면 에지(58)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방향 보강재(1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흡입층(52)의 제2 측면 에지(60)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은 후방 부분(34)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굴곡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116)의 상대 위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굴곡부(116)의 세부 사항이 점선 사각형(6)으로 경계가 지어진 도 1의 영역의 확대도인 도 6에서 볼 수 있다. 굴곡부(116)는 흡수 용품(10)의 후방 부분(34)에서의 텐트 형 구성으로의 형상화를 개시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도록 돕는다. 굴곡부(116)는 흡수 용품(10)에 걸쳐 상이한 휨 저항을 생성한다. 굴곡부(116)는 흡수 용품(10) 및/또는 흡수 용품의 물리적 불연속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부(116)는 예비 접힘, 스코어링, 압입, 천공, 엠보싱, 접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곡부(116)는 흡수 조립체(20)의 하나 이상의 층을 스코어링, 접힘, 압입, 천공, 엠보싱 또는 접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굴곡부(116)는 또한 흡수 용품(10) 및/또는 흡수 용품의 요소들에 대한 높이 및/또는 밀도의 변화로 생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곡부(116)는 흡수 용품(10)의 후방 부분(34)에서 동적 운동을 개시하고 조절하는 것을 돕는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은 흡수 용품(10)의 후방 부분(34)에서 제1 굴곡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11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심선(30)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굴곡부(11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지점(120)과 후방 지점(122)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1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대향 아치(84)의 최대 길이(86)와 대체로 정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은 흡수 용품(10)의 후방 부분(34)에서 제2 굴곡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굴곡부(126)는 제1 방향(128)으로 제1 굴곡부(118)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굴곡부(126)는 흡수 용품(10)의 제1 측면 부분(130)을 정의한다. 제1 측면 부분(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128)으로 제2 굴곡부(126)로부터 측방향 외측에 위치한이다. 제2 굴곡부(1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지점(132)과 후방 지점(134)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은 흡수 용품(10)의 후방 부분(34)에서 제3 굴곡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굴곡부(138)는 제2 방향(140)으로 제1 굴곡부(118)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140)은 제1 방향(128)과 대향하고 있다. 제3 굴곡부(138)는 흡수 용품(10)의 제2 측면 부분(142)을 정의한다. 제2 측면 부분(14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140)으로 제3 굴곡부(138)로부터 측방향 외측에 위치한이다. 제3 굴곡부(13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지점(144)과 후방 지점(146)을 정의한다.
제2 굴곡부(126) 및 제3 굴곡부(138)는 그 사이에 흡수 용품(10)의 동적 영역(150)을 정의한다. 제2 굴곡부(126) 및 제1 굴곡부(118)는 동적 영역(150)의 제1 면(152)을 정의한다. 제3 굴곡부(138) 및 제1 굴곡부(11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 영역(150)의 제2 면(154)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제2 굴곡부(126) 및/또는 제3 굴곡부(138)는 길이방향 중심선(30)(미도시함)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굴곡부(126) 및/또는 제3 굴곡부(138)는 길이방향 중심선(3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굴곡부(126) 및/또는 제3 굴곡부(13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심선(30)에 대해 제1 각도(156)로 후방으로 갈라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각도(156)는 길이방향 중심선(30)에 대해 1 내지 10도, 2 내지 7도, 또는 3 내지 5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굴곡부(126) 및/또는 제3 굴곡부(138)는 길이방향 중심선(3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헌치(182)와 대체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굴곡부(126) 및 제3 굴곡부(138)는 모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헌치(182)와 정렬된다
선택적으로, 제2 굴곡부(126)는 길이방향 중심선(30)에 대해 제2 각도(160)로 후방으로 수렴하는 제1 복귀 부분(158)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굴곡부(13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심선(30)에 대해 제2 각도(160)로 후방으로 수렴하는 제2 복귀 부분(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귀 부분(158) 및/또는 제2 복귀 부분(162)은 상향 텐트 형태로의 측방향 압축을 전달하는 것을 도와서 흡수 용품(10)의 후방 부분(34)에 텐트 형 구성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118), 제2 굴곡부(126), 제3 굴곡부(138)는 흡수 조립체(20)의 엠보싱이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118), 제2 굴곡부(126) 및/또는 제3 굴곡부(138)는 다층 흡수 조립체(20)의 상부 흡수층(88)의 엠보싱이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118), 제2 굴곡부(126) 및/또는 제3 굴곡부(138)는 유체 흡입층(52) (도시되지 않음) 아래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굴곡부(118), 제2 굴곡부(126) 및/또는 제3 굴곡부(13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흡입층(52)의 후방 대향 아치(84)에 인접한 각각의 전방 지점(120, 132, 및 144)에서 종단된다. 각각의 전방 지점(120, 132, 144)과 후방 대향 아치(84)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은 전이 구역 길이(186)를 갖는 전이 구역(184)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전이 구역(184)은 상기 굴곡부(116) 및 유체 흡입층(52)에 비해 낮은 밀도 영역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 시스템(166)을 포함한다. 체결 시스템(166)은 흡수 용품(10)을 착용자의 속옷에 체결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 시스템(166)은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 상에 임의의 적절한 배열로 위치한 하나 이상의 개별 체결기구(168)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체결 시스템(166)은 제1 측면 부분(130)에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에 부착된 제1 체결기구(170) 및 제2 측면 부분(142)에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에 부착된 제2 체결기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의 중앙 부분(174)에는 후방 부분(34)에서의 체결기구가 실질적으로 없다. 선택적으로, 중앙 부분(174)은 15 내지 60mm, 20 내지 50mm 또는 30 내지 45mm의 측 방향(26)에서의 폭(175)을 가질 수 있다.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의 중앙 부분(174)에 체결기구가 실질적으로 없는 경우, 중앙 부분(174)은 착용자의 속옷에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다리의 교차하는 움직임에 반응하여 움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흡수 용품(10)의 중앙 부분(36) 및 전방 부분(32)을 분리시키고 착용자의 움직임 도중에 이들 영역이 제자리에 머무를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체결기구(168)는 접착제, 응집제, 후크, 스냅, 클립 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부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170)는 제1 측면 부분(130)에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일 수 있고 제2 체결기구(172)는 제2 측면 부분(142)에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170)는 제1 측면 부분(130)에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에 부착된 접착제일 수 있고, 제2 체결기구(172)는 제2 측면 부분(142)에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에 부착된 접착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170) 및/또는 제2 체결기구(17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의 전방 부분(32)으로부터, 중앙 부분(36)을 통해서, 후방 부분(34)으로 연장되는 연속 재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170) 및/또는 제2 체결기구(172)는 전방 부분(32)으로부터, 중앙 부분(36)을 통해서, 후방 부분(34)으로 연장되는 연속 후크 재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170) 및/또는 제2 체결기구(172)는 흡수 용품(10)의 전방 부분(32)으로부터, 중앙 부분(36)을 통해서, 후방 부분(34)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접착제 재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170) 및/또는 제2 체결기구(172)는 후방 부분(34)에만 위치한 별개의 구분된 재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170)는 제1 측면 부분(130)에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에 길이방향 중심선(30)(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소정의 각도(156)로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체결기구(172)는 제2 측면 부분(142)에서 배면시트(18)의 의복 대향면(14)에 길이방향 중심선(30 )(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소정의 각도(156)로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체결기구(170)는 제2 굴곡부(126)(도시되지 않음)와 대체로 평행하도록 길이방향 중심선(31)에 대해 소정의 각도(156)로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체결기구(172)는 제3 굴곡부(138)(도시되지 않음)와 대체로 평행하도록 길이방향 중심선(31)에 대해 소정의 각도(156)로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용품(10)은 도 1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측면 에지(44, 46)로부터 연장되는 부착 날개(176)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176)는, 상면시트층(16)과 배면시트층(18)에 대하여 상술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날개(176)는, 상면시트층(16) 및/또는 배면시트층(18) 내에 물질의 층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176)는 상면시트층(16)과 배면시트층(18)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들은 흡수 용품(10)의 주요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날개(176)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흡수 용품(10)의 중앙 부분 (36)에 별도로 부착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독립적으로 제조되는 날개(176)는, 상면시트층(16) 및/또는 배면시트층(18)의 일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 및 날개(176)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예는 Richards의 미국 특허 제4,059,114호, Hassim 등의 미국 특허 제4,862,574호, Heindel 등의 미국 특허 제5,342,647호, Alcantara 등의 미국 특허 제7,070,672호, Venturino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4/0040650호 및 Emenaker 등의 국제 공개 WO1997/040804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날개(176)는 길이방향(24) (도 1)에서 후방 날개 위치(178)를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후방 날개 위치(178)는 전방 지점(120, 132, 및/또는 144) (도 6)보다 흡수 용품(10)의 전방 에지(48)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흡수 용품(10)은 텐트 형 구성(180)으로 도시되어 있다. 텐트 형 구성(180)은 흡수 용품(10)이 측방향 압축력을 받을 때 후방 부분(34)에 형성된다. 텐트 형 구성(180)은 제1 굴곡부(118), 제2 굴곡부(126) 및 제3 굴곡부(138 ) (이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대해 형성된다. 텐트 형 구성(180)은 피부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를 방해하기 위한 목적 및/또는 체액이 외음부 영역을 지나 몸을 따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외음부 뒤쪽의 회음부 영역에 순응하도록 되어 있다. 텐트 형 구성(180)은 배면시트(18), 흡수 조립체(20), 유체 흡입층(52) 및 상면시트(16)를 포함한다. 텐트형 구성(180)은 유체 흡입층(52)의 후방 대향 아치(84), 제1 굴곡부(118), 제2 굴곡부(126), 및 제3 굴곡부(138)에 의해 형상을 갖는다. 텐트 형 구성(180)은 배면시트(18)의 중앙 부분(174)에서 부착이 없기 때문에(팬티부터 패드) 동적이다. 후방 대향 아치(84) 없이 신뢰성 있는 상방 변형 및 원하는 텐트 형 구성(180)을 달성하려는 시도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유체 흡입층의 둥글거나 정사각형 후방 부분은 상방 변형 및 텐트 형 구성(180)을 신뢰성 있게 생성하지 않는다. 제1 굴곡부(118)는 텐트 형 구성(180)을 상승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레버로서 작용하여, 회음부와 후부 외음부에 대한 접촉을 제공한다. 상승력은 다리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한다. 이 왕복 운동은 동적 영역(150)의 제1 측(152) 및 둔부의 갈라진 틈을 향한 동적 영역(150)의 제2 측(154)(이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교대로 상승시킨다. 일반적으로 걷거나 달릴 때 다리의 압축력이 번갈아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압축력은 흡수 용품(10)의 양 측면 사이에서 번갈아 나타난다. 압축력은 제1 측방향 보강재(112)와 제2 측방향 보강재(114) 위를 번갈아 가한다. 압축력은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34)에서 동적 영역(150)으로 전달된다. 동적 영역의 제1 측(152)은 제1 측방향 보강재(112)와 함께 작용하여 제1 측(152)을 텐트 형 구성으로 밀어 넣는 평면으로서 작용한다. 유사하게, 동적 영역(150)의 제2 측(154)은 제2 측방향 보강재(114)와 함께 작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154)을 텐트 형 구성(180)으로 밀어 넣는 평면으로서 작용한다. 배면시트(18)의 중앙 부분(174)에는 체결기구가 실질적으로 없기 때문에, 제1 측(152) 및 제2 측(154)은 측방향 힘에 반응하여 자유롭게 움직인다. 제1 체결기구(170)가 제1 측면 부분(130)에 위치되기 때문에, 압축력이 제거될 때 제1 측(152)이 뒤로 당겨진다. 유사하게, 제2 체결기구(172)가 제2 측면 부분(142)에 위치되기 때문에, 압축력이 제거될 때 제2 측(154)이 뒤로 당겨진다. 이 구성은 착용자가 걷는 경우 텐트 형 구성의 밑면을 팽창시키고 수축시키며, 착용자가 걷는 경우 텐트 형 구성의 피크가 똑바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그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이들을 이해하였을때, 이들 실시예에 대한 변경, 변형 및 등가물을 쉽게 이해할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 범위들, 예시들, 및 대안들의 모든 조합들 및/또는 하위 조합들도 고려된다.

Claims (20)

  1. 흡수 용품으로,
    상면시트,
    배면시트,
    상기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조립체, 및
    상기 흡수 조립체와 상기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유체 흡입층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 흡입층은 길이방향으로 유체 흡입층 길이를 정의하고,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흡수 용품 길이를 정의하고, 상기 유체 흡입층 길이는 상기 흡수 용품 길이의 30-60%이고, 상기 유체 흡입층은 또한 외측 둘레부를 정의하고, 상기 외측 둘레부는 상기 유체 흡입층의 뒷 부분에 위치한 후방 대향 아치를 갖는, 흡수 용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1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방향 보강재,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방향 보강재, 및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제1 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3. 제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제1 굴곡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제2 굴곡부로,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상기 흡수 용품의 제1 측면 부분을 정의하는,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제3 굴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제3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상기 흡수 용품의 제2 측면 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제2 및 제3 굴곡부는 그들 사이에 상기 흡수 용품의 중앙 부분을 정의하는, 흡수 용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1 체결기구, 및
    상기 제2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2 체결기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의 중앙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체결기구가 없는, 흡수 용품.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후방으로 갈라지고, 여기서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유체 흡입층의 후방 대향 아치에 근접한 전방 지점에서 종결되는, 흡수 용품.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흡수 조립체에서의 엠보싱인, 흡수 용품.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기구는 상기 제1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이고, 상기 제2 체결기구는 상기 제2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인, 흡수 용품.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기구는 상기 제1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접착제이고, 상기 제2 체결기구는 상기 제2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접착제인, 흡수 용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층은 이성분 섬유 및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에어레이드 재료이고 상기 후방 대향 아치는 7-15mm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 치수를 정의하는, 흡수 용품.
  10. 흡수 용품으로,
    상면시트,
    배면시트,
    상기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조립체로, 상기 흡수 조립체는 상부 흡수층과 하부 흡수층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흡수층은 상기 상부 흡수층과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 조립체,
    상기 상부 흡수층과 상기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유체 흡입층으로, 상기 유체 흡입층은 외측 둘레부를 정의하고, 상기 외측 둘레부는 상기 유체 흡입층의 뒷 부분에 위치한 후방 대향 아치를 가지고,
    상기 유체 흡입층은 구멍을 가지되, 상기 구멍은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정의하고 상기 유체 흡입층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정의하고, 여기서 상기 구멍 길이는 상기 유체 흡입층 길이의 25-75%인, 상기 유체 흡입층,
    상기 상부 흡수층에서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방향 보강재,
    상기 상부 흡수층에서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방향 보강재,
    상기 상부 흡수층에서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상기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는 제2 굴곡부로,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상기 흡수 용품의 제1 측면 부분을 정의하는, 상기 제2 굴곡부,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상기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는 제3 굴곡부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제3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상기 흡수 용품의 제2 측면 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3 굴곡부는 그들 사이에 상기 흡수 용품의 중앙 부분을 정의하는, 상기 제3 굴곡부,
    상기 제1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1 체결기구, 및
    상기 제2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2 체결기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은 상기 중앙 부분에 실질적으로 체결기구가 없는, 흡수 용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기구는 상기 제1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이고, 상기 제2 체결기구는 상기 제2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기계적 후크 재료인, 흡수 용품.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기구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적용되어 있고,
    상기 제2 체결기구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2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적용되어 있는, 흡수 용품.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층은 용품 길이의 25 내지 50%인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유체 흡입층 길이를 정의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유체 흡입층 길이의 40 내지 75%인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구멍 길이를 정의하는, 흡수 용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층은 측 방향으로의 유체 흡입층 폭을 정의하고, 상기 상기 상부 흡수층은 길이방향의 상부 흡수층 길이와 상기 측 방향으로의 상부 흡수층 폭을 정의하고, 상기 하부 흡수층은 상기 길이방향의 하부 흡수층 길이와 상기 측 방향으로의 하부 흡수층 폭을 정의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 흡수층 폭은 상기 하부 흡수층 폭보다 크고,
    상기 상부 흡수층 폭은 상기 유체 흡입층 폭보다 크고,
    상기 상부 흡수층 길이는 상기 유체 흡입층 길이보다 크고,
    상기 상부 흡수층 길이는 상기 하부 흡수층 길이보다 크고,
    상기 유체 흡입층 길이는 상기 하부 흡수층 길이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유체 흡입층 폭은 상기 하부 흡수층 폭보다 작은, 흡수 용품.
  16. 흡수 용품으로,
    상면시트,
    배면시트,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조립체로, 상기 흡수 조립체는 상부 흡수층과 하부 흡수층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흡수층은 상기 상부 흡수층과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 조립체,
    상기 상부 흡수층과 상기 상면시트 사이에 위치한 유체 흡입층으로, 상기 유체 흡입층은 상기 흡수 용품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외측 둘레부를 정의하고, 상기 외측 둘레부는 상기 유체 흡입층의 뒷 부분에 위치한 후방 대향 아치를 가지고, 상기 후방 대향 아치는 7-10mm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정의하고,
    상기 유체 흡입층은 구멍을 가지되, 상기 구멍은 상기 길이방향의 길이를 정의하고 상기 유체 흡입층은 상기 길이방향의 길이를 정의하고, 여기서 상기 구멍 길이는 상기 유체 흡입층 길이의 25-75%인, 상기 유체 흡입층,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1 측면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흡수층에서의 제1 엠보싱,
    상기 유체 흡입층의 제2 측면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흡수층에서의 제2 엠보싱,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상기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을 포함하고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
    상기 흡수 용품의 후방 부분에서의 상기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제2 굴곡부로,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상기 흡수 용품의 제1 측면 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후방으로 갈라진, 상기 제2 굴곡부,
    상기 상부 흡수층의 후방 부분에서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제3 굴곡부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상기 흡수 용품의 제2 측면 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후방으로 갈라지고, 상기 제2 및 제3 굴곡부는 그들 사이에 중앙 부분을 정의하는, 상기 제3 굴곡부, 및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체결 시스템으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의 전방 부분의 대부분을 덮는, 상기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정의하고, 상기 체결 시스템은
    상기 제1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1 체결기구,
    상기 제2 측면 부분에서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에 부착된 제2 체결기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배면시트의 의복 대향면의 상기 중앙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체결기구가 없는, 흡수 용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기구 및 상기 제2 체결기구는 상기 전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중앙 부분을 통해서, 상기 후방 부분으로 연장되는 연속 후크 재료인, 흡수 용품.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제1 각도로 후방으로 수렴하는 제1 복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제2 각도로 후방으로 수렴하는 제2 복귀 부분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제2 굴곡부, 상기 제3 굴곡부는 상기 상부 흡수층에서 엠보싱이며 상기 유체 흡입층 아래로 연장되는, 흡수 용품.
  20. 제16 항에 있어서, 측방향 측면 에지를 더 정의하고 상기 흡수 용품은 상기 측방향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부착 날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제2 굴곡부, 상기 제3 굴곡부는 집합해서 상기 길이방향의 전방 지점을 정의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길이방향에서 후방 날개 위치를 정의하고, 상기 후방 날개 위치는 상기 집합적 전방 지점보다 상기 흡수 용품의 전방에 더 가까운, 흡수 용품.
KR1020177012090A 2014-10-30 2014-10-30 순응 구조부를 구비한 흡수 용품 Active KR101791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63224 WO2016068957A1 (en) 2014-10-30 2014-10-30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form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154A true KR20170060154A (ko) 2017-05-31
KR101791826B1 KR101791826B1 (ko) 2017-10-30

Family

ID=5585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090A Active KR101791826B1 (ko) 2014-10-30 2014-10-30 순응 구조부를 구비한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695232B2 (ko)
KR (1) KR101791826B1 (ko)
CN (1) CN106794099B (ko)
AU (2) AU2014410194B2 (ko)
BR (1) BR112017007353B1 (ko)
CO (1) CO2017004513A2 (ko)
DE (1) DE112014006956T5 (ko)
MX (1) MX381265B (ko)
RU (1) RU2643136C1 (ko)
WO (1) WO2016068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9161B2 (ja) * 2016-11-25 2018-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374764B (es) 2016-12-20 2025-03-06 Grupo P I Mabe S A De C V Articulo absorbente de uso femenino con elementos antideformantes.
US11596561B2 (en) * 2017-03-31 2023-03-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CN110494110B (zh) 2017-03-31 2022-07-1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流出物管理层的吸收制品
GB2574985B (en) 2017-03-31 2022-09-07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BE1025887B1 (nl) * 2017-05-15 2019-08-07 Drylock Technologies Nv Absorberend voorwerp met vier kanalen
RU2734981C1 (ru) * 2017-07-07 2020-10-27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BR112019026965B1 (pt) * 2017-07-07 2024-02-2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rtigo absorvente e método para fabricar um artigo absorvente
CN110996868B (zh) * 2017-08-22 2022-04-12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一次性卫生物品
EP3672549B1 (en) 2017-08-22 2024-04-1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hygiene article with liquid side barriers
JP6634478B2 (ja) * 2018-07-06 2020-0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200138642A1 (en) * 2018-11-02 2020-05-07 ALYK, Inc. Absorbent Articles
JP7385359B2 (ja) * 2019-02-04 2023-1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065165B2 (en) * 2019-08-24 2021-07-20 David Hairabedian Child sanitary napkin method and apparatus
MX2022007098A (es) 2019-12-13 2022-07-11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iculo sanitario que tiene alas de sujecion asimetricas.
AU2020484051A1 (en) * 2020-12-29 2023-07-13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Sanitary article with embossed functional design elements
US12193919B2 (en) 2021-06-10 2025-01-1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Sanitary article comprising shaping elements
MY204044A (en) * 2021-06-10 2024-08-03 Essity Hygiene & Health Ab Sanitary article comprising shap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3144A (ja) 1983-08-30 1985-03-26 ゼンミ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4631062A (en) 1984-09-27 1986-12-23 Kimberly-Clark Corporation Labial sanitary pad
US4804380A (en) 1987-08-06 1989-02-14 Kimberly-Clark Corporation Anatomically shaped, self-aligning, sanitary protection device
US5197959A (en) 1988-03-31 1993-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5171302A (en) 1988-03-31 1992-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hinge
WO1992011830A2 (en) 1991-01-03 1992-07-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rapid acquiring, multiple layer absorbent core
DK0589102T4 (da) 1992-09-21 2003-04-22 Procter & Gamble Hygiejnebind med facondannende organ
AU687766B2 (en) 1993-02-22 1998-03-05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s
US5358500A (en) * 1993-06-03 1994-10-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sustained dynamic fit
CA2149178A1 (en) 1994-05-12 1995-11-13 Philip J. Stevenson Absorbent articles having raised portions
WO1996002217A1 (en) 1994-07-18 1996-0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lded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fit
US5507735A (en) 1994-08-05 1996-04-16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moveable attachment means
EP0888763A1 (en) 1997-07-01 1999-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increased fit for the body anatomy
SE514972C2 (sv) 1999-09-09 2001-05-21 Sca Hygiene Prod Ab Dambinda med en längsgående ås i sin bakre del
US6492574B1 (en) 1999-10-01 2002-1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a wicking barrier and central rising member
US20030093054A1 (en) 2000-07-05 2003-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side features for improved comfort
US7166093B2 (en) 2000-12-06 2007-01-23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rear portion including a first and second leg
SE0004536L (sv) 2000-12-08 2002-06-09 Sca Hygiene Prod Ab Dambinda
US6629965B2 (en) 2000-12-08 2003-10-07 Sca Hygiene Products Ab Sanitary napkin
US20020077613A1 (en) 2000-12-18 2002-06-20 Molas Horacio Jorge Dual-use pantiliner
USD473642S1 (en) 2001-03-12 2003-04-22 Johnson & Johnson Industria E Comercio Ltda Hygienic napkin
US20020177830A1 (en) 2001-05-23 2002-11-28 Elena Fernandez-Kleinlein Adaptable absorbent articles
JP4167409B2 (ja) 2001-07-27 2008-10-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838591B2 (en) * 2002-05-06 2005-01-04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with C-fold layer fluid acquisition system, C-fold layer fluid acquisition system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808801B2 (en) * 2002-07-26 2004-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lf-forming absorbent binder layer
US20040186449A1 (en) * 2003-03-21 2004-09-23 Henri Brisebois Liquid-absorbing component for an absorbent article
US20050059942A1 (en) 2003-09-17 2005-03-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symmetric multilayer absorbent article
SE0303066D0 (sv) 2003-11-20 2003-11-20 Sca Hygiene Prod Ab Ett absorberande alster såsom en dambinda, en blöja, ett inkontinensskydd eller ett trosskydd
US20050148960A1 (en) 2003-12-18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ad with three-dimensional end containment
US7105716B2 (en) 2003-12-31 2006-09-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US8167862B2 (en) * 2004-05-24 2012-05-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fit guide
JP4554274B2 (ja) 2004-05-27 2010-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EP1634556B1 (en) * 2004-09-13 2019-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acquisition rate
JP4683892B2 (ja) 2004-09-30 2011-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パッド
JP4712376B2 (ja) 2004-12-28 2011-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8211078B2 (en) 2005-02-17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JP4599235B2 (ja) 2005-06-10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KR100729756B1 (ko) 2005-10-13 2007-06-21 이경임 입체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8231591B2 (en) 2006-04-21 2012-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lengthwise, compact-fold
EP2092918A4 (en) 2006-12-13 2012-06-27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US20090099539A1 (en) 2007-10-12 2009-04-16 Lori Lee Periman Potty training liners
WO2009067059A1 (en) * 2007-11-20 2009-05-28 Sca Hygiene Products Ab Shaped absorbent article
US7976525B2 (en) 2008-02-13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und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contact
US8157780B2 (en) 2008-12-15 2012-04-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line of weakness for folding the article
KR101651675B1 (ko) 2009-10-30 2016-08-2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환형의 흡수부재를 구비하는 흡수제품
US20120053547A1 (en) 2010-08-31 2012-03-01 Karyn Clare Schroeder Absorbent Composite With A Resilient Coform Layer
WO2011131020A1 (zh) 2010-04-19 2011-10-27 Kuang Wenzhao 一种卫生巾
US9044356B2 (en) * 2011-05-19 2015-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nhanced leakage protection
PL3338750T5 (pl) 2011-06-10 2023-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US8915898B2 (en) * 2012-03-05 2014-1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recessed body conforming structure
GB2529170B (en) 2014-08-11 2021-06-16 Ahmad Fawaz Khodor Circuit design generator
US10437954B1 (en) 2017-06-30 2019-10-08 Cadence Desig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integrated circuit placement and routing options
WO2020185207A1 (en) 2019-03-11 2020-09-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ve circuit design with machine-learned networks
CN113239651B (zh) 2021-07-12 2021-09-17 苏州贝克微电子有限公司 用于电路设计的人工智能实现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7353A2 (pt) 2017-12-19
US12239513B2 (en) 2025-03-04
US10695232B2 (en) 2020-06-30
MX2017004878A (es) 2017-07-05
US11478384B2 (en) 2022-10-25
US20170246045A1 (en) 2017-08-31
AU2014410194B2 (en) 2020-08-20
CN106794099B (zh) 2022-01-11
AU2014410194A1 (en) 2017-05-18
AU2020264399A1 (en) 2020-12-03
BR112017007353B1 (pt) 2022-02-22
CN106794099A (zh) 2017-05-31
US20200276060A1 (en) 2020-09-03
KR101791826B1 (ko) 2017-10-30
DE112014006956T5 (de) 2017-07-06
RU2643136C1 (ru) 2018-01-30
WO2016068957A1 (en) 2016-05-06
US20230018131A1 (en) 2023-01-19
CO2017004513A2 (es) 2017-08-10
AU2020264399B2 (en) 2022-04-28
MX381265B (es) 202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826B1 (ko) 순응 구조부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380010B1 (ko) 로브형 흡수층이 있는 유연성 흡수 용품
JP5019906B2 (ja) 吸収体の製造方法
US20110106036A1 (en) Absorbent product
US20080294138A1 (en) Absorbent Product
TW201306810A (zh) 具有依壓花波浪紋配合安置之孔洞的吸收性物件
US20080300564A1 (en) Absorbent Product
KR101205578B1 (ko) 흡수성 물품
JP2000140015A (ja) 吸収性物品
JP5076022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2574646B1 (ko) 신체 순응 구조를 구비한 흡수 용품
JP5132798B2 (ja) 吸収性物品
JP4919779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6757607B2 (ja) 吸収性物品
JP6262511B2 (ja) 吸収性物品
JP2021041040A (ja) 吸収性物品
CN111954514A (zh) 用于吸收制品的吸收主体
KR20080084939A (ko) 흡수 제품
KR20080084950A (ko) 흡수 제품
KR20080084925A (ko) 흡수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