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059A - Press fit terminal - Google Patents
Press fit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5059A KR20170055059A KR1020150157426A KR20150157426A KR20170055059A KR 20170055059 A KR20170055059 A KR 20170055059A KR 1020150157426 A KR1020150157426 A KR 1020150157426A KR 20150157426 A KR20150157426 A KR 20150157426A KR 20170055059 A KR20170055059 A KR 201700550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wall
- contact portion
- press
- fit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할 때 필요로 하는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프레스 핏 단자에 관한 것으로, 핀 단자와, 상기 핀 단자의 단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토션바와, 상기 접촉부에서 돌출된 가이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션바는 상기 관통공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관통공의 제1내벽과 제2내벽을 연결하되,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토션바는 상기 제1내벽의 상단과 상기 제2내벽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내벽의 전단과 상기 제2내벽의 후단을 연결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fit terminal capable of reducing an insertion force required for insertion into a ho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being stably fix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a ho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 contact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terminal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torsion bar 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 to support the contact portion, and a guide protruding from the contact portion. At this time, the torsion bar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and connects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second inner wall of the through-hole, and is arranged to be inclined inside the through-hole. That is, the torsion bar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레스 핏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프레스 핏 단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핀 단자를 삽입한 후 땜납재료를 이용하여 납땜하는 솔더링(soldering) 방법이다.Generally, a typical method of attaching a connector to a printed circuit board is a soldering method in which a pin terminal is inserted into a ho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soldered using a solder material.
통상의 솔더링에 사용되는 땜납재료는 주석(Sn)-납(Pb)의 합금재료로, 땜납재료에 포함된 납 성분이 용출될 경우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솔더링 작업 시 발생하는 증기는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며, 솔더링 작업 시 발생하는 열은 인쇄 회로 기판을 손상시킬 수 있다.The solder material used for general soldering is an alloy material of tin (Sn) - lead (Pb), which may contaminate the environment when the lead component contained in the solder material is eluted. In addition, the vapors generated during the soldering operation may threaten the health of the operator, and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soldering operation may damage the printed circuit board.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땜납재료를 이용한 솔더링 결합기술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스 핏 단자를 이용한 결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recently, as an alternative to the soldering bonding technique using a solder material, there has been used a bonding method using a press-fit terminal that is fitted to a ho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fitting manner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7046호(2012.08.20.)에 개시된 프레스 핏 단자(1)는, 인입 단자부(10), 몸체(20), 발거 단자부(30)로 이루어진다. 몸체(20)는, 인입 단자부(10)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도입부(21)와, 도입부(21)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변형홀(22a)이 형성된 접속부(22)와, 변형홀(22a)에 형성된 브리지(23)로 구성된다. 이때, 접속부(22)의 변형홀(22a)을 구획하는 브리지(23)는 접속부(22)의 탄성 변형 시 그 측벽을 지지하여 과도한 변형에 의해 접속부(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전술한 프레스 핏 단자(1)는 변형홀(22a)의 내측에 브리지(23)가 위치된 구조로, 프레스 핏 단자(1)의 결합 시 접속부(22)가 탄성 변형되되 브리지(23)에 의해 접촉압력이 증가하고, 발거한 후에는 접속부(22)가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The
종래의 프레스 핏 단자(1)는 접속부(22)를 지지하는 브리지(23)가 가로방향(프레스 핏 단자(1)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스 핏 단자(1)를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할 때 큰 힘(삽입력)을 가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브리지(23)를 압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press-
또한, 프레스 핏 단자(1)를 삽입하기 위해 큰 힘을 가할 경우 브리지(23)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브리지(23)에 균열이 생길 경우 프레스 핏 단자(1)의 접촉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large force is applied to insert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할 때 필요로 하는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프레스 핏 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can reduce the insertion force required for inserting into a ho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 핏 단자는, 핀 단자와, 상기 핀 단자의 단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토션바와, 상기 접촉부에서 돌출된 가이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fit terminal comprising: a pin terminal; a contact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pin terminal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 torsion bar formed inside the through- And a guide protruding from the contact portion.
상술한 구성 중 상기 접촉부는 프레스 핏 단자가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상, 일례로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일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for example, an outwardly convex shape, so that the press-fit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may have a shape of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토션바는 상기 관통공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관통공의 제1내벽과 제2내벽을 연결하되,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토션바는 상기 제1내벽의 상단과 상기 제2내벽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1내벽의 전단과 상기 제2내벽의 후단을 연결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torsion bar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and connects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second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is arranged to be inclined inside the through hole. For example, the torsion bar may be inclined leftward and rightward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At the same time, it can be arranged to be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상기 가이드는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용이하게 삽입 및 고정되는 프레스 핏 단자의 결합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The guide is for guiding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press fit terminal easily inserted and fixed in the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en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접촉부의 관통공에 마련된 토션바가 기울어지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므로, 프레스 핏 단자를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할 때 토션바가 접촉부의 한쪽만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스 핏 단자를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할 때 필요로 하는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Since the torsion bar provided at the through hole of the contact portion is arranged to be inclined, the torsion bar supports only one of the contact portions when inserting the press fit terminal into the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fore, the insertion force required when inserting the press-fit terminal into the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토션바는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프레스 핏 단자를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할 경우 접촉부에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부에서는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접촉압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비틀림에 의한 접촉압력이 추가로 발생하므로 프레스 핏 단자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orsion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be incli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back-and-forth direction, and when the press-fit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torsion occurs at the contact portion. Therefore, in the contact portion, not only the contact pressur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ubstrate but also the contact pressure due to the torsion is further generated, so that the press-fit terminal can be stably fix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단자의 부분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단자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단자의 삽입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단자의 삽입 후 접촉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fi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ress-fi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press fi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press-fi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 portion after insertion of a press-fi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단자(100)는, 핀 단자(110)와, 핀 단자(110)의 단부에 마련된 접촉부(120)와, 접촉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30)과, 관통공(130)의 내부에 형성된 토션바(140)와, 접촉부(120)에서 돌출된 가이드(150)를 포함한다.1, the pres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프레스 핏 단자(100)의 각 부분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Each of the portions of the press-
본 실시예에서 핀 단자(110)는 프레스 핏 단자(100) 중 접촉부(120)와 가이드(150)를 제외한 부분을 말한다. 핀 단자(110)는 인쇄 회로 기판(도 5의 200)을 통해 인가된 전원 또는/및 전기신호를 부품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리 또는 구리합금 등의 도체로 제작된다. 이러한 핀 단자(110)는 인쇄 회로 기판(200)에 형성된 홀(도 5의 210, 이하 ‘기판홀’이라고 함)의 형상에 따라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단면의 샤프트 형상 또는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판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핀 단자(110)는 부품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ㄱ자, ㄴ자 또는 크랭크 형상으로 꺾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접촉부(120)는 프레스 핏 단자(100)를 인쇄 회로 기판(20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접촉부(120)는 기판홀(210)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접촉부(120)는 기판홀(2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후에는 기판홀(2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태이어야 한다.The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접촉부(120)는 단축의 길이가 기판홀(210)의 직경보다 큰 타원형(타원형의 장축이 프레스 핏 단자(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이며, 그 내부에는 접촉부(120)의 탄성 변형을 위한 관통공(130)이 형성된다.The
한편, 접촉부(120)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는데(도 4 참조), 이는 프레스 핏 단자(100)가 기판홀(2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기판홀(21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프레스 핏 단자(100)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기판홀(210)에 삽입된 프레스 핏 단자(100)가 진동 등에 의해 흔들려 쇼트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4), so that the press-
관통공(130)은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삽입할 때 접촉부(120)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관통공(130)은 접촉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을 갖는다. 즉, 관통공(130)의 중단은 접촉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롯(slot) 형상이고, 관통공(130)의 양단은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형으로 형성된다.The
토션바(140)는 관통공(1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접촉부(120)를 지지함으로써 접촉부(120)가 탄성한계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삽입할 때 필요한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기판홀(210)에 삽입된 프레스 핏 단자(100)를 확실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하여, 토션바(140)는 관통공(130)의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토션바(140)는 관통공(130)의 제1내벽(132)의 상단과 제2내벽(134)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도 3 참조). 그와 동시에, 제1내벽(132)의 후단과 제2내벽(134)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For this purpose, the
토션바(140)의 좌우방향 기울기를 42~48°(바람직하게는 45°)로, 전후방향 기울기는 45~50°(바람직하게는 48°)로 할 경우 삽입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며, 프레스 핏 단자(100)의 접촉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inclination of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바(140)가 제1내벽(132)의 상단과 제2내벽(134)의 하단을 연결함과 동시에 제1내벽(132)의 후단과 제2내벽(134)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내벽(132)의 상단과 제2내벽(134)의 하단을 연결함과 동시에 제1내벽(132)의 전단과 제2내벽(134)의 후단을 연결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The
가이드(150)는 프레스 핏 단자(10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가이드(150)는 접촉부(120)에서 돌출되되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단자(100)의 삽입과정을 도시한다. 즉, 도 5의 (a)는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삽입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고, 도 5의 (b)는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삽입하는 순간을 도시하며, 도 5의 (c)는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다.FIG. 5 shows a process of inserting the press-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핏 단자(100)의 접촉부(120)는 인쇄 회로 기판(200)의 홀(210)보다 크게 형성된다(접촉부(120)의 폭(w) > 기판홀(210)의 직경(d)). 이러한 형상의 프레스 핏 단자(100)는 기판홀(210)에 삽입 시 소정의 삽입력을 요구하지만 완전히 삽입한 후에는 접촉부(120)의 접촉압력에 의해 고정된다.5A, the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삽입하면 접촉부(120)가 기판홀(210)에 접촉하며 탄성 변형된다. 이때, 관통공(130)에 기울어지게 배치된 토션바(140)가 접촉부(120)의 한쪽(도면상 우측)만을 지지하므로, 그 반대편(도면상 좌측)은 상대적으로 쉽게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삽입할 때 필요로 하는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즉,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5 (b), when the press-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핏 단자(100)가 기판홀(210)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토션바(140)에 의해 접촉부(120)의 양쪽이 모두 지지되므로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접촉압력(F1)이 발생한다. 따라서 납땜 등을 하지 않고도 프레스 핏 단자(100)를 인쇄 회로 기판(200)에 고정할 수 있다.5 (c), after the press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단자(100)의 토션바(140)는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프레스 핏 단자(100)를 기판홀(210)에 삽입할 때 접촉부(120)에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도 6 참조). 이 비틀림에 의해 접촉부(120)의 서로 대향하는 두 모서리(도면상 우측 상단과 좌측 하단)에서는 접촉압력(F2)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스 핏 단자(100)의 접촉부(120)에서는 2개의 접촉압력(F1,F2)이 발생하므로 프레스 핏 단자(1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not only in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also in the scope of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프레스 핏 단자
110: 핀 단자
120: 접촉부
130: 관통공
140: 토션바
150: 가이드
200: 인쇄 회로 기판
210: 기판홀100: press fit terminal 110: pin terminal
120: contact portion 130: through hole
140: Torsion bar 150: Guide
200: printed circuit board 210: substrate hole
Claims (7)
핀 단자;
상기 핀 단자의 단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인쇄 회로 기판의 홀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접촉부;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고, 상기 관통공의 중심을 통과하되 기울어지게 배치된 토션바(torsion bar); 및
상기 접촉부에서 돌출되고 프레스 핏 단자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토션바가 비틀어지며 외력을 흡수 및 저장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핏 단자.
A press-fit terminal which is fitted to a ho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fitting manner,
Pin terminal;
A contact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pin terminal and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a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 torsion bar formed inside the through-hole to support the contact portion an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and to be inclined; And
And a guide protruding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guiding a joining direction of the press-fit terminal,
Wherein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the torsion bar is twisted to prevent absorption and storage of an external force.
상기 토션바는 상기 관통공의 제1내벽과 제2내벽을 연결하되, 상기 제1내벽의 상단과 상기 제2내벽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핏 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rsion bar connects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second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is til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상기 토션바는 상기 제1내벽의 전단과 상기 제2내벽의 후단을 연결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핏 단자.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orsion bar is arranged to be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상기 토션바는 상기 제1내벽의 후단과 상기 제2내벽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핏 단자.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orsion bar is arranged to be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rear end of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상기 토션바의 좌우방향 기울기는 42~48°이고, 전후방향 기울기는 4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핏 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torsion ba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42 to 48 degrees and the inclination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is 45 to 50 degrees.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핏 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through-hole has a shape of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상기 가이드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핏 단자.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guide has a tapered shape with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en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7426A KR20170055059A (en) | 2015-11-10 | 2015-11-10 | Press fit terminal |
PCT/KR2016/012541 WO2017082580A1 (en) | 2015-11-10 | 2016-11-02 | Press fit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7426A KR20170055059A (en) | 2015-11-10 | 2015-11-10 | Press fit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5059A true KR20170055059A (en) | 2017-05-19 |
Family
ID=5869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7426A Ceased KR20170055059A (en) | 2015-11-10 | 2015-11-10 | Press fit termina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55059A (en) |
WO (1) | WO2017082580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5384A (en) | 2018-03-05 | 2019-09-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Busbar for PCB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66912A1 (en) * | 2020-09-24 | 2022-03-31 | Avx Corporation | Solderless wire-to-board single pair ethernet connec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46950A (en) * | 2002-05-23 | 2003-12-05 | Kel Corp | Press fit pin |
JP2004273256A (en) * | 2003-03-07 | 2004-09-30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Press-fit terminal |
US7249981B2 (en) * | 2005-07-08 | 2007-07-31 | J.S.T. Corporation | Press-fit pin |
KR101687228B1 (en) * | 2010-04-15 | 2016-12-1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
KR101158489B1 (en) * | 2011-05-02 | 2012-07-11 | (주)듀링 | Press-fit pin |
-
2015
- 2015-11-10 KR KR1020150157426A patent/KR20170055059A/en not_active Ceased
-
2016
- 2016-11-02 WO PCT/KR2016/012541 patent/WO201708258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5384A (en) | 2018-03-05 | 2019-09-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Busbar for PCB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82580A1 (en) | 2017-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45499B2 (en) | Press-fit contact | |
TWI550962B (en) | Connector | |
JP4575494B2 (en) | Press-fit pin | |
US10483666B2 (en) | Socket receiving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 pads | |
JP2006120448A (en) | Mounting structure for connector | |
US10461447B2 (en) | Socket receiving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 pads | |
JP7043751B2 (en) | Press-fit terminal | |
JP2006318763A (en) | Floating type connector | |
JP2012142152A (en) | Circuit substrate assembly, substrate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circuit substrate assembly | |
US8016601B2 (en) | Cap and connector unit | |
KR20060045374A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inforcement tab | |
US20090156048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Insertion Guide | |
KR20170055059A (en) | Press fit terminal | |
WO2022249691A1 (en) | Board connector | |
JP4167265B2 (en) | Electrical connector using conductive terminal and conductive terminal | |
JP5790130B2 (en) | connector | |
US20090156044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Insertion Guide | |
US6354849B1 (en) | Board-engaging structure for contacts of an electrical connector | |
KR101158489B1 (en) | Press-fit pin | |
JP2020004639A (en) | connector | |
JP2004178992A (en) |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terminal press fitting tool | |
JP5349522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20129363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8177103A (en) | Press-fit terminal | |
JP6309429B2 (en) | Contacts and connect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7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