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55956A -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 Google Patents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956A
KR20170055956A KR1020177003759A KR20177003759A KR20170055956A KR 20170055956 A KR20170055956 A KR 20170055956A KR 1020177003759 A KR1020177003759 A KR 1020177003759A KR 20177003759 A KR20177003759 A KR 20177003759A KR 20170055956 A KR20170055956 A KR 20170055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tape core
core wire
fiber tape
loose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호시노
노보루 오카다
타츠야 오야마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5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95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02B6/4404Multi-podd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02B6/4411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4Central member to take up tensile loa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Ribb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복수의 광섬유 소선이 한 방향으로 병설되어 일체화된 것이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복수의 광섬유 소선(17)이 병렬로 접착되어 구성된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끼리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하여 접착된 접착부(15b)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접착된 접착부(15a)에 의해 접착된다. 즉,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끼리의 사이에는 접착부(15a) 또는 접착부(15b)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LOOSE TUBE-TYPE OPTICAL FIBER UNIT}
본 발명은 복수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구비하는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루스 튜브 내에 광섬유를 실장하고, 그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을 인장재에 합쳐서 꼬아 이루어지는 루스 튜브 케이블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54219호
루스 튜브 내의 광섬유가 단심인 경우, 제조시 심선 장력의 불균일이나 둘레 길이의 차이에 의해, 광섬유마다 길이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섬유 스큐(빛의 지연시간 차이)가 나빠질 우려가 있다. 특히, 고속 통신에서는 섬유 스큐의 악화가 문제가 된다.
이에 반해서,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은 복수의 광섬유 소선을 병설하여 일체화한 광섬유 심선이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이용함에 따라,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구성하는 광섬유 소선의 길이를 같게 할 수 있다.
통상, 루스 튜브 내에 있어서, 광섬유 테이프 심선과 루스 튜브 내면은 큰 공간을 마련한 설계로 되어 있다. 이 공간을 작게 하면, 온도 변화나 휨에 의해서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양단에 위치하는 광섬유 소선이 루스 튜브의 내벽에 꽉 눌리게 되어, 전송 손실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광섬유 테이프 심선과 루스 튜브 내면의 사이에 큰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루스 튜브의 지름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루스 튜브 케이블 자체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입각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송 특성이 양호하고, 소형인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으로, 복수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과, 상기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덮는 루스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광섬유 테이프 심선은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끼리 접착되어 소정 간격으로 정렬하며, 적어도 일부의 상기 광섬유 소선끼리는 광섬유 소선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이다.
상기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전체 폭을 W mm로 하고, 간헐적으로 접착된 접착부의 길이를 L mm로 하며, 간헐적으로 접착된 접착부끼리의 간격을 D mm로 한 경우,
5W≤D≤50W이고, 3 mm≤L≤40/W (단, W≤1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상기 광섬유 소선 사이의 접착부에 대해서, 절반 이상의 접착부는 광섬유 소선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상기 광섬유 소선이 광섬유 소선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접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테이프 심선 중 적어도 일부의 접착부가 간헐적으로 접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광섬유 소선끼리의 접착부가 쉽게 굴곡한다. 이 때문에,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일부가 루스 튜브 내면과 접촉해도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정렬 방향이 변형되고, 루스 튜브 내면으로부터 받는 응력을 분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섬유 테이프 심선과 튜브 내면 사이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을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한, 간헐적으로 접착된 접착부의 길이와 간격을 적절히 함에 따라, 섬유 스큐의 저감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든 광섬유 소선 사이의 접착부에 대해서, 절반 이상의 접착부를 간헐적으로 접착함으로써,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정렬 방향을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특히, 모든 접착부를 간헐적으로 함으로써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정렬 방향을 쉽게 변형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 특성이 양호하고 소형인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광섬유 케이블(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광섬유 유닛(3)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루스 튜브(13) 내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루스 튜브(13) 내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광섬유 테이프 심선(5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c)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광섬유 테이프 심선(5d)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광섬유 케이블(1)을 나타내는 지름 방향의 단면도이다. 광섬유 케이블(1)은 복수의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이 수용된 광섬유 케이블이다.
단면에 있어서, 광섬유 케이블(1)의 중심에는 인장재(9)가 배치된다. 인장재(9)는 광섬유 케이블(1)의 장력을 부담한다. 인장재(9)는 예를 들면 강선이나 섬유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필요에 따라서 외주면에 완충층이 마련된다.
인장재(9)의 외주에는 복수의 광섬유 유닛(3)이 배치된다. 광섬유 유닛(3)은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이다. 광섬유 유닛(3)은 복수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이 루스 튜브(13) 내에 수용된다. 광섬유 유닛(3)의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광섬유 유닛(3)을 덮듯이 외피(7)가 마련된다. 외피(7)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제이다. 또한, 외피(7)의 내주측에 눌러서 감는 테이프 등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외피(7)의 일부에는 가름끈(11)을 매설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섬유 케이블은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광섬유의 개수나, 배치, 크기 등 적절하게 설계된다. 또한, 인장재나 가름끈의 구성에 대해서도,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배치나 사이즈 등은 적절하게 설계된다.
그 다음, 광섬유 유닛(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광섬유 유닛(3)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루스 튜브(13) 내에는 복수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이 배치된다. 또한, 루스 튜브(13)의 내면과 광섬유 테이프 심선(5) 사이에는 젤 형상의 부재, 혹은 흡수성 섬유가 봉입된다.
루스 튜브(13)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젤 형상 부재 혹은 흡수성 섬유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보호하고 물이 새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루스 튜브(13) 및 젤 형상 부재 혹은 흡수성 섬유는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복수의 광섬유 소선이 한 방향으로 병설되어 일체화된 것이다. 도 3은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복수의 광섬유 소선(17)이 병렬로 접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12개의 광섬유 소선(17)에 의해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섬유 소선으로 이루어지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이면 적용 가능하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끼리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하여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된 접착부(15b)와, 광섬유 소선(17)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간헐적으로 접착된 접착부(15a)에 의해 접착된다. 즉,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 사이에는 접착부(15a) 또는 접착부(15b)가 형성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접착부(15b)는 광섬유 소선(17)의 전체 둘레를 덮듯이 형성하고 있지만, 광섬유 소선(17)의 일부가 노출하도록 광섬유 소선(17) 사이에만 마련해도 좋다. 즉, 접착부(15b)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면 좋다.
도시한 예에서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첫 번째 광섬유 소선(17)과 두 번째 광섬유 소선(17) 사이, 및 양단으로부터 두 번째 광섬유 소선(17)과 세 번째 광섬유 소선(17)의 사이가 접착부(15a)에서 접착되고, 나머지 광섬유 소선(17) 사이가 접착부(15b)에서 접착된다.
즉,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양단부의 소정 개수만 간헐적인 접착부(15a)에서 접착되고, 중앙부의 소정의 개수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착부(15b)에서 접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적어도 일부 광섬유 소선(17) 사이에 광섬유 소선(17)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접착된다.
접착부(15b)는 광섬유 소선(17)끼리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착되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끼리를 비교적 강하게 구속한다. 이 때문에, 광섬유 소선(17)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광섬유 소선(17)끼리 곧은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접착부(15a)는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끼리의 구속력이 접착부(15b)에 비해 작다. 이 때문에, 접착부(15a)에서 접착된 광섬유 소선(17)끼리 광섬유 소선(17)의 병렬 방향에 대해서 쉽게 접을(접어 구부릴) 수 있다.
또한, 접착부(15a)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끼리의 접착부(15a)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어긋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접착부(15a)가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의 길이방향으로 반 피치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착부(15a)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L (mm)로 하고, 접착부(15a)끼리의 길이방향 간격을 D (mm)로 한다. 또한,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의 전체 폭을 W (mm)로 하면 5W≤D≤50W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부(15a)끼리의 간격(D)이 5W보다 작으면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끼리 잘 접어지지 않고, 후술하는 것과 같은 전송 특성에 대한 효과가 작다. 또한, 접착부(15a)끼리의 간격(D)이 50W를 넘으면, 광섬유 소선(17)끼리 너무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취급성이 나쁘다. 또한, 접착부(15a)끼리의 간격(D)이 넓으면 각 광섬유 소선(17)의 심선 길이가 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섬유 스큐의 악화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관계에 더하여, 추가로 3 mm≤L≤40/W (단, W≤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L이 3 mm 미만이면 광섬유 소선(17)끼리 접혔을 때에 접착부(15a)가 끊어져 버릴 염려가 있다. 또한, L이 40/W를 넘으면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끼리 잘 접히지 않고, 후술하는 것과 같은 전송 특성에 대한 효과가 작다.
그 다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송 특성 등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섬유 유닛(3)에 휨 등이 더해지면,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이 루스 튜브(13) 내에서 움직인다. 이 때,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이 루스 튜브(13)의 내면과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 테이프 심선(5)과 루스 튜브(13)의 내면이 접촉하면, 루스 튜브(13)의 내면에 접촉한 광섬유 소선(17)에만 응력이 부여된다.
특히,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이 접착부(15b) 만에 의해 전체 길이에 걸쳐서 완전히 접착하고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병렬 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상의 형상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1개 또는 2개의 광섬유 소선(17, 양단의 광섬유 소선(17))에 대해서만 큰 응력이 부여된다. 이러한 응력은 상기 광섬유 소선(17)의 전송 특성 악화의 요인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섬유 유닛(3)에 휨 등이 가해져서 내부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이 루스 튜브(13)의 내면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의 일부에 접착부(15b)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접착부(15b)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17)끼리 접혀진다. 즉,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은 병렬 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상의 형상을 유지하지 않고, 접어 구부러진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이 접어 구부러지면, 루스 튜브(13)의 내면과 접촉하는 광섬유 소선(17)의 개수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루스 튜브(13)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응력이 분산된다. 또한,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의 변형에 의해, 루스 튜브(13)로부터 받는 응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일부의 광섬유 소선(17)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결과, 광섬유 소선(17)에 대한 전송 특성 악화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유닛(3)의 휨 방향에 따라서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을 구성하는 각각의 광섬유 소선(17)에 대해서 가해지는 장력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광섬유 소선(17)끼리의 길이가 변할 우려가 있다. 이 결과, 섬유 스큐가 악화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에는 접착부(15b)가 형성되고, 접착부(15b) 이외의 부위에서는 개개의 광섬유 소선(17)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 때문에, 개개의 광섬유 소선(17) 마다 가해지는 장력에 차이가 잘 생기지 않고, 섬유 스큐의 악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모든 광섬유 소선(17) 사이(즉, 광섬유 소선(17)의 개수-1)에 대해서, 절반 이상을 접착부(15a)에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부(15a)의 형성 위치는 도 3에 나타낸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다른 형태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은 광섬유 테이프 심선(5)과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접착부(15a, 15b)의 배치가 다르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은 중앙부의 소정의 개수(도면에서는 4개)의 광섬유 소선끼리의 사이만 접착부(15a)에서 접착되고, 잔부가 접착부(15b)에서 접착된다.
도 7은 광섬유 유닛(3)에 휨 등이 가해지고, 내부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5)이 루스 튜브(13)의 내면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의 접착부(15a)에 상당하는 부위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이 쉽게 굴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의 대략 중앙부가 굴곡하여, 광섬유 테이프 심선(5a)과 루스 튜브(13)의 접촉 면적이 증대한다. 이 결과, 루스 튜브(13)와의 접촉에 의한 광섬유 소선(17)으로의 응력이 분산되어 전송 특성 악화 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광섬유 테이프 심선(5a)과 같이, 양단부만 접착부(15b)에서 전체 길이가 접착함으로써, 광섬유 테이프 심선(5a)끼리의 접속시에 융착기 등으로의 삽입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의 단부에서 광섬유 소선(17)이 흐트러지지 않기 때문이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a)을 이용해도 광섬유 테이프 심선(5)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광섬유 소선(17)끼리의 사이(즉, 광섬유 소선(17)의 개수-1)에 대해서 절반 이상을 접착부(15a)에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광섬유 테이프 심선(5b)을 적용할 수도 있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b)은 일방의 단부측의 소정 개수의 광섬유 소선(17)끼리가 접착부(15a)에서 접착되고, 타방의 단부측의 소정 개수의 광섬유 소선(17)끼리가 접착부(15b)에서 접착된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b)을 이용해도 광섬유 테이프 심선(5, 5a)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광섬유 테이프 심선(5c)을 적용할 수도 있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c)은 소정 개수마다(도면에서는 1개마다) 광섬유 소선(17)끼리를 접착부(15a)와 접착부(15b)가 교대로 접착된다. 또한, 접착부(15a)와 접착부(15b)는 도시한 1개 마다 만이 아니라, 2개마다 이어도 좋고, 랜덤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c)을 이용해도 광섬유 테이프 심선(5) 등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광섬유 테이프 심선(5d)을 적용할 수도 있다. 광섬유 테이프 심선(5d)은 모든 광섬유 소선(17)끼리가 접착부(15a)에서 접착된다. 모든 광섬유 소선끼리를 접착부(15a)에서 접착함으로써 전송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소선(17)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부(15a)에서 접착되기 때문에, 광섬유 소선(17)끼리 쉽게 굴곡한다. 이 때문에, 광섬유 테이프 심선(5) 등의 일부가 루스 튜브(13) 내면과 접촉해도 광섬유 테이프 심선(5) 등의 정렬 방향이 변형하고, 루스 튜브(13) 내면으로부터 받는 응력을 분산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광섬유 테이프 심선(5) 등과 루스 튜브(13) 내면 사이의 공간을 작게 할 수가 있고, 광섬유 유닛(3)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착부(15a)의 길이와 간격을 적절하게 함으로써, 섬유 스큐의 저감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든 광섬유 소선(17) 사이의 접착부에 대해서, 절반 이상을 접착부(15a)에서 접착함으로써, 광섬유 테이프 심선(5) 등의 정렬 방향을 쉽게 변형시킬 수 있고, 섬유 스큐의 저감 효과가 크다.
또한, 적어도 단부측의 광섬유 소선(17)은 접착부(15b)에서 전체 길이가 접착함으로써, 융착기 등으로의 삽입 작업성이 양호하다.
특히, 모든 광섬유 소선(17) 사이를 접착부(15a)에서 간헐적으로 접착시킴으로써, 광섬유 테이프 심선(5) 등의 정렬 방향을 보다 쉽게 변형시킬 수가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좌우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광섬유 케이블
3…광섬유 유닛
5, 5a, 5b, 5c, 5d…광섬유 테이프 심선
7…외피
9…인장재
11…가름끈
13…루스 튜브
15a, 15b…접착부
17…광섬유 소선

Claims (4)

  1. 복수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과,
    상기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덮는 루스 튜브
    를 구비하고,
    상기 광섬유 테이프 심선은, 서로 이웃하는 광섬유 소선끼리가 접착되어 소정간격으로 정렬하며,
    적어도 일부의 상기 광섬유 소선끼리는, 광섬유 소선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전체 폭을 W mm로 하고, 간헐적으로 접착된 접착부의 길이를 L mm로 하며, 간헐적으로 접착된 접착부끼리의 간격을 D mm로 한 경우,
    5W≤D≤50W이고, 3 mm≤L≤40/W (단, W≤1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광섬유 소선 사이의 접착부에 대해서, 절반 이상의 접착부는, 광섬유 소선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광섬유 소선끼리가, 광섬유 소선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KR1020177003759A 2014-09-17 2015-01-13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Ceased KR20170055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88548 2014-09-17
JP2014188548A JP6639773B2 (ja) 2014-09-17 2014-09-17 ルースチューブ型光ファイバユニット
PCT/JP2015/050650 WO2016042784A1 (ja) 2014-09-17 2015-01-13 ルースチューブ型光ファイバ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56A true KR20170055956A (ko) 2017-05-22

Family

ID=5553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759A Ceased KR20170055956A (ko) 2014-09-17 2015-01-13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89723B2 (ko)
JP (1) JP6639773B2 (ko)
KR (1) KR20170055956A (ko)
SG (1) SG11201702106WA (ko)
TW (1) TWI654455B (ko)
WO (1) WO20160427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743A (ko) * 2020-12-21 2022-06-29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롤러블 광섬유 리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7484A (zh) * 2015-07-31 2018-05-11 康宁光电通信有限责任公司 可卷绕光纤带
JP6711119B2 (ja) * 2016-05-10 2020-06-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
CA3033384A1 (en) * 2016-08-08 2018-02-1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lexible optical fiber ribbon with intermittently bonded polymer layers
CA3034381A1 (en) * 2016-08-22 2018-03-0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Hinged optical fiber ribbon moveable between aligned and collapsed positions
JPWO2019021998A1 (ja) * 2017-07-24 2020-07-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20190219783A1 (en) * 2018-01-12 2019-07-18 Ofs Fitel, Llc Multi-fiber unit tube optical fiber microcable incorporating rollable optical fibers ribbons
US10871621B2 (en) * 2018-03-27 2020-12-22 Ofs Fitel, Llc Rollable ribbon fibers with water-swellable coatings
US10718917B2 (en) * 2018-08-24 2020-07-21 Prysmian S.P.A. Flexible optical fiber ribbons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US11105993B2 (en) * 2018-12-06 2021-08-31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Direct burial sensory cable
US11300741B2 (en) * 2020-02-27 2022-04-12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Leaf shaped intermittent bonded optical fibre ribbon
US11693201B2 (en) * 2020-02-27 2023-07-04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Intermittently bonded optical fibre ribbon with unequal bond and gap lengths
WO2021217079A1 (en) 2020-04-24 2021-10-28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routing systems and methods
EP4227721A4 (en) * 2020-10-07 2024-04-0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ribbon, di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optical fiber ribbon
EP4237893A4 (en) * 2020-10-29 2025-01-22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INTERMITTENTLY BONDING OPTICAL FIBER RIBBON WITH JOINT RIBBON MATRICES
EP4248250A4 (en) * 2020-11-19 2024-10-30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INTERMITTENTLY BOUND TAPE WITH CONTINUOUS LENGTHWISE COATING
CN113325532B (zh) * 2021-05-25 2022-03-01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层绞式光纤带光缆及生产工艺
CN117581138A (zh) * 2021-07-21 2024-02-20 Ls电线有限公司 光纤带
US11953743B2 (en) * 2021-11-29 2024-04-09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Optical fibre ribbon with optimized number of bonds
CN115236813B (zh) * 2022-07-19 2024-03-12 南京华信藤仓光通信有限公司 一种网状光纤带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3651B2 (ja) 2006-04-04 2008-09-0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前記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9163045A (ja) * 2008-01-08 2009-07-23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およびその分割方法
JP4619424B2 (ja) 2008-06-30 2011-01-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02681119B (zh) * 2008-06-30 2015-01-28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光纤缆线以及光纤带
JP5411784B2 (ja) * 2010-04-07 2014-02-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
JP2012118422A (ja) * 2010-12-03 2012-06-21 Fujikura Ltd 光ユニット、光ユニットからの光ファイバ取出し方法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968754B1 (ja) * 2011-03-30 2012-07-04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および光ケーブル
JP5654945B2 (ja) * 2011-05-09 2015-01-1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ユニット
JP5840902B2 (ja) 2011-09-05 2016-01-06 株式会社フジクラ ルースチューブ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391296B2 (ja) * 2012-03-02 2014-01-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その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EP3432047A1 (en) * 2012-05-02 2019-01-23 Fujikura Ltd. Round and small diameter optical cables with a ribbon-like optical fiber structure
JP5457528B1 (ja) * 2012-10-25 2014-04-02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間欠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4115312A (ja) * 2012-12-06 2014-06-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ーブル及び単心分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743A (ko) * 2020-12-21 2022-06-29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롤러블 광섬유 리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2784A1 (ja) 2016-03-24
US9989723B2 (en) 2018-06-05
TWI654455B (zh) 2019-03-21
JP2016061869A (ja) 2016-04-25
TW201612567A (en) 2016-04-01
US20170299829A1 (en) 2017-10-19
JP6639773B2 (ja) 2020-02-05
SG11201702106WA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5956A (ko) 루스 튜브형 광섬유 유닛
TWI654454B (zh) Fiber optic cable
JP6641480B2 (ja) ロール可能な光ファイバリボン
CN109642999B (zh) 光纤缆线
EP3330760B1 (en) Optical fiber cable
AU2017213391B2 (en) Optical fiber cable
KR20080027328A (ko) 광섬유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JP7192782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0106858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20024257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融着接続方法
JP637319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823247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2276843B1 (ko) 광섬유 유닛 및 광섬유 케이블
WO2019021998A1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10770621A (zh) 槽型光缆
JP6329912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391508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US11435543B2 (en) Optical fiber unit and optical fiber cable
US11886026B2 (en) Optical fiber ribbon, optical fiber cable, and connector-equipped optical fiber cord
US10859780B2 (en) Optical fiber unit, optical fiber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unit
JP2004212960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21157154A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77505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7199494A1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4126164A (ja) 平型光ファイバコ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