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367A -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2367A KR20170052367A KR1020150154731A KR20150154731A KR20170052367A KR 20170052367 A KR20170052367 A KR 20170052367A KR 1020150154731 A KR1020150154731 A KR 1020150154731A KR 20150154731 A KR20150154731 A KR 20150154731A KR 20170052367 A KR20170052367 A KR 201700523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tantaneous
- coupled
- lever
- trip device
- bime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72—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rotatable arma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32—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 H01H71/321—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or active magnetic elements
- H01H71/322—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or active magnetic elements with plunger type arm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0—Combined electrothermal and 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405—Combined electrothermal and electromagnetic mechanisms in which a bimetal forms the inductor for the electromagnetic 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차단기에 있어서 순시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는 일측 단자부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 타측 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이게 하는 개폐기구부를 포함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부의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과 함께 회전하고, 일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순시레버; 상기 순시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마추어; 상기 가동접촉자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상기 개폐기구부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며, 상기 돌기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트립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는 일측 단자부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 타측 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이게 하는 개폐기구부를 포함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부의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과 함께 회전하고, 일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순시레버; 상기 순시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마추어; 상기 가동접촉자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상기 개폐기구부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며, 상기 돌기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트립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차단기에 있어서 순시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차단기는 교류 110/220V의 저압회로(15∼30A)를 이루는 소형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과전류 보호, 단락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며, 상가, 사무실, 백화점 등의 스위치로 분전반 내에 내장되어 한 곳에서 다수의 부하를 편리하게 개폐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공작기계, 공장 설비 등에 기기의 전원을 개폐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소형 차단기는 회로내 정상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On 위치를 유지하고, 회로내 과전류 등 비정상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트립장치가 작동하여 개폐기구부를 Off 위치에 놓음으로써 회로를 차단하고, 사고전류로부터 차단기를 선로로부터 신속히 분리하여 선로와 부하 설비를 보호해 해 주는 역할을 한다.
통상의 사고전류는 정격전류의 130%이상의 과전류 또는 정격전류의 10배 이상의 사고전류 및 단락전류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 과전류영역에서는 통상 바이메탈 소자를 이용하여 한시 특성으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정격전류의 10배 정도의 순시 전류는 단락전류의 경우 전자식 트립 유닛을 이용한다. 전자식 트립 유닛의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늬 원리를 활용한 기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만, 소용량 즉, 단락용량이 5kA 미만의 차단기의 경우 전자식 트립 유닛을 적용하지 않은 차단기도 있으며, 이 경우 바이메탈의 특성에만 의존하여 과전류 영역에서부터 단락전류 영역까지 모두 바이메탈이 감당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기 계통의 복잡화,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부하의 증가, 그리고 용량성 유도성 부하 증가에 따른 부하기동 돌입 전류(lush current)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이 경우에도 사고전류인 경우 빠르게 선로로부터 부하를 신속히 분리해야 되는 필요성이 있다.
특히, 단락용량 2.5kA 미만의 저용량 차단기도 위와 같은 순시전류에서도 빠른 동작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는 바이메탈만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순시전류를 신속히 차단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다른 방향에서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핸들(1)은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 11)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핸들(1)에는 U-핀(U-pin, 10)이 조립되고, U-핀(10)의 타단에는 레버(9)가 축 결합된다.
핸들(1)을 투입하게 되면 그 회전 운동에 의해 U-핀(10)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때 레버(9)의 일단은 크로스바(7)의 상단부를 누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레버(9)의 타단은 트립바(12)의 걸림부에 걸리게 된다. 계속 핸들(1)이 회전하게 되면, 레버(9)는 타단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일단이 크로스바(7)의 상단부를 계속 누르게 되어 크로스바(7)은 아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동시에 크로스바(7)에 걸려있는 가동접촉자(4)도 동시에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서, 가동접점(5)과 고정접점(6)이 서로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만일, 과전류 등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바이메탈(3)이 휘어지게 되면서 트립바(12)에 결합된 갭 스크류(13)를 밀게 되는데, 이 때 트립바(1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되고, 이 트립바(12)의 걸림부에 걸쳐 있는 레버(9)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레버(9)가 면접촉으로 누르고 있던 크로스바(7)는 아래쪽에 있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진다. 동시에 크로스바(7)에 의해 눌려진 가동접촉자(4)도 동시에 들어 올려지면서 고정접점(6)과 가동접점(5)이 서로 떨어지게 되어 전류는 차단된다.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과도전류가 흐르는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바이메탈(3)에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량에 상응하는 열이 바이메탈(3)에 발생되고 이때 바이메탈(3)의 금속 계수에 따른 팽창율만큼 바이메탈(3)이 갭 스크류(13)가 있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바이메탈(3)의 단부가 갭 스크류(13)를 밀어내면 차단기가 트립된다.
통상 바이메탈에 의한 동작을 이용하는 트립 장치의 경우 바이메탈의 만곡 시간이 필요하므로 수십 ms 정도의 차단시간이 소요된다. 즉, 바이메탈만을 이용한 트립장치를 갖는 차단기는 과전류 및 순시/단락전류의 차단을 바이메탈에만 의존하게 되어, 정격전류의 8~10배 정도의 사고전류가 흐를 경우 신속히 차단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상 10ms 이내에 차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 차단기에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한 트립 장치를 구비하여 순시전류 영역에서 신속히 차단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는 일측 단자부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 타측 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이게 하는 개폐기구부를 포함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부의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과 함께 회전하고, 일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순시레버; 상기 순시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마추어; 상기 가동접촉자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상기 개폐기구부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며, 상기 돌기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트립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순시레버는 역삼각형 형상의 3단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의 제1단에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는 삽입구가 구비되고, 상부의 제2단에 상기 돌기부가 구비되며, 하부의 제3단에 상기 아마추어가 결합될 수 있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는 원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핸들축에 평행한 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립바에는 상기 돌기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돌기부에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바이메탈을 향한 부분이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아마추어를 향한 부분이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의하면 소형 차단기에 있어서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한 순시트립장치를 구비하여 순시전류 영역에서도 신속히 차단이 일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3단 구조의 순시레버가 구비되어 사고 전류 발생시 트립바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마그넷을 바이메탈에 직접 부착하고 아마추어를 순시레버에 끼우는 방식을 적용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시 전류를 신속히 차단함에 따라 차단기의 접점부 및 개폐기구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다른 방향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순시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마그넷과 아마추어가 접촉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마그넷과 아마추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off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on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순시전류에 의해 아마추어가 마그넷에 접촉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순시전류에 의해 트립 작동이 일어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순시 전류에 의한 트립 작동후 off 상태로 전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다른 방향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순시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마그넷과 아마추어가 접촉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마그넷과 아마추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off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on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순시전류에 의해 아마추어가 마그넷에 접촉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순시전류에 의해 트립 작동이 일어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순시 전류에 의한 트립 작동후 off 상태로 전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순시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에 있어서, off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는 일측 단자부(20)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21), 타측 단자부(25)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촉자(21)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가동접촉자(26), 상기 가동접촉자(26)를 움직이게 하는 개폐기구부(30)를 포함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부(30)의 핸들축(31)에 결합되어 핸들(32)과 함께 회전하고, 일측에는 돌기부(44)가 형성되는 순시레버(40); 상기 순시레버(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마추어(armature, 50); 상기 가동접촉자(26)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는 바이메탈(55); 상기 바이메탈(55)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그넷(60); 상기 개폐기구부(30)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며, 상기 돌기부(44)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트립바(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개폐기구부(30)의 기본적인 동작을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기구부(3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On-Off) 위치로 조작될 수 있는 핸들(32), 링크(33)에 의해 상기 핸들(32)에 연결되어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을 하게 되는 레버(34), 상기 레버(34)의 일단으로부터 접촉되어 가압력을 받아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크로스바(36), 상기 핸들(32) 및 레버(3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판(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로부에는 일측 단자부(2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접촉자(21) 및 타측 단자부(25)에 결합되어 상기 크로스바(36)에 의해 가압력을 받아 상기 고정접촉자(21)에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촉자(26)가 포함된다.
핸들(32)의 조작에 따른 차단기의 온-오프(On-Off) 동작은 다음과 같다. 핸들(32)이 온(On) 위치에 놓이는 경우, 핸들(32)에 의해 회동하면서 하강하는 레버(34)의 일단이 크로스바(36)를 누르게 되고, 크로스바(36)는 하강 운동을 하면서 가동접촉자(26)를 고정접촉자(21)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회로의 통전이 일어난다.(도 10 참조)
핸들(32)이 오프(Off) 위치에 놓이는 경우, 핸들(32)에 의해 레버(34)의 일단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크로스바(36)를 누르던 압력이 사라지고 크로스바(36)는 승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26)는 고정접촉자(21)로부터 분리된다. (도 9 참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순시레버(40)가 핸들(32)을 감싸면서 측판(35)과 트립바(65) 사이에 구비된다. 순시레버(40)는 종중심면(소형차단기의 세로방향의 종단면 중에서 중심단면, 이하 같다)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순시레버(40)는 측면도 상에서 볼 때, 역삼각형 형상의 3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에는 제1단 및 제2단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3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단에는 핸들축(31)에 결합되는 삽입구(41)가 구비된다. 여기서, 삽입구(41)는 종중심면에 수직으로 돌출하는 원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축(31)은 삽입구(41) 내에 삽입 결합된다.
순시레버(40)의 상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단에는 돌기부(44)가 구비된다. 돌기부(44)는 상기 핸들축(31)에 평행한 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44)는 트립바(65)를 가압할 수 있다.
순시레버(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3단에는 상기 아마추어(50)가 결합될 수 있는 장착부(47)가 구비된다. 여기서, 장착부(47)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47)에는 아마추어(50)를 체결할 수 있는 후크(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41)와 돌기부(44) 및 장착부(47)는 순시레버(40)의 세부 구성요소로서 순시레버(40) 제작시 하나의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순시레버(40)는 하나의 사출성형물로 제작될 수 있다.
순시레버(40)는 삽입구(41)를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트립바(65)는 정상적인 온(On) 작동시에는 레버(34)의 타단부를 고정 지지하여 레버(34)의 일단부가 크로스바(36)를 누를 수 있도록 하고, 사고 전류 발생시에는 레버(34)의 타단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크로스바(36)가 복귀 스프링의 힘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트립바(65)에는 후방으로 상기 돌기부(44)가 접촉할 수 있는 걸림부(66)가 형성된다. 걸림부(66)는 후상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부(67)와 상기 경사부(67)로부터 연장되고 순시레버(40)의 돌기부(44)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68)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68)의 상면은 상기 경사부(67)의 상면보다 경사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68) 상면의 경사각은 돌기부(44)의 회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압력을 받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트립바(65)는 순시레버(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돌기부(44)의 힘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레버(34)의 타단부는 구속에서 해제된다.
바이메탈(55)이 가동접촉자(26)의 일부에 결합된다. 바이메탈(55)은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하는 열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트립바(65)를 밀어내어 회로가 차단되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바이메탈(55)이 휘어지는 경우 바이메탈(55)의 상단부가 트립바(65)의 날개부에 구비되어 있는 갭 스크류(70)에 접촉하여 트립바(65)를 밀어내게 된다. 바이메탈(55)은 회로에 과전류가 흐를 때 통상적인 한시트립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55)은 회로에 사고전류가 흐를 때 바이메탈(55)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후술하는 마그넷(60)과 아마추어(50)를 자화시켜 순시트립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마그넷(60)은 바이메탈(55)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바이메탈(55)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자화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마그넷(60)은 철심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마그넷(60)은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바이메탈(55)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60)의 개방면이 트립바(65)를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넷(60)은 바이메탈(55)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아마추어(50)는 순시레버(40)의 장착부(47)에 설치된다. 아마추어(50)는 철심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아마추어(50)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장착부(47)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아마추어(50)의 개방면이 바이메탈(55)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아마추어(50)는 마그넷(60)에 대향하는 자세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넷(60)과 아마추어(50)를 잇는 자로를 형성할 수 있다. 아마추어(50)는 장착부(47)의 후크(4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아마추어(50)는 나사 결합 또는 용접 결합 등에 의해 바이메탈(5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는 마그넷(60)이 자화되어 아마추어(50)가 접촉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그넷(60)과 아마추어(50)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여 발생되는 자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다른 실시예로 마그넷(61)과 아마추어(51)가 하나의 원형 자로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원형 자로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은 최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off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on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순시전류에 의해 아마추어가 마그넷에 접촉한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순시전류에 의해 트립 작동이 일어난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순시 전류에 의한 트립 작동후 off 상태로 전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와 같이 핸들(32)이 off 상태에 있는 경우, 가동접촉자(26)는 고정접촉자(21)로부터 분리되어 회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도 10과 같이 핸들(32)이 on 상태에 놓이는 경우, 즉 투입된 상태에서는 가동접촉자(26)가 고정접촉자(21)에 접촉하여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순시레버(40)는 off 상태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놓이고 돌기부(44)는 트립바(65)의 접촉부(68)에 힘을 가하지 않으며 접촉만 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또한, 바이메탈(55)에 결합되어 있는 마그넷(60)과 순시레버(40)의 장착부(47)에 결합되어 있는 아마추어(5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 놓여 있다.
정상상태에서 회로에 순간적으로 정격전류의 10배 이상에 달하는 사고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바이메탈(55)에는 급격한 전류 변화가 발생하고 마그넷(60)은 자화되어 아마추어(50)를 끌어당기게 된다. 즉,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아마추어(50)가 마그넷(60)에 완전히 접촉되면서 순시레버(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순시레버(40)는 핸들축(3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돌기부(44)가 트립바(65)의 접촉부(68)를 밀어 트립바(6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트립바(65)의 하부에 걸려 구속되어 있던 레버(34)는 해방된다. 레버(34)가 해제되면서 크로스바(36)는 복귀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동접촉자(26)를 누르던 힘이 제거되어 가동접촉자(26)는 고정접촉자(21)로부터 분리시켜 회로를 흐르던 전류는 끊어진다. 또한, 링크(33)에 의해 레버(34)의 힘이 전달되어 핸들(32)은 Off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사고 전류가 사라지거나 마그넷(60)의 자기력이 사라지는 경우 순시레버(40)는 트립바(65)에 설치된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서 도 13과 같은 상태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의하면 소형 차단기에 있어서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한 순시트립장치를 구비하여 순시전류 영역에서도 신속히 차단이 일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3단 구조의 순시레버가 구비되어 사고 전류 발생시 트립바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마그넷을 바이메탈에 직접 부착하고 아마추어를 순시레버에 끼우는 방식을 적용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시 전류를 신속히 차단함에 따라 차단기의 접점부 및 개폐기구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25 단자부
21 고정접촉자
26 가동접촉자 30 개폐기구부
31 핸들축 32 핸들
33 링크 34 레버
35 측판 36 크로스바
40 순시레버 41 삽입구
44 돌기부 47 장착부
50 아마추어 55 바이메탈
60 마그넷 65 트립바
66 걸림부 67 경사부
68 접촉부 70 갭 스크류
26 가동접촉자 30 개폐기구부
31 핸들축 32 핸들
33 링크 34 레버
35 측판 36 크로스바
40 순시레버 41 삽입구
44 돌기부 47 장착부
50 아마추어 55 바이메탈
60 마그넷 65 트립바
66 걸림부 67 경사부
68 접촉부 70 갭 스크류
Claims (9)
- 일측 단자부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 타측 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하거나 분리됨에 따라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이게 하는 개폐기구부를 포함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부의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과 함께 회전하고, 일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순시레버;
상기 순시레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마추어;
상기 가동접촉자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만곡될 수 있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상기 개폐기구부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며, 상기 돌기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트립바;를 포함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시레버는 역삼각형 형상의 3단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의 제1단에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는 삽입구가 구비되고, 상부의 제2단에 상기 돌기부가 구비되며, 하부의 제3단에 상기 아마추어가 결합될 수 있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원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핸들축에 평행한 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바에는 상기 돌기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돌기부에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바이메탈을 향한 부분이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아마추어를 향한 부분이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4731A KR20170052367A (ko) | 2015-11-04 | 2015-11-04 |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4731A KR20170052367A (ko) | 2015-11-04 | 2015-11-04 |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2367A true KR20170052367A (ko) | 2017-05-12 |
Family
ID=5874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4731A Withdrawn KR20170052367A (ko) | 2015-11-04 | 2015-11-04 |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5236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4233A (ko) * | 2017-11-13 | 2019-05-22 | (주) 나노전기 | 순시 트립 기능을 갖는 소형차단기 |
CN112002576A (zh) * | 2020-09-15 | 2020-11-27 | 朱建军 | 一种防止变电运行倒闸误操作的闭锁装置 |
-
2015
- 2015-11-04 KR KR1020150154731A patent/KR20170052367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4233A (ko) * | 2017-11-13 | 2019-05-22 | (주) 나노전기 | 순시 트립 기능을 갖는 소형차단기 |
CN112002576A (zh) * | 2020-09-15 | 2020-11-27 | 朱建军 | 一种防止变电运行倒闸误操作的闭锁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51887B1 (en) | Electromagnetic trip device | |
US4255732A (en) |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 |
CA1072164A (en) | Modular integral motor controller | |
US4220934A (en) |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integral magnetic drive device housing and contact arm stop | |
US4164719A (en) | Load management apparatus for residential load centers | |
EP3373319B1 (en) |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 |
KR100923683B1 (ko) |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 |
US20110090031A1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 |
EP3161848B1 (en) | High current,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with dual slider bar actuator assembly | |
US5831499A (en) | Selective trip unit for a multipole circuit breaker | |
US4220935A (en) |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high speed magnetic trip device | |
JPH026181B2 (ko) | ||
KR100652236B1 (ko) | 배선용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
KR101276370B1 (ko) | 배선용 차단기 | |
KR20170052367A (ko) | 소형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 |
US6628185B2 (en) | Blade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 |
CN204204685U (zh) | 具有用于跳接的装置的开关设备 | |
KR20180065483A (ko) | 누전 및 배선차단기를 위한 순시트립장치 | |
CN101079353B (zh) | 对地漏电断路器 | |
CN105359246B (zh) | 具有用于阶跃地接通的装置的开关设备 | |
KR100798340B1 (ko) | 한류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 |
KR102494983B1 (ko) | 순시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 |
US20120182096A1 (en) | Installation switching device | |
KR100557495B1 (ko) | 배선용 차단기의 가스압 트립장치 | |
KR20210125290A (ko) | 소형 차단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